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151B1 -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151B1
KR100221151B1 KR1019960051751A KR19960051751A KR100221151B1 KR 100221151 B1 KR100221151 B1 KR 100221151B1 KR 1019960051751 A KR1019960051751 A KR 1019960051751A KR 19960051751 A KR19960051751 A KR 19960051751A KR 100221151 B1 KR100221151 B1 KR 100221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box
supply
opening
fusion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686A (ko
Inventor
유혁우
Original Assignee
서두칠
한국전기초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두칠, 한국전기초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두칠
Priority to KR101996005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151B1/ko
Publication of KR970051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H01J9/48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with automatic transfer of workpieces between operat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3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네크(N)가 다수개 담긴 네크박스(B)를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출.입하는 공급소(200)와, 상기 공급소(200)로부터 네크박스(B)를 실어 이송라인(111)을 통해 융착기(100)로 주행하는 이송기(300)와, 상기 이송기(300)로부터 하역되는 네크박스(B)를 공급 및 송환시키는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와, 상기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로부터 적치된 네크박스(B)에서 네크를 홀딩하여 융착기(100)로 공급하도록 그립바아(510)를 구비한 공급로보트(500)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인바, 네크박스를 공급소로부터 이송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훤넬을 재치하고 있는 융착기의 일측에 설치된 네크박스 공급트레이로 이송 및 송환되도록하여 작업자가 융착기에 대기하여 네크의 잔량을 확인할 필요가 없고, 공급로보트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된 네크박스 공급트레이로부터 네크의 척킹조작이 정확히 이루어져 기계적인 간섭에 따른 네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본 발명은 브라운관용 훤넬(Funnel)의 후면에 융착되는 네크(neck)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다수개 담겨진 네크박스를 자동으로 훤넬의 융착되는 작업라인 및 이송된 네크박스에서 네크를 융착기에 재치된 훤넬의 융착위치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의 후면부를 이루는 훤넬은 성형시 후면부위에 모일이 형성되며, 이 모일의 절단되는 부분의 훤넬 후면부에는 전자총을 내장할 수 있는 네크(neck)가 융착된다.
종래에는 네크 융착기에 네크(N)를 공급하기 위해 첨부된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네크 융착기(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전.후작동수단(20)과, 상기 전.후작동수단(20)에 연설되어 네크공급수단(30)과, 상기 네크공급수단(3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네크(N)를 예열하는 예열기(40)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작동수단(20)은 융착기(10)의 측면에 제1브라켓트(21-1)로 고정 설치되는 공압실린더(21)와, 상기 공압실린더(21)의 작동로드에 연설되어 네크공급수단(30)을 회전시켜 주는 회동부재(50)와, 상기 회동부재(50)를 융착기(10)의 측면에 지지하는 제2브라켓트(21-2)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50)는 제2브라켓트(21-2)에 양단이 고정되어 회동되는 회동축(51)과, 상기 회동축(21)의 일측에 부착 설치되고 일측면에 상기 전.후작동수단(20)의 구성인 공압실린더(21)의 작동로드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판(52)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네크공급수단(30)은 융착기(10)의 일측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상에 횡방향으로 양단이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31)와, 상기 가이드 로드(31)에 축설되는 가이드 블록(32)과, 상기 가이드 블록(3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제1스프라켓(34)이 축설된 제1지지축(33)과, 상기 제1스프라켓(34)의 타측에 체인(C)으로 연결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2스프라켓(35)과, 상기 체인(C)의 외측에 다수개 연결 설치되어 네크(N)를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36)와, 상기 회동부재(50)의 회동판(52)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상부에 제1구동캠(38)이 축설된 제2지지축(37)과, 상기 제1구동캠(38)에 링크(L)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스프라켓(35)의 중심축상에 축설되는 제2구동캠(39)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예열기(40)는 열풍기(41)상측에 열공급관(42)이 연결 설치된 것으로, 상기 열공급관(42)은 베이스 플레이트(1)상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열공급관(42)의 열공급출구의 위치는 상기 캐리어(36)의 하부에 위치되는 각도로 설치된다.
상기 예열기(40)의 열공급관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한 것은 상기 캐리어(36)에 수용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네크(N)를 독립적으로 예열하기 위함이다.
한편, 네크(N)가 다수개 담긴 네크박스(B)는 융착기(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네크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작업자는 융착기(10)의 일측에 네크(N)가 담긴 네크박스(B)를 들어 옮겨 놓은 상태에서 네크 공급수단(30)인 캐리어(36)에 네크(N)를 꽂아 주되, 네크(N)의 융착되는 부위에 부착될 수 있는 이물질 등을 닦아 낸 다음 캐리어(36)에 일일이 꽂아 준다.
상기와 같이 융착 준비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융착기(10)를 온(on)시켜 주면, 융착기(10)의 일측 베이스 플레이트(1)상에 설치된 예열기(40)의 열풍기(41)는 가동되어 열공급관(42)으로 고열을 송출하며, 이때 열공급관(42)으로부터 송출되는 고열은 네크공급수단(30)의 캐리어(36)에 꽂혀진 네크(N)의 하측, 즉 융착되어질 부분을 단위시간(sec)동안 예열한다.
상기 예열이 완료되면, 융착기(10)의 일측에 설치된 제1브라켓트(21-1)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전.후작동수단(20)의 공압실린더(21)는 첨부된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로드를 전진시키고, 이에 따라 공압실린더(21)의 작동로드는 제2브라켓트(21-2)에 설치된 회동부재(50)의 회동판(52) 부분을 밀고, 이 회동판(52)은 회동축(5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짐에 있어, 상기 회동판(52)의 일단 상부의 제2지지축(37)에 설치된 제1구동캠(38)과 회동판(52)의 일단에 설치되어 제1구동캠(38)과 링크(L)로 연설된 제2구동캠(39)은 180회전한다.
이때에는 네크공급수단(30)이 상기 회동판(52)에 설치된 회동축(51)과 회동판(52)의 일단에 설치된 제2지지축(37)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태로서, 이와 연계동작으로 네크공급수단(30)의 제1스프라켓(34) 하부에 제1지지축(33)로 연결 설치된 가이드 블록(32)은 베이스 플레이트(1)상에 설치된 가이드 로드(31)의 일측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네크공급수단(30)의 캐리어(36)가 예열기(40)의 열공급관(42)으로부터 벗어나며, 예열된 네크(N)는 융착기(10)의 중앙으로 이동되어지고, 이때 융착기(10)에서의 홀더(도면에서 생략함)는 네크(N)를 홀딩한다.
이러한 단계가 이루어지면, 상기 홀더는 임시적으로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승되며, 이때에 상기 공압실린더(21)는 역동작으로 후진시켜 네크공급수단(30)을 초기상태로 복귀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공압실린더(21)의 후진작동에 따라 제1구동캠(38)과 제2구동캠(39)은 반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동방향으로 180회전되는 상태가 되며, 제1스프라켓(34)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블록(32)은 베이스 플레이트(1)상의 가이드 로드(31)에 반대로 슬라이딩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제1구동캠(38) 및 제2구동캠(39)의 회전에 따라 제1스프라켓(34), 제2스프라켓(35)은 체인(C)에 의해 한 스텝 회전되고, 제1스프라켓(34)의 하부에 설치된 후 캐리어(36)에 수용된 네크(N)를 이동되는 상태로 네크(N)공급의 한 사이클 공정이 이루어 진다.
한편, 캐리어(36)에 담긴 네크(N)의 위치는 다시 열공급관(42)의 송출구와 일치되어 예열되는 상태가 되어져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음 네크(N)의 공급을 순차적으로 동작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네크(N)를 융착기(10)로 공급하는 종래의 네크 공급장치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첫째로, 네크박스(B)를 일일이 작업자가 융착기(10)로 들어 옮겨야 하고, 네크공급수단(30)의 캐리어(36)에 담겨진 네크(N)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일일이 꽂아 주어야 하며, 상황에 따라서는 융착기(10) 옆에 작업자가 항상 대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둘째로 체인(C)구동에 따른 캐리어(36)에 담긴 네크(N)는 체인(C)의 장력에 대한 탈선위험이 있고, 아울러 캐리어(36)의 위치변경으로 네크(N)의 편가열 현상이 일어나 융착불량이 다량 발생되어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의 저하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네크박스를 자동으로 훤넬의 융착기의 작업라인까지 이송되도록 하고, 이송된 네크박스에서 네크를 융착기에 재치된 훤넬의 융착위치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융착기로 이송되어 재치된 훤넬에 네크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크가 네크박스에 다수개 담겨져 적재된 네크박스를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출.입하는 공급소와, 상기 공급소로부터 네크박스를 실어 이송라인을 통해 융착기로 주행하는 이송기와, 상기 이송기로부터 하역되는 네크박스를 공급 및 송환시키는 네크박스 공급트레이와, 상기 네크박스 공급트레이로부터 적치된 네크박스에서 네크를 홀딩하여 융차기로 공급하도록 그립바아가 구비된 공급로보트로 설치되는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도는 종래 네크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2(a)(b)도는 종래 네크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인 네크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도의A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도의B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제3도의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바아의 작동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융착기 111 : 이송라인
200 : 공급소 300 : 이송기
400 : 네크박스 공급트레이 500 : 공급로보트
510 : 그립바아 B : 네크박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첨부된 제3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본 발명인 네크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도의A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도의B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6도는 제3도의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바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융착기(100)로 이송되어 재치된 훤넬에 네크(N)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에 있어, 상기 네크(N)가 네크박스(B)에 다수개 담겨져 적재된 네크박스(B)를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출.입하는 공급소(200)와, 상기 공급소(200)로부터 네크박스(B)를 실어 이송라인(111)을 통해 융착기(100)로 주행하는 이송기(300)와, 상기 이송기(300)로부터 하역되는 네크박스(B)를 공급 및 송환시키는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와, 상기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로부터 적치된 네크박스(B)에서 네크(N)를 홀딩하여 융착기(100)로 공급하도록 그립바아(510)를 구비한 공급로보트(500)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기(300)는 이송라인(111)의 가설선으로부터 이송되도록 상부에 트롤리(311)가 설치된 함체(310)와, 상기 함체(310)내에 설치되고 양측에 권취릴(321)이 축설된 서보모터(320)와, 상기 함체(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급소(200)로부터 인출된 네크박스(B)를 홀딩하기 위한 핑거부재(330)와, 상기 핑거부재(330)의 상면에 연설되어 권취릴(321)에 권취되는 이송벨트(340)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는 상부에 일정깊이의 개구부(401)를 갖되, 이 개구부(401)의 상면에 원호형상의 장공(411)이 엇갈리게 형성된 정사각면체의 본체(410)와, 상기 개구부(401)에 안착되어 공급된 네크박스(B)를 지지하는 이송부재(420)와, 상기 개구부(401)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송부재(420)의 이송상태를 감지하는 접촉센서(430)와, 상기 개구부(401)의 내측둘레에 다수개 설치되어 이송부재(420)를 안내하는 가이드 로울러(440)와, 상기 개구부(401)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어 이송부재(420)를 개구부(401) 내에서 교체시켜 주는 가이드부재(450)와, 상기 개구부(401)의 테두리부에 대각선상으로 설치되어 이송부재(420)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60)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420)는 정사각형상으로 일정두께를 갖는 받침판(421)과, 상기 받침판(421) 상면에 대각선상으로 입설되어 네크박스(B)의 외측 모서리부분을 센터링하는 가이드편(42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450)는 이송부재(420)의 받침판(421) 측면에 접촉되어 구름 동작되는 이송 로울러(451)와, 상기 이송 로울러(451)에 연결 설치되고 일단은 장공(411)의 저면 일측으로 일단이 축고정된 지지바(452)와, 상기 지지바(452)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바(452)를 회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453)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바아(510)는 공급로보트(500)의 아암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네크박스(B)로부터 담겨진 네크(N)의 직경에 인입되어 공기압으로 홀딩하는 확장구(511)와, 상기 확장구(511)의 타측에 설치되어 네크(N)를 파지하는 핑거(512)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크제품이 다수개 담겨진 네크박스(B) 및 공 네크박스가 다수 적재되어 있는 공급소(200)로부터 각각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공급소(200)의 외측에 설치된 이송트레이(도면에서 생략함)로 네크박스(B)가 인출된 상태에서, 작업공정이 이루어지는 라인에 다수 설치된 네크 융착기(100)로 네크박스(B)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작업장에 설치된 이송라인(111)을 통해 첨부된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이송라인(111)을 따라 이송기(300)는 왕복운동 하면서 융착기(100)가 설치된 일측에 근접 설치되어 있는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로 네크박스(B)를 공급, 또는 송환시켜 준다.
상기 이송기(300)의 작동상태는 이송라인(111)의 상부에 설치된 트롤리(311)에 의해 이송라인(111)의 가설선을 따라 함체(310)가 이동되며, 이 이송기(300)는 다수개 설치된 융착기(100)에 네크(N)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하나의 네크박스(B)에서 네크(N)의 공급이 완전히 이루어 지는 상태가 되면, 설정된 신호에 의해 이송기(300)를 공급소(200)의 상측 이송라인(111)까지 이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급소(200)에서는 네크(N)가 담긴 공급박스(B)를 인출시켜 준다.
여기서 이송기(300)는 공급소(200)에 상측 이송라인(111)에서 정지된 상태로 함체(310)내에 설치된 서보모터(320)를 구동시켜 준다.
이때 상기 서보모터(320)는 양측에 축설된 권취릴(321)를 회전시키고, 이 권취릴(321)의 구동으로 핑거부재(330)와 연결 설치된 이송벨트(340)를 풀어 핑거부재(330)를 일정거리 만큼 하강시켜 준다.
여기서, 하강된 핑거부재(330)는 네크박스(B)의 테두리부분의 양측을 파지하며, 다시 서보모터(320)의 역구동으로 핑거부재(330)를 상승시켜 네크박스(B)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융착기(100)가 설치된 이송라인(111)측으로 주행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라인(111)을 따라 이송된 이송기(300)는 네크박스(B)의 공급이 완성된 융착기(100)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네크(N)가 담겨진 네크박스(B)를 다시 하강시켜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에 수직으로 공급시켜 주며, 이어서 네크(N)가 소요된 공 네크박스(B)를 재 파지하여 서보모터(320)에 의해 핑거부재(330)를 들어 올린후 이송라인(111)을 따라 공급소(200)의 공 네크박스가 수용되는 인입구(도면에서 생략함)앞으로 이송시켜 준다.
한편, 상기한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를 설명하면, 본체(410)상부에 형성된 개구부(401)에 재치되는 이송부재(420)의 받침판(421)에 대각선상으로 설치된 가이드편(422)은 받침판(421)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네크박스(B)를 안내하여 네크박스(B)정위치에 오도록 샌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부재(420)는 3개정도로 개구부(401)에서 정사각으로 4등분되는 위치에서 4분의1 정도를 남겨놓는 상태로 재치된 상태에서 이송부재(420)의 교체가 이루어 진다.
여기서, 이송부재(420)의 교체상태를 자세히 설명하면, 네크박스(B)의 공급이 완전하게 이루어진 네크박스(B)를 받치고 있는 이송부재(420)의 받침판(421)은 개구부(401)에 형성된 장공(411)로 설치되면 개구부(401)의 내측 둘레에 설치된 이송로울러(451)의 가압에 의해 이송부재(420)를 빈공간으로 상호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 로울러(451)의 동작은 개구부(401)의 저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된 지지바(452)와 연설된 공압실린더(453)의 동작에 의해 지지바(452)를 회동시키고, 지지바(452)에 설치된 이송 로울러(451)는 원호형상의 장공(411)에 안내되면서 이송부재(420)의 받침판(421)을 가압하면서 밀어주며, 이때의 개구부(401)내측 둘레에 근접 설치된 가이드 로울러(440)는 교체되는 받참판(421)의 측면을 구름 접촉한 상태로 받침판(421)을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부재(420)가 교체되는 과정에서 개구부(401)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센서(430)는 이송부재(420)의 받침판(421)이 교체되면서 제대로 재치되었는지를 감지하고, 본체(410)의 상면 테두리부분에 대각선상으로 설치된 감지센서(460)는 이송기(300)로부터 네크박스(B)의 공급,또는 송환상태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네크(N)가 담긴 네크박스(B)로 교체된 상태에서 네크박스(B)로부터 네크(N)를 인출하여 융착기(100)로 공급하는 과정은 융착기(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설정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공급로보트(500)에 의해 공급된다.
상기 공급로보트(500)의 아암 일단에 설치된 그립바아(510)의 확장구(511)는 네크박스(B)에 담겨진 네크(N)의 직경에 수직으로 인입되는 상태에서 미도시된 공압실린더에 의해 일시적으로 확장구(511)를 팽창시켜 네크(N)를 홀딩한 후 미도시된 예열대에 네크(N)를 일차적으로 공급한 후 네크(N)의 예열상태가 이루어지면, 그립바아(510)는 90직각으로 회동되어 확장구(511)의 타측에 설치된 핑거(512)로 네크(N)를 파지하여 융착기(100)에 재치된 훤넬의 융착부위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별도로 작업자가 융착기(100)에 항상 대기하지 않아도 무인으로 네크박스(B)를 자동으로 공급시키고, 또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로 부터 송환되게 함으로써, 네크 공급이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네브박스를 공급소로부터 이송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훤넬을 재치하고 있는 융착기의 일측에 설치된 네크박스 공급트레이로 이송 및 송환하여 작업자가 융착기에 대기하여 네크의 잔량을 확인할 필요가 없고, 공급로보트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된 네크박스 공급트레이로부터 네크의 척킹조작이 정확히 이루어져 기계적인 간섭에 따른 네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융착기(100)로 이송되어 재치된 훤넬에 네크(N)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크(N)가 네크박스(B)에 다수개 담겨져 적재된 네크박스(B)를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출.입하는 공급소(200)와, 상기 공급소(200)로부터 네크박스(B)를 실어 이송라인(111)을 통해 융착기(100)로 주행하는 이송기(300)와 상기 이송기(300)로 부터 하역되는 네크박스(B)를 공급 및 송환시키는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와, 상기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로 부터 적치된 네크박스(B)에서 네크를 홀딩하여 융착기(100)로 공급하도록 그립바아(510)가 구비된 공급로보트(500)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300)는 이송라인(111)의 가설선으로부터 이송되도록 상부에 트롤리(311)가 설치된 함체(310)와, 상기 함체(310)내에 설치되고 양측에 권취릴(321)이 축설된 서보모터(320)와, 상기 함체(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급소(200)로부터 인출된 네크박스(B)를 홀딩하기 위한 핑거부재(330)와, 상기 핑거부재(330)의 상면에 연설되어 권취링(321)에 권취되는 이송벨트(340)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박스 공급트레이(400)는 상부에 일정깊이 개구부(401)를 갖되, 이 개구부(401)의 상면에 원호형상의 장공(411)이 형성된 정사각면체의 본체(410)와, 상기 개구부(401)에 안착되어 공급된 네크박스(B)를 지지하는 이송부재(420)와, 상기 개구부(401)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송부재(420)의 이송상태를 감지하는 접촉센서(430)와, 상기 개구부(401)의 내측둘레에 다수개 설치되어 이송부재(420)를 안내하는 가이드 로울러(440)와, 상기 개구부(401)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어 이송부재(420)를 개구부(401)내에서 교체시켜 주는 가이드부재(450)와, 상기 개구부(401)의 테두리부에 대각선상으로 설치되어 이송부재(420)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60)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420)는 정사각형상으로 일정두께를 갖는 받침판(421)과, 상기 받침판(421) 상면에 대각선상으로 입설되어 네크박스(B)의 외측 모서리부분을 센터링하는 가이드편(4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450)는 이송부재(420)의 받침판(421) 측면에 접촉되어 구름 동작되는 이송 로울러(451)와, 상기 이송 로울러(451)에 연결 설치되고 일단은 장공(411)의 저면 일측으로 축고정된 지지바(452)와, 상기 지지바(452)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바(452)를 회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453)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바아(510)는 공급로보트(500)의 아암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네크박스(B)로부터 담겨진 네크(N)의 직경에 인입되어 공기압으로 홀딩하는 확장구(511)와, 상기 확장구(511)의 타측에 설치되어 네크(N)를 파지하는 핑거(512)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KR1019960051751A 1996-11-04 1996-11-04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KR100221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751A KR100221151B1 (ko) 1996-11-04 1996-11-04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751A KR100221151B1 (ko) 1996-11-04 1996-11-04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686A KR970051686A (ko) 1997-07-29
KR100221151B1 true KR100221151B1 (ko) 1999-09-15

Family

ID=1948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751A KR100221151B1 (ko) 1996-11-04 1996-11-04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1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686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879B1 (ko) 타이어 제조장치
JP2835207B2 (ja) パッケージ機にテープ材のリールを送給する装置
JPH07189054A (ja) ケンス分配装置
JP2009529472A (ja) ボビンを取外すための装置
GB2181117A (en) Method for handling reels in a web-fed rotary printing press
JPH04239429A (ja) 包装機械への包装材料の供給装置
JPH0359122A (ja) ダブルツイスタにおいて形成された撚糸パッケージと空ボビンとの自動交換方法並びに装置
JP5804891B2 (ja) 綾巻きパッケージ交換装置用の空管グリッパ
KR100221151B1 (ko) 브라운관용 네크 공급장치
KR101915600B1 (ko) 단조성형기의 원재료 공급장치
JP3153842B2 (ja) リング状ワークの加工装置
JPS5895030A (ja) 生タイヤ供給装置
EP0820944A1 (en) Wrapping material supply unit
JP2000238726A (ja) ロータリ型ラベル嵌挿方法及びそのラベル嵌挿装置並びにそのラベル嵌挿装置を備えたロータリ型ラベル装着システム
JPH0226925A (ja) 小玉ラップボビンを自動切断除去する方法と装置
JP4274895B2 (ja) 容器整列装置
JP3605250B2 (ja) シーム溶接装置のハンドリング治具
JPH03172288A (ja) 繊維機械間でのボビン移送方法及び装置
JP2995563B2 (ja) グリーンタイヤの自動搬送装置
KR100223195B1 (ko) 브라운관용 네크 예열장치
JP3638991B2 (ja) 成形装置
JP3194487B2 (ja) グラビア印刷機の版胴搬送装置
JP4005233B2 (ja) ボビンへのワイヤ巻付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195347A (ja) 自動的なケンス交換を行うためのケンス搬送台車
JPH068120A (ja) 管研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