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449B1 -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449B1
KR100220449B1 KR1019970039079A KR19970039079A KR100220449B1 KR 100220449 B1 KR100220449 B1 KR 100220449B1 KR 1019970039079 A KR1019970039079 A KR 1019970039079A KR 19970039079 A KR19970039079 A KR 19970039079A KR 100220449 B1 KR100220449 B1 KR 100220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509A (ko
Inventor
김동원
김영록
선양국
오부근
백창우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7003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449B1/ko
Priority to US09/126,487 priority patent/US6268087B1/en
Priority to JP10218944A priority patent/JP3080227B2/ja
Priority to CA002245048A priority patent/CA2245048C/en
Publication of KR1999001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9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a doctor blade method, slip-casting or roller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01M6/162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 H01M6/168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by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카본 복합 음극 및 금속 산화물 복합 양극을 구리 및 알루미늄 전류 집전체(exmet) 양면에 라미네이션(lamination)하고,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에 첨가되었던 가소제를 추출하고, 가소제가 추출된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을 전해액으로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을 고분자 전해질 양면에 압착시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진공 포장기를 사용하여 진공 포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전해액이 스며 나오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고 용량이며, 싸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활물질을 최대한 많은 양을 충진시키기 위하여 고압에서 라미네이션 방법으로 전극을 제조하여, 전극 물질을 호일(foil)이 아닌 그물망(exmet)에 입힘으로써 계면 접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전해액의 누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해액과 상용성이 좋은 고분자 물질을 전해질 물질로 사용하여 두 전극 사이에 압착시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복합 음극/고분자 전해질/금속 산화물 복합 양극(전해액: 1M 리튬 헥사프루오르아세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으로 이루어진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를 2.6V
Figure kpo00002
4.5V 영역에서 0.5mA/
Figure kpo00003
의 전류 밀도로 충
Figure kpo00004
방전시켜 얻은 방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복합 음극/고분자 전해질/금속 산화물 복합 양극(전해액: 1M 리튬 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으로 이루어진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 전지를 2.5V
Figure kpo00005
4.3V 영역에서 0.25mA/
Figure kpo00006
의 전류 밀도로 충
Figure kpo00007
방전시켜 얻은 방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용량이며 싸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액체 전해액과 상용성이 우수한 고분자를 전해질 재료로 사용하여 전해액 누액 및 전극과 전해질 계면 접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카본계 복합 음극, 고분자 전해질, 금속 산화물계 복합 양극으로 구성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는 이온 전도도가 우수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여,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단점인 누액 가능성과 폭발 위험성을 제거한 것이 큰 장점이다. 또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지 설계가 가능하고 제조 공정을 간단하고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방전이 약 5% 정도로 작고 메모리 효과 전혀 없어 리튬 이온 전지의 뒤를 이을 차세대 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여러 발명자에 의해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특허 제5,491,041호에는 그레파이트계 복합 음극/고분자 전해질/금속 산화물계 복합 양극을 이용하여 제조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에 대한 내용이 게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전류 집전체인 알루미늄 또는 구리 호일 위에 정극 또는 부극 활물질을 도포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는데, 이차 전지의 충
Figure kpo00008
방전 싸이클이 진행되면서 활물질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기 때문에 전극 물질이 전류 집전체에서 탈리되어 싸이클 특성이 좋지 못하다. 또한 전극의 두께를 늘리는데 한계가 있어 단위 면적당 전지 용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없다.
미국특허 제5,540,741호에는 추출(extraction)법에 의해 플라스틱 리튬 이온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이 게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가소제를 사용하여 이차전지를 제조한 후, 제조된 전지로부터 가소제를 추출하고, 최종적으로 건조된 전지를 액체 전해액에 담금으로써 전지를 활성화(activation) 시키는 방법에 의해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대기중의 수분이나 공기에 민감한 전해액을 활성화 공정에서만 취급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공정이 외부에서 진행되고, 단 한차례의 활성화 공정만이 무수(anhydrous)분위기에서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활성화 공정에서 도입된 전해액이 고분자 전해질에 오랜 시간 동안 고정화되지 못하고 있어 전해액의 누액 현상이 관찰되며, 전해액을 원하는 양만큼 미세 고분자 다공막에 함유시키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체 전해액이 스며 나오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고 용량이며, 싸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전해액의 누액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 용량의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싸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액체전해액이 스며 나오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고 용량이며, 싸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활물질을 최대한 많은 양을 충진시키기 위하여 고압에서 라미네이션 방법으로 전극을 제조하여, 전극 물질을 호일(foil)이 아닌 그물망(exmet)에 입힘으로써 계면 접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전해액의 누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해액과 상용성이 좋은 고분자 물질을 전해질 물질로 사용하여 두 전극 사이에 압착시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를 제조한다.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은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 가소제 및 공용매로 이루어진 복합 음극 슬러리로부터 제조된 음극 필름을 구리 그물망(Cu extended metal)양면에 라미네이팅하고, 라미네이팅된 복합 음극을 용매에 침지시켜 가소제를 추출하고, 그리고 건조된 복합 음극을 전해액에 침적시켜 복합 음극을 활성화시켜 활성화된 복합 음극을 제조하고; 고분자, 리튬염과 비양자성 용매로 구성되는 액체 전해액, 및 세라믹 필러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해질 슬러리로부터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제조하고;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 가소제 및 공용매로 이루어진 복합 양극 슬러리로부터 제조된 양극 필름을 알루미늄 그물망(Al extended metal) 양면에 라미네이팅하고, 라미네이팅된 복합 양극을 용매에 침지시켜 가소제를 추출하고, 그리고 건조된 복합 양극을 전해액에 침적시켜 복합 양극을 활성화시켜 활성화된 복합 양극을 제조한다. 상기 활성화된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을 고분자 전해질 양면에 압착시켜 라미네이팅하여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진공 포장기를 사용하여 진공 포장한다.
복합 음극의 음극 활물질로는 페트롤늄 콕(petroleun coke), 마이크로비드 카본콕(microbead carbon coke), 합성 그레파이트(synthetic graphite), 천연 그레파이트(natural graphite)를 사용한다. 복합 양극의 양극 활물질로는 LiMn2O4, LiCoO2, 또는 LiNiO2를 사용한다.
고분자 전해질의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스티렌을 단일 공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로 사용한다.
고분자 전해질에서 액체 전해액의 리튬염으로는 리튬 퍼클로로레이트, 리튬 헥사플로오르포스페이트, 리튬 테트라플루오르보레이트, 리튬 트리플루오르메탄걸포네이트 및 리튬 헥사플루오르아세네이트를 하나 또는 적어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고체 고분자 전해질에서 액체 전해액의 비양자성 용매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에톡시 에탄, 디메톡시 에탄 및 디프로필 카보네이트를 하나 또는 적어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세라믹 필러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리튬 알루미네이트, 제올라이트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전지용량이 매우 높고 싸이클 특성이 우수하며 전해액 누액 현상이 없어 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전극 제조시 대기중의 수분이나 공기에 민감한 전해액을 활성화 공정에서만 취급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공정이 외부에서 진행되고, 단 한차례의 활성 공정만이 무수 분위기에서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이차전지의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큰 특성치는 에너지 밀도와 싸이클 수명이다. 에너지 밀도는 단위 질량 또는 단위 부피 내에 효과적으로 활물질을 충진시켜 전지 용량을 높게 함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싸이클 수명은 전지 구성 재료에 크게 의존할 뿐만 아니라, 전극 물질을 전류 집전체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접착시키는가에 따라 그 특성이 좌우된다.
본 발명에서는 활물질을 최대한 많은 양 충진시키기 위하여 고압에서 라미네이션 방법으로 전극을 제조하고, 전극 물질을 호일이 아닌 그물망(exmet)에 입힘으로써 계면 접착을 향상시키고, 또한 전해액의 누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해액과 상용성이 좋은 고분자를 사용한다.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공정은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 제조 공정, 고분자 전해질 제조공정, 전지 제작 및 제조된 셀을 기밀 용기에 포장하는 패캐지(packaging) 공정으로 나뉜다.
복합 음극 제조는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 가소제 및 공용매로 이루어진 복합 음극 슬러리로부터 제조된 음극 필름을 구리 그물망(Cu extended metal) 양면에 라미네이팅하고; 라미네이팅된 복합 음극을 용매에 침지시켜 가소제를 추출하고; 그리고 건조된 복합 음극을 전해액에 침적시켜 복합 음극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로 활성화된 복합 음극을 제조한다.
고분자 전해질 필름 제조는 고분자, 리튬염과 비양자성 용매로 구성되는 액체 전해액, 및 세라믹 필러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해질 슬러리로부터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제조한다.
복합 양극 제조는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 가소제 및 공용매로 이루어진 복합 양극 슬러리로부터 제조된 양극 필름을 알루미늄 그물망(Al extended metal) 양면에 라미네이팅하고; 라미네이팅된 복합 양극을 용매에 침지시켜 가소제를 추출하고; 그리고 건조된 복합 양극을 전해액에 침적시켜 복합 양극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로 활성화된 복합 양극을 제조한다.
상기 활성화된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을 고분자 전해질 양면에 압착시켜 라미네이팅하여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진공 포장기를 사용하여 진공 포장한다.
복합 음극의 음극 활물질로는 페트롤늄 콕(petroleum coke), 마이크로비드 카본 콕(microbead carbon coke), 합성 그레파이트(synthetic graphite), 천연 그레파이트(natural graphite)를 사용한다. 복합 양극의 양극 활물질로는 LiMn2O4, LiCoO2또는 LiNiO2를 사용한다.
고분자 전해질 제조에 있어서 고분자 매트릭스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리덴프루오라이드, 폴리메틸메타그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여기에 액체 전해액을 혼합하고, 전해질 용액 100 중량부에 세라믹 필러를 더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되도록 교반한다. 얻어진 전해질 용액을 유지위에 캐스팅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얻는다.
고분자 전해질에서 액체 전해액의 리튬염으로는 리튬 퍼클로로레이트, 리튬 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 리튬 테트라플루오르보레이트, 리튬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포네이트 및 리튬 헥사플루오르아세네이트를 하나 또는 적어도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액체 전해액의 비양자성 용매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에톡시에탄, 디메톡시 에탄 및 디프로필 카보네이트를 하나 또는 적어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세라믹 필러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리튬 알루미네이트, 제올라이트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기존의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 제조법은 액체 전해액과 친화성이 적은 고분자를 매트릭스로 사용하는 관계로 전극과 전해질 계면 접착 및 전해액 누출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액체 전해액과 상용성이 우수한 고분자를 전해질 재료로 사용할 수 있어 전국과 전해질 계면 접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전지 용량이 매우 높고, 싸이클 특성이 우수하고, 전해액 누액 현상이 없어 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명백하여 질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전체 공정을 제1도에 나타내었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지 제조공정은 크게 복합 음극 및 양극 제조공정, 고분자 전해질 제조 공정, 전지 제작 및 제조된 셀을 기밀 용기에 포장하는 패캐이징(packaging)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각 공정에 대한 자세한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서술한다.
[복합 음극 제조]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의 복합 음극 재료는 크게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활물질로 오사까 가스회사(Osaka Gas Co.)의 MCMB 2528 그레파이트(graphite)를, 도전재로는 M.M.M. 카본회사(M.M.M. Co.)에서 제조된 슈퍼 P 밧데리 카본(Super P battery carbon)을, 결합재로는 아토켐 회사(Atochem)의 폴리(비닐이덴 플루오라이드-co-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상품명:Kynar)를 사용하였다. 이들을 이용해 복합 음극을 만드는 공정을 제1도에 나타내었다. 먼저 깨끗한 유리병에 Kynar 9.3 중량부를 아세톤 용매에 완전히 녹인 후, 가소제로 디부틸프탈레이트 22.7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한 용액을 만든다. 여기에 슈퍼 P 밧데리 카본(Super P battery carbon) 2.6 중량부와 MCMB 65.4 중량부를 칭량하여 넣어 혼합함으로써 점성이 높은 검정색의 슬러리를 제조한다. 평탄한 유리판 위에 제조된 슬러리를 붓고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로 밀어 코팅한다. 코팅된 극판을 30여분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아세톤 용매를 휘발시키면 복합음극을 얻을 수 있다.
[복합 양극 제조]
복합 양극 재료 역시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로 구성된다. 본 공정에서 양극 활물질로는 FMC(Foote Mineral Company)사에서 제조된 LiMn2O4를, 도전재로는 슈퍼 P 밧데리 카본(Super P Battery Carbon)을, 결합재로는 Kynar를 사용하였다. 이들을 이용해 복합 양극을 만드는 공정이 제1도에 나타나있다. 먼저 Kynar 10.0 중량부를 아세톤 용매에 완전히 녹인 후, 디부틸프탈레이트 19.5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한 용액을 만든다. 여기에 슈퍼 P 밧데리 카본(Super P battery carbon) 5.5 중량부와 LiMn2O4분말(powder) 65.1 중량부를 칭량하여 담고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한다. 만들어진 양극 슬러리를 평탄한 유리판 위에 붓고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로 밀어 코팅한다. 코팅된 극판을 30여분간 상온에서 방치하면 복합 양극이 얻어진다.
[전극의 라미네이션]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을 사용하여 전극/전류 집전체/전극을 잘 적층한다. 적층된 시편을 라미네이터에 1차 통과시킨다. 한번 라미레이션 시킨 후, 시편 위아래를 뒤집어가면서 최소한 2회 이상 통과시킨다. 음극 활물질로 사용된 카본 재료의 용량은 280 mA/g, 양극 활물질로 사용된 LiMn2O4의 용량은 110 mAh/g이다. 따라서 용량 발렌싱(balancing)(이차 전지의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e)의 용량을 동일하게 조절하는 작업)을 위해서, 사용되는 활물질의 양을 음극 대 양극의 비가 1 대 2.2∼2.3 범위에 들어올 수 있는 전극을 선별하여 분류한다.
[가소제 추출 및 전극의 활성화]
추출 공정은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에 가소제로 첨가되었던 디부틸프탈레이트를 제거, 미세 다공막을 형성시켜 액체 전해액이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처리 과정이다. 위에서 라미네이션하여 얻어진 전극을 비이커에 담은 후, 에테르 용매를 전극이 잠길 정도로 붓는다. 이들은 30분 이상 방치하여 1차 추출을 진행한다. 다시 깨끗한 에테르 용매를 사용하여 2차 추출 공정을 반복한다. 가소제가 추출된 전극을 진공 오븐에서 1시간 이상 건조시킨다. 진공 건조가 끝나면 전해액이 담긴 용기에 전극을 넣어 전해액을 함침시킨다. 전해액 함침에 사용되는 전해액은 실시예에 주어진 바와 같이 다양한 조성을 갖는 용액이며, 함침 시간은 1시간 이상을 유지한다.
[고분자 전해질 제조]
아크릴로니트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의 몰 함량이 각각 54, 32, 14%인 삼원 공중합체 11 중량부를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완전히 용해시키고, 여기에 액체 전해액89 중량부를 혼합시킨 전해질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6 중량부를 첨가하여 모든 성분이 완전히 용해되도록 교반하였다. 얻어진 고점도 전해질 용액을 유지 위에 캐스팅하여 테트라 히드로퓨란 용매가 완전히 제거된 고분자 전해질을 얻는다.
[전지 제조 및 포장]
상기에서 얻어진 복합 양극 위에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덮은 후, 복합 음극을 다시 고분자 전해질 위에 올려 라미네이션하여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 전지를 얻는다. 이들을 진공 포장기를 사용하여 진공 포장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리튬 이온 고부자 이차전지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상기 전극의 활성화 및 고분자 전해질 제조 공정에서 전해액으로 에틸렌 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 혼합액(부피비로 2:1)에 리튬 헥사플로오르아세네이트(LiAsF6) 염을 1M의 농도로 녹여 제조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를 2.6 내지 4.5V 범위 내에서 0.5 mA/
Figure kpo00009
의 전류 밀도로 충
Figure kpo00010
방전하여 제2도와 같은 방전 곡선을 얻었다. 셀의 평균 전압은 약 3.8V이었고, 전지 용량은 16.2 mAh(4.1mAh/
Figure kpo00011
)로 높았고, 충
Figure kpo00012
방전 싸이클에 따른 용량 감소가 비교적 적어 싸이클 특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2]
1M의 리튬 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LiPF6), 에틸렌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부피비로 2:1)를 액체 전해액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를 2.5 내지 4.3V 범위 내에서 0.25 mA/
Figure kpo00013
의 전류 밀도로 충1W방전하여 제3도와 같은 방전 곡선을 얻었다. 전지 용량은 20.1 mah(5.0mAh/
Figure kpo00014
)로 매우 높았다.
[실시예 3]
1M의 리튬 테트라플르오르보레이트(LiBF4), 에틸렌카보네이트/디에틸카보네이트(부피비로 1:1)를 액체 전해액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를 2.5 내지 4.3V 범위 내에서 0.2 mA/
Figure kpo00015
의 전류 밀도로 충
Figure kpo00016
방전한 결과 11.9 mAh(3.0 mAh/
Figure kpo00017
)의 전지용량을 얻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 가소제 및 공용매로 이루어진 복합 음극 슬러리로부터 제조된 음극 필름을 구리 그물망(Cu extended metal)양면에 라미네이팅하고; 상기 라미네이팅된 복합 음극을 용매에 침지시켜 가소제를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복합 음극을 전해액에 침적시켜 복합 음극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계 복합 음극의 제조방법.
  2.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 가소제 및 공용매로 이루어진 복합 양극 슬러리로부터 제조된 양극 필름을 알루미늄 그물망(Al extended metal) 양면에 라미네이팅하고; 상기 라미네이팅된 복합 양극을 용매에 침지시켜 가소제를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복합 양극을 전해액에 침적시켜 복합 양극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복합 양극의 제조방법.
  3.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 가소제 및 공용매로 이루어진 복합 음극 슬러리로부터 제조된 음극 필름용 구리 그물망(Cu extended metal) 양면에 라미네이팅하고; 상기 라미네이팅된 복합 음극을 용매에 침지시켜 가소제를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복합 음극을 전해액에 침적시켜 복합 음극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로 제조된 활성화된 복합 음극; 고분자 매트릭스, 리튬염과 비양자성 용매로 구성되는 액체 전해액, 및 세라믹 필러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해질 슬러리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필름; 및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 가소제 및 공용매로 이루어진 복합 양극 슬러리로부터 제조된 양극 필름을 알루미늄 그물망(Al extended metal) 양면에 라미네이팅하고; 상기 라미네이팅된 복합 양극을 용매에 침지시켜 가소제를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복합 양극을 전해액에 침적시켜 복합 양극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로 제조된 활성화된 복합 양극; 을 라미네이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의 고분자 매트릭스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 공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이 리튬 퍼클로로레이트, 리튬 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 리튬 테트라플루오르보레이트, 리튬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포네이트 및 리튬 헥사플루오르아세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양자성 용매가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에톡시 에탄, 디메톡시 에탄 및 디프로필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필러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리튬 알루미네이트, 제올라이트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양극에 사용된 양극 활물질이 LiMn2O4, LiCoO2, LiNiO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음극에 사용된 음극 활물질이 페트롤늄 콕(petroleum coke), 마이크로비드 카본콕(microbead carbon coke), 합성 그레파이트(sythetic graphite), 천연 그레파이트(natural graphi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19970039079A 1997-08-16 1997-08-16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0220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79A KR100220449B1 (ko) 1997-08-16 1997-08-16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US09/126,487 US6268087B1 (en) 1997-08-16 1998-07-30 Method of preparing lithium ion polymer battery
JP10218944A JP3080227B2 (ja) 1997-08-16 1998-08-03 リチウムイオン高分子二次電池の製造方法
CA002245048A CA2245048C (en) 1997-08-16 1998-08-14 Method of preparing lithium ion polymer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79A KR100220449B1 (ko) 1997-08-16 1997-08-16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509A KR19990016509A (ko) 1999-03-05
KR100220449B1 true KR100220449B1 (ko) 1999-09-15

Family

ID=1951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079A KR100220449B1 (ko) 1997-08-16 1997-08-16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68087B1 (ko)
JP (1) JP3080227B2 (ko)
KR (1) KR100220449B1 (ko)
CA (1) CA224504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627B1 (ko) * 2000-05-17 2002-08-23 한국과학기술원 가교화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428971B1 (ko) * 1999-04-21 2004-04-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폴리머 2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6464B2 (ja) * 1997-09-30 2007-12-05 ソニー株式会社 ゲル電解質二次電池
DE19952335B4 (de) * 1999-10-29 2007-03-2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In elektrochemischen Bauelementen verwendbare pastöse Masse, damit gebildete Schichten, Folien, Schichtverbünde und wiederaufladbare elektrochemische Zell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Schichten, Folien und Schichtverbünde
JP3611765B2 (ja) * 1999-12-09 2005-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EP1205998A2 (de) * 2000-11-10 2002-05-15 MERCK PATENT GmbH Elektrolyte
US6737193B2 (en) 2001-12-20 2004-05-18 Im&T Research, Inc. Tetraketopiperazine unit-containing compound as an active material in batteries
US7615314B2 (en) * 2004-12-10 2009-11-10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de structur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such electrode structure
US8883354B2 (en) 2006-02-15 2014-11-11 Optodot Corporation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20080070104A1 (en) * 2006-09-19 2008-03-20 Caleb Technology Corporation Forming Polymer Electrolyte Coating on Lithium-Ion Polymer Battery Electrode
US20080070103A1 (en) * 2006-09-19 2008-03-20 Caleb Technology Corporation Activation of Anode and Cathode in Lithium-Ion Polymer Battery
US20080070108A1 (en) * 2006-09-19 2008-03-20 Caleb Technology Corporation Directly Coating Solid Polymer Composite Having Edge Extensions on Lithium-Ion Polymer Battery Electrode Surface
US7527894B2 (en) 2006-09-19 2009-05-05 Caleb Technology Corporation Identifying defective electrodes in lithium-ion polymer batteries
KR102170047B1 (ko) 2008-08-05 2020-10-27 시온 파워 코퍼레이션 전기화학 셀에서 힘의 적용
WO2010138176A1 (en) 2009-05-26 2010-12-02 Steven Allen Carlson Batteries utilizing electrode coatings directly on nanoporous separators
KR101309161B1 (ko) * 2009-11-17 2013-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고분자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049826B1 (ko) 2009-11-23 2011-07-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3444867B1 (en) 2010-07-19 2020-03-25 Optodot Corporation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EP2721665B1 (en) 2011-06-17 2021-10-27 Sion Power Corporation Plating technique for electrode
JP2016517161A (ja) 2013-04-29 2016-06-09 マディ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熱伝導率を高めたナノ多孔質複合セパレータ
US10381623B2 (en) 2015-07-09 2019-08-13 Optodot Corporation Nanoporous separators for batteri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FR3042914B1 (fr) * 2015-10-21 2017-11-17 Renault Procede de fabrication d'un accumulateur du type lithium-ion
DE102018112637A1 (de) 2018-05-25 2019-11-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ithiumanod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4118701A1 (en) 2020-03-13 2023-01-18 Sion Power Corporation Application of pressure to electrochemical devices including deformable solids, and relate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0741A (en) 1993-03-05 1996-07-30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Lithium secondary battery extraction method
US5491041A (en) 1994-10-14 1996-02-13 Eic Laboratories, Inc. Solid-state secondary batteries with graphite anodes
US5928391A (en) * 1995-05-08 1999-07-27 Ultralife Batteries, Inc. Extraction for porosity in polymer cells
US5894656A (en) * 1997-04-11 1999-04-20 Valence Technology, Inc. Methods of fabricating electrochemical cells
US6020087A (en) * 1998-01-30 2000-02-01 Valence Technology, Inc. Polymer electrolytes containing lithiated fill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71B1 (ko) * 1999-04-21 2004-04-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폴리머 2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349627B1 (ko) * 2000-05-17 2002-08-23 한국과학기술원 가교화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조성물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68087B1 (en) 2001-07-31
CA2245048A1 (en) 1999-02-16
CA2245048C (en) 2002-08-13
JP3080227B2 (ja) 2000-08-21
KR19990016509A (ko) 1999-03-05
JPH11111338A (ja) 199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449B1 (ko) 리튬 이온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EP1307934B1 (en) Particulate electrode including electrolyte for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7279251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super fine fibrous polymer separator film and its fabrication method
CN114024034B (zh) 一种电池
CN109704302B (zh) 一种磷掺杂多孔碳材料及其制备和在锂硫电池用涂层隔膜中的应用
CN103904291A (zh) 水系锂离子电池电极及其制备方法、水系锂离子电池
WO2002061872A1 (en) A multi-layered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2002015771A (ja) 非水電解質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1710900A (zh) 一种石墨烯基“磷酸亚铁锂正极-硅氧复合负极”低温高倍率高能量密度的锂离子电池
CN114024035B (zh) 一种电池
JP2001210377A (ja) 高分子電解質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リチウム二次電池
CN114024099A (zh) 一种电池
WO2015132845A1 (ja) 全固体電池
CN116895842A (zh) 一种锂离子电池及其应用
WO2001089023A1 (e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super fine fibrous polymer electrolyte and its fabrication method
KR100364965B1 (ko) 리튬이온 고분자 전지용 전극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의하여 얻어진 전극을 이용한 리튬이온 고분자 전지제조방법
CN114927749A (zh) 一种高性能聚合物/无机陶瓷复合固态电解质的制备方法
KR100324626B1 (ko) 젤형 고분자전해질을 이용한 복합전극과 이차전지 및 그제조방법
WO2001091222A1 (k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olymer electrolyte fabricated by a spray method and its fabrication method
KR20020002858A (ko) 리튬이온 고분자 전지 제조방법
KR100406076B1 (ko) 리튬이차 고분자 전지
CN113690486B (zh) 一种大容量全固态电池及其制备方法
KR100406075B1 (ko) 리튬이온 고분자 2차전지 제조방법
KR100361641B1 (ko) 폴리염화비닐과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가 블랜드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77161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ностью твердотельного аккумуля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