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783B1 - 전기부품의 하우징구조 - Google Patents

전기부품의 하우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783B1
KR100217783B1 KR1019950029147A KR19950029147A KR100217783B1 KR 100217783 B1 KR100217783 B1 KR 100217783B1 KR 1019950029147 A KR1019950029147 A KR 1019950029147A KR 19950029147 A KR19950029147 A KR 19950029147A KR 100217783 B1 KR100217783 B1 KR 10021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e
cord
wiring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149A (ko
Inventor
야스히꼬 하라
후미히꼬 쯔지
가쯔히또 미요시
Original Assignee
이또미끼오
도까이덴시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호소미 키요시
가야바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또미끼오, 도까이덴시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호소미 키요시, 가야바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또미끼오
Publication of KR96001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목적]
단선을 억제함과 동시에 소형화를 추진한다.
[구성]
하우징(1)의 저면(1A)으로부터 하우징(1)의 내부를 향해 돌출설치된 보스부에 하우징(1)의 축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관통구멍(3A3D, 4)과, 관통구멍이 개구된 저면(1A)으로부터 서로 이웃하는 하우징(1)의 측면(1B)를 향해 하우징(1)의 저면에 형성된 소정의 깊이의 홈부(2A2D)와 이 홈부(2A2D)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 굴곡부(2123)와, 일단이 관통구멍(3A3D)에 삽통됨과 동시에 홈부(2A2D)에 매설된 코드와 이 코드를 홈부(2A

Description

전기부품의 하우징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하우징의 저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A-A에서 본 단면도.
제3도는 마찬가지로 제1코드의 화살표 B-B에서 본 도면.
제4도는 코드를 수장한 상태를 도시한 제1도의 화살표 A-A에서 본 단면도.
제5도는 마찬가지로 코드를 수장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제6도는 마찬가지로 코드와 수지의 관계를 도시한 홈부의 단면도.
제7도는 마찬가지로 코드와 수지의 관계를 도시한 홈부의 단면도.
제8도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단면도.
제9도는 마찬가지로 브러시리스 모터의 배선상태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저면
1B : 측면 2A2D : 홈부
3A3D : 관통구멍 4 : 관통구멍
5 : 클램프 5A : 개구부
5O : 잘라낸 부분 7 : 코드
7A : 심선(芯線) 8 : 수지
9 : 보스부 21, 22, 23 : 굴곡부
본 발명은 전자액츄에이터 등의 전기부품을 수장하는 하우징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 채용되는 전자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 또는 센서 등의 전기부품용 하우징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코드나 하네스 등의 배선부재를 측면 또는 단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시키고 이들 배선부재의 일단은 코넥터 등을 통해 차체측의 전기회로에 접속되는 한 편 하우징의 내부에 삽통되는 타단에서는 하우징에 설치한 터미널 등을 통해 코일 등의 회로소자에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는 차량의 조립시 또는 수리 등을 할 때 차체 등에 접속한 배선부재 또는 하우징이 작업자의 과오에 의해 잡아당겨지거나 할 경우, 또는 각종 진동외력에 의해 배선부재가 되풀이해서 진폭운동을 받는 경우에는 배선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하우징내부의 터미널의 납땜부분 등의 결선부에 미치어 단선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는 배선부재와 하우징내부의 회로요소와의 접속을 터미널 등의 중계부재를 통해 행하기 때문에 이들 중계부재를 수장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하우징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터미널을 폐지함과 동시에 배선부재에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납땜부분 등의 결선부에 있어서 단선 등을 억제가능하면서 전기부품의 소형화를 추진가능한 하우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의 발명은 하우징 밑부분으로부터 하우징내부를 향해 돌출설치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에 대응한 하우징밑부분에 개구되어 상기 하우징의 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이 개구한 위치로부터 서로 이웃해 있는 하우징측면을 향해 하우징 밑부분에 형성된 홈부와 이 홈부의 일부분에 설치한 굴곡부와 일단이 상기 관통구멍으로 삽통됨과 동시에 상기 홈부에 매설된 배선부재와 이 배선부재를 상기 홈부에 고착시키는 수지를 구비한다.
또 제2의 발명은 상기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배선부재의 심선만을 삽통가능한 하우징내부와 연통하는 제1의 내경과 하우징의 외부에 개구하여 배선부재의 외주와 결합가능한 제2의 내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의 내경은 제2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 제3의 발명은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홈부를 형성한 하우징의 저면과 서로 이웃하는 하우징측면에 상기 배선부재를 거는 클램프를 설치한다.
따라서 제1의 발명에 있어서, 배선부재는 굴곡된 홈부에 수장됨과 동시에 수지로 고착되어 쉽게 하우징으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고 배선부재로 잡아당기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굴곡부에서 이 외력을 지지할 수 있으며 관통구멍을 통해 하우징내부로 삽통된 배선부재의 단부심선으로의 외력의 전달을 방지하여 결선부분에 있어서의 단선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배선부재는 홈부에 매설되어 서로 이웃하는 하우징측면을 향해 설치되기 때문에 배선부재가 꺼내어지는 하우징의 저면을 거의 평활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2의 발명에 있어서, 관통구멍은 심선 만을 하우징내부로 돌출시키는 한 편 제1의 내경과 제2의 내경의 단차에 의해 배선부재의 외주를 걸 수 있고 하우징내부에서는 터미널 등의 중계부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직접 심선과 회로요소를 납땜 등에 의해 접합시킬 수 있다.
또 제3의 발명의 경우, 외력에 저항하여 클램프가 배선부재를 유지할 수 있고 홈부에 매설된 배선부재로 잡아당기는 방향 이외의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도제6도에 본 발명을 모터에 적용시킨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제3도에 있어서, 하우징(1)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부재로 형성되어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스테이터 및 로터를 수장하고 윗면에 형성된 개구부(1C)에는 도시하지 않은 커버가 설치된다.
제2도에 있어서, 하우징(1)의 상부에는 개구부(1C)가 형성되는 한 편 하부에는 거의 원형인 저면(1A)이 형성되며 이 저면(1A)의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축을 삽통하는 축구멍(6)이 관통형성된다.
거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측면(1B)에는 브래킷(10, 10)이 외주를 향해 형성되며, 이 브래킷(10, 10)은 개구부(1C)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이 개구부(1C)의 단면과 동일면 상에서 돌출설치된다(제1도참조).
또, 이들 브래킷(10, 10)사이의 측면(1B)에는 뒤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클램프(5)가 외주를 향해 돌출설치된다(제1도 좌측부분 참조).
저면(1A)에는 하우징(1)의 내부를 향해 돌출설치한 보스부(9)에 배선부재로서의 코드(7)의 심선(7A)을 삽통하기 위한 관통구멍(3A3D)이 제2도,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구멍(6)의 축선과 거의 평행관계로 관통된다.
그리고 이들 관통구멍(3A, 3B)과 (3C, 3D)는 하우징(1)의 저면(1A)의 반경에 대해 축대칭으로 배치되고, 제1도에 있어서 관통구멍(3B, 3C)은 관통구멍(3A, 3D)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관통구멍(3A3D)에 연속하여 코드(7)를 삽통가능한 관통구멍(4)이 상기 관통구멍(3A3D)과 동축적으로 각각 저면(1A)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형성되고 관통구멍(4)의 내경은 코드(7)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관통구멍(3A, 3D)의 외경은 심선(7A)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코드(7)의 외경보다는 작게 설정된다. 관통구멍(3A3D), 다른 관통구멍(4)의 내경은 배선부재 및 심선의 굵기에 따라 그때 그때 정해질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할 것이다.
저면(1A)의 관통구멍(4)의 개구위치부터 클램프(5)가 돌출설치된 측면을 향해 홈부(2A2D)가 형성된다. 홈부(2A2D)의 폭 및 깊이는 코드(7)의 외경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며, 이것도 배선부재(여기서는 코드)의 굵기에 따라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관통구멍(3A, 3D)으로부터 클램프(5)로 향하는 홈부(2A, 2D)는 우선 도중에는 대략 평행하게 진행하다가 클램프(5)를 향한 후에 서서히 접근하도록 굴곡시킨 굴곡부(21)와 다시 클램프(5)를 향해 평행하게 굴곡시킨 굴곡부(22)를 거쳐 하우징(1)의 측면(1B)까지 형성되어 있다.
한 편 관통구멍(3B, 3C)으로부터 클램프(5)로 향하는 홈부(2B, 2C)는 서서히 상호 접근하도록되며, 그 형상은 직선적으로 클램프(5)로 향한 후 굴곡부(23)에서 평행이 된 다음 클램프(5)에 면한 측면(1B)까지 이어진다. 또, 클램프(5)에 면한 저면(1A)의 외주단면부에서는 홈부(2A2D)가 등간격으로 평행이 되어 클램프(5)에 대치된다.
클램프(5)는 제2도의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C)의 단면과 거의 평행한 천정부(5A)와 이 단부에 설치되어 저면(1A)을 향해 개구되어 있으며 잘라진 부분(50)을 구비한 'ㄷ'자형상 단면의 걸림부(5B)로 구성된다.
저면(1A)의 외주단부까지 형성된 홈부(2A2D)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부(5A)를 향해 서서히 깊이가 감소되도록 경사져서 천장부(5A) 부근에서는 깊이가 0이 되어 홈부(2A2D)의 밑부분이 측면(1B)과 동일면이 된다.
일단이 하우징(1)의 내부에 수장된 코드(7)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의 피복을 소정량만큼 박리한 상태에서 심선(7A)을 관통구멍(3A3D)에 삽통하여, 하우징(1)의 내부에서 돌출하고 이어서 도시하지 않은 코일 등의 회로소자에 접속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7)의 단부는 관통구멍(4)의 입구에서 하우징(1)의 내부로 향함에따라 구부러지는 등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규제를 받는다. 즉, 관통구멍(4)의 입구에서 하우징(1)의 내부로 향하는 부분에서 코드(7)는 일정한 형태를 취할 수 밖에 없다. 코드(7)는 관통구멍(4)으로부터 홈부(2A2D)를 따라서 거의 직각으로 굴곡된 후 홈부(2A2D)를 따라서 저면(1A)의 외주단부로 향한다. 여기서 관통구멍(4) 및 홈부(2A2D)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8)가 채워지고 코드(7)는 관통구멍(4) 및 홈부(2A2D)에 고착된다.
그리고 저면(1A)에서 측면(1B)을 향해 거의 직각으로 굴곡된 코드(7)는 천장부(7A)를 따라 굴곡된 후 클램프(5)를 거쳐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한다. 그리고 4개의 코드(7)는 각각 잘라진 부분(50)을 통해 걸림부(5B)의 내주에 수장되어 걸림부(5B) 및 코드(7)의 탄생에 의해 걸린다.
이렇게 해서 클램프(5)를 통해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한 4개의 코드(7)는 도시하지 않은 코넥터 등에 접속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과 관련하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1)에 조립부착된 코드(7)는 수지(8)를 통해 홈부(2A2D) 및 관통구멍(4)에 매설되고, 굴곡부(2123)를 통해 측면(1B)으로 향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작업중 등에 코드(7)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굴곡부(2123)에서 코드(7)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힘을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코드(7)는 수지(8)로 고착되기 때문에 쉽사리 저면(1A)으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으며 하우징(1)의 내부에서 회로요소와의 접속부의 심선(7A)으로의 외력의 전달을 억제하여 외력에 의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저면(1A)에서 측면(1B)으로 안내된 코드(7)는 클램프(5)에서 걸린 뒤 외부로 향하기 때문에 클램프(5)는 하우징(1) 또는 코드(7)에 가해진 외력에 저항하여 코드(7)를 보호할 수 있고 저면(1A)에 매설된 코드(7)로 잡아당기는 방향 이외의 외력, 예를들어 잡아떼는 방향의 힘 등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하여 외력 등에 의한 단선을 더 한층 막을 수 있어 전기부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면(1A)에 서로 이웃하는 측면(1B)를 향해 코드(7)를 매설하는 홈부(2A2D)를 형성했기 때문에 코드(7)를 꺼내는 저면(1A)에 있어서 코드(7)의 돌출에 의한 요철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져서 전기부품의 소형화를 추진할 수 있고 거의 평활한 저면(1A)에서 하우징(1)의 위치를 정하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예를들면 차량 등의 한정된 공간내에 있어서 전기부품의 부착위치의 자유도를 확대시킬 수 있다.
조립시에 있어서는 하우징(1)의 내부로 코드(7)를 인도하는 관통구멍(3A3D)을 코드(7)의 심선(7A)이 삽통가능한 내경으로 하고 관통구멍(3A3D)의 저면(1A)쪽에는 코드(7)의 외주와 결합가능한 내경의 관통구멍(4)을 만들었기 때문에 전기부품의 조립시에는 심선(7A)을 적당한 길이만큼 노출시킨 코드(7)를 관통구멍(4) 및 관통구멍(3A3D)에 삽통시키면 하우징(1)의 내부에서 상기 심선(7A)이 돌출하여 이 심선(7A)에 회로소자를 납땜 등에 의해 접속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종래예와 같은 터미널이 불필요해져서 부품수를 줄이는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터미널을 수장할 공간이 불필요해져서 전기부품의 소형화를 추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홈부(2A2D)에 코드(7)를 고착하기 위해 수지(8)를 채워넣었지만 코드(7)가 탈락하지 않는 범위라면 수지(8)로 코드(7)를 덮을 필요는 없고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2A2D)의 밑부분근방과 코드(7)의 사이에 채워넣기만 해도 된다.
제8도, 제9도는 상기 하우징(1)을 브러시리스 모터에 적용시킨 예를 도시하며, 하우징(1)의 내부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부재로 형성되거나 링로터(12)가 축지지되어 하우징(1)의 중심부에 형성된 축구멍(6)으로부터 하우징(1)의 안쪽을 향해 원통부재의 베어링(16)이 돌출설치된다. 그리고 링로터(12)의 밑부분 중심으로부터 개구부쪽으로 돌출설치된 로터축(13)이 하우징(1)쪽의 베어링(16)에 축지지되고, 링로터(12)는 외주가 커버(11)로 덮혀지도록 하우징(1)에 수장됨과 동시에 하우징(1)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리고 로터축(13)는 베어링(16)의 내주에서 결합한 조인트(17)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부하에 결합된다.
링로터(12)는 외주에 형성된 원통부(12A)의 내주측면에 4극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원호형상단면의 마그네트(14)를 고정설치한 것으로서, 이들 마그네트(14)와 대치하는 링로터(12)의 원통부(12A)의 안쪽에는 베어링(16)을 중심으로 해서 120도 간격으로 방사형상으로 돌출설치된 3극의 코어(15)가 하우징(1)에 고정되며 코어(15)의 각 극에는 코일(18AC)이 스테이터로서 설치된다.
저면(1A)으로부터는 로터축(13)과 거의 평행으로 보스(90, 91)가 하우징(1)의 내부를 향해 돌출설치되고 보스(90)에는 코일(18A)에 배전하는 코드(71)의 단부 및 코일(18C)에 배전하는 코드(73)의 단부를 도출하는 한 편 보스(91)에는 코일(18B)에 배전하는 코드(72)의 단부와 코일(18AC)를 접지하는 코드(74)가 설치되고, 이들 코드(7174)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지(8)를 통해 홈부(2A2D) 및 관통구멍(4)에 매설되어 굴곡부(2123)를 통해 측면(1B)으로 향하며 클램프(5)를 통해 외부로 인도된다.
코일(18A18C)은 보스(90, 91)로부터 심선을 돌출시킨 코드(7174)에 얽어짐과 동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터미널 등의 중계부재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쉽고 또 확실하게 코드와 회로요소를 접속함으로써 하우징(1)을 소형,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 외력이 가해져도 굴곡부(2123)에서 코드(7174)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힘을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코드(7174)는 수지(8)로 고착되기 때문에 하우징(1)의 내부에서 코일(18A18C)과 접속한 심선으로 외력을 전달하는 일이 없어져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1의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밑부분으로부터 하우징내부를 향해 돌출설치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에 대응시킨 하우징 저면에 개구되어 상기 하우징의 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이 개구된 위치로부터 하우징측면을 향해 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소정의 깊이의 홈부와, 이 홈부의 일부에 설치한 굴곡부와, 일단이 상기 관통구멍에 삽통됨과 동시에 상기 홈부에 매설된 배선부재와, 이 배선부재를 상기 홈부에 고착하는 수지를 구비하며, 배선부재로 잡아당기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굴곡부에서 이 외력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결선부분의 단선을 막아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배선부재는 홈부에 매설되어 서로 이웃하는 면을 향해 설치되기 때문에 배선부재가 꺼내어지는 하우징의 저면을 거의 평활하게 형성함으로써 이 배선부재를 꺼내는 면의 위치결정 또는 지지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설계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음과 동시에 전기부품의 소형화를 추진할 수 있다.
또 제2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관통구멍이 배선부재의 심선만을 삽통가능한 하우징내부와 연통하는 제1의 내경과 하우징의 외부에 개구하여 배선부재의 외주와 결합가능한 제2의 내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의 내경은 제2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었기 때문에 하우징 내부에서는 터미널 등의 중계부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직접 심선과 회로소자를 접할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으므로 중계부재의 제거에 의해 소형화, 경량화를 더욱 추진할 수 있게 된다.
또 제3의 발명은 상기 홈부를 형성한 하우징의 저면과 서로 이웃하는 하우징측면에 배선부재를 거는 클램프를 설치했기 때문에 홈부에 매설된 배선부재로 잡아당기는 방향 이외의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결선부분의 단선의 가능성을 더욱 절감하여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하우징(1)밑부분에서 하우징내부를 향해 돌출설치된 보스부(9)와, 상기 보스부(9)에 대응한 하우징저면(1A)에 개구되고 상기 하우징(1)의 축선과 평행하게 보스부(9)에 형성된 관통구멍(3A3D, 4)과, 상기 관통구멍이 개구된 위치로부터 서로 이웃하는 하우징측면을 향해 하우징저면(1A)에 형성된 소형의 깊이의 홈부(2A2D)와, 이 홈부(2A2D)의 일부에 설치한 굴곡부(2123)와, 일단이 상기 관통구멍(3A3D)에 삽통됨과 동시에 상기 홈부(2A2D)에 매설된 배선부재와, 이 배선부재를 상기 홈부(2A2D)에 고착하는 수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의 하우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배선부재의 심선(7A)만을 삽통가능한 하우징(1)내부와 연통하는 제1의 내경과, 하우징의 외부에 개구하여 배선부재의 외주와 결합가능한 제2의 내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의 내경은 제2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의 하우징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2A2D)를 형성한 하우징(1)의 저면(1A)과 서로 이웃하는 하우징측면(1B)에 상기 배선부재를 거는 클램프(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의 하우징구조.
KR1019950029147A 1994-09-08 1995-09-06 전기부품의 하우징구조 KR100217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482994A JP3606610B2 (ja) 1994-09-08 1994-09-08 電気部品のハウジング構造
JP94-214829 1994-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149A KR960013149A (ko) 1996-04-20
KR100217783B1 true KR100217783B1 (ko) 1999-09-01

Family

ID=1666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147A KR100217783B1 (ko) 1994-09-08 1995-09-06 전기부품의 하우징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06610B2 (ko)
KR (1) KR100217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59165B (en) * 1999-10-22 2001-10-11 Mosel Vitelic Inc Method for the rework of photores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149A (ko) 1996-04-20
JPH0878866A (ja) 1996-03-22
JP3606610B2 (ja) 200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9013B1 (ko) 회전각도 검출기
US9564784B2 (en) Cover structure in motor
JP518618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5354889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160123143A (ko) 터미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WO2007132624A1 (ja) 減速機付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47171A (ja) 電磁装置
KR20010101482A (ko) 전기식 구동 유니트
EP066273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leakproof feed-through connector and for installing and holding sealing components in place
US7893592B2 (en) Electric motor with hammer brushes
KR100217783B1 (ko) 전기부품의 하우징구조
EP0462562A2 (en) Line filter assembly
KR100412511B1 (ko) 소형모터
JP7405089B2 (ja) モータ
KR100883595B1 (ko) 모터
CN220711268U (zh) 外转子式无刷电机单元以及带减速器的无刷电机
JP2020137312A (ja) モータ
KR19990052144A (ko) 무정류자 직류전동기의 홀센서 취부구조
CN211239556U (zh) 电动机
CN219554768U (zh) 电动泵
CN111344934A (zh) 旋转电机
CN211266649U (zh) 电动机
JP7379786B2 (ja) ブラシ付き直流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61329A (ja) バスリング取付け構造、バスリング固定具、及び回転電機
CN110380305B (zh) 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