KR100222727B1 -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727B1
KR100222727B1 KR1019970045786A KR19970045786A KR100222727B1 KR 100222727 B1 KR100222727 B1 KR 100222727B1 KR 1019970045786 A KR1019970045786 A KR 1019970045786A KR 19970045786 A KR19970045786 A KR 19970045786A KR 100222727 B1 KR100222727 B1 KR 100222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friction material
cylinder
adhes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820A (ko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한용희
주식회사한국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희, 주식회사한국정공 filed Critical 한용희
Priority to KR1019970045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727B1/ko
Publication of KR970070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1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2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마찰재와 접착재를 수작업으로 풀리상에 안치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차기 공정의 자동화에 기여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졌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이송라인의 측방에 풀리의 공급과 접착재, 마찰재의 공급과 마찰재의 접착, 건조, 강도시험 및 불량선별파트를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풀리만 공급하여주면 접착재 및 마찰재의 안치와 이의 접착 및 강도테스트와 불량선별에 이르기까지 전공정을 자동으로 행하여지도록 한 것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풀리의 공급과 접착재, 마찰재의 공급과 마찰재의 접착, 건조, 강도시험 및 불량선별에 이르는 전공정을 자동으로 행함으로 차기공정 자동화에 기여하고,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본 발명은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콘시스템에서 냉매를 고압상태로 압축하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압축기에 장착되는 풀리에 접착되어 클러치의 주요부로 구성되어 동력전달역할을 하는 마찰재의 접착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마찰재는 압축기의 풀리에 접착재로 부착되어 풀리의 외측에 취부되는 클러치와 풀리가 연결되어 압축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할 때 급격한 구동으로 인한 클러치의 마모나 변형등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스무드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주는 부분이다.
이러한 마찰재를 종래에는 풀리에 마찰재를 접하하기 위한 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여 행하였었다.
즉, 마찰재와 풀리상간을 결합시켜주는 접착재의 공급과 마찰재의 공급을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 풀리에 형성된 안치면상에 안치하고, 별도의 접착지그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관계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불량발생의 빈도가 높은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마찰재의 부착작업이 자동화되지 않음으로서 차기공정인 내경가공이나 마찰재파손체크 및 베어링 및 링씰드조립공정이 자동화하지 못하므로 전 공정을 인력으로 작업하여야 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송라인의 측방에 풀리의 공급가 접착재, 마찰재의 공급과 마찰재의 접착, 건조, 강도시험 및 불량선별파트를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풀리만 공급하여주면 접착재 및 마찰재의 안치와 이의 접착 및 강도테스트와 불량선별에 이르기 까지 전공정을 자동으로 행하여 차기공정 자동화에 기여하고,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한 전체 레이아웃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풀리공급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측면도.
제5도는 제2도의 A부를 발췌한 도면.
제6도는 제2도의 C부를 발췌한 일부생략 사시도.
제7도는 풀리안치이송용 파레트를 공급하여주는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마찰재공급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평면도.
제11도는 마찰재공급부의 접착재커팅파트를 발췌한 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평면도.
제13도는 접착재커팅파트의 커팅유니트를 발췌한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D부 단면도.
제15도는 접착재커팅파트의 접착재로딩유니트를 발췌한 정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평면도.
제17도는 제15도를 일부단면화한 측면도.
제18도는 마찰재공급부의 마찰재공급파트를 발췌한 정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평면도.
제20도는 마찰재공급부의 접착재 및 마찰재피딩부를 발췌한 평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E방향 정면도.
제22도는 제20도의 F방향 정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저주파가열접착부를 발췌한 정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평면도.
제25도는 제23도의 G부 발췌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냉각부를 발췌한 평면도.
제27도는 냉각부의 공급 및 배출유니트를 도시한 측면도.
제28도는 제26도의 H - H선 단면도.
제29도는 제26도의 I - I선 단면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접착강도시험부를 발췌한 평면도.
제31도는 제30도의 정면도.
제32도는 제30도의 측면도.
제33도는 접착강도시험파트의 부위를 도시한 측면도, 제33(a)도는 J부를 발췌한 단면도.
제34도는 불량취출파트를 발췌한 단면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압축기용 풀리단면도.
제36도는 마찰재가 접착된 상태의 풀리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풀리 5 : 이송라인
10 : 엘리베이터 100 : 풀리공급부
101 : 풀리대기파트 114 : 이동대차
116 : 풀리안치판 123 : 포크
130 : 풀리이송파트 140 : 핑거
150 : 확인파트 155 : 감지판
200 : 마찰재공급부 201 : 접착재커팅파트
202 : 커팅유니트 203 : 접착재로딩유니트
207 : 권취롤 208 : 롤고정구
215 : 커팅블럭 216 : 클램프
222 : 금형 224 : 펀치
225 : 상부금형 226 : 펀치공
229 : 하부금형 241 : 로딩암
246 : 원웨이클러치 247 : 피니언
253 : 랙 256 : 스토퍼
263 : 턴테이블 277 : 저장플레이트
300 : 마찰재피딩파트 302,303 : 2방향지그
316 : 흡판 400 : 저주파가열접착부
401 : 로봇 402 : 저주파가열파트
404 : 회전축 405,406 : 다관절
500 : 냉각부 501 : 공급유니트
502 : 배출유니트 503 : 냉각유니트
525 : 블로워 534 : 커버
600 : 접착강도시험부 601 : 위치교정파트
602 : 접착강도시험파트 603 : 불량취출파트
620 : 공급유니트 640 : 강도시험유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레이아웃도로서 본 발명은 체인기어(1)와 체인(1')으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을 2단으로 설치하여 풀리(3)가 안치된 파레트(4)를 각 파트별로 이송하여주고, 빈 파레트(4)를 초기위치로 공급하여주도록 한 이송라인(5)이 길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라인(5)의 선측에는 하단에 위치한 이송라인(5)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 빈 파레트(4)를 상단의 이송라인(5)으로 공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10)와 마찰재(6)와 접착재(7)를 부착하기 위한 풀리(3)를 이송라인(5)으로 공급하여주는 풀리공급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풀리공급부(100)에 의하여 이송라인(5)에 공급된 풀리(3)상에 안치할 접착재(7)를 커팅하여주는 접착재커팅파트와 마찰재(6)를 공급하여주는 마찰재공급파트 및 접착재와 마찰재를 풀리상으로 피딩하여주는 피딩파트로 이루어진 마찰재공급부(200); 상기 마찰재공급부(200)에 의하여 풀리(3)상에 안치된 마찰재(6)를 접착하는 저주파가열접착부(400)와 저주파가열접착부(400)에 의하여 접착된 풀리(3)를 건조하여주는 냉각부(500) 및 냉각부(500)를 거쳐나온 풀리(3)에 접착된 마찰재(6)의 접착강도를 측정하는 접착강도시험부(600)로 크게 이루어진다.
2단으로 이루어진 이송라인(5)의 상단에 위치한 이송라인(5)을 통하여 풀리(3)를 안치하여 본 발명의 접착장치 후방에 위치한 차기공정으로 풀리(3)를 이송한 후 하단에 위치한 이송라인(5)을 통하여 빈 파레트(4)를 공급받아 상단의 이송라인(5)으로 재 공급하여주는 엘리베이터(10)는 제7,8도에 도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10)는 박스형상의 프레임(11) 내부에는 프레임(11)의 측방에서 실린더나 체인,체인기어 조합으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10) 내부를 승,강운동 하는 승강수단(13)의 가이드(14)와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15)를 마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의 하방에는 정,역모터(16)를 고정하여 양측으로 축(17)을 돌출시키고, 여기에는 풀리(18)를 고정하여 베이스플레이트(15)의 상방에서 지지볼트(19)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이드판(20)의 양측에 고정된 풀리(21)와 밸트(22)로 연결하여 하단에 위치한 이송라인(5)을 통하여 이송되어온 빈 파레트(4)를 공급받아 상승한 후 상단에 위치한 이송라인(5)으로 파레트(5)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판(20)의 후미에는 상방으로 스토퍼(25)를 돌출시켜 공급되는 파레트(5)가 필요이상 후방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송라인(5)의 선단부 측방에 설치되어 마찰재와 접착재를 공급받기 위한 풀리(3)를 공급하여주는 풀리공급부(100)를 제2도 내지 제6도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풀리공급부(100)는 이송라인(5)의 측방에 많은수의 풀리(3)를 대기시켜 주는 풀리대기파트와 대기상태의 풀리를 이송라인(5)의 파레트(5)상에 안치시켜주는 풀리이송파트 및 파레트(5)상에 풀리(3)가 정확하게 안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파트로 구성된다.
풀리대기파트(101)는 프레임(102)의 베이스(103)하방에 모터(104)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104)의 축(105)에 고정된 체인기어(106)와 베이스(103)의 선측에 고정된 체인기어(108)와 체인(107)으로 연결하였다.
상기 체인기어(108)의 축(109)은 베이스(103)의 상방으로 돌출시켜 체인기어(110)을 고정하여 베이스(103)의 후방에 고정된 체인기어(11)와 체인(112)으로 연결하였다.
상기 체인(112)에는 하방에 활주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로울러(113)를 가지는 다수개의 이동대차(114)를 고정하고, 이동대차(114)의 상측에는 공급할 풀리(9)를 다단으로 안치하기 위한 풀리안치판(116)을 마련한다.
상기 풀리안치판(116)에는 다단으로 안치되는 풀리(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방향에 가이드바(117)를 고정하되, 상기 가이드바(117)는 풀리(3)의 외경보다 약간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풀리(3)의 삽입과 이탈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03)의 선방 일측에는 프레임(102)의 하방에 고정된 정,역모터(120)의 축(121)과 연결된 볼스크류(122)의 중도에는 포크(123)를 삽입하여 정,역모터(120)의 회전에 의하여 포크(123)가 승,강하여 풀리안치판(116)을 승,하강시키도록 하여 풀리안치판(116)상에 안치된 풀리(3)를 이송라인(5)을 상의 파레트(4)에 공급하여 주는 풀리이송파트가 풀리(3)를 잡아 이송하기에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풀리안치판(116)상에 다단으로 안치된 풀리(3)를 이송라인(5)의 파레트(4)로 풀리(3)를 이송(공급)하여주는 풀리이송파트(130)는 프레임(102)의 상방으로 돌출된 수직프레임(131)의 상단에 다시 고정된 횡프레임(132)의 일측에 실린더(133)를 고정하고, 실린더(133)의 로드(134)는 실린더(133)의 전방에 설치된 가이드(135)에 삽입된 브라켓(136)과 연결하여 상기 브라켓(136)이 풀리대기판(101)와 이송라인(5)상간을 왕복운동 하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136)에는 풀리대기판(101)의 풀리안치판(116)상에 안치된 풀리(3)를 잡을 수 있는 통상적인 핑거(140)가 마련되는데, 상기 핑거(140)는 브라켓(136)상에 고정된 실린더(141)와 이의 측방에 설치되는 가이드(142)와 연결되어 실린더(141) 의 승,강운동에 의하여 풀리안치판(116)상의 풀리(3)를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풀리이송파트(130)의 측방(도면상 좌측)에는 풀리이송파트(130)에 의하여 파레트(4)상에 풀리(3)가 안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파트(150)가 구비된다.
상기 확인파트(150)는 프레임(151)상에 고정된 승,강실린더(152)와 가이드(153)의 하단부에 감지판(155)를 마련하여 승강실린더(152)의 작동에 의하여 파레트(4)상에 안치된 풀리(3)와 감지판(155)이 연접함으로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풀리공급부(100)에 측방에 마련되어 풀리공급부(100)에 의하여 이송라인(5)을 따라 이송되는 파레트(4)상에 안치된 풀리(3)에 접착재(7)와 마찰재(6)를 공급하여주는 마찰재공급부(200)는 풀리(3)상에 안치되어 풀리(3)와 마찰재(6)상간을 결합시켜주는 접착재(7)를 원호형상으로 커팅하여주는 접착재커팅파트(201)와; 풀리(3)상에 안치된 접착재(7)의 상방에 마찰재(6)를 공급되도록 하는 마찰재공급파트(260) 및 접착재(7)와 마찰재(6)를 90
Figure kpo00002
각도로 왕복회전하면서 풀리(3)상에 안치시켜주는 피딩파트로 이루어지며, 이를 제9도내지 제22도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착재커팅파트(201)는 접착재(7)를 절단하여주는 커팅유니트(202)와 커팅된 접착재(7)를 풀리(3)로 공급하여주는 피딩파트(300)로 공급하여주는 접착제로딩유니트(203)로 구성된다.
상기 커팅유니트(202)는 이송라인(5) 측방에 마련되는 프레임(204)의 후미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운 포스트(205)의 상면에 베이스플레이트(206)를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6)의 일측에는 접착재(7)를 권취한 권취롤(207)를 고정하기 위한 롤고정구(208)가 마련된다.
상기 롤고정구(208)는 베이스플레이트(206)의 일측 끝단에 세워진 브라켓(209)에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권취롤(207)을 삽입하기 위한 권취축(210)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귄취축(210)의 단부에는 삽입된 권취롤(207)이 이탈되지 않도록 시건하기 위한 시건수단(211)이 마련된다.
상기 시건수단(211)은 권취축(210)의 단부에 원판을 나사결합시키거나 원터치타입의 고정훅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고정구(208)의 전방에는 접착재(7)를 안내하는 가이드로울러(212)와 공급된 접착재(7)를 커팅하기위한 커팅블럭(215)과 접착재(7)를 한 피치씩 이송시켜 주고 커팅과정에서 접착재(7)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216)가 커팅블럭(215)의 양측에 마련된다.
상기 커팅블럭(215)은 베이스플레이트(206)의 하방에 위치하는 접착재로딩유니트(203)로 커팅된 접착재(7)가 공급되도록 공급공(217)이 형성된 베이스(218)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218)의 양측에는 포스트(219)를 세워 상방에는 실린더(220)를 설치한 홀더(221)를 고정한다.
상기 홀더(221)에 고정된 실린더(220)의 로드(220')단부에는 공급된 접착재(7)를 커팅하여주는 금형(222)이 고정된다.
상기 금형(222)은 실린더(220)의 로드(220')와 연결되는 조인트하우징(223)과 이의 하방에 고정되는 펀치(224)로 이루어지는 상부금형(225)과 상부금형(225)의 펀치(224)를 수용할 수 있는 펀치공(226)과 접착재(7)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227)와 펀칭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스프링(228)을 가지는 하부금형(229)으로 구성되어 실린더(220)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롤타입의 접착재(7)가 커팅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금형(225)의 펀치(224)와 하부금형(229)의 펀치공(226)은 롤타입의 접착재(7)로스를 줄일 수 있도록 원을 삼등분한 원호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블럭(215)의 양측에 마련되는 클램프(216)는 커팅블럭(215)이 롤타입의 접착재(7)를 커팅할 시 유동이 없도록 접착재(7)를 잡아주고 커팅이 완료된 후에는 롤타입의 접착재(7)를 전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의 구성은 커팅블럭(215)의 베이스(218) 측방에 가이드(230)를 고정하고 이 가이드(230)에는 롤타입의 접착재(7)가 지나갈 수 있는 가이드플레이트(231)를 안치하고, 일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플레이트(231) 측방에는 실린더(232)와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232)의 작동으로 가이드(230)를 따라 좌,우측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31)상간은 커팅블럭(215)의 전,후방으로 고정바(233)로 서로 연결하여 상호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31)의 상방으로는 가이드(234)를 돌출시켜 이 가이드(234)상에 프레스(235)를 삽입시키고, 상기 프레스(235)는 가이드(234)의 상단부에 고정된 홀더(236)상에 고정된 실린더(237)에 의하여 승,강하도록 하여 가이드플레이트(231)를 지나가는 롤타입의 접착재(7)를 잡아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커팅유니트(202)의 하방에는 커팅된 접착재(7)를 피딩파트(300)로 공급하여주는 접착재로딩유니트(203)가 마련된다.
상기 접착재로딩유니트(203)는 이송라인(5)의 측방에 설치된 프레임(204)의 중앙에 실린더나 모터등으로 구성되는 로터리액튜에이터(240)가 고정되고, 상기 로터리액튜에이터(240)의 상방에는 로딩암(241)이 고정된다.
상기 로딩암(241)의 양측에는 볼부시(242)를 고정하여 내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샤프트(243)를 삽입하고, 상기 샤프트(243)의 중도에는 볼부시(242)의 내측로딩암(241)에 고정된 실린더(244)와 연결된 브라켓(245)과 볼팅결합되어 상기 실린더(244)의 작동에 의하여 샤프트(243)가 볼부시(242)의 상,하측으로 승,강운동을 한다.
상기 브라켓(245)의 상방으로 돌출된 샤프트(243)에는 원웨이클러치(246)를 가지는 피니언(247)을 삽입하고, 상기 피니언(247)의 상측에는 커팅유니트(202)에 의하여 커팅된 접착재(7)를 받을 수 있는 요입홈(248)을 형성한 홀더(249)가 하우징(250)으로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250)에는 홀더(249)의 요입홈(248)과 통하는 공기통로(251)를 진공수단(미도시)과 연결하여 요입홈(248)상에 안치되는 접착재(7)가 이탈되지 않도록 흡입하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245)의 상방에 마련되는 피니언(247)에는 브라켓(245) 내측에 마련되는 실린더(252)의 로드와 연결된 랙(255)과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252)의 신장에 의하여 상방의 홀더(249)를 약 120
Figure kpo00003
씩 회전시켜 원호형상으로 커팅되는 접착재(7)를 홀더(249)가 원활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니언(247)과 하우징(250)상간에는 홀더(249)가 랙(253)과 피니언(247)에 의하여 필요이상(120
Figure kpo00004
이상) 회전하여 접착재(7)가 겹쳐진 상태로 안치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3개의 스토퍼홈(254)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홈(254)에는 랙(253)작동을 위한 실린더(252)의 중간에 설치된 실린더(255)와 연결된 스토퍼(256)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다.
상기 접착재커팅파트(201)이 위치하여 마찰재(6)를 공급하여주기 위한 마찰 재공급파트(260)는 프레임(204) 측방(도면상 우측)에 마련되는 별도의 프레임(261)상에 위치한다.
베이스프레임(261)의 하방에 설치되는 인덱스모터(262)에 의하여 지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는 턴테이블(263)상에 마찰재(6)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개의 보관튜브(264)를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보관튜브(264)에는 보관된 마찰재(6)를 측방의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다단으로 적층된 마찰재(6)를 이송시켜주는 이송대(265)가 함께 삽입된다.
상기 턴테이블(263)의 측방에는 보관튜브(264)상에 적층된 마찰재(6)를 상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승강수단(270)이 마련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베이스프레임(261)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브라켓(271)의 하방과 상방 상간을 볼스크류(272)로 고정하고, 상기 볼스크류(272)의 하단에는 타이밍풀리(273)를 고정하여 브라켓(271)의 측방에 설치되는 정,역모터(274)의 축에 고정된 타이밍풀리(275)와 타이밍밸트(276)로 연결하여 볼스크류(272)를 정,역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볼스크류(272)에는 보관튜브(264)상의 이송대(265)를 상승시켜 브라켓(271)의 상단에서 턴테이블(263)방향으로 돌출된 저장플레이트(277)로 공급하여주는 셔트(278)가 고정되어 볼스크류(272)와 이의 양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바(279)에 의하여 승,강한다.
상기 셔트(278)는 볼스크류(272)와 고정되고 가이드바(279)에 삽입되는 플레이트(280)의 상면에 고정된 슬라이딩블록(281)상에 선단부에는 이송대(265)와 결합할 수 있는 포크(282)를 고정한 슬라이드(283)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283)의 후미에는 실린더(284)와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284)에 의하여 포크(282)가 이송대(265)와의 결합과 이탈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상기 브라켓(271)의 상단부에서 턴테이블(263)방향으로 돌출된 저장플레이트(277)에는 중앙에 마찰재(6)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85)를 가지도록 하고, 수용홈(285)의 하단에는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포크(282)의 최대상승치를 감지에 의하여 마지막으로 이송된 마찰재(6)의 하단면에 위치하여 수용홈(285)에 수용된 마찰재(6)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286)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286)의 구성은 센서에 의하여 제어되는 실린더와 같은 작동수단에 의하여 전,후진하면서 작동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커팅유니트(202)에 의하여 커팅된 접착재(7)를 공급받은 접착재로딩유니트(203)상에 위치한 접착재(7)와 마찰재공급파트(260)의 저장플레이트(277)상에 있는 마찰재(6)를 풀리공급부(100)에 의하여 이송라인(5)상의 파레트(4)에 안치된 풀리(3)로 공급하여주는 마찰재피딩파트(300)는 이송라인(5)의 측방에 위치하는 프레임(204)의 중앙에 위치하는 접착재피딩유니트(203)와 마찰재공급파트(260)상에 위치한다.
프레임(204)상에 고정되는 실린더나 모터 및 랙,피니언조합과 같은 각도전환 액튜에이터(301)의 상방에 90
Figure kpo00005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반복하면서 각각 접착재(7)와 마찰재(6)를 흡입하여 풀리(3)상으로 공급하여주는 2방향(TwoWay)지그(302,303)이 마련된다.
상기 2방향지그(302,303)의 단부에는 마찰재(6)나 접착재(7)를 수용하고 있는 저장플레이트(277)와 홀더(249)가까이 근접시키는 실린더블럭(305)이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블럭(305)의 전방에는 실린더블럭(305)과 고정된 브라켓(306)하방에 볼부시(307)를 고정한다.
상기 볼부시(307)에는 샤프트(308)를 삽입하여 상측에는 가이드(309)를 가지는 홀더(310)상에 설치된 실린더(311)와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311)의 신축작동에 의하여 샤프트(308)가 미폭 승,강운동하도록 하였다.
상기 샤프트(308)의 하단에는 완충수단으로 스프링(315)을 가지는 흡판(316)을 고정하여 마찰재(6)와 접착재(7)를 흡입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흡판(316)에는 진공수단(미도시)과 연결된 다수개의 진공호스(317)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마찰재(6)와 접착재(6)를 흡입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마찰재공급부(200)에 의하여 접착재(7)와 마찰재(6)가 안치된 풀리(3)에 외압을 가하여 마찰재(6)가 풀리(3)와 접착되도록 하는 저주파가열접착부(400)의 구성은 제23도 내지 제25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저주파가열접착부(400)는 이송라인(5)을 따라 이송되는 풀리(3)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로봇(401)과 로봇(401)에 의하여 풀리(3)를 공급받아 풀리(3)와 마찰재(6)를 접착시키는 저주파가열파트(402)로 구성된다.
상기 로봇(401)은 프레임(403)에 고정되는 회전축(404)를 중심으로 각도를 변화하면서 움직이는 다관절(405,406)타입으로 하고, 선단부에 위치하는 관절(405)에는 풀리(3)를 잡을 수 있도록 실린더블럭(400')에 통상적인 핑거를 내장한 손잡이(407)를 연결하여 별도로 마련되는 콘트롤러(408)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콘트롤러(408)에 미리 로봇(40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입력되어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저주파가열파트(402)는 로봇(401)에 의하여 공급된 풀리(3)를 지지할 수 있는 안치판(410)이 프레임(403)상에 마련되고, 상기 안치판(410)의 주위에는 상방으로 가이드바(411)를 돌출시켜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바(411)의 상단부에는 상방에 실린더(412)를 안치한 홀더(413)를 고정하고, 상기 실린더(412)의 로드(413)에는 가이드바(411)에 삽입되고 하방에 저주파가열수단(415)를 가지는 가이드(416)와 연결하여 로봇(401)에 의하여 공급된 풀리(3)상에 안치된 마찰재(6)의 상방에 연접하여 마찰재(6)에 열을 가하여 풀리(3)와 마찰재(6)가 접착되도록 한다.
상기 저주파가열접착부(400)에 의하여 마찰재(6)를 접착한 풀리(3)에 남아있는 열원을 제거하기 위한 냉각부(500)는 제26도 내지 제29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냉각부(500)는 마찰재(6)가 접착된 풀리(3)를 공급하는 공급유니트(501)와 냉각이 완료된 풀리(3)를 배출하는 배출유니트(502) 및 마찰재(6)를 접착한 풀리(3)를 저속으로 이송시켜 열원을 제거하는 냉각유니트(50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유니트(501) 및 배출유니트(502)는 이송라인(5)의 상방에서 이송라인(5)과는 직각으로 설치된 프레임(510)의 측방에 실린더(511)와 가이드바(512)를 설치한다.
상기 실린더(511)의 로드(513)는 가이드바(512)에 삽입되어 실린더(511)의 신축작동에 의하여 이송라인(5)과 냉각유니트(503)사이를 왕복하는 가이드(514)와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514)의 상측에는 실린더(515)를 고정하여 가이드(514)의 하방에서 통상적인 핑거를 가지고 풀리(3)를 잡는 핸드(52)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공급유니트(501)에 의하여 이송라인(5)의 풀리(3)를 공급받아 풀리(3)에 잔존하는 열원을 제거하는 냉각유니트(503)는 체인기어(520)과 체인(521) 및 모터(522)의 조합으로 된 구동수단(523)에 연결된 이송판(524)상에 안치되어 지그재그로 저속회전하면서 냉각유니트(503)의 후방에 설치된 블로워(525)에 의하여 풀리(3)의 열원을 빼앗겨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된(524)은 모터(522)에 의하여 회전하는 체인기어(520)상간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521)의 상측에 위치하는 체인링크(530)을 크게한 플레이트(531)로 구성하며, 상기 플레이트(531)상에는 풀리(3)를 받쳐줄 수 있는 형상을 한 받침대(533)가 안치되어 플레이트(531)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판(524)의 상방에는 블로워(525)와 연결된 커버(534)를 씌워 풀리(3)에 잔존하는 열원을 빼앗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각유니트(503)의 전방(이송라인과 접한부위)에는 이송판(524)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받침대(533)를 정지시켜 냉각할 풀리(3)를 얹어주고, 냉각이 완료된 풀리(3)를 배출할 수 있도록 스토퍼(542)가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542)는 이송판(524)의 후미에 위치한 프레임(540)상에 고정된 실린더(541)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돌출되어 받침대(533)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냉각부(500)에서 냉각된 풀리(3)와 마찰재(6)상간의 접착강도를 시험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접착강도시험부(600)는 제30도 내지 제3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접착강도시험부(600)는 풀리(3)의 위치를 교정시켜주는 위치교정파트(601)와 접착강도를 테스트하는 접착강도시험파트(602)와 접착강도시험에서 불량판정을 받은 풀리(3)를 이송라인(5)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불량취출파트(603)로 구분된다.
위치교정파트(601)는 마찰재(6)가 접착된 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시험강도핀이 마찰재(6)의 저면과 연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풀리(3)에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면에 시험강도핀이 연접하지 않도록 파레트(4)상에 안치된 풀리(3)를 회전시켜 일정한 위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리한 위치교정파트(601)는 이송라인(5)의 후미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프레임(610)의 선단부에 실린더(611)를 고정하고, 상기 실린더(611)의 로드에는 하단부에 회전핀(612)를 가지는 회전지그(613)를 모터(614)와 연결하여 실린더(611)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지그(613)가 풀리(3)에 접근하여 풀리(3)를 정위치 회전시키도록 한다.
접착강도시험파트(602)는 위치교정파트(601)에 의하여 정위치로 교정된 풀리(3)를 공급하는 공급유니트(620)와 공급유니트(620)에 의하여 공급받은 풀리(3)를 프레싱하여 마찰재(6)의 접착상태를 시험하는 강도시험유니트(64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유니트(620)는 이송라인(5)의 후방프레임(621)상에 고정된 로테이팅수단(622)에 의하여 180
Figure kpo00006
씩 회전하는 회전암(623)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암(623)을 회전시키기 위한 로테이팅수단(622)은 실린더나 랙,피니언조합 및 모터와 같은 통상적인 기술수단이다.
상기 회전암(623)의 양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자유롭도록 실린더와 가이드바 및 가이드로 이루어진 실린더블럭(625)을 마련하고, 상기 실린더블럭(625)의 전방으로는 브라켓(626)을 돌출시키고 이의 상방에는 실린더(627)를 고정한다.
상기 실린더(627)의 하방에는 풀리(3)를 잡기위한 핑거(628)를 연결하여 이송라인(5)상의 풀리(3)를 강도시험유니트(640)으로 공급하고 강도시험유니트(640)에 의하여 강도시험을 마친 풀리(3)를 이송라인(5)으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상기 강도시험유니트(640)는 공급유니트(620) 후방에 설치된 가이드레일(641) 상에 안치되어 측방의 실린더(642)에 의하여 슬라이딩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딩판(643)을 마련하고, 상기 슬라이딩판(643)에는 풀리(3)를 안치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풀리(3)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한 안치구(644)가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안치구(644)의 외측에는 풀리(3)에 접착된 마찰재(6)와 동일한 위치에 다수개의 시험핀(645)이 돌출되어 마찰재(6)의 저면과 연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판(643)의 후미측방에는 상방으로 돌출시킨 브라켓(650)에 설치된 실린더(651)와 연결된 누름판(652)를 구비하여 슬라이딩판(643)상에 안치된 풀리(3)에 미리 설정된 힘을 가하여 접착강도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누름판(652)에는 시험핀(645)과 동일한 위치에서 누름에 의하여 풀리(3)에 접착된 마찰재(6)의 돌출정도에 따라 상승하는 측정자(655)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정자(655)의 상측에는 센서(656)를 마련하여 누름판(652)와 시험핀(645)에 의하여 마찰재(6)가 상승되는 양이 설정치 이상이면 이를 불량취출파트(603)으로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강도시험유니트(640)에 의하여 불량인지를 받아 불량풀리(3)를 분리시키는 불량취출파트(603)는 접착강도시험파트(602)의 측방에 위치하는데, 이송라인(5)의 상방에서 이송라인(5)과는 직각방향으로 프레임(660)을 마련하고, 상기 프레임(660)의 측방에는 실린더(661)와 연결되고 가이드바(662)에 삽입되어 이송라인(5)의 직각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브라켓(663)을 마련한다.
상기 브라켓(663)의 상측에는 실린더(664)를 고정하여 브라켓(663)의 하방에 마련되는 핑거를 가지는 핸드(665)와 연결하여 불량판별된 풀리(3)를 잡아 이송라인(5)의 외측으로 더 마련되는 배출라인(67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작업자가 풀리공급부(100)의 베이스(103) 상방의 풀리안치판(116)상에 마찰재(6)와 접착재(7)를 안치할 풀리(3)를 다단으로 적층하여두면 풀리안치판(116)상의 풀리(3)가 풀리이송파트(130)에 의하여 이송라인(5)상의 파레트(4)로 풀리(3)를 공급하게 된다.
베이스(103)상의 풀리안치판(116)은 하나의 풀리안치판(116)상에 적층된 풀리(3)가 소모되었을 경우에는 모터(104)가 회전하여 한 피치씩 풀리안치판(116)을 포크(123) 방향으로 이송하여 포크(123)가 풀리하나의 높이만큼씩 풀리안치판(116)을 상승시켜 풀리이송파트(130)가 풀리(3)를 잡아 이송라인(5)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크(123)는 풀리안치판(116)이 이송되어 포크(123)의 상방에 위치하면 포크(123)는 하방의 정,역모터(120)에 의하여 회전하는 볼스크류(12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볼스크류(122)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여 풀리안치판(116)을 상승시켜 풀리이송파트(130)의 핑거(140)가 풀리(3)를 잡을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 핑거(140)가 풀리(3)를 잡아 이송라인(5)으로 옮기고 나면 포크(123)는 다시 풀리(3)한개의 두께만큼 상승하여 핑거(140)가 잡을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 포크(123)에 의하여 상승된 풀리안치판(116)상의 풀지(3)는 풀리이송파트(130)의 횡프레임(132) 일측에 고정된 실린더(133)가 수축하여 실린더(133)의 전방에 설치된 가이드(135)에 삽입된 브라켓(136)을 포크(123)에 의하여 상승된 풀리안치판(116)의 상측에 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브라켓(136)이 실린더(133)에 의하여 풀리안치판(116)의 상방에 까지 이동되어오면 브라켓(136)의 상방에 설치된 실린더(141)이 신장하여 상기 실린더(141)의 하방에 고정된 핑거(140)를 풀리(3)방향으로 하강시켜 풀리(3)를 잡도록 한다.
핑거(140)가 풀리안치판(116)상의 풀리(3)를 잡으면 실린더(141)이 수축되어 핑거(14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연이어 횡프레임(132)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133)가 신장하여 핑거(140)를 이송라인(5)상으로 이동시킨다.
핑거(140)가 이송라인(5)상에 위치하면 브라켓(136)의 상방에 고정된 실린더(141)이 신장하여 풀리(3)를 잡고있는 핑거(140)를 이송라인(5)상의 파레트(4)에 풀리(3)를 안치시켜주는 것이다.
이리한 일련의 동작을 반복하여 풀리대기파트(101)상의 풀리(3)를 이송라인(5)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주게된다.
상기와 같이 풀리(3)가 이송라인(5)상의 파레트(4)에 안치되면 이송라인(5)에 의하여 측방의 확인파트(150)방향으로 이동되어 확인파트(150)에 의하여 파레트(4)상에 풀리(3)가 안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확인작업은 이송라인(5)에 의하여 파레트(4)가 이송되어오면 이송라인(5)의 상방에 마련되는 프레임(151)에 고정된 실린더(152)가 하강하여 이의 하단에 고정된 감지판(155)이 파레트(4)상의 풀리(3)와 연접되도록 함으로서 상기감지판(155)의 감지로 풀리(3)의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확인파트(150)에 의하여 파레트(4)상의 풀리(3)가 감지되면 마찰재공급부(200)의 접착재커팅파트(201)와 마찰재공급파트(260)에서 마찰재(6)와 접착재(7)를 공급받은 접착재로딩유니트(203)에 의하여 풀리(3)상에 접착재(7)와 마찰재(6)가 순차적으로 안치공급되어진다.
이리한 동작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접착재커팅파트(201)의 커팅유니트(202)에 의하여 롤타입의 접착재가 풀리(3)상에 안치하기에 용이하도록 원호형상으로 커팅하게된다.
이송라인(5)측방의 프레임(204)에 세워진 베이스플레이트(206)의 일측에 마련되는 롤고정구(208)의 권취축(210)에 접착재가 권취된 권취롤(207)를 고정시킨 후, 권취롤(207)의 접착재가 가이드로울러(212)와 클램프(216)를 거쳐 커팅블럭(215)을 경유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팅블럭(215)의 실린더(220)가 신장하면 이와 연결된 금형(222)이 작동하여 공급되는 접착재를 원호형상으로 커팅하여 하방의 접착재로딩유니트(203)의 홀더(249)상에 안치가 된다.
이는 커팅블럭(215)의 하부금형(229)에 형성된 통로(227)로 진입된 접착재가 상부금형(225)의 펀치(224)를 수용하고 있는 펀치공(226)의 하방을 지나게 되므로 실린더(220)가 신장하면 펀치(224)가 펀치공(226)의 안내로 통로(227)를 경유하는 접착재가 커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부금형(229)의 통로(227)를 경유하는 접착재를 커팅블럭(215)가 커팅할 때 접착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주고, 커팅된 접착재를 피딩하여 다음면을 커팅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것이 커팅블럭(215)의 양측에 마련된 클램프(216)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커팅블럭(215)이 접착재를 커팅할 때에는 클램프(216)의 가이드플레이트(231) 위를 지나는 접착재를 상측의 실린더(232)의 신장에 의하여 프레스(235)가 밀착되어 접착재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게된다.
그리고, 커팅블럭(215)의 펀치(224)가 접착재를 커팅한 후 상승할 때에는 클램프(216)는 가이드플레이트(231)와 프레스(235)가 접착재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커팅블럭(215)의 측방으로 이동한 후 다시 초기상태의 위치로 이동하여 커팅블럭(215)의 펀치(224)가 하강할 때 클램프(216)의 프레스(235)도 동시에 하강하여 접착재를 잡아주게 된다.
상기 클램프(216)가 접착재를 피딩시켜줄 수 있는 것은 가이드플레이트(231)가 측방의 실린더(232)에 의하여 가이드(230)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게되므로 가이드플레이트(231)의 상부를 누르고 있는 프레스(235)에 의하여 접착재가 한피치씩 이동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커팅블럭(215)의 양측에 마련되는 클램프(216)의 가이드플레이트(231)는 고정바(233)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상태에 있으므로 양측의 클램프(216)가 연동작동함으로서 접착재를 피딩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커팅된 접착재(6)는 베이스(218)에 형성된 공급공(217)을 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206)의 하방에 위치한 접착재로딩유니트(203)의 홀더(249)상에 흡입 안치되어지고, 접착재로딩유니트(203)의 턴에 의하여 마찰재피딩파트(300)로 공급하게된다.
상기 접착재로딩유니트(203)는 로터리액튜에이터(240)에 의하여 180
Figure kpo00007
씩 회전하는 로딩암(241)에 의하여 커팅되는 접착재(7)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접착재(7)를 풀리(3)에 안치시킬 누 있도록 마찰재피딩파트(300)로 공급하여준다.
이의 작동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로터리액튜에이터(240)에 의하여 로딩암(241)이 180
Figure kpo00008
씩 회전하여 접착재(7)가 공급되지 않은측이 커팅블럭(215)의 하방에 형성된 공급공(217) 방향에 위치하여 코팅되는 접착재(7)를 공급받는다.
로딩암(241)의 일측이 공급공(217) 하방에 위치하면 로딩암(241)에 고정된 실린더(244)가 신장하여 로딩암(241)의 양측에 고정된 볼부시(242)에 삽입된 샤프트(243)를 상승시켜 샤프트(243)의 상단부에 위치한 홀더(249)가 공급공(217)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홀더(249)가 공급공(217)에 위치하여 커팅블럭(215)에 의하여 접착재(7)가 커팅되면 홀더(249)에 형성된 요입홈(248)상에 자연스럽게 안치되는데, 이는 홀더(249)의 하방에 연접된 하우징(250)의 공기통로(251)를 통하여 진공수단이 진공흡입함으로서 커팅된 접착재(7)는 요입홈(248)을 이탈하지 않고 진공흡착되기 때문이다.
커팅된 하나의 접착재(7)가 안치되면 홀더(249)는 120
Figure kpo00009
회전하여 다음커팅되는 접착재(7)를 받을 수 있는 준비를 한다.
홀더(249)의 하방 샤프트(245)상에 원웨이클러치(246)을 가지고 삽입된 피니언(247)이 샤프트(243)를 고정하고 있는 브라켓(245)의 내측에 마련되는 실린더(252)와 연결된 랙(253)과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실린더(252)의 신장에 의하여 피니언(247)이 회전하므로 이와 연계된 홀더(249)도 동시에 회전하게된다.
상기 실린더(252)가 신장하여 홀더(249)를 120
Figure kpo00010
회전시켜준 후 수축할 경우에는 피니언(247)의 내측에 위치한 원웨이클러치(246)을 가지고 있으므로 실린더(252)의 수축으로 랙(253)이 후퇴를 하더라도 피니언(247)은 역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피니언(247)이 120
Figure kpo00011
회전함과 동시에 랙(253)을 작동시키기 위한 실린더(255)의 내측에 마련된 실린더(255)의 신장으로 스토퍼(256)이 전진하여 피니언(247)과 하우징(250)상간에 형성된 스토퍼홈(254)에 진입하여 홀더(249)가 필요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재(7)가 겹쳐진상태의 안치가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커팅블럭(215)에 의하여 커팅된 접착재(7)를 공급받으면 실린더(244)의 수축작용에 의하여 샤프트(243)가 하강하여 홀더(249)를 하강시키고 로딩암(241)은 로터리액튜에이터(240)에 의하여 180
Figure kpo00012
턴하여 접착재(7)를 공급받은 홀더(249)는 마찰재피딩파트(300)방향으로 가고, 접착재(7)가 없는 홀더(249)는 마찰재피딩파트(300)에서 커팅블럭(215)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커팅블럭(215)과 접착재로딩유니트(203)이 접착재(7)를 커팅하고 공급받는동안 마찰재공급파트(260)는 마찰재피딩파트(300)가 마찰재(6)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찰재(6)를 연동하여 공급하여주게된다.
마찰재공급부(200)의 프레임(204)의 측방에 마련되는 베이스프레임(261)의 하방에 위치한 인덱스모터(262)에 의하여 지정량만큼 회전하는 턴테이블(263)상에 세워진 보관튜브(264)상에 적층된 마찰재(6)를 승강수단(270)에 의하여 보관튜브(264)에 삽입된 이송대(265)가 상승함으로서 마찰재(6)는 저장플레이트(277)에 저장되어진다.
즉, 보관튜브(264)에 적층된 마찰재(6)가 공급된 수만큼 승강수단(270)이 상승시켜 보관튜브(264)의 하방에 위치한 이송대(265)를 상승시킴으로 마찰재(6)는 서서히 저장플레이트(277)내로 저장되어 마찰재피딩파트(300)가 풀리(3)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게된다.
상기 보관튜브(264)의 하방에 위치한 이송대(265)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은 저장플레이트(277)를 고정하고 있는 브라켓(271)의 하방에 설치된 정,역모터(274)에 의하여 회전하는 볼스크류(272)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스크류(272)에는 선단부에 이송대(265)를 걸어올릴 수 있는 포크(282)를 가지는 슬라이드(883)가 슬라이딩블록(281)과 결합된 플레이트(280)을 삽입하고 있으므로 정,역모터(274)에 의하여 승강이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283)의 후미는 실린더(28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실린더(284)의 신장으로 포크(282)가 이송대(265)와 결합되므로서 상승이 이루어진다.
이송대(265)가 상승하여 마찰재(6)를 저장플레이트(277)내에 완전하게 공급하고나면 볼스크류(278)에 의하여 이송대(265)가 보관튜브(264)의 하단으로 옮겨지고 실린더(284)의 수축으로 포크(282)는 후퇴하여 다음 보관튜브(264)의 이송대(265)를 옮기기 위한 작업대기 상태에 들어가고, 인덱스모터(262)에 의하여 턴테이블(263)이 회전하여 다음 보관튜브(264)가 공급되면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하나의 보관튜브(264)상의 마찰재(6)가 저장플레이트(277)내의 수용홈(285)에는 승강수단(270)이 차기 보관튜브(264)상의 마찰재(6)를 공급하기 전까지 마찰재피딩파트(300)가 작업할 수 있는 양의 마찰재(6)가 미리 공급되어진다.
이는 보관튜브(264)상의 마찰재(6)를 상승시켜주는 포크(282)의 최대상승치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면 수용홈(285)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스토퍼(286)가 기 공급된 마찰재(6)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작동하고, 마찰재피딩파트(300)가 하나씩의 마찰재(6)를 풀리(3)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피치씩 상승시켜주게된다.
상기와 같이 접착재(7)와 마찰재(6)가 마찰재피딩파트(300)로 공급되어지면 마찰재피딩파트(300)는 접착재(7)와 마찰재(7)를 이송라인(5)의 파레트(4)상에 안치된 풀리(3)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주게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각도전환액튜에이터(301)에 의하여 투웨이지그(302,303)이 90
Figure kpo00013
방향으로 턴을 반복하면서 일측지그(302)는 접착재(7)를 풀리(3)상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다른 지그(303)는 접착재(7)가 공급된 풀리(3)상에 마찰재(6)를 공급하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그(302)의 초기상태를 커팅블럭(215)에 의하여 커팅된 접착재(7)를 공급받은 접착재로딩유니트(203)의 홀더(249)의 상방에 위치한 것으로 보았을 때, 지그(302)는 실린더블럭(305)에 의하여 흡판(316)을 홀더(249)가까이에 근접하게 된다.
흡판(316)이 접착재(7)를 공급받은 홀더(249) 가까이 근접하고나면 실린더블럭(305)의 전방에 고정된 브라켓(306)에 고정된 볼부시(307)에 삽입된 샤프트(308)가 상방에 설치된 실린더(311)에 의하여 미폭하강하여 샤프트(308)의 하단에 고정된 흡판(316)이 홀더(249)와 연접하게 한다.
상기 흡판(316)이 홀더(249)와 연접할 때에는 흡판(386)에 더 설치된 스프링(315)에 의하여 연접시 발생하는 충격력이 감쇄되어진다.
상기 흡판(316)과 홀더(249)가 연접되면 홀더(249)에 작용하는 진공은 해제되고 동시에 흡판(316)에 진공이 작용하여 홀더(249)상의 접착재(7)를 흡입하게되는데, 이의 작동은 흡판(316)에 진공수단과 연결된 진공호스(317)를 통하여 흡판(316)이 홀더(249)상의 접착재(7)를 흡입할 수 있게되고, 동시에 실린더(311)와 실린더블럭(305)의 수축작용으로 흡판(316)은 원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접착재로딩유니트(203)로부터 커팅된 접착재(7)를 공급받은 지그(302)가 액튜에이터(301)의 회전에 의하여 90
Figure kpo00014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라인(5)의 파레트(4)상에 위치한 풀리(3)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실린더블럭(305)와 실린더(311)의 신장작용에 의하여 흡판(316)은 풀리(3)의 상면과 연접하게되고 동시에 진공이 해제됨으로서 접착재(7)는 풀리(3)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지그(302)가 풀리(3)에 접착재(7)를 공급하기 위하여 90
Figure kpo00015
턴하였을 경우에는 다른지그(303)는 마찰재공급파트(260)의 저장플레이트(277)상방에 위치하게되고, 지그(302)가 풀리(3)상에 접착재(7)를 안치할 경우에는 다른 지그(303)의 흡판(316)이 지그(302)와 동일한 동작을 취하여 저장플레이트(277)의 수용홈(285)상에 있는 마찰재(6)를 흡입하는 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렇게하여 지그(30)가 다시 90
Figure kpo00016
턴하여 커팅된 접착재(7)를 공급받아 180
Figure kpo00017
턴한 접착재로딩유니트(203)방향으로 이동하면, 마찰재(6)를 흡입한 다른지그(303)는 이송라인(5)의 파레트(4)상에 위치하여 지그(302)가 접착재(7)를 기 공급한 풀리(3)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지그(302)가 접착재(7)를 흡입하는 동안 다른지그(303)는 접착재(7)가 안치된 풀리(3)상에 마찰재(7)를 안치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접착재(7)와 마찰재(6)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착재(7)와 마찰재(6)가 공급된 풀리(3)는 이송라인(5)에 의하여 측방의 저주파가열접착부(400)로 이송되어진다.
상기 저주파가열접착부(400)로 이송된 풀리(3)는 로봇(401)에 의하여 저주파가열파트(402)로 옮겨져 마찰재(6)가 풀리(3)와 가열접착되고, 가열접착이 완료된 풀리(3)는 다시 로봇(401)에 의하여 이송라인(5)으로 배출되어진다.
접착재(7)와 마찰재(6)를 안치하고 이송라인(5)상에 위치한 풀리(3)는 다관절(405,406)타입의 로봇(401)에 의하여 저주파가열파트(402)로 옮겨지는데, 선단부에 위치한 관절(405)에 핑거를 내장한 손잡이(407)이 실린더블럭(4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송라인(5)상으로 관절(405,406)이 움직여 손잡이(407)이 풀리(3)상에 위치하면 실린더블럭(400')이 하강하여 풀리(3)를 잡게되고 동시에 관절(405,406)이 움직여 저주파가열파트(402)로 옮기는 것이다.
상기 저주파가열파트(402)에는 풀리(3)를 안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수개의 안치판(410)중 풀리(3)가 없는 안치판(410)상에 로봇(401)이 공급한다.
풀리(3)를 공급받으면 안치판(410)의 상방에 위치한 실린더(412)가 신장하여 이의 하방에 연결된 저주파가열수단(415)이 하강하여 풀리(3)와 연접하여 압착하면서 저주파가열하여 마찰재(6)가 접착재(7)를 매개체로 하여 풀리(3)와 접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풀리(3)가 저주파가열수단(415)에 의하여 가열, 접착되는 동안 로봇(401)은 가열접착이 완료된 풀리(3)를 이송라인(5)상으로 배출하고, 다른 저주파가열수단(415)이 가열,접착할 수 있도록 풀리(3)를 공급하는 작동을 계속하여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저주파가열, 접착이 완료된 풀리(3)는 풀리(3)에 잔존하는 열원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500)로 이송라인(5)를 따라 이송된다.
냉각부(500)의 전방에 위치한 풀리(3)는 공급유니트(501)에 의하여 냉각유니트(503)으로 공급되어 순환하면서 브로워(525)에 의하여 열원이 빼앗겨 냉각되어지고 냉각이 완료된 풀리(3)는 배출유니트(502)에 의하여 다시 이송라인(5)으로 배출되어진다.
초기상태에는 이송라인(5)의 상방에 설치된 프레임(510)측방에 고정된 실린더(511)가 수축하여 하방에 핸드(516)를 고정한 가이드(514)가 풀리(3)상방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이드(514)의 상방에 설치된 실린더(515)가 신장하여 핸드(516)를 풀리(3)와 연접시키면 핸드(516)에 내장된 통상적인 핑거가 풀리(3)를 잡게되고, 실린더(515)는 수축하여 핸드(516)를 상승시킨다.
핸드(516)의 상승이 완료되면 가이드(514)를 움직이는 실린더(511)가 신장하여 풀리(3)를 냉각유니트(503)의 이송판(524)상에 안치된 받침대(533)에 얹혀져 모터(522)와 체인기어(520) 및 체인(521)의 조합에 의하여 지속으로 지그재그 회전하면, 냉각유니트(503)에 설치된 블로워(525)가 풀리(3)에 잔존하고 있던 열원을 앗아가므로 냉각이 이루어진다.
냉각유니트(503)의 이송판(524)상에 안치된 받침대(533)에 얹혀 저속회전하면서 냉각이 완료된 풀리(3)는 공급유니트(501)의 측방에 마련된 배출유니트(502)에 의하여 이송라인(5)의 파레트(4)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배출유니트(502)의 작동관계는 공급유니트(501)작동에 대한 역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풀리(3)가 공급유니트(501) 및 배출유니트(502)에 의하여 냉각유니트(503)으로 공급되고 배출될 때에는 냉각유니트(503)의 전방 프레임(540)상에 마련되는 스토퍼(542)에 의하여 저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이송판(524)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받침대(533)를 정지시켜 공급유니트(501)와 배출유니트(502)가 풀리(3)를 공급하고 배출하는데 지장이 없게된다.
즉, 이송판(524)상에 안치되어 이송판(524)의 회전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받침대(533)가 냉각유니트(503)의 전방에 오게되면 프레임(540)상에 고정된 실린더(541)가 신장하고 이와 연결된 스토퍼(542)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받침대(533)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급유니트(501)는 냉각할 풀리(3)를 받침대(533)상에 안치하게되고, 배출유니트(502)는 냉각이 완료된 풀리(3)를 이송라인(5)으로 배출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냉각이 완료된 풀리(3)는 접착강도시험부(600)로 이송되어 적정한(설정된)강도로 접착재(6)가 풀리(3)와 접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된다.
냉각된 풀리(3)는 위치교정파트(601)에 의하여 무작위로 이송되어온 풀리(3)를 일정한 위치로 교정받게되고, 접착강도시험파트(602)에 의하여 접착력을 테스트 받아 불량여부를 판가름받고 불량취출파트(603)에 의하여 불량이면 배출라인(670)을 통하여 배출되고 양호품이면 차기공정으로 계속하여 이송되어진다.
풀리(3)가 위치교정파트(601)에 위치하면 이송라인(5)의 상방으로 돌출된 프레임(610) 선단부에 고정된 실린더(661)가 신장하면 실린더(661)와 연결되어 하단부에 회전지그(613)을 가지는 모터(614)가 하강하게되고, 회전지그(613)의 하방에 위치한 회전핀(612)은 풀리(3)에 접착된 마찰재(6) 내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614)가 회전하여 풀리(3)를 회전시켜 강도시험파트(602)에서 강도시험시 오동작동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회전시켜 정열을 한다.
이송라인(5)의 파레트(4)상에서 위치가 교정된 풀리(3)는 후방의 접착강도시험파트(602)로 이송되어 공급유니트(620)에 의하여 강도시험유니트(640)로 보내어져 강도시험을 행한 후 다시 이송라인(5)으로 배출되어진다.
풀리(3)가 공급유니트(620)의 위치에 다달으면 로테이팅수단(622)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암(623)의 양측에 마련된 실린더블럭(625)이 하강하여 풀리(3)와 근접한 위치에 있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블럭(625)의 전방으로 돌출된 브라켓(626)상에 고정된 실린더(627)이 신장하여 이의 하방에 연결된 핑거(628)이 풀리(3)를 잡는다.
핑거(628)가 풀리(3)를 잡으면 실린더(627)와 실린더블록(625)이 수축하여 풀리(3)가 상승하게되면, 로테이팅수단(622)에 의하여 회전암(623)이 180
Figure kpo00018
방향전환을 하여 풀리(3)를 잡은측은 강도시험유니트(640)방향에 위치하고 풀리(3)를 잡지않은측은 이송라인(5)의 상방에 위치하게된다.
이리한 상태에서 회전암(623)의 양측에 위치한 핑거(628)은 실린더블럭(625)와 실린더(627)에 의하여 동일한 작동을 한다.
즉, 풀리(3)를 잡은측은 강도시험유니트(640)의 슬라이딩판(643)상에 마련된 안치구(644)상에 풀리(3)를 안치하고, 다른측은 이송라인(5)상의 풀리(3)를 잡게되고,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풀리(3)를 공급하고 배출하게되는 것이다.
공급유니트(620)에 의하여 풀리(3)를 공급받은 강도시험유니트(640)는 풀리(3)에 접착된 마찰재(6)가 적정한(설정된값이상으로)상태로 접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된다.
즉, 회전암(623)의 핑거(628)에 의하여 회전암(623)의 후방에 위치한 슬라이딩판(643)상에 마련된 안치구(644)에 안치된 풀리(3)는 슬라이딩판(643)과 연결된 실린더(642)의 신장으로 가이드레일(641)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후측에 위치한 누름판(652)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딩판(643)이 이동되어오면 브라켓(650)의 상방에 설치된 실린더(651)이 신장하여 누름판(652)를 하강시켜 풀리(3)를 누르게 되고, 이때 풀리(3)에 접착된 마찰재(6)의 저면은 안치구(604)의 외측에 더 마련된 시험핀(645)에 의하여 눌려지게된다.
이때 누름판(652)에 더 구비된 측정자(655)와 마찰재(6)의 돌출량(상승량)정도를 측정자(655) 상측에 마련된 센서(656)가 감지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게된다.
즉, 마찰재(6)의 돌출양이 설정치보다 높게 돌출되어 마찰재(6)와 측정자(655)상간의 간격이 좁아지면 불량으로 처리되고, 마찰재(6)의 돌출량이 설정치보다 낮게 돌출하면 합격으로 판별하게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강도시험에서 불량으로 판단되면 센서는 이를 불량취출파트(603)으로 인가하게되는 것이다.
강도시험이 끝나 이송라인(5)상의 파레트(4)로 공급된 풀리(3)는 측방의 불량취출파트(603)으로 이송되어 불량판정된 풀리(3)만 따로마련된 배출라인(670)으로 배출되어지고, 양호한 풀리는 차기공정으로 계속하여 이송된다.
불량판정된 풀리(3)는 이송라인(5)의 상방에 마련되는 프레임(660)에 고정되는 실린더(661)의 신장, 수축작용에 의하여 이와 연결될 브라켓(663)이 이송라인(5)과 배출라인(670)을 왕복운동하고, 브라켓(663)에 고정된 실린더(664)를 신장, 수축함으로서 이의 하방에 연결된 핸드(665)가 불량풀리(3)를 잡아 배출라인(670)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풀리(3)를 차기공정으로 이송한 파레트(4)는 하단에 위치한 이송라인(5)을 통하여 전체 이송라인(5)의 선측으로 재 공급되어 풀리(3)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이송라인(5)의 선측으로 이송된 빈 파레트(4)는 이송라인(5)의 선측에 마련된 엘리베이터(10)에 의하여 상측으로 공급되어 풀리공급부(100)에 의하여 공급되는 풀리(3)를 안치하여 이송하게 된다.
엘리베이터(10)의 내측에 마련되는 베이스플레이트(15)가 승,강수단(13)에 의하여 엘리베이터(10)의 상,하측으로 이동하여 하측의 빈 파레트(4)를 상측으로 이동하여주게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5)의 하방에 설치된 정,역모터(16)가 하측에서 빈파레트(4)를 받을 때에는 정회전을 하여 베이스플레이트(15)의 상방에 지지볼트(19)로 지지되는 가이드판(20) 양측에 설치된 풀리(21)와 베이스플레이트(15)의 하방에 고정된 정,역모터(16)의 축(17)에 고정된 풀리(18)상간을 개략 역삼각형상으로 연결된 밸트(22)가 이송되어온 빈 파레트(4)를 하단에 위치한 이송라인(5)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엘리베이터(10)에 진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15)를 상승시켜 상측의 이송라인(5)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정,역모터(15)를 역회전시켜 빈 파레트(4)가 상측의 이송라인(5)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파레트(4)를 계속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하측에 위치한 이송라인(5)으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15)가 빈 파레트(4)를 공급받을 때에는 베이스플레이트(15)의 상방에 위치한 가이드판(20)의 후미에 마련된 스토퍼(25)에 의하여 빈 파레트(4)가 필요이상 진입하거나, 베이스플레이트(15)를 이탈하는등의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풀리의 공급과 접착재, 마찰재의 공급과 마찰재의 접착, 건조, 강도시험 및 불량선별에 이르는 전공정을 자동으로 행하여 차기공정 자동화에 기여하고,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1)

  1. 체인기어(1)와 체인(1')으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을 2단으로 길게 설치되는 이송 라인(5); 상기 이송라인(5)의 선측에서 하단에 위치한 이송라인(5)으로 이송되어온 빈파레트(4)를 상단의 이송라인(5)으로 공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10)와; 마찰재(6)와 접착재(7)를 부착하기 위한 풀리(3)를 이송라인(5)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급할 풀리(3)를 대기시키는 풀리대기파트(108)와 대기상태의 풀리를 공급받아 이송라인(5)에 공급하는 풀리이송파트(130) 및 풀리(3)가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파트(150)로 이루어지는 풀리공급부(100); 상기 풀리공급부(100)에 의하여 이송라인(5)에 공급된 풀리(3)상에 안치할 접착재(7)를 커팅하여주는 접착재커팅파트(201)와 마찰재(6)를 공급하여주는 마찰재공급파트(260) 및 접착재(7)와 마찰재(6)를 풀리상으로 피딩하여주는 피딩파트(300)로 이루어지는 마찰재공급부(200); 상기 마찰재공급부(200)에 의하여 풀리(3)상에 안치된 마찰재(6)를 접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풀리(3)의 공급과 배출을 위한 로봇(401)과 마찰재(6)를 풀리(3)상에 가열 접착하는 저주파가열파트(402)로 이루어지는 저주파가열접착부(400); 상기 저주파가열접착부(400)에 의하여 접착된 풀리(3)에 잔존하는 열원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풀리(3)의 공급과 배출을 위한 공급유니트(501) 와 배출유니트(502) 및 냉각유니트(503)으로 구성되는 냉각부(500); 상기 냉각부(500)를 거쳐나온 풀리(3)를 일정한 위치로 교정하는 위치교정파트(601)와 마찰재(6)의 접착력을 시험하는 접착강도시험파트(602) 및 불량판정된 풀리(3)를 배출하는 불량취출파트(603)으로 이루어지는 접착강도시험부(600)로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10)는 박스형상으로 구비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 내부 측방에서 승강수단(13)의 가이드(14)와 고정되어 상,하 승강하는 베이스플레이트(15);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 하방에는 고정되는 정,역모터(16)의 축(17)에는 풀리(18)를 고정하여 베이스플레이트(15)의 상방에서 지지볼트(19)로 지지되는 가이드판(20)의 양측에 고정된 풀리(21)와 밸트(22)로 연결하여 하측에서 빈 파레트(4)를 공급받아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에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공급부(100)의 풀리대기파트(101)는 프레임(102)의 베이스(103) 상방 양측에는 체인기어(110,111)를 설치하여 체인(112)로 연결하여 베이스(103)의 하방에 설치된 모터(104)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체인(112)에는 가이드로울러(113)을 고정하여 활주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동대차(114)와 이동대차(114)의 상측에 공급할 풀리(3)를 다단으로 안치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풀리안치판(116)과; 상기 베이스(103)의 선방에서 프레임(102)의 하방에 고정된 정,역모터(120)의 축(121)과 연결된 볼스크류(122)의 중도에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풀리안치판(116)을 상승시켜 풀리이송파트(130)으로 풀리(3)를 공급시키는 포크(1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공급부(100)의 풀리이송파트(130)는 프레임(102)의 상방으로 돌출된 수직프레임(131)의 고정된 횡프레임(132) 측방에 고정되어 풀리(3)를 이송라인(5)으로 공급하기 위한 브라켓(136)을 선단부에 가지는 실린더(133)와; 상기 브라켓(136)에는 풀리(3)를 잡을 수 있는 핑거(140)와 핑거(140)작동을 위한 실린더(1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공급부(100)의 확인파트(150)는 프레임(151)상에 고정된 승,강실린더(152)와 가이드(153)의 하단부에 감지판(155)를 마련하여 승강실린더(152)의 작동에 의하여 파레트(4)상에 안치된 풀리(3)와 감지판(155)이 연접함으로서 풀리(3)의 안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공급부(200)의 접착재커팅파트(201)는 접착재(7)를 절단하여주는 커팅유니트(202)와 커팅된 접착재(7)를 풀리(3)로 공급하여주는 피딩파트(300)로 공급하여주는 접착제로딩유니트(203)로 구성하고; 상기 커팅유니트(202)는 이송라인(5) 측방에 마련되는 프레임(204)의 후미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운 포스트(205)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6);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6) 일측방에 접착재(7)를 권취한 권취롤(207)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플레이트(206)에 세워진 브라켓(209)에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권취축(210)과 권취축(210)의 단부에 이탈방지를 위한 시건수단(211)을 가지는 롤고정구(208); 상기 롤고정구(208)의 전방에는 접착재(7)를 안내하는 가이드로울러(212)와 공급된 접착재(7)를 커팅하기위한 커팅블럭(215)과 커팅블럭(215)의 양측에 접착재(7)를 한 피치씩 이송시켜주고 커팅시 접착재(7)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클램프(216)와; 상기 커팅유니트(202)의 하방에 마련되어 커팅된 접착재(7)를 피딩파트(300)로 공급하여주는 접착재로딩유니트(20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공급부(200)의 마찰재공급파트(260)는 마찰재(6)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마찰재(6)를 다단적층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보관튜브(264)를 베이스프레임(261)의 하방에 설치되는 인덱스모터(262)에 의하여 지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는 턴테이블(263)상에 구비하고; 상기 보관튜브(264)에는 보관된 마찰재(6)를 측방의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다단으로 적층된 마찰재(6)를 이송시켜주는 이송대(265)를 삽입하고; 상기 턴테이블(263)의 측방에는 보관튜브(264)상에 적층된 마찰재(6)를 상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승강수단(270)을 구비하되; 상기 승강수단은 베이스프레임(261)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브라켓(271)에 정,역모터(274)와 같은 구동수단가 연결되는 볼스크류(272)와; 상기 볼스크류(272)에 의하여 보관튜브(264)상의 이송대(265)를 상승시켜 브라켓(271)의 상단에서 턴테이블(263)방향으로 돌출된 저장플레이트(277)로 공급하여 주는 셔트(278)로 구성하며; 상기 셔트(278)는 볼스크류(272)에 삽입되는 플레이트(280)와 이의 상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딩블록(281)상에 결합되어 선단부에는 포크(282)를 가지고 후미에는 포크(282)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실린더(284)를 연결한 슬라이드(28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플레이트(277)는 중앙에 마찰재(6)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85)을 가지고; 상기 수용홈(285)의 하단에는 포크(282)의 최대상승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이송된 마찰재(6)의 하단면에 위치하여 수용홈(285)에 수용된 마찰재(6)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28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공급부(200)의 마찰재피딩파트(300)는 접착재피딩유니트(203)와 마찰재공급파트(260)상에 위치하여 각도전환액튜에이터(301)의 상방에 마련되어 90
    Figure kpo00019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반복하는 2방향(TwoWay)지그(302,303); 상기 2방향지그(302,303)의 단부에는 마찰재(6)나 접착재(7)를 수용하고 있는 저장플레이트(277)와 홀더(249)가까이 근접시키는 실린더블럭(305)과; 상기 실린더블럭(305)의 전방에 샤프트(308)를 삽입한 볼부시(307)를 고정한 브라켓(306)의 상측에는 브라켓(306)의 하방에 진공수단과 연결된 흡판(316)을 작동하기 위한 실린더(311)로 구성되어 마찰재(6)와 접착재(6)를 흡입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가열접착부(400)의 상기 로봇(401)은 프레임(403)에 고정되는 회전축(404)를 중심으로 각도를 변화하면서 움직이는 다관절(405,406)타입으로 하고, 선단부의 관절(405)에는 풀리(3)를 잡을 수 있도록 실린더블럭(400')에 손잡이(407)를 연결하여 이송라인(5)의 풀리(3)를 저주파가열파트(402)로 공급하고 가열접착이 완료된 풀리(2)를 이송라인(5)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저주파가열파트(402)는 공급된 풀리(3)를 지지할 수 있는 안치판(410)이 마련되는 프레임(403)과; 상기 안치판(410)의 상방에 마련되는 실린더(412)의 하단부에 부착된 저주파 가열수단(415)으로 구성하여 풀리(3)상에 안치된 마찰재(6)의 상방에 연접하여 마찰재(6)에 열을 가하여 풀리(3)와 마찰재(6)가 접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500)의 공급유니트(501)와 배출유니트(502)는 이송라인(5) 상방에 설치되는 프레임(510)의 측방에 설치되는 실린더(511)와 가이드바(512); 상기 실린더(511)의 로드(513)와 가이드바(512)에 삽입되어 실린더(511)의 신축작동에 의하여 이송라인(5)과 냉각유니트(503)사이를 왕복하는 가이드(514)와; 상기 가이드(514)의 상측에 설치된 실린더(515)의 하방에서 연결되어 풀리(3)를 잡는 핸드(52)로 구성되어 냉각할 풀리(3)와 냉각된 풀리(3)를 공급하고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500)의 냉각유니트(503)는 체인기어(520)과 체인(521) 및 모터(522)의 조합으로 된 구동수단(523)에 연결되는 이송판(524)과 이송판(524)상에 안치되어 풀리(3)를 받쳐주는 받침대(533); 상기 이송판(524)은 체인기어(520)상간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521)의 상측에 위치하는 체인링크(530)을 크게한 플레이트(531)로 구성하며; 상기 냉각유니트(503)의 전방에 이송판(524)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받침대(533)를 정지시켜 풀리(3)를 공급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스토퍼(542); 상기 스토퍼(542)는 이송판(524)의 후미에 위치한 프레임(540)에 고정된 실린더(541)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강도시험부(600)의 위치교정파트(601)는 이송라인(5)의 후미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프레임(610)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실린더(611)와; 상기 실린더(611)의 로드에는 회전핀(612)를 가지는 회전지그(613)를 연결한 모터(614)를 가지도록 하여 실린더(611)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지그(613)가 풀리(3)에 접근하여 풀리(3)를 정위치 회전시켜 풀리(3)의 위치를 교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강도시험부(600)의 접착강도시험파트(602)는 위치교정파트(601)에 의하여 정위치로 교정된 풀리(3)를 공급하는 공급유니트(620)와 공급 유니트(620)에 의하여 공급받은 풀리(3)를 프레싱하여 마찰재(6)의 접착상태를 시험하는 강도시험유니트(640)로 구성하되; 상기 공급유니트(620)는 이송라인(5)의 후방 프레임(621)상에 고정된 로테이팅수단(622)에 의하여 180
    Figure kpo00020
    씩 회전하는 회전암(623)과; 상기 회전암(623)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자유롭도록 하는 실린더블럭(625)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브라켓(626)에 고정되는 실린더(627); 상기 실린더(627)의 하방에 연결되어 이송라인(5)상의 풀리(3)를 강도시험유니트(640)으로 공급하고 강도시험유니트(640)에 의하여 강도시험을 마친 풀리(3)를 이송라인(5)으로 배출하는 핑거(628)로 구성하고; 상기 강도시험유니트(640)는 공급유니트(620) 후방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641)에 안치되어 실린더(642)에 의하여 슬라이딩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딩판(643)과; 상기 슬라이딩판(643)상에 마련되어 공급된 풀리(3)를 안치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안치구(644); 상기 안치구(644)의 외측에서 풀리(3)에 접착된 마찰재(6)와 동일한 위치에 돌출되는 시험핀(645); 상기 슬라이딩판(643)의 후미측방에 돌출된 브라켓(650)에 설치된 실린더(651)와 연결되어 안치구(30)상의 풀리(3)를 눌러주는 누름판(65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강도시험부(600)의 불량취출파트(603)는 이송라인(5)의 상방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660)과; 상기 프레임(660)의 측방에 고정된 실린더(661)와 연결되어 이송라인(5)의 직각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브라켓(663); 상기 브라켓(663)의 상측에는 실린더(664)를 고정하여 브라켓(663)의 하방에 마련되는 핸드(665)작동시켜 불량판별된 풀리(3)를 잡아 이송라인(5)의 외측으로 더 마련되는 배출라인(670)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20)의 후미에는 스토퍼(25)를 더 구비하여 공급되는 파레트(5)가 필요이상 후방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안치판(116)에는 다단으로 안치되는 풀리(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바(117)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블럭(215)은 베이스플레이트(206)의 하방에 위치하는 접착재로딩유니트(203)로 커팅된 접착재(7)가 공급되도록 공급공(217)을 형성하여 고정되는 베이스(218); 상기 베이스(218)의 양측에 세워진 포스트(219)의 상방에 고정된 홀더(221)상에 설치되는 실린더(220)와 이의 로드(220')에 접착재(7)를 커팅하기 위하여 고정되는 금형(222); 상기 금형(222)은 실린더(220)와 연결되는 조인트하우징(223)과 이의 하방에 고정되는 펀치(224)로 이루어진 상부금형(225)과 상부금형(225)의 펀치(224)를 수용할 수 있는 펀치공(226)과 접착재(7)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227)와 펀칭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스프링(228)을 가지는 하부금형(22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16)는 커팅블럭(215)의 베이스(218) 측방에 고정되는 가이드(23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플레이트(231)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31)의 상방에 마련된 실린더(232)에 의하여 승,강하는 프레스(235)에 의하여 가이드플레이트(231)를 지나는 접착재(7)를 잡아주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31)의 상면 전,후방에는 고정바(233)로 양측의 가이드 플레이트(231)를 연결하여 측방에 마련되는 실린더(232)에 의하여 가이드(230)를 따라 좌,우측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접착재(7)를 피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로딩유니트(203)는 프레임(204)의 중앙에 고정되는 로터리액튜에이터(240) 상방에 로딩암(241)을 마련하고; 상기 로딩암(241)의 양측에는 내측에 샤프트(243)를 삽입하여 고정되는 볼부시(242)와; 샤프트(243)의 중도에 로딩암(241)에 고정된 실린더(244)와 연결되는 브라켓(245); 상기 브라켓(245)의 상방으로 돌출된 샤프트(243)에는 원웨이클러치(246)를 가지고 삽입되는 피니언(247)과; 상기 피니언(247)의 상측에 커팅된 접착재(7)를 받을 수 있는 요입홈(248)을 형성하여 진공수단과 연결되는 공기통로(251)를 가지는 하우징(250)으로 연결되는 홀더(249); 상기 피니언(247)에는 브라켓(245) 내측에 마련되는 실린더(252)의 로드와 연결된 랙(253)과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피니언(247)과 하우징(250)상간에는 홀더(249)가 필요이상(120
    Figure kpo00021
    이상) 회전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스토퍼홈(254)를 형성하여 랙(253)작동을 위한 실린더(258)의 중간에 설치된 실린더(255)와 연결된 스토퍼(256)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524)의 상방에는 블로워(525)와 연결된 커버(534)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652)에는 시험핀(645)과 동일한 위치에 측정자(655)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정자(655)의 상측에는 센서(656)를 마련하여 마찰재(6)의 상승량이 설정치 이상이면 이를 불량취출파트(603)으로 인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KR1019970045786A 1997-08-30 1997-08-30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KR100222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786A KR100222727B1 (ko) 1997-08-30 1997-08-30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786A KR100222727B1 (ko) 1997-08-30 1997-08-30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820A KR970070820A (ko) 1997-11-07
KR100222727B1 true KR100222727B1 (ko) 1999-10-01

Family

ID=1952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786A KR100222727B1 (ko) 1997-08-30 1997-08-30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653B1 (ko) 2018-07-03 2019-09-26 (주) 한국정공 자동차 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88B1 (ko) * 2002-05-27 2007-05-02 한라공조주식회사 클러치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653B1 (ko) 2018-07-03 2019-09-26 (주) 한국정공 자동차 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 시스템
WO2020009266A1 (ko) * 2018-07-03 2020-01-09 (주)한국정공 자동차 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82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266B1 (en) Heat exchanger assembling apparatus
CN106002285B (zh) 一种煮锅的自动装配线
CN109941765B (zh) 一种多用途的上料装置及上料方法
CN210548994U (zh) 一种全自动高效焊接机
CN210477810U (zh) 一种中空管覆膜设备
KR102349792B1 (ko)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CN116214160A (zh) 一种全自动组装系统及组装方法
EP0404577B1 (en) Assembling apparatus using back-up pins for supporting printed circuit board
KR100222727B1 (ko) 에어콘압축기용 풀리의 마찰재 접착장치
CN213691982U (zh) 一种芯片组装上下料机
CN112809240A (zh) 电枢片自动焊接设备
CN207290719U (zh) 一种注塑机的自动上料系统
CN216784881U (zh) 一种Face ID模组下料装置
CN110676199B (zh) 一种高速装片刻印机
CN114701681A (zh) 一种管装芯片检测编带设备
CN212634973U (zh) 锅具焊接生产线
KR20050022193A (ko) 열교환기 조립장치
CN219565592U (zh) 一种全自动检测摆盘编带机
KR200190145Y1 (ko) 시트 제품 적재 장치
CN217260863U (zh) 一种管装芯片检测编带设备
CN220629144U (zh) 一种电机壳装配机
CN211867345U (zh) 一种管材端面检测打磨一体机
CN216017303U (zh) 全自动上pin机
CN219822866U (zh) 一种全自动产品上料装置及组装系统
CN212668372U (zh) 治具回流循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101999000452; OPPOSITION DATE: 19991209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