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164B1 - 지폐판별장치 - Google Patents

지폐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164B1
KR100220164B1 KR1019970017379A KR19970017379A KR100220164B1 KR 100220164 B1 KR100220164 B1 KR 100220164B1 KR 1019970017379 A KR1019970017379 A KR 1019970017379A KR 19970017379 A KR19970017379 A KR 19970017379A KR 100220164 B1 KR100220164 B1 KR 10022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lor plate
high sensitivity
sensitivity color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215A (ko
Inventor
미츠히로 나가세
Original Assignee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시 이케베
Publication of KR19980079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05Testing spectral proper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1Apparatus characterised by sensor 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지폐판별장치는 지폐를 이동시키는 지폐이동통로를 따라서 제공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향해 빛을 방사하는 광원,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된 빛을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향해 반사하기 위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로부터 맞은편상에 지폐이동통로를 따라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제공된 반사 플레이트, 규정된 파장범위를 가지는 빛은 지나가고 다른 파장을 가지는 빛은 차단하기 위한 대역여파기, 그리고 반사 플레이트에 의해 반사되고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빛을 검지하기 위한 광센서를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된 지폐판별장치에 따라서,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부분에 투명한 부위를 가지는 지폐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지폐판별장치
본 발명은 지폐판별장치, 특히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부분에 투명한 부위를 가지는 지폐를 판별하기 위한 소형 지폐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투명한 시트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홀로그램을 가지는 지폐들이 지폐를 위조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발행되어지고 있다.
그러한 지폐들은 홀로그램을 사이에 끼운 투명한 시트의 두께를 검지함에 의해 판별될 수 있다. 그러나 투명한 시트의 두께가 광간섭법을 이용하여 검지되는 경우에 있어서, 광학시스템은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부피도 크기 때문에 그런 지폐판별장치로 제공되는 지폐취급기계는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부분에 투명한 부위를 가지는 지폐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한 소형 지폐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된, 그리고 그 외의 목적들은 지폐를 이동시키는 지폐이동통로를 따라서 제공되는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 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향해서 빛을 방사하기 위한 광원,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된 빛을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향해서 반사하기 위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로부터 맞은 편상에 지폐이동통로를 따라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제공되는 반사부재, 그리고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되고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빛을 검지하기 위한 광검지수단을 포함하는 지폐판별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된 그리고 그 외의 목적들은 또한 지폐를 이동시키는 지폐이동통로를 따라서 제공되는 제1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향하여 빛을 방사하기 위한 광원, 제1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로부터 맞은편상에 지폐이동통로를 따라서 제공되는 제2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 그리고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되고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빛을 검지하기 위한 광검지수단을 포함하는 지폐판별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면에 있어서 광검지수단은 분광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일면에 있어서 광검지수단은 빛의 약정된 파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대역여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된 그리고 그 외의 목적들과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의 다음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판별장치의 지폐판별부의 정면도,
도 2는 지폐가 판별부에 없을 때 광원으로부터 방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상에 입사하는 빛의 경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판별장치에 의해 판별되는 지폐의 투시도,
도 4는 광원으로부터 방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상에 입사하고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에 의해 이중으로 굴절되어 지폐에 형성된 투명한 시트를 통해 전달되고 반사 플레이트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투명한 시트를 통해 지나가고 그리고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상에 입사하는 빛의 경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판별장치의 검지 및 판별 시스템의 블록선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판별장치의 지폐판별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판별장치의 지폐판별부의 정면도.
도 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지폐판별장치(1)는 지폐를 이동시키는 지폐이동통로(2) 위에 지폐이동통로(2)의 이동표면에 평행하게 제공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향해 빛을 방사하기 위한 광원(4), 지폐이동통로(2)의 수송표면과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에 평행하게 제공된 반사 플레이트(5), 지폐이동통로(2)에 대하여 광원(4)쪽에 제공된 광센서(6), 그리고 광센서(6)의 전면에 제공된 대역여파기(7)를 포함한다.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는 광학이방성을 가지는 결정 플레이트이며, 또한 이중굴절에 의해 두 개의 굴절광으로 입사백색광을 분리하는 성질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축결정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가 사용되기 때문에, 굴절된 빛중 하나는 그 전파방향, 주평면에 수직인 유전변위의 진동방향에 따라서 속도가 변하지 않고, 반사의 법칙이 적용될 수 있는 정상광선이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그 전파방향, 주평면에서의 유전변위의 진동방향에 따라서 속도가 변하고, 반사의 법칙이 적용될 수 없는 비정상 광선이다.
도 2는 지폐(B)가 지폐(B)의 판별부에 없을 때 고감도 칼라프레이트(3)상에 입사하는,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향해 광원(4)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경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4)으로부터 방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상에 입사한 빛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에 의해 이중으로 굴절되어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으로 분리된다. 이 때에 광경로차는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 사이에서 기인한다.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은 지폐이동통로(2)의 이동표면과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에 평행하며 지폐이동통로(2) 아래에 제공되는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다르게 반사되고, 그리고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7)상에 입사된다.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 사이의 광경로차 때문에 그들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될 때 광선은 서로 간섭하고, 그리고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은 광경로차에 따라 채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판별장치(1)에 의해 판별되어지는 지폐(B)의 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B)는 지폐를 위조하는 것을 막기 위해 투명한 시트(8)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홀로그램(9)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4는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상에 입사하여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에 의해 이중으로 굴절되고, 지폐(B)에 형성된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되고,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되고 그리고 고감도 플레이트(3)상에 입사하는, 광원(4)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경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2와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에 의해 이중으로 굴절됨으로써 생성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상에 입사하는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 사이의 광경로차는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이 지폐(B)의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됨없이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상에 입사하는 경우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이 지폐(B)의 투명한 시트(8)를 관통하여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지폐(B)의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되어 또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상에 입사하는 경우와의 사이에서 달라진다.
결과적으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다시 전달되어진 빛의 색은 지폐(B)의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되어지지 않은 경우와 빛이 지폐(B)의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되어지는 경우와의 사이에서 달라진다. 나아가서, 만약 지폐(B)의 투명한 시트(8)의 두께가 다르다면, 비록 빛이 지폐(B)의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이중으로 전달된다고 하더라도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의 색은 다르다. 게다가 만약 투명한 시트(8)가 지폐(B)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에 의한 이중반사에 의해 생성되는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이 지폐(B)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상에 입사되기 때문에,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의 색은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된 빛의 색과 다르다.
본 발명의 지폐판별장치(1)는 이 현상, 즉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의 색(파장)이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 사이의 광경로차에 의해 달라진다는 것을 이용하여 지폐(B)를 판별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센서(6)의 전면에 배치된 대역여파기(7)는 진짜지폐(B)의 투명한 시트(8)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통해 이중으로 지나가는 빛을 전달하도록,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고 투명한 시트를 통해 전달됨없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을 부분적으로 전달하고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그리고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나머지 입사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명확하게, 진짜지폐(B)에 제공된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되어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된 빛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될 때, 빛은 투명한 시트(8)의 두께에 따라 채색된다. 대역여파기(7)는 이 색깔, 즉 이 색깔에 상응하는 파장을 가지는 빛이 관통하도록 한다. 지폐(B)가 없고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됨없이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된 빛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될 때, 빛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와 반사 플레이트(5) 사이의 간격에 따라 채색된다. 대역여파기(7)는 이 색깔, 즉 이 색깔에 상응하는 파장을 가지는 빛을 부분적으로 전달하고 부분적으로 차단한다.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고 투명한 시트(8)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홀로그램(9) 없이 형성된 지폐(B)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될 때, 그것에 의해 빛이 채색되고, 또는 그것의 두께가 진짜지폐(B)에 형성된 투명한 시트(8)의 두께와 다른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된 빛이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지나가고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될 때, 대역여파기(7)는 이 빛을 전달하지 않고 차단한다. 그러므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다시 전달되고 채색된 그리고 대역여파기(7)상에 입사하는 빛이 대역여파기를 통해 지나가고, 또는 그 파장에 따라 대역여파기(7)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차단되기 때문에, 광센서(6)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빛의 양에 따라 지폐(B)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판별장치(1)의 검지와 판별시스템의 블록선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판별장치(1)의 검지시스템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다시 전달되고 대역여파기(7)를 통해 전달된 빛을 검지하기 위한 광센서(6)를 포함한다. 지폐판별장치(1)의 판별시스템은 지폐판별장치(1)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CPU(10), 제어프로그램 및 참고데이타와 같은 것들을 저장하기 위한 ROM(11), 그리고 광센서(6)로부터의 검지신호에 따라 지폐(B)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회로(12)를 포함한다. ROM(11)은 제1 한계값(T1)과 제2 한계값(T2)을 저장한다. 제1 한계값(T1)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고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됨없이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채색되고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보다 낮게끔 결정된다. 제2 한계값(T2)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고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됨없이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채색되고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보다 높고, 그리고 진짜지폐(B)에 형성된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고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보다는 낮게끔 결정된다. 그러므로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을 가지고 ROM(11)으로부터 읽혀져 나가는 제1 한계값(T1)과 제2 한계값(T2)을 비교함에 의해, 판별회로(12)는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이 제1 한계값(T1)을 초과하나 제2 한계값(T2)보다는 작을 때 지폐(B)가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이 제2 한계값(T2)을 초과할 때 지폐(B)가 진짜인 것으로 판별하고, 그리고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이 제1 한계값(T1)보다 낮을 때 지폐(B)가 위조된 것이거나 외국의 지폐인 것으로, 또는 두장 혹은 그 이상의 지폐(B)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겹쳐진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지폐판별장치(1)는 다음의 방법으로 지폐(B)를 판별한다.
지폐(B)가 없는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4)으로부터 방사된 백색광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에 들어가서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으로 분리되어 이중으로 굴절된다.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은 지폐이동통로(2)의 아래에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에 평행하게 배치된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된 빛은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에 들어가서 그것을 통해 지나가고, 그것에 의해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 사이의 광경로차에 따라 채색되어 대역여파기(7)상에 입사된다. 대역여파기(7)는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어 투명한 시트를 통해 전달됨없이 채색된 빛의 파장을 부분적으로 전달하고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의 일부는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다. 검지신호가 광센서(6)로부터 입력될 때, 판별회로(12)는 제1 한계값(T1)과 제2 한계값(T2)을 읽어내어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과 그것들을 비교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한계값(T1)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고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됨없이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채색되고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보다 낮게끔 결정되고, 그리고 제2 한계값(T2)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고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됨없이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채색되고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보다 높고, 그리고 진짜지폐(B)에 형성된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고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보다는 낮게끔 결정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 광센서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은 제1 한계값(T1)을 초과하고 제2 한계값(T2)보다는 작기 때문에, 판별회로(12)는 지폐(B)가 없는 것으로 판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짜지폐(B)에 형성된 홀로그램(9)을 사이에 끼운 투명한 시트(8)가 지폐판별부에 도달했을 때, 광원(4)으로부터 방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상에 입사하고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으로 분리되도록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에 의해 이중으로 굴절된 백색광은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지나가고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대역여파기(7)는 진짜지폐(B)에 제공된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고 그로 인해 채색되는 빛의 파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지폐(B)의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이중으로 전달되는 빛은 광센서(6)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검지신호가 광센서(6)로부터 입력될 때, 판별회로(12)는 제1 한계값(T1)과 제2 한계값(T2)을 읽어내어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과 그것들을 비교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한계값(T1)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고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됨없이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채색되고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보다 낮게끔 결정되고, 그리고 제2 한계값(T2)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고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됨없이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채색되고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보다 높고, 그리고 진짜지폐(B)에 형성된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고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보다는 낮게끔 결정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 광센서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은 제2 한계갑(T2)을 초과하기 때문에, 판별회로(12)는 진짜지폐(B)가 검지되는 것으로 판별한다.
반면에 투명한 시트(8)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홀로그램(9)없이 형성된 위조지폐나 혹은 외국지폐(B)가 수송되는 경우, 또는 두장 혹은 그 이상의 부분적으로 겹쳐진 지폐(B)가 지폐판별부로 수송되는 경우에, 광원(4)으로부터 방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된 빛은 지폐(B)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가고, 그것에 의해 채색된다. 비록 채색된 빛이 대역여파기(7)상에 입사하더라도, 대역여파기(7)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광센서는 어떤 빛도 받아들이지 않거나 또는 약간의 빛을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되는 빛의 양은 제1 한계값(T1)보다 낮다. 그러므로 판별회로(12)는 가짜지폐(B)가 검지된 것으로, 또는 두장 혹은 그 이상의 지폐(B)가 부분적으로 겹쳐져서 수송되는 것으로 판별한다.
나아가서 투명한 시트(8)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홀로그램(9)을 가지고 형성된 위조지폐, 외국지폐, 또는 이와 비슷한 것들과 같은 가짜지폐(B)가 수송되거나 또는 두장 혹은 그 이상의 지폐가 완전히 겹쳐져서 수송되는 경우에, 광원(4)으로부터 방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은 지폐(B)의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지나가고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된 빛은 투명한 시트(8)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가고, 그것에 의해 채색되며, 대역여파기(7)상에 입사된다. 그러나 만약 투명한 시트(8)의 두께가 진짜지폐(B)의 두께와 같지 않다면,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 사이의 광경로차는 진짜지폐(B)의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이중으로 지나가는 빛에 의해 생성되는 광경로차와 다르다. 결과적으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의 파장은 진짜지폐(B)의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된 빛의 파장과 다르다. 그러므로 빛은 대역여파기(7)에 의해 차단되고, 광센서는 어떤 빛도 받아들이지 않거나 또는 약간의 빛을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되는 빛의 양은 제1 한계값(T1)보다 낮다. 그러므로 판별회로(12)는 가짜지폐(B)가 검지된 것으로, 또는 두장 혹은 그 이상의 지폐(B)가 완전하게 겹쳐져서 수송되는 것으로 판별한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규정된 두께를 가지는 투명한 시트(8)가 지폐(B)에 제공되든 아니든간에 지폐(B)는 단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사용한 검지에 의해서 판별된다. 그러므로 광간섭법을 이용하여 투명한 시트의 두께를 검지하기 위한 지폐판별장치의 크기와 비교해서 본 지폐판별장치(1)의 크기는 두드러지게 줄어들 수 있다. 나아가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가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 사이의 광경로차에 따라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의 색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폐(B)는 정확하게 판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판별장치의 지폐판별부의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판별장치(1)는 반사 플레이트(5) 대신에 제2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23)를 가지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대역여파기(7)와 광센서(8)는 지폐이동통로(2)에 대해 광원(4) 반대편에 배치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광센서(6)의 전면에 제공된 대역여파기(7)는 광원(4)으로부터 방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으로 분리되고 제2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23)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채색된 빛의 파장을 부분적으로 전달하고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대역여파기(7)는 또한 광원(4)으로부터 방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으로 분리되고 진짜지폐(B)의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지나가서 제2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23)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채색된 빛의 파장은 전달하나, 다른 파장의 빛은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서 ROM(11)에 저장된 제1 한계값(T1)은 광원(4)으로부터 방사되어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으로 나누어지도록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가고 지폐(B)의 투명한 시트를 통해 전달되어짐없이 제2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23)를 통해 지나가서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채색되고 검지되는 빛의 양보다 낮게 결정된다. 제2 한계값(T2)은 광원(4)으로부터 방사되어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으로 나누어지도록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가고 지폐(B)의 투명한 시트를 통해 전달되어짐없이 제2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23)를 통해 지나가서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채색되고 검지되는 빛의 양보다는 높고 그리고 광원(4)으로부터 방사되어 정상광선(X)과 비정상광선(Y)으로 나누어지도록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가고 진짜지폐(B)에 형성된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지나가서 제2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23)를 통해 지나가고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채색되고 검지되는 빛의 양보다는 낮게 결정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라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비슷하게, 판별회로(12)는 광센서(6)로부터 입력된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제1 한계값(T1)과 제2 한계값(T2)을 가지고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을 비교함에 의해 지폐(B)를 판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판별장치의 지폐판별부의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 지폐판별장치(1)는 광센서(6) 대신에 분광계(30)가 제공되고 대역여파기(7)가 제공되지 않은 점에서 도 1 내지 5에 도시된 것과 다르다.
나아가서 ROM(11)은 투명한 시트(8)와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어 분광계(3)에 의해 채색되고 검지된 빛의 파장, 투명한 시트를 통해 전달되어짐없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어 분광계(30)에 의해 채색되고 검지된 빛의 파장, 그리고 지폐(B)에 의해 반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된 빛의 파장과 투명한 시트(8)의 두께 사이의 관계를 지시함에 앞서서 실험적으로 결정된 참고 데이타를 저장한다. 판별회로(12)는 분광계(30)에 의해 검지된 빛의 파장에 따라 ROM(11)에 저장된 참고 데이타를 읽어내도록, 그리고 지폐(B)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투명한 시트(8)가 지폐(B)에 제공되는지 아닌지, 지폐(B)의 두께, 그리고 두장 혹은 그 이상의 지폐가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겹쳐져서 수송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함에 의해 지폐(B)에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지폐(B)는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다시 전달된 빛의 파장을 검지함에 의해, 그리고 지폐(B)에 제공된 투명한 시트(8)의 두께를 결정함에 의해 판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폐(B)를 좀더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어졌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결코 설명된 배치의 세부사항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개량과 변경이 부가된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남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질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서 제1 한계값(T1)과 제2 한계값(T2)이 ROM(11)에 저장되고 그리고 지폐(B)의 실재와 진품여부가 판별된다. 그렇지만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전달되어 투명한 시트(8)를 통해 전달됨없이 반사 플레이트(5)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3)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채색되어 대역여파기(7)를 거쳐 광센서(6)에 의해 검지된 빛의 양보다 낮게 결정된 하나의 한계값(T)을 ROM(11)에 저장하여서, 그 한계값(T)보다 높은 빛의 양이 규정된 시한보다 긴 시한에 대해 검지될 때 지폐(B)가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그리고 한계값(T)보다 높은 빛의 양이 규정된 시한보다 짧은 시한에 대해 검지될 때 진자 지폐(B)가 검지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서 도 7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서, 비록 분광계(30)가 지폐이동통로(2)에 대해 광원(4)쪽에 배치되지만,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슷하게 제2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23)를 제공하고 지폐이동통로(2)에 대해 광원(4)의 반대편에 분광계(3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군다나 본 명세서와 청구항에서, 각각의 부재는 물리적인 부재의 배치가 필연적으로 필요하지는 않으며 그것에 의하여 각각의 부재의 기능은 본 발명의 범위속에 포함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게다가 단일부재의 기능은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리고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부재의기능은 하나의 물리적인 부재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부분에 투명한 부위를 가지는 지폐를 판별할 수 있는 소형 지폐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지폐판별장치에 있어서, 지폐를 이동시키는 지폐이동통로를 따라 제공된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향해 빛을 방사하는 광원,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된 빛을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향해 반사하기 위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로부터 맞은편상에 있는 지폐이동통로를 따라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제공된 반사부재, 그리고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된 빛을 검지하기 위한 광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광검지수단은 분광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광검지수단은 소정된 빛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대역여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별장치.
  4. 지폐판별장치에 있어서, 지폐를 이동시키는 지폐이동통로를 따라 제공된 제1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향해 빛을 방사하는 광원, 제1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로부터 맞은편상에 있는 지폐이동통로를 따라서 제공된 제2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 그리고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되어 고감도 칼라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된 빛을 검지하는 광검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광검지수단은 분광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별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광검지수단은 소정된 빛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대역여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별장치.
KR1019970017379A 1996-06-10 1997-05-07 지폐판별장치 KR100220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772896 1996-06-10
JP96-147728 1996-06-10
JP09082297A JP3469038B2 (ja) 1996-06-10 1997-04-09 紙幣判別装置
JP97-90822 1997-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215A KR19980079215A (ko) 1998-11-25
KR100220164B1 true KR100220164B1 (ko) 1999-09-01

Family

ID=2643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379A KR100220164B1 (ko) 1996-06-10 1997-05-07 지폐판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96192A (ko)
EP (1) EP0813172B1 (ko)
JP (1) JP3469038B2 (ko)
KR (1) KR100220164B1 (ko)
CN (1) CN1123850C (ko)
DE (1) DE69709243T2 (ko)
TW (1) TW3309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7789B1 (en) 2001-03-20 2004-08-17 Amkor Technology, Inc. Mounting for a package containing a c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8568A1 (de) * 2002-08-22 2004-03-04 Giesecke & Devrient Gmbh Vorichtung und Verfahren zur Untersuchung der Lumineszenzeigenschaften von Dokumenten
JP4366104B2 (ja) * 2003-04-17 2009-11-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判別装置
JP4062694B2 (ja) * 2003-04-23 2008-03-19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838794B1 (ko) * 2006-12-01 2008-06-17 주식회사 엠비젼 위조방지용 검사기
GB0702191D0 (en) * 2007-02-05 2007-03-14 Innovative Technolog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Banknote Validation
GB0807668D0 (en) * 2008-04-28 2008-06-04 Innovia Films Ltd Method of authenticating a polymer film
CN103530931B (zh) * 2012-07-05 2016-01-20 深圳市创自技术有限公司 一种反射式光学检测装置
GB2506936A (en) * 2012-10-15 2014-04-16 Innovia Films Ltd Birefringence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4130644A1 (en) * 2013-02-25 2014-08-28 Mei, Inc. System to process a valuable document
CN104392538A (zh) * 2014-10-31 2015-03-04 苏州保瑟佳货币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有价证券的胶带检测装置及方法
JP7134435B2 (ja) * 2019-03-14 2022-09-12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葉類検知装置、紙葉類検知方法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977A (en) * 1972-01-18 1975-01-07 Canadian Patents Dev Optical interference authenticating means
US4526466A (en) * 1983-09-01 1985-07-02 Rca Corporation Technique for verifying genuineness of authenticating device
US4832445A (en) * 1986-05-16 1989-05-23 American Bank Note Holographics, Inc. Security diffraction devices difficult to exactly duplicate
DE4002979A1 (de) * 1990-02-01 1991-08-08 Gao Ges Automation Org Wertpapier mit optisch variablem sicherheitselement
JPH04164749A (ja) * 1990-10-30 1992-06-10 Glory Ltd 紙葉類の重送検出装置
DE59208542D1 (de) * 1991-10-14 1997-07-03 Mars Inc Einrichtung zum optischen Erkennen von Dokument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7789B1 (en) 2001-03-20 2004-08-17 Amkor Technology, Inc. Mounting for a package containing a c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69038B2 (ja) 2003-11-25
JPH1063915A (ja) 1998-03-06
EP0813172A1 (en) 1997-12-17
CN1123850C (zh) 2003-10-08
CN1170916A (zh) 1998-01-21
DE69709243T2 (de) 2002-06-06
US5896192A (en) 1999-04-20
DE69709243D1 (de) 2002-01-31
EP0813172B1 (en) 2001-12-19
TW330921B (en) 1998-05-01
KR19980079215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164B1 (ko) 지폐판별장치
US5515960A (en) Coin sensing apparatus
AU2018203420B2 (en) System to process a valuable document
US6018164A (en) Transparency sensors
JP4669221B2 (ja) 文書評価装置サブアッセンブリ
JPH07113985B2 (ja) 紙幣識別方法
AU2002327420A1 (en) Document validator subassembly
JPH1074276A (ja) 紙幣または有価証券の判別装置
KR200199843Y1 (ko) 적외선투과 어레이 모듈을 이용한 위폐감지장치
KR200285318Y1 (ko) 적외선을 이용한 위조지폐 감식장치
US6441891B1 (en) System for detecting a foreign object attached to a bill passing through a bill validator
WO2012039108A1 (ja) 紙葉類識別装置
JP2742360B2 (ja) 貨幣パターン検出装置
JPH1097663A (ja) 紙葉類識別装置
EP3660544B1 (en) Medium passage detection device and pair of medium passage detection devices
JPS60117116A (ja) 光センサ
GB2376788A (en) Bill validator having bill detection device
JPH09190561A (ja) 紙幣の真贋判定装置
JPH0793634A (ja) 紙幣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