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529B1 -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529B1
KR100222529B1 KR1019950041390A KR19950041390A KR100222529B1 KR 100222529 B1 KR100222529 B1 KR 100222529B1 KR 1019950041390 A KR1019950041390 A KR 1019950041390A KR 19950041390 A KR19950041390 A KR 19950041390A KR 100222529 B1 KR100222529 B1 KR 10022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tact
center
diaphragm
contac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094A (ko
Inventor
박선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529B1/ko
Publication of KR97002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5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5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safety arrangements, e.g. compressor anti-seizure means or by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8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 F25B2500/222Detecting refrigerant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에어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냉매의 보충과 보충 시기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냉매 보충 수단과, 상기한 냉매 보충 수단에 공기압을 제공하는 에어 펌프 가동 수단과, 상기한 냉매 보충 수단의 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감지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냉매의 보충 시기를 운전자에게 쉽게 알리므로, 에어컨의 작동 불량을 방지하여 주며, 냉매의 누설을 점검할 수 있고, 에어컨의 성능이 떨어지기 전에 성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성능 시험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 성능의 사전 점검을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에어컨의 냉매의 보충 및 그 시기를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공기 조화 시스템이 있으며, 이 공기 조화 시스템의 주요 장치는 난방 장치와 냉방 장치가 있다.
즉, 에어컨이라고 부르는 냉동 장치는 냉매에 의하여 열교환을 하여 차량 내부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장치이며, 크게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로 나눌 수 있다.
상세히 말하자면,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기기이며, 응축기는 고온의 기체 냉매의 열을 밖으로 방출하도록 하여 저온의 액체 상태로 전화시키는 기기이며, 팽창 밸브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전환하는 기기이며, 증발기는 냉매가 기체로 될 때 필요한 열을 냉매에 제공하여 주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때, 냉방 장치는 상기한 증발기에서 냉매의 내부에 열을 흡입하고 상기한 응축기에서 냉매의 열을 밖으로 방출하도록 하는 원리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냉동 장치에서는 냉매의 누설에 의하여 성능이 떨어지면 냉매를 충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일 예로, 계통을 진공시킨 후에 고압 및 저압 밸브를 완전히 잠그고, 냉동 용기 탭 밸브를 장착하고, 고압 밸브를 완전하게 열고 용기를 뒤집어 놓아두면 된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러나, 종래의 냉동 장치에는 냉매를 보충하는 시기를 쉽게 알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 종래의 장치는 성능에 문제가 생길 때, 냉매의 누설로 인한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누설을 방지하고 냉매를 충전하는 것이다.
이때, 냉매의 누설을 알아내기 위하여 번거러운 일이 많이 도출되는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에어컨의 냉매 보충 및 그 시기를 운전자가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냉매를 보충하는 냉매 보충 수단과, 이 냉매 보충 수단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를 내보내는 전자 제어 장치(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의 변환된 신호를 받아서 상기한 냉매 보충 수단에 공기압을 제공하는 에어 펌프와, 이 전자 제어 장치에서 신호를 받아서 작용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작용]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에어 펌프가 냉매 보충 수단에 필요 공기압을 제공하고, 상기한 냉매 보충 수단이 이 공기압에 의하여 등적 상태로 되며, 이때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한 냉매 보충 수단의 상태를 점검하고, 이 점검한 결과를 표시장치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그러면, 운전자는 상기한 표시장치의 신호를 보고 냉매 충전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냉매를 보충하는 냉매보충 수단과, 이 냉매 보충 수단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를 내보내는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의 변환된 신호를 받아서 상기한 냉매 보충 수단에 공기압을 제공하는 에어 펌프와, 이 전자 제어 장치에서 신호를 받아서 작용하는 표시장치로 이루어진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매 보충 수단은 액체의 냉매가 흐르는 호스(1)와, 위면에 공기가 통하는 홀이 있고 아래면에 상기한 호스(1)에 통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는 외부 용기(3)와, 이 외부 용기(3)의 안쪽 아래에 설치되어 있고 가운데 위면에 전도체인 제1접점(15)이 있고 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접점판(5)과, 상기한 외부 용기(3)의 안쪽 위에 설치되고 가운데 아래면에 제2접점(17)이 제2접점 단자(19)와 전도하고 있는 제2접점판(7)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에의 냉매 보충 수단은 상기한 외부 용기(3)의 안쪽에 있고 상기한 제1접점판(5)과 제2접점판(7) 사이에 설치되고 가운데 아래면에 제1중앙 접점(21)이 제1중앙 접점 단자(23)와 전도하고 있고 가운데 위면에 제2중앙 접점(25)이 제2중앙 접점 단자(27)와 전도하고 있고 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 접점판(9)을 더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냉매 보충 수단은 상기한 제2접점판(7)과 중앙 접점판(9)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외부 용기(3)의 내부에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고 동공을 보유하는 지지부(11)와, 이 지지부(11)의 위쪽 내부 원주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가운데 아래면에 제1다이어프램 접점(29)이 제1다이어프램 단자(31)와 전도하고 있고 가운데 위면에 제2다이어프램 접점(33)이 제2다이어프램 단자(35)와 전도하고 있는 다이어프램(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제2접점판(7)과 상기한 외부 용기(3) 위면 사이에 공기압 챔버(3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다이어프램(13)과 상기한 제2접점판(7) 사이에 밀폐되어 있는 밀폐 챔버(3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다이어프램(13)과 상기한 제1접점판(5) 사이에 냉매 챔버(4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 펌프(43)는 상기한 공기압 챔버(37)에 공기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제어 장치의 신호를 받아서 가동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47)는 전구로 빛을 발산하도록 하거나, 소리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한 냉매 보충 장치의 단자들에 연결되는 선에서 나오는 조건을 입력하여 처리한 다음, 상기한 에어 펌프(43)와 상기한 표시장치(47)에 신호를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로 하여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축전기의 전기로 에어컨을 장기간 가동할 수 없으므로 시동된 상태에서 에어컨을 가동해야 한다.
자동차의 시동을 건다.(S10)
차량 내의 열을 낮추기 위하여 에어컨을 가동시키려고 운전자는 에어컨 스위치(45)를 접속할 것이다.
이때, 전자 제어 장치에서 에어컨 스위치(45)가 온인지 아닌지를 인식하여, 스위치(45)가 온이 아니면 끝내고 온이면 다음 단계로 이어진다.(S20)
일반적으로, 상기한 스위치가 온이면 타이머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한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고, 상기한 타이머의 작동이 중지하면 시스템이 중지하도록 되어 있다.(S30)
냉매 챔버(41)내의 냉매가 사용되어서 냉매 챔버(41)의 압력이 공기압 챔버(37)의 공기압보다 낮아지면 제1접점판(5), 제2접점판(7), 다이어프램(13) 등이 냉매 챔버(41)의 부피를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때, 전자 제어 장치에서 제1접점(15)과 제1중앙 접점(21)이 접속되는지를 점검하고, 만족하면 다음 단계로 이어지고,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이어진다.(S40)
상기한 제1접점(15)과 제1중앙 접점(21)이 접속한 다음, 계속해서 냉매 챔버(41)내의 냉매가 더 사용되어서 냉매 챔버(41)의 압력이 더 낮아지면, 냉매 챔버(41)의 압력이 밀폐 챔버(39)의 압력 보다 낮아지면 다이어프램(13)이 작용하여 제1다이어프램 접점(29)이 제2중앙 접점(25)에 붙을 수 있다.
이때, 전자 제어 장치는 제1다이어프램 접점(29)과 제2중앙 접점(25)의 접속 상태를 점검한다.(S50)
상기한 제1다이어프램 접점(29)과 제2중앙 접점(25)이 접속하면,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는 표시장치에 신호를 보내서 냉매 보충 경고등을 켜지게 한다.(S60)
상기한 40단계(S40)에서 상기한 제1접점(15)과 제1중앙 접점(21)이 접속하지 않을 경우, 전자 제어 장치는 제2중앙 접점(25)과 제1다이어프램 접점(29)의 접속 상태를 점검하여, 접속되어 있으면 다음 단계로 이어진다.(S51)
이때, 전자 제어 장치는 51단계(S51)에서 제2중앙 접점(25)과 제1다이어프램 접점(29)이 접속하면, 에어 펌프(43)에 신호를 보내어 작동시킨다.(S61)
상기한 에어 펌프가 작동되면, 공기압 챔버(37)의 압력이 증가하여 제2접점(7), 지지부(11), 중앙 접점판(9) 등이 함께 냉매 챔버(41)의 부피를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때, 전자 제어 장치는 제2접점(17)과 제2다이어프램 접점(33)의 접속 상태를 점검하고,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30단계(S30)로 되돌아가고, 접속되어 있으면 다음 단계로 이어진다.(S71)
그리고,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한 50단계(S50)를 만족하지 않을 때와, 상기한 51단계(S51)를 만족하지 않을 때와, 상기한 71단계(S71)를 만족할 때에 표시장치에 신호를 보내서 냉매 장치가 정상이라는 신호를 운전자에게 알린다.(S81)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상기한 표시장치가 작동하면 작업이 끝난다.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냉매의 부족을 알리게 되어 냉매의 보충 시기를 운전자에게 쉽게 알리므로, 냉매의 부족에 따른 에어컨의 작동 불량을 방지하여 주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여유 냉매량을 용기에 보유할 수 있으므로 에어컨의 성능이 떨어지기 전에 성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성능 시험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 성능의 사전 점검에 도움이 된다.

Claims (3)

  1. 냉매를 보충하는 냉매 보충 수단과, 상기한 냉매 보충 수단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를 내보내는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의 변환된 신호를 받아서 상기한 냉매 보충 수단에 공기압을 제공하는 에어 펌프와,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에서 신호를 받아서 작용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냉매 보충 수단은, 냉매가 흐르는 호스(1)와, 위면에 공기가 통하는 홀이 있고, 아래면에 상기한 호스(1)에 통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는 외부 용기(3)와, 상기한 외부 용기(3)의 안쪽 아래에 설치되어 있고, 가운데 위면에 전도체인 제1접점(15)이 있고, 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접점판(5)과, 상기한 외부 용기(3)의 안쪽 위에 설치되고, 가운데 아래면에 제2접점(17)이 제2접점 단자(19)와 전도하고 있는 제2접점판(7)과, 상기한 외부 용기(3)의 안쪽에 있고, 상기한 제1접점판(5)과 제2접점판(7) 사이에 설치되고, 가운에 아래면에 제1중앙 접점(21)이 제1중앙 접점 단자(23)와 전도하고 있고, 가운데 위면에 제2중앙 접점(25)이 제2중앙 접점 단자(27)와 전도하고 있고, 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 접점판(9)과, 상기한 제2접점판(7)과 중앙 접점판(9)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외부 용기(3)의 내부에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고, 동공을 보유하는 지지부(11)와, 상기한 지지부(11)의 위쪽 내부 원주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가운데 아래면에 제1다이어프램 접점(29)이 제1다이어프램 단자(31)와 전도하고 있고, 가운데 위면에 제2다이어프램 접점(33)이 제2다이어프램 단자(35)와 전도하고 있는 다이어프램(13)을 포함하는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표시장치는 냉매를 보충하도록 하는 냉매 보충 경고등과 정상으로 인식시키는 냉매 정상등으로 이루어지는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
KR1019950041390A 1995-11-14 1995-11-14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 KR10022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390A KR100222529B1 (ko) 1995-11-14 1995-11-14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390A KR100222529B1 (ko) 1995-11-14 1995-11-14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094A KR970026094A (ko) 1997-06-24
KR100222529B1 true KR100222529B1 (ko) 1999-10-01

Family

ID=1943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390A KR100222529B1 (ko) 1995-11-14 1995-11-14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5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094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4762A (en) Refrigerant flow control system
CN107883617B (zh) 具有电子器件冷却的制冷剂液气分离器
KR100222529B1 (ko) 에어컨 냉매 보충 시스템
JP200424545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421079B1 (ko) 보조부품을구비한응축기(condenserprovidedwithauxiliarypart)및 그에 보조부품 을부착하기위한커넥터
CN217109806U (zh) 一种焊接可靠且成品率高的模块机构
JPH06137726A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高低圧スイッチと溶栓の取付配置
CN112178982B (zh) 压缩机及其控制方法、空调机组
JPH028669A (ja) 冷凍サイクルにおけるガス洩れ検出構造
KR100255924B1 (ko) 자동차에어컨의냉매량자동조절장치
KR20210034739A (ko) 차량용 전동압축기 이상 진단 방법
KR100203122B1 (ko) 에어컨 냉매 자동 조절 시스템
KR100203118B1 (ko) 압축기 전방측의 냉매액 분리 장치
JP4180874B2 (ja) アキュムレータ
CN219749452U (zh) 空调箱排水管堵塞监测装置及车辆
KR100214956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냉각장치
JPS6237745B2 (ko)
KR100222851B1 (ko) 차량 냉방 장치의 냉매 자동 배출 및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JP3130227B2 (ja) 受液器
JPS6255598B2 (ko)
KR100216852B1 (ko) 자동차용 에어콘의 냉매량 감지방법
JPH08219603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それに適用する冷媒不足検出装置
JPH04132375U (ja) 空調装置
KR19980061054A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너 성능 향상 장치
JPH086212Y2 (ja) スーパーヒート検出セ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