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672B1 -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672B1
KR100217672B1 KR1019960067766A KR19960067766A KR100217672B1 KR 100217672 B1 KR100217672 B1 KR 100217672B1 KR 1019960067766 A KR1019960067766 A KR 1019960067766A KR 19960067766 A KR19960067766 A KR 19960067766A KR 100217672 B1 KR100217672 B1 KR 100217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ccelerator cable
accelerator
tension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093A (ko
Inventor
오양섭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672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하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와, 모터와, 가속기 케이블을 감싸는 형식으로 설치되고 모터의 동작에 따라 가속기 케이블의 장력을 긴장 또는 이완시키도록 2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가속기 케이블 고정수단과, 모터의 회전력을 가속기케이블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작동스위치가 작동되면 모터를 정회전시켜 가속기 케이블 고정수단을 당겨 가속기 케이블의 장력을 긴장시키도록 제어하고, 작동스위치가 재차 작동되거나, 브레이크 페달 작동 검지수단으로부터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모터를 역회전시켜 가속기 케이블고정수단가 가속기 케이블의 장력을 이완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드로틀밸브 개방상태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상용차량이 많은 짐을 싣고 오르막길을 주행 중에 드로틀밸브를 완전히 열은 상태로 자동주행 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저렴한 비용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종래의 상용차량에 있어서는 무거운 짐을 싣고 언덕길을 오르막으로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차량의 동력부족으로 드로틀 밸브를 완전히 열린 상태로 운행을 해야 하므로 운전자에게 매우 불편하였다.
한편, 승용차의 경우는 차량이 희망하는 속력으로 주행 중, 설정스위치의 동작만으로,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특별히 밟고 있지 않더라고 현재의 속력을 유지하며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속주행장치(Cruise Control System)가 상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정속주행장치는 장기간 비슷한 상태로 주행을 지속시켜야 하는 평지인 도로상황에서 특히 유용하며, 운전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종래 정속주행장치의 구조는, 가속페달 및 케이블 등을 통해 가속페달과 기계적으로 접속된 드로틀 밸브로 구성된 통상의 가속기구의 구성에 정속 주행을 위한 몇 가지 기구를 부가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통상의 가속기구와 함께, 모터와, 전자클러치와, 제어용 암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정속주행장치를 병설하여, 통상의 가속기구와 독립적으로 가속기 케이블에 장력을 증감시켜서, 드로틀 밸브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내장된 전자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운전자가 작동스위치를 온하면 현재의 속력을 입력한 전자제어기는 계속적으로 속력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드로틀 밸브를 개폐하는 제어를 행하여 현재의 속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운전자가 작동정지를 신호하거나 또는제동, 가속 등의 동작을 하면 자동제어상태를 해제하거나 변경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운행 중 운전을 편하도록 하는 반면, 구조상의 복잡함이 필수적이므로 차량의 제조가격을 상승시킨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잦은 가/감속을 수시로 변동하는 이유 등으로 상용차량의 경우에는 그 요구도 특별히 크지 않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이어서 제조비용도 저렴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요구에 따른 것으로서, 상용차량이 많은 짐을 싣고 오르막길 주행을 주행할 때, 드로틀 밸브를 완전히 열은 상태로 자동주행 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저렴한 비용의 장치를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다이어그램.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동력전달 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작동스위치의 설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작동스위치 7 : 모터
8 : 가속기케이블 고정수단 9 : 동력전달수단
10 : 전자제어기 11 : 브레이크페달작동 검출수단
12 : 가속기 케이블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하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와, 모터와, 가속기 케이블을 감싸는 형식으로 설치되고 모터의 동작에 따라 가속기 케이블의 장력을 긴장 또는 이완시키도록 2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는 가속기 케이블 고정수단과, 모터의 회전력을 가속기케이블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작동 스위치가 작동되면 모터를 정회전시켜 가속기케이블 고정수단을 당겨 가속기 케이블의 장력을 긴장시키도록 제어하고, 작동스위치가 재차 작동되거나, 브레이크 페달 작동검지수단으로부터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모터를 역회전시켜 가속기 케이블고정수단과 가속기 케이블의 장력을 이완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그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도에서, 작동스위치(6)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로서 스위치가 온될 때, 본 장치는 작동을 시작한다. 이 스위치는 단순한 온/오프 절환 스위치로서 운전자가 동작시키기 편하게 계기판 또는 조향 휠 주변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푸시 리턴 스위치(push return switch)로 구성되어 가속 페달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속 페달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의 예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최대로 밟아서, 작동모드를 온하고, 다시 눌러서 작동모드를 오프시키는 구조로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작동모드를 오프로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작동검출수단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행중 감속을 위해 운전자가 제동을 가하는 경우, 즉시 가속 페달을 놓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전자제어기(10)는 작동스위치가 온되면, 작동기인 모터(7)의 회전을 조정하여, 동력전달수단(9)을 통해 가속기케이블 고정수단(8)을 작동시켜, 가속기 케이블 고정수단이 가속기 케이블을 최대 장력으로 당겨주도록 한다. 그리하여 가속기 케이블에 접속된, 드로틀 밸브를 최대로 열어 가속력을 최고로 유지토록 한다.
한편, 운전자에 의해서 작동 스위치가 오프로 절환되거나 브레이크 페달 작동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들어오면, 전자제어기는 모터를 역회전시켜 가속기케이블 고정수단이 가속기 케이블의 장력을 이완시켜서, 드로틀 밸브를 닫도록 함으로써, 작동모드를 오프로 전환시킨다.
모터(7)는 직류 서보 모터로 구성하여, 제어를 용이하게 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전류의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9)은 모터의 회전력을 가속기케이블 고정수단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기계부품으로 구성된다. 또한 위치제어의 쉽게 행하기 위하여 동력 전달비를 변환시키는 역할도 한다. 동력전달수단은 제2도에 도시한 구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와 가속기케이블 고정수단(17)이 일체가 되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기어와 동력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래크(15)와 피니언(1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고정수단(18)에 의해 차체에 고정도니 래크(15)에 모터(13)의 기어열이 치합되어 있으므로, 전자제어기로부터의 작동신호의 유무에 따라 모터(13)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의 전체가 외측방향(도면의 오른족 방향), 또는 내측방향(도면의 왼쪽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모터(13)의 본체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 가속기 케이블 고정수단(17)이 가속기 케이블(12)을 당겨 주거나, 놓아주게 되므로,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속기 케이블(12)에 장력이 인가되거나, 인가된 장력이 이완된다. 따라서, 가속기 케이블에 접속된 드로틀 밸브(미도시)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작동하게 디어 최대개방상태를 유지토록 하거나, 이 상태를 해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3도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일 뿐이며, 권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술한 구성예와 달리, 모터(13)를 고정시키고 래크(15)에 가속기 케이블 고정수단(17)을 접속시켜 모터의 회전상태에 따라 가속기 케이블 고정수단을 왕복 이동시키는 방법 등도 고려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상용차량이 많은 짐을 싣고 오르막길을 주행 중에 드로틀 밸브를 완전히 열은 상태로 자동주행 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저렴한 비용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용차량이 오르막길을 주행할 때에, 적재중량이 커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장시간 밟고 있어야 하는 불편을 경감하기 위한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4)

  1. 가속 페달과, 가속기 케이블과, 드로틀 밸브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작동 스위치(6)와, 작동 모터(7)와, 상기 가속기 케이블을 감싸는 형식으로 설치되고 작동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가속기 케이블의 장력을 긴장 또는 이완시키도록 2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는 가속기 케이블 고정수단(8)과, 모터의 회전력을 가속기 케이블 고정장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9)과, 작동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전자제어기(1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위치(6)는 상기 가속 페달의 하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이고, 상기 전자제어기(10)는 작동스위치가 작동되면 모터(7)를 정회전시켜 가속기 케이블 고정수단을 당겨 가속기 케이블의 장력을 긴장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작동스위치가 재차 작동되면 모터(7)를 역회전시켜 가속기 케이블고정수단이 가속기 케이블의 장력을 이완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 작동 검지수단(11)을 추가로 구비하고, 전자제어기(10)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작동검지수단으로부터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모터(7)를 역회전시켜 가속기 케이블고정수단이 가속기 케이블의 장력을 이완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3)와 상기 가속기 케이블 고정수단(8)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모터는 차체에 고정된 래크(15)와 치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가속기 케이블 고정수단이 2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KR1019960067766A 1996-12-19 1996-12-19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KR100217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766A KR100217672B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766A KR100217672B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093A KR19980049093A (ko) 1998-09-15
KR100217672B1 true KR100217672B1 (ko) 1999-09-01

Family

ID=1948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7766A KR100217672B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6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093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76931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を備えた動力車
JPH06503702A (ja) 自動車の補助ブレーキ用の操作装置
JP2007170546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H0210733B2 (ko)
KR100217672B1 (ko) 자동차용 드로틀 밸브 개방상태 유지장치
US7901322B2 (en) Electronic control fuel save clutch device for vehicle
JPS62216842A (ja) 自動クラツチの制御装置
KR20080096524A (ko) 차량의 파우어 트레인
JPS61253224A (ja) 自動車用自動変速機
JPS6337729B2 (ko)
CN1680132A (zh) 汽车刹车、油门共用踏板可迅速制动技术
JP2648345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20000000504U (ko) 자동차의 정속도 주행장치
KR950009141Y1 (ko) 오토크루즈 겸용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
KR19980061364A (ko) 무인 시험자동차의 속도제어장치
KR100456862B1 (ko) 자동차용정속주행제어시스템
KR970008048B1 (ko) A/t 자동차의 기어 쉬프트 레버 연동장치
KR100231566B1 (ko) 자동차용 엔진의 흡기 조절기구
JPS6330166B2 (ko)
JPH02220933A (ja) 車両用クルーズ制御装置
CN113954792A (zh) 新能源车驻车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0398261B1 (ko)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 시스템
JP3025815B2 (ja) 車両用定速走行装置
KR19990019964A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전자식 파킹장치 및 회로
KR930007340B1 (ko) 자동차의 자동콘트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