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569B1 -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569B1
KR100216569B1 KR1019970040217A KR19970040217A KR100216569B1 KR 100216569 B1 KR100216569 B1 KR 100216569B1 KR 1019970040217 A KR1019970040217 A KR 1019970040217A KR 19970040217 A KR19970040217 A KR 19970040217A KR 100216569 B1 KR100216569 B1 KR 100216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liquid
orp
liquid
redox potential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918A (ko
Inventor
수수무 오키노
히로시 타나카
코오소오 타오
Original Assignee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1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166Systems measuring a particular property of an electrolyte
    • G01N27/4168Oxidation-reduction potential, e.g. for chlorination of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2Condition responsiv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4Nuclear magnetic resonance, electron spin resonance or other spin effects or mass spectrome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10T436/25125Digestion or removing interfer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습식석회석고법에 의한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 흡수액(3)의 산화환원전위(ORP)를 검출하는 시료액조(31)와, 그 흡수액에 공기를 흡입하여 산화하여 그 흡수액의 완전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를 검출하는 비교액조(32)를 구비한 ORP 검출기에 의해 그 흡수액의 ORP와 그 흡수액의 완전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와의 편차신호(47)를 검출하고, 그 편차신호(47)와 ORP 편차설정값과의 편차신호에 의해, 흡수액에 통기하는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의 통기유량을 제어하는 아황산염의 산화제어방법에 있어서, 흡수액(3) 중의 과산화물을 분해하기 위한 약액이 공급될 수 잇는 밸브(36,37,38) 및 타이머(39,40,41) 등을 구비하고, 통기 전에 과산화물을 분해하는 조작을 실시한 후에 통기를 실시하고, 완전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한다.
흡수액 중의 아황산칼슘의 산화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완전산화환원전위를 적정하게 측정한다.

Description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
본 발명은 흡수액 중의 아황산칼슘의 산화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아황산염의 산화제어방법에 적용되는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황산화물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대상으로 습식석고석회법에 의한 배연탈황을 실시하는 경우, 배기가스 중의 유황산화물은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흡수액과 접촉하여, 다음의 반응에 의해 흡수된다.
SO2+ CaCO3→ CaSO3+ CO2
생성한 아황산칼슘의 일부는 다음 식으로 표시되듯이, 배기가스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석고를 생성한다.
CaSO3+ 1/2 O2→ CaSO4
일반적으로는, 배기가스 중의 산소농도가 낮고, 아황산칼슘으로부터 석고로의 산화가 충분하게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계 외로부터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를 흡수액 중에 통기한다.
이 때,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의 통기유량이 적지 않은 경우, 미산화의 아황산칼슘 농도가 증가하므로, 흡수제인 탄산칼슘의 용해 저해, 탈황성능의 저하 및 탈황장치 배수 중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이하, COD라 한다)의 증대 등에 의한 불편함을 발생한다.
한편, 아황산칼슘으로부터 석고로의 전화율을 높게 유지하도록 하면, 부하변동 등을 고려하여 상기한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를 과잉으로 공급하지 않을 수 없어서, 가동비용의 증가 및 배수 COD의 증가로 된다.
따라서,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의 통기유량을 적당한 범위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아황산칼슘의 산화를 위한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의 통기량 제어방법으로서는, 산화환원전위(이하, ORP라 한다)에 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ORP에 의한 통기유량 제어방법은 ORP와 아황산 농도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로부터 미리 ORP 설정값을 결정하고, 흡수액 ORP를 연속적으로 검출한 신호와 ORP 설정값과의 편차신호에 의한 통기유량을 제어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ORP는 아황산 농도 이외에 pH의 영향을 받고, 또, 용해액성분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종래 방법에 의한 산화제어로서는 부하변동, 흡수제 원료의 변화 및 연료의 종류의 변화 등에 의한 pH, 용해액 성분의 변화 혹은 pH계의 오지시에 의한 안정된 산화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아황산농도의 증가 혹은 공기의 과잉공급에 의한 배수 COD가 증가하는 등의 불편함을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그 흡수액의 ORP를 검출하는 시료액조와 그 흡수액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산화하고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를 검출하는 비교액조를 구비한 ORP 검출기에 의해, 그 흡수액의 ORP와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의 제1편차신호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며, 그 편차신호와 ORP 편차설정값과의 제2편차신호에 의해 상기한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의 통기유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일본국 특개평8-24566호).
이 방법에 의한 ORP 검출기의 한 구성예를 도 3에 표시하며, ORP 측정방법을 설명한다. 연소 배기가스와 칼슘 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을 접촉시키는 흡수탑으로부터 흡수액(3)의 일부를 ORP 측정조(17)에 도입한다. ORP 측정조(17)는 시료액조(18)와 비교액조(19)로 구분되어 있으며, 비교액조(19)에서는 계 외로부터 공기(20)를 공급하므로써 흡수액을 완전하게 산화한다. 각 조(18,19)에서, ORP 전극(21,22)에 의해 흡수액의 ORP 및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를 각각 검출한다. 그 검출신호를 연산부(23)에 입력하고, 흡수액의 ORP와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와의 편차를 연산한다. 연산부(23)로부터 그 편차를 표시하는 편차신호(24)가 출력된다. 또, ORP를 측정한 시료액조 복귀 흡수액(25) 및 비교액조 복귀 흡수액(26)은 다시 흡수탑의 액실로 복귀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2개의 조로 구분된 ORP 측정조의 한쪽(시료액조(18))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를 연속적으로 검지하고, 다른쪽 측정조(비교액조(19))의 흡수액에는 항상 공기를 통기시키는 것에 의해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있다. 이 때, 흡수액 중에는 탈황장치의 운전상황에 의해 과산화물이 존재하고 있는 것인데, 이것 때문에, 공기를 통기하여 그 흡수액을 산화하여 얻어진 완전 산화의 ORP값이 불안정하게 되며, 안정된 산화제어상태의 유지에 지장을 초래하고, 공기의 과잉공급에 의한 배수의 COD가 증대하는 등의 불편함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수준을 감안하여, 유황산화물을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대상으로 습식석회석고법 배연탈황방법을 실시할 때에, 종래 방법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아황산염의 산화제어방법에 적용되는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유황산화물을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대상으로 습식석회석고법 배연탈황방법을 실시할 때, 흡수액 중에 통기하는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의 통기유량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흡수액의 ORP를 검출하는 시료액조와 그 흡수액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산화하여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를 검출하는 비교액조를 구비한 ORP 검출기에 의해 그 흡수액의 ORP와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와의 제1편차신호를 검출하고, 그 제1편차신호와 ORP 편차설정값과의 제2편차신호에 의해 제어하는 방법을 취하는 경우,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의 측정을 과산화물의 분해조작을 실시하는 일이 없이 공기를 불어넣어서 산화하며,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를 만들면 완전 산화 후의 ORP가 달라지므로, 통기 전에 일단 환원조작을 실시하지 않고, 과산화물을 분해하는 방법을 발견하고, 이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유황산화물을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칼슘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으로 처리하고, 생성된 아황산칼슘을 함유하는 흡수액 중에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를 통기하여 산화하여 석고로 하는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 그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검출하는 시료액조와 그 흡수액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산화하여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를 검출하는 비교액조를 구비한 산화환원전위 검출기에 의해 그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와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와의 제1편차신호를 검출하며, 그 제1편차신호와 산화환원전위 편차설정값과의 제2편차신호에 의해 상기한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의 통기유량을 제어하는 아황산염의 산화제어방법에 적용하는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할 때 흡수액 중의 과산화물을 약제로 분해한 후에 공기를 통기하고,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흡수액 중의 과산화물 분해방법으로서, 과산화수소를 첨가한 후에, 산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흡수액 중의 과산화물 분해방법으로서, 과산화수소와 산을 첨가하는 대신에, 환원작용을 보유하는 SO2가스, 염화히드록실암모늄(NH3OH)Cl(별명 : 염화히드록실아민NH2OH·HCl), 아황산수 및 아황산염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은, 유황산화물을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칼슘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으로 처리하고, 생성한 아황산칼슘을 함유하는 흡수액 중에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를 통기하여 산화하여 석고로 하는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 그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검출하는 시료액조와 그 흡수액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산화하여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를 검출하는 비교액조를 구비한 산화환원전위 검출기에 의해 그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와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와의 제1편차신호를 검출하고, 그 제1편차신호와 산화환원전위 편차설정값과의 제2편차신호에 의해 상기한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의 통기유량을 제어하는 아황산염의 산화제어방법에 있어서, 비교액조를 구비한 산화환원전위 검출기를 사용하며, 그 비교액조에 환원제를 첨가하고, 과산화물을 분해하는 조작을 실시한 후에 공기를 통기하여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그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와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와의 제1편차신호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흡수액 중에 존재하는 과산화물을 분해하 적정의 완전 산화환원전위를 얻는 방법이 제공되며, 배수 COD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ORP 검출기의 한 구성예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한 배연탈황프로세서의 한 예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시료액조와 비교액조의 2개 조로 이루어지는 ORP 검출기의 한 구성예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ORP에 의한 산화제어의 적정화를 도모하고자 예의 검토한 결과 얻어진 것으로,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를 공기통기만으로 측정한 경우, 산화 전에 존재하는 산화물이나 과산화물 때문에, 도달하는 완전 산화전위가 다른 불편함을 발생한다고 하는 것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공기를 불어넣어서 산화를 실시하기 전에 아황산수를 첨가하여 과산화물을 분해하기 위한 환원, 혹은, 과산화수소수를 첨가한 후에 황산을 첨가하여 일시적으로 pH를 저하시키는 과산화수소에 의한 과산화물의 환원(분해)조작을 실시한 후에 공기를 통기하여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를 검출한다. 그것에 의해 흡수액 중에 존재하는 과산화물에 의한 산화환원전위에 부여하는 영향을 방지할 수 있어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와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를 적정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산화제어가 가능하여 배수 COD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한 배연탈황프로세스의 한 예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의 프로세스에 있어서, 흡수탑(1)에 도입되는 연소 배기가스(2)와 흡수탑을 순환하는 흡수액(3)을 기액(氣液) 접촉시켜서 연소 배기가스 중의 유황산화물을 흡수-분리한다. 유황산화물이 제거된 연소 배기가스는 청정가스(4)로 되어 배출된다. 흡수액(3)에 흡수된 유황산화물은 아황산칼슘으로 되며, 일부는 연소 배기가스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석고를 생성한다. 흡수액 중에 존재하는 미산화의 아황산칼슘은 흡수탑의 액실(5)로 통기되는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인 공기(6)에 의해 산화되어 석고로 된다.
생성된 석고는 용해도가 작기 때문에 흡수액 중에서 석출하여 고체로 된다. 석고를 함유한 흡수액의 일부는 빠져나와 라인(10)을 개재하여 흡수탑(1)으로부터 배출되며, 고액분리기(11)에서 석고(12)와 로액(露液)(13)으로 분리되며, 로액(13)의 일부는 원료조제로(14)로 이송되며, 나머지는 배수(15)로서 계 외부로 배출된다. 원료조제로(14)로 이송된 로액은 원료조제로(14)에서 탄산칼슘(16)이 공급되어 다시 흡수탑(1)으로 복귀된다.
상기한 산화의 제어는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ORP 검출기에서 검출한 흡수액의 ORP와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와의 제1편차신호를 통기유량 조절기(8)에 입력하고, 이미 알고 있는 아황산 농도와 ORP의 관계로부터 미리 결정한 ORP 편차설정값(아황산 농도 설정값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와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와의 편차)과의 제2편차신호에 의해 제어밸브 개폐신호를 출력한다. 그 개폐신호에 의해 제어밸브(9)를 제어하므로써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인 공기의 통기유량을 조절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ORP 검출기(7)의 한 구성예를 표시하며, 흡수액의 ORP와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의 측정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흡수액(3)의 일부를 ORP 측정조(30)에 도입한다. 이 예에서는, ORP 측정조(30)는 A조(31)와 B조(32)로 구별되어 있으며, A조(31)는 흡수액의 ORP를 측정하는 시료액조, B조(32)는 계 외부로부터 공기(33)를 공급하여 흡수액을 산화하여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를 측정하는 비교액조이다.
먼저, B조(32)에 있어서, 밸브(37)를 개방하여 B조(32)에 과산화수소수(34)를 주입한다. 이어서, 밸브(38)를 개방하여 B조(32)에 황산용액(35)을 주입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밸브(36)를 개방하여 B조(32)에 공기(33)를 통기하며, ORP 전극(42) 및 ORP 전극(43), pH계(44) 및 pH계(45)에 의해 흡수액의 ORP와 pH 및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와 pH를 각각 측정한다.
이 상태에서 검출되는 ORP와 pH의 신호가 연산부(46)에서 연산되며, 그 편차신호가 흡수액의 ORP와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와의 편차신호(47)로서 출력되며, 도 2의 통기유량 조절기(8)로 이송되며, 제어밸브(9)를 작동시켜서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인 공기(6)의 통기유량을 제어한다. 또, pH와 ORP의 관계는 식화(式化) 되어 있어 연산부(46)에서 보정된다.
이 때, B조(32) 및 흡수액 중에 존재하는 과산화물은 환원조작에 의해 분해되며, 과산화물에 의한 산화환원전위에 의한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A조(31)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를 측정하고, B조(32)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를 측정한다.
또, 과산화수소수 및 황산용액의 첨가량, 통기 개시시기와 통기 종료시기는 미리 실시한 시험 등에 의해 타이머(39,40,41)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ORP 측정조(30)로부터 빼어낸 ORP 측정조 발출 흡수액(48)은 다시 흡수탑의 액실(5)로 복귀된다.
상기한 편차의 연산은 다음 식을 적용한다.
흡수액의 ORP와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와의 편차
=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 - 흡수액의 ORP
ORP 편차설정값
= 이미 알고 있는 아황산 농도와 ORP의 관계로부터 구한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 - 이미 알고 있는 아황산 농도와 ORP의 관계로부터 구한 아황산 농도설정값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
흡수액의 ORP와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와의 편차설정값과의 편차
= 흡수액의 ORP와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와의 편차 - ORP 편차설정값
여기서, 상기한 편차연산식을 사용한 경우의 산화제어방법을 설명한다. 흡수액의 ORP와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와의 편차가 ORP 편차설정값보다도 큰 경우, 제어밸브(9)의 개방도가 상승하고, 공기(6)의 통기유량이 증가한다. 통기유량의 증가에 의해 흡수액의 ORP가 상승하고, 흡수액의 ORP와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와의 편차가 ORP 편차설정값보다 작게 되면, 공기의 통기유량이 감소한다. 이상과 같이, 흡수액의 ORP와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ORP와의 편차를 지표로 하여 산화를 제어한다.
다음에, 표 1에 통기에 의한 완전 산화환원전위 측정시의 액 조성을 표시한다. 또, 이 예는 흡수액 중의 망간 농도가 높고(약 30mg/ℓ), 산화성 물질이 생성하기 쉬운 액 조성이다. 표 2는 표 1의 액을 사용하며, 과산화물 분해법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를 표시한다.
온도 50℃
통기공기량 0.3㎥N/H
측정조액량 2ℓ
액조성 CaCO3 1mol/ℓ
CaSO4 1mol/ℓ
MnSO4 0.55mmol/ℓ
MgSO4 50mmol/ℓ
NO. 과산화물 분해에사용하는 약품 분해조작의 방법 과산화물의 분해상황
1 H2O2 산화공기를 공급한 그대로H2O2수를 첨가 과산화물 대부분 분해하지않는다.반응액의 색은 변화하지 않음.(다색이 가한 회색)
2 H2O2 산화공기를 정지하고H2O2수를 첨가 과산화물 대부분 분해하지않는다.반응액의 색은 변화하지 않음.(다색이 가한 회색)
3 H2O2수, H2SO4 산화공기를 정지하고,H2O2수를 첨가한 후 H2O2를첨가(일시적으로 pH를 5부근까지 저하시킨다) 과산화물은 분해하였다고 생각됨.반응액은 백색으로 변화.
4 Na2SO3 산화공기를 정지하고,Na2SO3를 첨가 과산화물 대부분 분해하지않는다.반응액의 색은 변화하지 않음.(다색이 가한 회색)
5 염화히드록실암모늄(NH3OH)Cl(별명: 염화히드록실아민 NH2OH·HCl) 산화공기를 공급한 그대로염화히드록실암모늄(NH3OH)Cl(별명 : 염화히드록실아민NH2OH·HCl)용액을 첨가 과산화물은 분해하였다고 생각됨.반응액은 백색으로 변화.
6 SO2 산화공기를 정지하고,SO2가스를 통기 과산화물은 분해하였다고 생각됨.반응액은 백색으로 변화.
다음에, 비교예를 표시한다. 표 3은 종래법에 의한 완전 산화환원전위 측정결과를 표시한다. 표 4는 본 발명에 의한 과산화수소와 황산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구한 완전 산화환원전위 측정결과를 표시한다.
NO. 측정항목 흡수액 완전산화액
1 pH(-) 6.0 7.6
ORP 전위(mV) 103 180
SO3농도(mmol/ℓ) 1.2 〈 0.1
2 pH(-) 6.0 7.9
ORP 전위(mV) 290 248
SO3농도(mmol/ℓ) 0.1 〈 0.1
NO. 측정항목 흡수액 완전산화액
1 pH(-) 6.0 8.1
ORP 전위(mV) 240 140
SO3농도(mmol/ℓ) 〈 0.1 〈 0.1
2 pH(-) 6.0 8.1
ORP 전위(mV) 156 144
SO3농도(mmol/ℓ) 0.6 〈 0.1
상기한 통기 전의 환원조작을 생략한 경우, 액 조성 및 통기공기량 등을 동일 조건에서 완전 산화환원전위를 구하기 위한 것에 관계없이, 완전 산화환원전위는 큰 불균일, 흡수액의 ORP와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ORP와의 편차 설정이 곤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배수의 COD가 통상 7mg/ℓ가 30mg/ℓ로 높게 되었다.

Claims (3)

  1. 유황산화물을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칼슘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으로 처리하고, 생성된 아황산칼슘을 함유하는 흡수액 중에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를 통기하여 산화하여 석고로 하는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 그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검출하는 시료액조와 그 흡수액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산화하여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를 검출하는 비교액조를 구비한 산화환원전위 검출기에 의해 그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와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와의 제1편차신호를 검출하며, 그 제1편차신호와 산화환원전위 편차설정값과의 제2편차신호에 의해 상기한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의 통기유량을 제어하는 아황산염의 산화제어방법에 적용하는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에 있어서,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할 때 흡수액 중의 과산화물을 약제로 분해한 후에 공기를 통기하고, 그 흡수액의 완전 산화상태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흡수액 중의 과산화물 분해방법으로서, 과산화수소를 첨가한 후에, 산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흡수액 중의 과산화물 분해방법으로서, 과산화수소와 산을 첨가하는 대신에, 환원작용을 보유하는 SO2가스, 염화히드록실암모늄, 아황산수 및 아황산염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
KR1019970040217A 1996-08-23 1997-08-22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 KR100216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22040H 1996-08-23
JP22204096A JP3254139B2 (ja) 1996-08-23 1996-08-23 排煙脱硫方法における酸化還元電位測定方法
JP96-222040 1996-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18A KR19980018918A (ko) 1998-06-05
KR100216569B1 true KR100216569B1 (ko) 1999-08-16

Family

ID=1677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217A KR100216569B1 (ko) 1996-08-23 1997-08-22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79945A (ko)
EP (1) EP0824953B1 (ko)
JP (1) JP3254139B2 (ko)
KR (1) KR100216569B1 (ko)
DK (1) DK0824953T3 (ko)
ES (1) ES2195105T3 (ko)
PL (1) PL189207B1 (ko)
TW (1) TW33800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977B1 (ko) * 2000-08-24 2005-03-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흡수탑에서 흡수액내의 화학적 산소요구량 조절방법
KR101049305B1 (ko) * 2008-10-13 2011-07-13 한국전력공사 배연탈황공정에서 탈황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7778A1 (fr) * 2010-11-24 2012-05-25 Total Raffinage Marketing Procede et dispositif de regulation de la demande en air d'unites merox extractif
EP2578292B1 (en) 2011-10-07 2018-12-26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A method of controlling a wet scrubber useful for removing sulphur dioxide from a process gas
US9457316B2 (en) * 2012-07-12 2016-10-04 The Babcock & Wilcox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compounds and conditions in a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WFGD) unit
CN114778648B (zh) * 2022-04-24 2023-10-31 深圳科瑞德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水溶液氧化还原电位值的测试系统及测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798A (en) * 1973-09-24 1975-11-04 Du Pont SO{HD 2{B abatement
DE3125452C2 (de) * 1981-06-29 1985-09-12 Degussa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Entgiften und zum Absenken des CSB und des BSB in kontinuierlichen Abwasserströmen mit wechselnden Gehalten verschiedener oxidierbarer Inhaltsstoffe mit Wasserstoffperoxid
JPS5910845A (ja) * 1982-07-09 1984-01-20 Sanwa Shoji Kk 液中亜硫酸の定量法およびその定量装置
US4533440A (en) * 1983-08-04 1985-08-0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the sulfite/sulfate ratio
EP0224627A1 (en) * 1985-12-06 1987-06-10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esulfurizing exhaust gas
EP0259533A1 (en) * 1986-09-11 1988-03-16 Eka Nobel Aktiebolag Method of reducing the emission of nitrogen oxides from a liquid containing nitric acid
JP2923082B2 (ja) * 1991-06-10 1999-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煙脱硫方法
JP3068312B2 (ja) * 1992-03-11 2000-07-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煙脱硫方法
JP3241197B2 (ja) * 1994-01-26 2001-12-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吸収液中の亜硫酸カルシウムの酸化制御方法
JP3268127B2 (ja) * 1994-07-11 2002-03-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亜硫酸塩の酸化制御方法
US5595713A (en) * 1994-09-08 1997-01-2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Hydrogen peroxide for flue gas desulfuriz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977B1 (ko) * 2000-08-24 2005-03-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흡수탑에서 흡수액내의 화학적 산소요구량 조절방법
KR101049305B1 (ko) * 2008-10-13 2011-07-13 한국전력공사 배연탈황공정에서 탈황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18A (ko) 1998-06-05
DK0824953T3 (da) 2003-09-08
PL189207B1 (pl) 2005-07-29
US5879945A (en) 1999-03-09
PL321747A1 (en) 1998-03-02
TW338006B (en) 1998-08-11
EP0824953B1 (en) 2003-05-14
EP0824953A1 (en) 1998-02-25
JPH1057752A (ja) 1998-03-03
ES2195105T3 (es) 2003-12-01
JP3254139B2 (ja) 200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552B1 (ko)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아황산염의 산화제어방법
US5560893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oxidation of sulfites
JP6522114B2 (ja) 湿式排煙脱硫装置及び湿式排煙脱硫装置の運転方法
KR100216569B1 (ko) 배연탈황방법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 측정방법
JP3968457B2 (ja) 湿式排煙脱硫方法
JP3836048B2 (ja) 湿式排煙脱硫方法及びその装置
EP0224627A1 (en) Method for desulfurizing exhaust gas
JPS61433A (ja) 排煙脱硫方法
JP4790243B2 (ja) 硫黄化合物を含む廃水の処理方法
JP3241197B2 (ja) 吸収液中の亜硫酸カルシウムの酸化制御方法
KR100471977B1 (ko) 흡수탑에서 흡수액내의 화학적 산소요구량 조절방법
JPH09327616A (ja) 排煙脱硫装置の酸化性物質濃度制御方法及び装置
JPH0125627Y2 (ko)
JPH0227867Y2 (ko)
JPH09323023A (ja) 排煙脱硫装置の酸化空気供給制御方法及び装置
JPH0929063A (ja) 排煙処理方法と装置
JPH10216474A (ja) スラリ中の炭酸塩濃度の制御方法と装置
JPH03275122A (ja) 湿式排煙脱硫装置
JPH0938454A (ja) 排煙脱硫装置の酸化空気供給方法及び装置
JPS62136229A (ja) 湿式排煙脱硫装置における出口so↓2濃度制御装置
JP2006068599A (ja) アンモニア性窒素含有廃水の処理装置
JPH04271812A (ja) 湿式排煙脱硫装置
JPH05237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