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489B1 -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489B1
KR100220489B1 KR1019970040059A KR19970040059A KR100220489B1 KR 100220489 B1 KR100220489 B1 KR 100220489B1 KR 1019970040059 A KR1019970040059 A KR 1019970040059A KR 19970040059 A KR19970040059 A KR 19970040059A KR 100220489 B1 KR100220489 B1 KR 10022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wheel bearing
spindle housing
rear ax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220A (ko
Inventor
서영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489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7Fixing them in a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10Force connections, e.g. clamping
    • F16C2226/16Force connections, e.g. clamping by wedge action, e.g. by tapered or conical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62Positive connections with pins, bolts or d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휠 허브와 스핀들 하우징 사이에 장착된 휠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하우징(51)의 외측에 형성되는 로크 홈(51a)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핀들 하우징(51)의 외측에 끼워지고 케이스(62) 내부에 장치된 로크 핀(64)이 스프링(66)의 탄성에 의해 상기 로크 홈(51a)에 삽입되어 휠 베어링(55)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크체(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초기 장착시에는 로크체(60)의 로크 핀(64)이 내측 방향으로 들어가 있다가 완전 장착시에는 로크 핀(64)이 스핀들 하우징(51)의 로크 홈(51a)에 삽입되어 휠 베어링(55)의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에 휠 베어링 이탈 방지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로크체(60) 장착시 내부의 로크 핀(64)이 케이스(62)를 양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이 케이스(62)가 휠 베어링(55)의 측면에 밀착되어 휠 베어링의 프리로드도 적절하게 조정해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휠 허브와 스핀들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휠 베어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스핀들 하우징의 둘레에 로크 핀이 내장된 로크체를 끼움으로써 휠 베어링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뒤차 축은 종감속 기어와 차동 기어를 거쳐서 전달되는 동력을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것으로 그 한쪽 끝은 스플라인을 거쳐서 디퍼렌셜 사이드 기어에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은 구동 바퀴에 장치된다.
이와 같은 뒤차축의 지지방식은 크게 전부동식, 반부동식, 3/4부동식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전부동식 뒤차축 지지방식은 큰 하중을 받으며 전달 토크가 큰 대형 트럭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하우징(1)의 입구 부분에는 바퀴 전체가 휠 베어링(2)을 거쳐서 지지되며, 뒤차축(3)은 상기 스핀들 하우징(1)을 내부를 통하여 휠 허브(4)에 허브 볼트(5)로 죄어져 바퀴측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부동식 뒤차축 지지방식이 상기와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수직 및 수평하중, 충격, 바퀴에 걸리는 횡력(옆으로 미는 힘)등은 모두 휠 베어링(2)을 거쳐 스핀들 하우징(1)이 받게 되므로 뒤차축(3)은 단지 휠 허브(4)를 통해 바퀴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뿐이다.
특히, 상기한 휠 베어링(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허브(4)와 스핀들 하우징(1) 사이에 아우터 휠 베어링(2f)과 이너 휠 베어링(2r)이 복수개가 장치되는 바, 바깥쪽에 위치되는 아우터 휠 베어링(2f)은 외부로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스핀들 하우징(1)의 외측에 로크 구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제, 종래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는 먼저, 아우터 휠 베어링(2f)의 바깥쪽인 스핀들 하우징(1)의 외측에 로크 너트(11)가 체결되고, 그 다음 스핀들 하우징(1)의 로크 홈(1a)에 로크 와셔(12)가 끼워지며, 이 로크 와셔(12)의 외측면에서 상기 로크 너트(11)까지 로크 볼트(13)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휠 베어링(2f)이 휠 허브(4)와 스핀들 하우징(1) 사이에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는 스핀들 하우징(1)에 로크 너트(11)를 체결한 후 로크 와셔(12)를 끼우고 로크 볼트(13)를 체결하기 때문에 로크 너트(11) 체결시에는 휠 허브(4)와 스핀들 하우징(1) 사이에 공간이 협소하여 너트 체결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로크 볼트(13) 체결시에도 로크 와셔(12)와 로크 너트(11)의 볼트 구멍이 잘 일치되지 않아 볼팅 작업을 하는데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형의 케이스내에 로크 핀이 설치된 로크체를 스핀들 하우징의 로크 홈에 고정하여 휠 베어링을 고정함으로써 휠 베어링의 고정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해지도록 한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뒤차축의 휠 허브 및 휠 베어링 설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2a는 상기 도 1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가 확대된 상세도,
도 2b는 종래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크체가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상기 도 4의 A-A선의 단면도로써,
도 5a는 장착전의 상태도,
도 5b는 장착후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스핀들 하우징 51a : 로크 홈
54 : 휠 허브 55 : 휠 베어링
60 : 로크체 62 : 케이스
64 : 로크 핀 66 : 스프링
68 : 외장체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는, 휠 허브와 스핀들 하우징 사이에 장착된 휠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되는 로크 홈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핀들 하우징의 외측에 끼워지고 내부에 장치된 로크 핀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로크 홈에 삽입되어 휠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크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체(60)의 로크 핀(64)이 스프링(66)의 탄성에 의해 스핀들 하우징(51)의 로크 홈(51a)에 삽입됨으로써 휠 허브(54)와 스핀들 하우징(51) 사이에 장착된 아우터 휠 베어링(이하 '휠 베어링' 이라함)(5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스핀들 하우징(51)의 외측에 형성되는 로크 홈(51a)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핀들 하우징(51)의 외측에 끼워지고 내부에 장치된 로크 핀(64)이 스프링(66)의 탄성에 의해 상기 로크 홈(51a)에 삽입되어 휠 베어링(55)을 지지하는 로크체(6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로크체(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가 상호 마주하여 위치되고 그 사이에 내주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의 케이스(62)와, 상기 복수의 케이스(6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케이스(62)의 간격이 따라 외측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로크 핀(64)과, 상기 로크 핀(64)의 후미에 위치되어 로크 핀을 상기 케이스(62)의 내주 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66)과, 상기 복수의 케이스(62) 둘레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케이스를 고정함과 동시에 스프링(66)을 지지하는 외장체(6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휠 허브(514와 스핀들 하우징(51) 사이에 위치된 휠 베어링(5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로크체(60)를 스핀들 하우징(51)의 외측에 끼우면 된다.
즉, 상기 로크체(60)를 스핀들 하우징(51)에 장착할 때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스(62)를 상호 근접한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내부의 로크 핀(64)이 케이스(62)의 경사면을 따라 스프링(66)의 탄성력을 이기고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크 핀(64)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로크체(60)를 상기 스핀들 하우징(51)에 간단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로크체(60)가 스핀들 하우징(51)의 외측에 장착된 휠 베어링(55)의 측면에 밀착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체(60) 내부에 있는 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해 로크 핀(64)이 내주 방향 즉, 밖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케이스(62)는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로크 핀(64)이 스핀들 하우징(51)의 로크 홈(51a)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크체(60)의 로크 핀(64)이 스핀들 하우징의 로크 홈(51a)에 삽입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로크체(60)가 상기 휠 베어링(55)이 스핀들 하우징(51)의 외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로크체(60)는 로크 핀(64)이 케이스(62)의 경사면을 따라 내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케이스(62)를 양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이 케이스(62)가 휠 베어링(55)의 측면에 밀착되어 베어링의 프리로드(preload)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는 초기 장착시에는 로크체(60)의 로크 핀(64)이 내측 방향으로 들어가 있다가 완전 장착시에는 로크 핀(64)이 스핀들 하우징(51)의 로크 홈(51a)에 삽입되어 휠 베어링(55)의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에 휠 베어링 이탈 방지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크체(60) 장착시 내부의 로크 핀(64)이 케이스(62)를 양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이 케이스(62)가 휠 베어링(55)의 측면에 밀착되어 휠 베어링의 프리로드도 적절하게 조정해 주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휠 허브와 스핀들 하우징 사이에 장착된 휠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되는 로크 홈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핀들 하우징의 외측에 끼워지고 내부에 장치된 로크 핀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로크 홈에 삽입되어 휠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크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체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가 상호 마주하여 위치되고 그 사이에 내주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의 케이스와, 상기 복수의 케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케이스의 간격이 따라 케이스의 외측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로크 핀과, 상기 로크 핀의 후미에 위치되어 로크 핀을 상기 케이스의 내주 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과, 상기 복수의 케이스 둘레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케이스를 고정함과 동시에 스프링을 지지하는 외장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핀 및 스프링은 상기 케이스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로크 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스핀들 하우징의 로크 홈도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
KR1019970040059A 1997-08-22 1997-08-22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 KR10022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059A KR100220489B1 (ko) 1997-08-22 1997-08-22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059A KR100220489B1 (ko) 1997-08-22 1997-08-22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220A KR19990017220A (ko) 1999-03-15
KR100220489B1 true KR100220489B1 (ko) 1999-09-15

Family

ID=1951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059A KR100220489B1 (ko) 1997-08-22 1997-08-22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467B1 (ko) 2006-08-24 2008-01-16 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액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467B1 (ko) 2006-08-24 2008-01-16 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액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220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0626B1 (en) Connection between a wheel hub bearing unit and brake rotor
US4733578A (en) Bevel gear differential with conical spherical gear seats
US20080227581A1 (en) Axle housing with differential bearing support
US20060254383A1 (en) Pinion support for a differential assembly
JP3355461B2 (ja) 車軸アセンブリ
KR19990029865A (ko) 슬립 제한 차동 장치 및 여기에 사용되는 개선된 차동 하우징조립체
KR0147872B1 (ko) 트랙터의 후차축 장치
US6014916A (en) Two part pinion pin for a differential assembly
KR100220489B1 (ko) 자동차 뒤차축의 휠 베어링 로크 구조
CN101356064B (zh) 车轮用轴承装置
US4815337A (en) Locking ring for independent rear suspensions
CN212499711U (zh) 用于高空作业平台的轮毂及包括该轮毂的高空作业平台
EP1680611B1 (en) Bolted pilot web with precision machined bearing stop
JP3109367B2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装置
CN215245092U (zh) 汽车后轮转向器的动力装置及汽车
CN215204295U (zh) 法兰件、仿形工装以及车辆
KR20020042940A (ko) 허브 베이링-등속 조인트 모듈
KR0152734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지지장치
CN113682083A (zh) 用于高空作业平台的轮毂及包括该轮毂的高空作业平台
JP2023137044A (ja) 車両
USH1238H (en) Suspension for an oscillating axle
CN113153983A (zh) 整体框架式轮边减速系统
US1347077A (en) Center-support bearing
KR100275158B1 (ko) 차량의 조향너클에 설치되는 허브 록킹장치
KR20190111343A (ko) 산업차량용 자동 중립위상각 설정이 내장된 eps 액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