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809B1 - 배력기와 합체된 급송장치를 갖춘 클램프 요소 - Google Patents

배력기와 합체된 급송장치를 갖춘 클램프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809B1
KR100219809B1 KR1019920006422A KR920006422A KR100219809B1 KR 100219809 B1 KR100219809 B1 KR 100219809B1 KR 1019920006422 A KR1019920006422 A KR 1019920006422A KR 920006422 A KR920006422 A KR 920006422A KR 100219809 B1 KR100219809 B1 KR 100219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member
clamp
actuation
housing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089A (ko
Inventor
토마스쇼이블린
하인리히베르히톨드
Original Assignee
뤼에그 한스 제이., 뷔르텔레 아돌프
그레쎌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뤼에그 한스 제이., 뷔르텔레 아돌프, 그레쎌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뤼에그 한스 제이., 뷔르텔레 아돌프
Publication of KR92002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183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conveying only reciprocating motion, e.g.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25B1/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with mechanical or hydraulic powe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Amplifier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배력기와 합체된 급송장치를 갖춘 클램프요소
클램프요소는 배력기와 합체된 급송장치를 포함한다. 배력기는 외측나사부(3)를 통해 하우징(1)의 암나사부(4)내에 결합되는 회전가능한 이송 슬리브(2)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클램프 부재(5)는 고정되며, 제2클램프 부재(11)는 이송 슬리브(2)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된다. 두 개의 조임용 핀(13)은 두 클램프 부재(5, 11)간에 배치된다. 조임용 핀(13)은 이송 슬리브 축(A)에서 최단거리(a) 떨어져 제2클램프 부재(11)상에 지지된다. 작동 및 인장봉(10)은 제1클램프 부재의 중앙구멍을 관통하거나 제1클램프 부재(5)의 정반대로 배치되는 두 개의 폭방향 구멍(9)을 관통한다. 폭방향 구멍은 이송 슬리브(2)의 원주방향으로 충분히 커서, 이송 슬리브(2)에 대해 작동 및 인장봉(10)이 제한된 범위로 회전할 수 있고 제1클램프 부재(5)에 대해 제2클램프 부재(11)가 충분히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작동 및 인장봉(10)이 조임방향으로 선회하면, 먼저 이송 슬리브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내로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제1도)

Description

배력기와 합체된 급송장치를 갖춘 클램프요소
제1도는 제2도의 Ⅱ-Ⅱ선에 따른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및 부분적으로 제5도의 Ⅱ-Ⅱ선에 따른 해제상태의 클램프요소의 횡단면도.
제3도는 조임상태에서의 클램프요소의 횡단면도.
제4도는 제5도의 Ⅳ방향에서의 클램프요소의 단면도(端面圖) 및 Ⅳ-Ⅳ선에 따른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에 따른 부분단면도.
제6도는 중공 인장봉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2실시예의 종단면도.
제8도는 인장봉의 종단면도.
제9도는 내지 제11도는 제8도의 IX-IX, Ⅹ-Ⅹ 및 XI-XI선에 따른 인장봉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이송 슬리브
3 : 외측나사부 4 : 암나사부
5, 11 : 클램프 부재 9 : 폭방향 구멍
10 : 작동 및 인장봉 13 : 조임용 핀
본 발명은, 배력기 및 배력기를 둘러싸고 하우징에 대한 회전운동이 정지면에 의해 제한되는 회전이송 슬리브와 합체되며, 배력기를 둘러싸는 하우징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외측나사부와, 이송슬리브내에 고정배치되는 제1클램프 부재와, 이송 슬리브내에서 제한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제2클램프 부재와, 클램프 부재간에 배치되고 제2클램프 부재의 일단부 위치(해제위치)에서 이송 슬리브를 지나는 평면에 90도 이하의 각으로 경사지고 제2 클램프 부재의 타단부 위치(결합위치)에서 이 편면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조임용 핀과, 두 클램프 부재를 서로를 향해 편향시키는 압축 스프링과, 제1클램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인장상태로 급회전가능하게 제2클램프 부재에 연결됨으로써 조여진 상태에서 회전하는 경우 하우징과 작동 및 인장봉에 대해 이송 슬리브를 회전시키고 제1클램프 부재에 대해 제2클램프 부재를 회전시켜 이송 스트로크 및 후속하는 조임 스트로크에서 축방향으로 구동하여 하우징내로 삽입되어 조임용 핀을 평면을 평행한 결합위치에 놓이게 하는 작동 및 인장봉을 갖춘 급송장치를 포함하는 클램프요소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클램프요소(예를들어 독일특허 제 4 018 284 호)에 있어서, 인장봉은 제1 및 제2클램프 부재의 중앙을 관통하고 가로핀에 의해 이에 연결된다. 조임용 핀은 클램프 부재상에서 인장봉의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지지된다. 작동 및 인장봉에 의해 제1클램프 부재에 대해 제2클램프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임용핀은 이송 슬리브 축에 대해 경사진 위치로부터 그 위치가 바로 잡힌다. 즉, 이송 슬리브 축에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한 결합위치에 놓이게 된다. 결합력은 이에 의해 매우 증가되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여 그 축 둘레로 작동 및 인장봉을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큰 토오크가 필요하게 된다. 한정된 형태의 클램프 요소가 주로 사용되는 소형 머신 바이스 또는 급속 클램프장치의 경우, 조임을 통해 작동 및 인장봉을 복귀시키는데 필요한 토오크는 수동레버를 사용하여 작동 및 인장봉을 복귀시킬 수 있는 범위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결합력이 40 kN인 대형 머신 바이스 또는 클램프장치의 경우, 작동 및 인장봉을 복귀시키는데 필요한 토오크는 매우 커서 클램프장치의 수동으로는 더 이상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거나 작동레버가 길어지게 되어 클램프장치의 부근에서 부분적으로 부딪히게 된다. 한정된 형태의 클램프요소에서, 이송스트로크 및 조임 스트로크에 필요한 작동 및 인장봉의 회전은 가능한 한 180도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순하고 편리한 수동동작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작동 및 인장봉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오크가 가능한 한 작은, 앞서 언급한 형태의 배력기와 합체되는 급송장치를 포함하는 클램프요소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임용 핀은 이송 슬리브 축에서 가능한 한 최단거리로 떨어져 제2클램프 부재상에서 지지되고, 작동 및 인장봉은 제1클램프 부재의 중앙구멍 또는 제1클램프 부재의 두 개의 정반대로 배치된 폭방향 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폭방향 구멍은 이송 슬리브의 외주방향으로 충분히 커서 이송슬리브에 대한 작동 및 인장봉을 제한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1클램프 부재에 대해 제2클램프 부재가 충분히 회전할 수 있게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신규의 클램프요소에서 조임용 핀은 동시에 클램프요소의 중앙축이 되는 이송 슬리브 축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되는 제2클램프 부재상에 배열된다. 이 제2클램프 부재상에서 작동 및 인장봉이 직접 작동한다. 중앙 축과 제2클램프 부재상의 조임용 핀의 지지부간의 레버 아암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이를 통해, 작동 및 인장봉을 회전시켜 실제로 조임 스트로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토오크는 감소된다. 토오크가 감소되면, 결합력이 40kN 이상일지라도, 수동으로도 충분히 동작할 수가 있고 수동 레버의 길이는 허용가능한 범위내에 놓이게 되는 장점을 얻게 된다. 또한, 신규의 클램프요소에 있어서, 이송 스트로크 및 조임 스트로크를 수행하는데는 단지 180도 이하로 작동 및 인장봉을 회전시키면 된다.
특허청구의 범위의 종속항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클램프요소는 예를 들어 머신 바이스 또는 급속 클램프장치의 몸체에 끼워맞춤될 수 있고 회전 및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그에 고정되는 하우징(1)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내에서, 이송슬리브(2)는 제한된 상태호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송 슬리브(2)는 하우징(1)의 암나사부(4)에 결합되는 외측나사부(3)를 구비한다. 나사부(3, 4)는 나사산이 큰 나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외측나사부(3)는 Tr 52×10(mm)의 사다리꼴 나사이다. 즉 공칭직경 52mm에 10mm의 피치 또는 리드를 갖는다. 외측나사부(3)의 피치는 도시되지 않은 수동레버의 주어진 각도의 회전으로 얻을 수 있는 이송 또는 개방 스트로브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그리고 외측나사부는 항상 스스로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피치는 임의로 증가될 수 없다.
제1클램프 부재(5)는 이송 슬리브(2)내에 배치되며 이송 슬리브(2)에 대해 회전 및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이를 위해, 브리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클램프 부재(5)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슬리브(2)내의 반원형 리세브의 정반대의 단부와 결합함으로써 회전가능한 고정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핀(7)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제1클램프 부재(5)가 브리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두 개의 정반대의 구멍(9)은 두 측부의 경계면(8)과 이송 슬리브(2) 간에 형성된다. 작동 및 인장봉(10)은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구멍(9)을 관통한다. 이 중공 작동 및 인장봉(10)은 하우징(1) 밖으로 연장되는 반면, 하우징(1)내에 배치되는 외측단부(10b)는 제2클램프 부재(11)에 연결되고 회전되지 않도록 인장상태에서 고정된다. 제2클램프 부재(11)는 예시한 실시예에서 중공 작동 및 인장봉(10)과 일체로 형성되어 그 바닥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브리지 형상의 제1클램프 부재(5)의 영역에서, 두 정반대의 절단부(12)는 중공 작동 및 인장봉(10)의 벽내에 제공되고 원주방향으로 충분히 커서 작동 및 인장봉(10)이 이송 슬리브(2)에 대해 적어도 30도 회전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회전 자유도는 약 60도이다.
두 클램프 부재(5, 11)사이에는, 클램프요소의 이송 슬리브 축 또는 중앙축(A)의 두 측부상에 배열되고 상호 정반대로 배치되는 두 개의 조임용 핀(13)이 제공된다. 조임용 핀(13)은 각각 그 두단부에서 구형 컵(13a)을 구비하고 두 클램프 부재(5, 11)내에 배치되며, 이들 볼위에서 그 구형 컵(13a)에 의해 지지된다. 중요한 점은 적어도 제2클램프 부재(11)상의 볼(14)은 이송 슬리브 축(A)에서 최단거리(a) 떨어져 배열됨으로써 조임용 핀(13)의 지지가 가능한 한 이송 슬리브 축(A)에 근접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임 스트로크에서 이송 슬리브(2)에 대행 작동 및 인장봉(10)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오크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조임용 핀(13)은 그 단부에서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볼(14)이 필요없게 된다.
제1도에서, 클램프요소는 시작위치, 즉 해제위치에 놓인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볼(14)을 구비한 제2클램프 부재(11)는 원주방향으로 약 52도 가량 회전한다. 따라서, 조임용 핀(13)은 이송 슬리브 축(A)에 대해 90도 이하의 각도로 가로지르거나 경사지게 배열된다. 조임용 핀(13)은 제1도에서 이송 슬리브 축(A)에 평행한 위치, 즉 이해가 용이하도록 할 목적으로 조임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되는위치에 놓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작동 및 인장봉(10)에는, 내부로 압착된 캡(16)과 접촉하고 제1클램프 부재(5)상에 압착상태로 놓이는 압축 스프링(15)이 또한 배치된다. 따라서, 클램프 부재(5, 11)는 상호 압착된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17)이 각각의 클램프 부재(5, 11)에서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그 단부(17a, 17b)에 제공된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스톱과 함께 이 비틀림 스프링(17)으로 인해, 두 클램프 부재(5, 11)는 시작 및 해제 위치에서 정확히 한정된 회전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위치는 제2도에 대응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부(12)는 정지면으로서 제공되어 두 클램프 부재(5, 11)의 상호 회전을 제한하고 제1클램프 부재(5)의 측부 경계면(8)과 공동작용하는 축방향 연장 경계면(12a, 12b)을 구비한다. 제2도에 도시한 해제상태에서, 비틀림 스프링(17)은 경계면(12a)을 고정하여 경계면(8)과 접촉상태에 둔다.
또한, 이송 슬리브(2)는 90도 이상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18a, 18b)는 하우징(1)내에 고정된 정지 핀(19)과 공동작용하는 그루브(18)를 구비한다.
하우징(1) 밖으로 돌출되는 작동 및 인장봉(10)의 단부(10a)는 가로구멍(20)내에 결합되는 커플링 핀(도시안됨)에 의해 머신 바이스 또는 급속 클램프장치(도시안됨)의 구동 스핀들(21)에 연결되며, 여기서 구동 스핀들은 독일특허 제 4 018 284 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게 이동 조(jaw) 상에서 작용하는 작동 및 인장봉을 나타낸다. 따라서, 작동 및 인장봉(10)은 본 발명에 따라 클램프요소에서 두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작동 및 인장봉은 하우징(1)내에서 이송슬리브(2)를 회전시키고, 클램프 부재(5, 11)를 상호 회전, 즉 클램프요소를 작동시킨다. 또한, 작동 및 인장봉은 클램프요소에 의해 발생된 결합력을 클램프장치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클램프요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그 위치가 H에 있는 것으로 도시어 있고 구동 스핀들(21)과 결합하고 있는 수동레버에 의해, 구동 스핀들(21) 및 작동 및 인장봉(10)은 회전가능하다. 클램프요소의 해제위치에서, 이송 슬리브(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에 대해 오른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정지면(18a)은 정지 핀(19)사에서 지지된다. 또한, 제2클램프 부재(11)는 오른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클램프 부재(11)에 고정 연결되는 작동 및 인장봉(10)의 경계면(12a)은 제1클램프 부재(5)의 경계면(8)상에 지지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레버(H)를 좌측을 향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작동 및 인장봉(10) 및 제2클램프 부재(11)를 회전시킨다. 비틀림 스프링(17) 및 압축 스프링(15)의 작용으로, 조임용 핀(13)은 초기에 이송 슬리브 축(A)에 대해 비스듬한 그 교차위치에 놓인다. 제2클램프 부재(11)의 초기의 회전중에 제1클램프 부재(5)는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부재는 회전가능하게 이송 슬리브(2)에 고착되기 때문에, 이송 슬리브(2) 또한 초기에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외측나사부(3) 및 암나사부(4)의 공동작용을 통해, 이송 슬리브(2)는 이송 스트로크(A)를 통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그 크기는 최대 2.5mm이다. 제1클램프 부재(5) 및 조임용 핀(13)을 통해, 제2클램프 부재(11) 또한 좌측으로 이동하며, 작동 및 인장봉(10)을 이송한다. 작동 및 인장봉은 이송 스트로크(Z)의 양 만큼 하우징(1)내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머신 바이스 또는 급속 클램프장치의 이동 조는 공작물이 있는 곳까지 이동하여 그와 접촉하게 된다. 2.5mm의 최대이송 스트로크(Z)를 획득하기 위해, 수동레버(H)는 90도의 각(β)으로 회전해야만 한다.
이동 조가 공작물과 접촉하는 순간, 토오크가 증가하게 되고 나사부(3, 4)에 의해 이송 슬리브(2)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1클램프 부재(5) 또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이제 실제의 조임 스트로크가 수행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클램프 부재(11)가 좌측으로 추가로 회전함으로써 조임용 핀(13)은 제자리를 찾는다. 즉 이송 슬리브 축(A)에 대한 교차도 또는 예각이 감소한다. 이러한 조임용 핀(13)의 위치교정을 통해, 두 클램프 부재(5, 11)간의 거리는 증가한다. 제2클램프 부재(11)의 회전은 조임용 핀(13)의 축(A)에 평행한 위치를 지나, 즉 그 사점을 지나 이동함으로써 배력기의 신뢰할 만한 잠금이 획득된다. 이 조임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수동레버(H)는 각 α, 예시한 실시예에서는 58도 회전한다. 이를 통해, 작동 및 인장봉(10)은 제3도에 도시한 위치에 도달하는 바,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부재(5)의 측부 경계면(8)상에 경계면(12b)이 접촉함으로써 추가적인 회전이 방지된다. 두 클램프 부재(5, 11)간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2클램프 부재(11)는 약 1mm의 조임 스트로크(S)를 통해 좌측으로 추가로 변위되고, 작동 및 인장봉(10)을 동일한 양만큼 하우진(1)내로 삽입시킨다. 이를 통해, 작동 및 인장봉(10)은 그동 스핀들(21)상에 소정의 높은 결합력을 인가한다. 예를 들어, 하우징(1)의 방향으로 이동 조를 끌어당긴다. 조임 스트로크(S) 동안 수동레버(H)가 인가하는 회전각도(α)가 항상 동일한 한, 이송 스트로크 동안 회전각도(β)는 이동 조가 얼마나 멀리 이동하여 공작물상에서 지지되는지에 따라 변한다. 개방 조와 공작물간의 운동이 그 최대 이송 스트로크(Z) 보다 적은 경우, 회전각도(β) 또한 90도 이하가 된다.
해제는 조임동작의 역순으로 수행된다. 즉, 수동레버(H)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작동 및 인장봉(10)은 제2클램프 부재(11)와 함께, 경계면(12a)이 다시 제1클램프 부재(5)의 측부 경계면(8)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 우측으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조임용핀(13) 또한 원래의 경사진 위치에 이르게 된다. 압축 스프링(15)은 제2클램프 부재(11)를 고정하여, 볼(14)이 조임용 핀(13)과 일정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또한 작동 및 인장봉(10)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해제 위치에 이르게 된다. 경계면(12a)이 제1클램프 부재(5)상에 지지되는 순간, 이송 슬리브(2)는 정지면(18a)이 다시 정지핀(19)과 접촉할 때까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따라서, 수동레버(H)는 제2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를 차지한다. 하우징(1)에 대한 이송 슬리브92의 상대 회전을 통해, 작동 및 인장봉(10)은 다시 초기의 위치 또는 해제위치에 이를 때까지 제1동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또한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 조는 그 개방위치로 다시 완정하게 이동하게 된다.
제7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클램프요소의 실시에는 작동 및 인장봉(10‘) 및 제1클램프 부재(5’) 형태를 취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실시예와는 다르다. 그러나 그 밖의 다른 구성부분은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부호 기재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적용하였던 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제1도와 비교하여, 제7도는 조임위치에 있는 클램프요소를 보여주고 있다.
제7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 및 인장봉은 제1클램프 부재(5‘)내의 중앙구멍(22)을 관통한다. 제1클램프 부재(5’)는 이송 슬리브(2)의 바닥으로 형성되지만, 이송슬리브에 끼워맞춤되고 그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임용 핀(13) 또는 그 볼(14)은 제1클램프 부재(5‘)상에서 작동 및 인장봉(10’)의 외부에서 방사상으로 지지된다. 제2클램프 부재(11)는 작동 및 인장봉(10‘)와 이음새없이 결합되며, 볼(14)은 이송 슬리브 축(A)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서 제2클램프 부재(11)상에 배열된다. 이로부터, 조임용 핀(13)은 이송 슬리브 축(A)으로부터 작은 거리를 두고 지지되며, 작동 및 인장봉(10’)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오크는 작게 유지된다.
작동 및 인장봉(10‘)의 정밀한 형태가 제8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조임용 핀(13)의 영역에는 두 개의 정반대로 배치되는 리세스(23)가 제공되며, 이 리세스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클램프 부재(11)를 향해 서로 근접한다. 따라서, 작동 및 인장봉(10’)은 조임용 핀의 영역에서 축방향으로 쇄기 형상을 취한다. 조임용 핀(13)의 영역에서 작동 및 인장봉(10‘)의 약화가 가능한 한 적도록 하기 위해, 리세스(23)는 단지 한편으로 조임용 핀(13)의 방해받지 않는 이동을 허용하고 다른 한편으로 작동 및 인장봉(10’)가 리세스(23)의 영역에서 가장 큰 잔여 단면을 가질 수 있을 정도를 커야만한다. 리세스(23)의 상세한 형태 및 잔여 단면이 어떠한지는 제9도 내지 제11도를 통해 알 수 있다. 리세스(23)는 클램프 부재(5‘, 11)의 상호 회전에 의해 교차되는 조임용 핀(13)이 배치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정반대의 측부에서 폭방향으로 개방되어야 한다.
제7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클램프요소의 동작은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동작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제7도 내지 제11도에 있어서, 제2클램프 부재(11) 및 이송 슬리브(2)간의 회전운동은 이송 슬리브(2)내에 끼워 맞춤되고 독일특허 제 4 018 284 호에 도시되고 서술된 것과 유사한, 제2클램프 부재(11)에 고착연결되는 원판(26)에서 사전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연장되는 그루브(25)내에 결합되는 정지핀(24)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제2클램프 부재(11) 및 이송 슬리브(2)간의 회전을 제한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에서 이송 슬리브(2)간의 회전을 제한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에서 이송 슬리브(2) 및 하우징(1)간의 회전을 제한하는 방법에 대응한다. 제2실시예에서, 동일한 회전의 제한이 이송 슬리브(2)와 하우징(1)간에 또한 제공된다. 조임위치를 나타내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A1)은 조임방향으로 이송 슬리브 축(A)과 평행하지 않다. 그러나, 그것들은 도면의 평면과 일치하는 이송슬리브 축(A)을 통과하는 평면에 평행하거나 사실상 평행하다.
클램프요소가 가능한 한 작게 구성되고 가장 가변적인 클램프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작동 및 인장봉(10, 10’)의 단부는 하우징(1)으로부터 나타나는 지점에 근접하고, 하우징(1) 밖으로 돌출되는 단부(10a)에서 커플링을 가지며, 그에 의해 클램프장치의 구동 스핀들, 특히 머신 바이스 또는 급속 클램프장치의 구동 스핀들에 이장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착연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실시예에서 모두, 하우징(1) 밖으로 돌출되는 단부(10a)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구동 스핀들(21)을 또한 관통하는 커플링 핀이 삽입되는 가로 구멍(2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플링 핀은 가로 구멍(20)내에 결합된다.
머신 바이스에서, 작동 및 인장봉(10, 10‘)의 단부가 하우징(1)에 근접하게 구성하면, 커플링 핀을 철수시킴으로써 구동 스핀들을 매우 쉽게 클램프요소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얻게됩니다. 그러면, 구동 스핀들 및 이동 조를 나르는 슬라이드가 머신바이스의 몸체에서 쉽게 철수될 수 있다. 몸체내에서 구동 스핀들 아래에 제공되는 구멍은 그에 의해 쉽게 억세스가능하다. 스크류는 이들 구멍을 쉽게 관통할 수 있고, 기계공구의 결합 테이블의 그루브가 형성된 블록내로 스크류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들 스크류를 통해, 머신 바이스는 결합고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결합 테이블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이들 스크류를 통해, 몸체는 구동 스핀들 및 슬라이드 아래의 결합 테이블에 단단히 결합됨으로써 클램프요소의 결합력에 의한 몸체의 변형은 일어나지 않는다. 클램프요소의 하우징의 출구에 이웃하는 인장봉의 커플링 위치는, 각각의 경우 구동 스핀들의 신속한 커플링 및 커플링 해제와 구동 스핀들 및 슬라이드의 완전한 철수를 촉진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요소에서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몸체를 고정하는 스크류로의 신속한 접근이 보장된다.
정밀볼트가 고정 스크류로서 사용되어 소위 그리드 판상에서 머신 바이스의 정밀한 위치결정을 촉진한다. 또한, 서술된 방식으로 스크류 스핀들 아래의 몸체를 관통하는 고정 스크류를 머신바이스에 고정함으로써 다수의 머신 바이스가 상호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어 점유공간이 축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배력기 및 배력기를 둘러싸고 하우징에 대한 회전운동이 정지면에 의해 제한되는 회전이송 슬리브와 합체되며, 배력기를 둘러싸는 하우징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외측나사부와, 이송 슬리브내에 고정배치되는 제1클램프 부재와, 이송 슬리브내에서 제한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제2클램프 부재와, 클램프 부재간에 배치되고 제2클램프 부재의 일단부 위치(해제위치)에서 이송 슬리브를 지나는 평면에 90도 이하의 각으로 경사지고 제2클램프 부재의 타단부 위치 (결합위치)에서 이 평면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조임용 핀과, 두 클램프 부재를 서로를 향해 편향시키는 압축 스프링과, 제1클램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인장상태로 급회전가능하게 제2클램프 부재에 연결됨으로써 조여진 상태에서 회전하는 경우 하우징과 작동 및 인장봉에 대해 이송 슬리브를 회전시키고 제1클램프 부재에 대해 제2클램프 부재를 회전시켜 이송 스트로크 및 후속하는 조임 스트로크에서 축방향으로 구동하여 하우징내로 삽입되어 조임용 핀을 평면에 평행한 결합위치에 놓이게 하는 작동 및 인장봉을 갖춘 급송장치를 포함하는 클램프요소에 있어서, 조임용 핀(13)은 이송 슬리브 축(A)에서 가능한 한 최단거리(a)로 떨어져 제2클램프 부재(11)상에서 지지되고, 작동 및 인장봉(10, 10’)은 제1클램프 부재(5‘)의 중앙구멍(22) 또는 제1클램프 부재(5)의 두 개의 정반대로 배치된 폭방향 구멍(9)을 관통하며, 상기 폭방향 구멍(9)은 이송슬리브(2)의 외주방향으로 충분히 커서 이송 슬리브(2)에 대한 작동 및 인장봉(10)을 제한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1클램프 부재(5)에 대해 제2클램프 부재(11)가 충분히 회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및 인장봉(10’)이 제1클램프 부재(5‘)의 중앙구멍(22)을 관통함으로써 조임용 핀(13)은 작동 및 인장봉(10’)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제1클램프 부재(5‘)상에서 지지되고, 제2클램프 부재(11)는 작동 및 인장봉(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조임용 핀(13)은 작동 및 인장봉의 정반대로 배치되는 두 개의 측부 각각에 제공되고, 작동 및 인장봉(10‘)에는 조임용 핀(13)의 영역에서 제2클램프 부재(11)를 향해 상호 접근하며 한편으로 조임용 핀(13)이 방해받지 않는 상태에서 제한된 범위로 이동하고 다른 한편으로 작동 및 인장봉(10’)에 리세스 영역에서 가능한 한 큰 잔여 단면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형성되는 정반대로 배치되는 두 개의 리세스(23)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요소.
  3. 제1항에 있어서, 제1클램프 부재(5)는 브리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송 슬리브(2)의 일단붕 고정되며, 작동 및 인장봉(10)은 중공 형태를 취하고 그 벽에는 제1클램프 부재(5)의 영역에서 정반대로 배치되는 절단부(12)가 제공되며, 절단부는 원주방향으로 작동 및 인장봉(10)이 이송 슬리브(2)에 대해 적어도 30도 회전할 수 있도록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요소.
  4. 제3항에 있어서, 절단부(12)는 두 클램프 부재(5, 11)의 상호회전을 제한하는 정지면으로서 제공되고 브리지로서 형성되는 클램프 부재(5)의 측부 경계면과 공동작용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경계면(12a, 12b)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요소.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임용핀(13)은 양단부에서 구형 컵(13a)을 구비하며, 볼(14)은 양쪽 클램프 부재내에 배열되고, 상기 볼위에서 조임용 핀(13)은 그 구형컵(13a)과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요소.
  6.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및 인장봉(10, 10‘)의 단부는 하우징(1)으로부터 나타나는 위치에 이를 때까지 근접하고,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그 단부(10a)상에서 커플링(20)을 구비하며, 상기 커플링을 통해 클램프장치의 구동 스핀들(21), 특히 머신 바이스의 구동 스핀들에 인장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연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요소.
  7. 제6항에 있어서, 하우징에서 돌출되는 단부(10a)는 중공 형태를 취하고 구동 스핀들(21)을 통해 또한 연장되는 커플링 핀이 삽입되는 가로 구멍(2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요소.
KR1019920006422A 1991-04-17 1992-04-17 배력기와 합체된 급송장치를 갖춘 클램프 요소 KR100219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112512.6 1991-04-17
DE4112512 1991-04-17
DE9104681U DE9104681U1 (ko) 1991-04-17 1991-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089A KR920020089A (ko) 1992-11-20
KR100219809B1 true KR100219809B1 (ko) 1999-09-01

Family

ID=3199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422A KR100219809B1 (ko) 1991-04-17 1992-04-17 배력기와 합체된 급송장치를 갖춘 클램프 요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92061A (ko)
EP (1) EP0509267B1 (ko)
JP (1) JP3200145B2 (ko)
KR (1) KR100219809B1 (ko)
AT (1) ATE146717T1 (ko)
DE (2) DE9104681U1 (ko)
ES (1) ES209597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5335C1 (de) * 1996-04-18 1997-10-02 Gressel Ag Spannvorrichtung mit mechanischem Kraftverstärker
US20040016084A1 (en) * 2002-07-25 2004-01-29 Tim Yarboro Positive expansion/contraction comb system for wide beam weaving
ITTO20020985A1 (it) * 2002-11-13 2004-05-14 Skf Ind Spa Attuatore elettromeccanico lineare a corsa corta.
SE526258C2 (sv) * 2003-04-15 2005-08-0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Kraftförstärkare för maskinspindel med samverkande kilar
SE525190C2 (sv) * 2003-04-15 2004-12-21 Sandvik Ab Gasfjäder med dragstång i två stycken
US20070071583A1 (en) * 2005-09-29 2007-03-29 Stats Chippac Ltd. Substrate index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12325A1 (de) * 1968-12-03 1970-07-23 Arnold Franz Mechanische Spannvorrichtung,insbesondere Maschinenschraubstock
DE2060881C3 (de) * 1970-12-10 1975-02-06 Franz 8960 Kempten Arnold Mechanische Spanneinrichtung, insbesondere Maschinenschraubstock
ES421534A1 (es) * 1972-12-20 1976-04-16 Saurer Allma Gmbh Perfeccionamientos en utiles tensores, especialmente torni-llos tensores de maquina con amplificador de presion.
US3941362A (en) * 1973-09-17 1976-03-02 Saurer-Allma Gmbh, Allgaeuer Maschinenbau Clamping device, in particular a machine vise
DE7830221U1 (de) * 1978-10-11 1980-03-20 Arnold, Franz, 8960 Kempten Mechanischer kraftverstaerker
DE3729093C1 (de) * 1987-09-01 1988-12-01 Gressel Ag Spannvorrichtung mit mechanischem Kraftverstaerker
DE4018284C1 (ko) * 1990-06-07 1991-04-18 Gressel Ag, Aadorf, Thurgau, 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62536A (ja) 1994-09-20
DE59207744D1 (de) 1997-02-06
KR920020089A (ko) 1992-11-20
ATE146717T1 (de) 1997-01-15
EP0509267A3 (en) 1993-03-24
DE9104681U1 (ko) 1992-08-13
ES2095972T3 (es) 1997-03-01
JP3200145B2 (ja) 2001-08-20
EP0509267B1 (de) 1996-12-27
EP0509267A2 (de) 1992-10-21
US5192061A (en) 199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3087B1 (ko) 기계 공구 연결용 시스템
KR100219809B1 (ko) 배력기와 합체된 급송장치를 갖춘 클램프 요소
DE9204570U1 (ko)
JPH02243207A (ja) 工作機械の工具ヘツドと工具ホルダとを結合するための緊締装置
US4615244A (en) Tool assembly having a replaceable tool head
JPH0319703A (ja) 工具の緊定装置
JP3200091B2 (ja) 力増幅器付きクランプ装置
JPS6219991B2 (ko)
US4881727A (en) Clamping mechanism
US4784542A (en) Tool-mounting assembly having an exchangeable tool head
US4463960A (en) Self-adjusting chucks
US4669712A (en) High pressure clamping device
US6000306A (en) Side activated tool unit clamping apparatus using mechanical advantage
US5174589A (en) Clamping device
US5301962A (en) Tool holder
KR940006110B1 (ko) 공작기계의 두 공구부분의 연결장치
JPH11226877A (ja) ボツクススパナ延長部
KR100397294B1 (ko) 기계력증폭장치를갖춘클램프장치
US6345937B1 (en) Tool and method for the cutting machining of a workpiece
KR100205509B1 (ko) 맨드렐 및 기계부품용 공구홀더조임장치
US20210046558A1 (en) Clamping device
JPH0457442B2 (ko)
KR101808974B1 (ko) 스웨이지 도구
JPS6233929B2 (ko)
US20030154873A1 (en) Device for clamping or tens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