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404B1 -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404B1
KR100216404B1 KR1019960011305A KR19960011305A KR100216404B1 KR 100216404 B1 KR100216404 B1 KR 100216404B1 KR 1019960011305 A KR1019960011305 A KR 1019960011305A KR 19960011305 A KR19960011305 A KR 19960011305A KR 100216404 B1 KR100216404 B1 KR 100216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anchor bolt
processing
movable die
fixed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187A (ko
Inventor
이선미
Original Assignee
이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미 filed Critical 이선미
Priority to KR101996001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404B1/ko
Publication of KR97006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74Making machine elements forked members or members with two or more limbs, e.g. U-bolts,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앵커볼트의 헤드부를 단조가공하여 제작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한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앵커볼트를 가공하기 위한 기술은 환봉상으로 준비된 재료를 선반등의 절삭기계를 이용하여 절삭가공 하거나,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하게 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따라서 본 발명은 준비된 소재를 고정다이와 가동가이에 소정간격을 두고 대각으로 마주보게 형성된 블럭다이를 진입되게 한 후, 각 다이를 교차시켜 소재의 외주면 협지한 상태에서 강압 및 통과시킴에 따라, 상기 블럭의 경사도와 돌출정도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단조 가공을 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본 발명은 앵커(Anchor)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볼트의 헤드부를 대각 방향에서 마주하여 교차되는 다이(die)를 통과시켜, 단조가공 함에 따라 제작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앵커볼트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석조물에 간판이나 전등과 같이 비교적 중량이 큰 물품을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앵커볼트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목적을 갖는 앵커볼트는 제3도(b)에서와 같이, 구조물에 매립 고정되는 헤드부(1)와 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사등으로 물품을 체결하는 나선부(2)로 되어있다.
상기 헤드부(1)의 대단부(1a)는 나선부(2)에 연결되어 앵커용 스토퍼(도시하하지 않음)가 결합되는 소단부(1b)의 외경에 비해 확대되어 있으며, 이때 헤드부(1)의 대단부(1a)를 제작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환봉상으로 준비된 재료를 선반등의 절삭기계를 이용하여 절삭가공 하거나,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하게 된 방법이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전자의 절삭가고의 경우에는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게 되거 제작설비와 가공공정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후자의 사출성형의 경우에는 제품의 경도가 떨어지게 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종래의 앵커볼트의 제작에 따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품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하기 위하여 준비된 소재를 고정다이와 가동다이에 소정간격을 두고 대각으로 마주보게 형성된 양측의 블럭 사이에 진입하게 한 후, 각각의 다이를 교차시켜 소재의 외주면을 협지한 상태에서 강압하면서 통과시킴에 따라, 상기 블럭의 경사도와 돌출정도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단조가공을 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치밀도를 높이고 제작설비를 감축시켜 생산성과 품질을 제고 시킬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공공정을 평면도로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가공하기 위한 소재의 투입상태이고,
(b)는 가공 진행상태이며,
(c)는 가공완료상태이다.
제3도(a), (b)는 가공하기 위해 준비된 소재와 가공이 완료된 앵커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20 : 고정다이
21 : 블럭 30 : 가동다이
31 : 블럭 32 : 작동봉
100 : 소재 110 : 완제품
이하, 본 발명의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공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베이스(10)의 상면에 요구하는 형상의 형(型) 단조를 할 수 있게 블럭(21)이 형성된 고정다이(20)가 기립 설치되고, 이 고정다이(20)에 인접된 일측에 상기 블럭(21)에 대각으로 마주보는 블럭(21)을 구비한 가동다이(30)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다이(30)의 일단에는 크랭크 또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등의 동력원에 의해 연동되어 가동다이(30)를 왕복동작시키는 작동봉(32)이 연결되어 있고, 가동다이(30)의 타측에는 그 왕복동작시 직진성을 유지시켜 주는 안내레일(40)이 길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다이(20)와 가동다이(30)에 각각 마주하여 형성된 블록(21), (31)은 상호간에 교차하게 되는 시작점(S)로부터 종료지점(E)에 이르는 길이 방향의 전구간이 완만한 상향 경사면을 이루고 블록(21), (31)의 폭방향도 종료지점(E)을 향해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때, 양측의 블럭(21), (31)이 유지하고 있는 간격과 각 블럭의 돌출 정도에 따라 가공하기 위한 앵커볼트의 헤드부 형상 및 규격이 결정된다.
한편, 제3도 (a)에서와 같이 환봉상으로 준비된 소재(100)는 고정다이(20)와 가동다이(30)의 교차점(C)에 진입되며, 이 교차점(C)에 다수의 소재(100) 순차적으로 진입되게 호퍼(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소재(100)의 진입과 각 다이(20), (30)에 의해 성형된 완제품(11)의 취출을 용이하게 베이스(10)를 경사지게 설치한다.
형(型) 단조를 하기 위한 소재(100)의 재질은 타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가단성(可鍛性; forgeability)의 금속재질 또는 가열 상태의 금속시료가 바람직하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공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고정다이(20)에 형성된 블럭(21)과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직진 동작을 하는 가동다이(30)가 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봉(32)에 의해 교차점(C)에 도달되면, 그 일측의 호퍼(50)에 대기중이던 다수의 소재(100)들 중 선단부에 위치하던 하나가 교차점(C)에 진입된다((a)도 참조)
교차점(C)에 진입된 소재(100)의 직경은 고정다이(20)에 마주보는 가동다이(30)의 간격과 거의 일치하게 되나, 각 다이(20), (30)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블럭(21), (31)은 소재(100)에 형(型) 단조를 할 수 있게 내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양측의 블럭(21), (31)은 소재(100)가 진입되는 시작점(S)부터 종료지점(E)까지 완만하게 폭이 확대되면서 상향으로 경사진 상태이므로, 각 다이(20), (30)에 소재(100)가 진입된 후, 가동다이(30)를 동작시켜 상호 마주 보면서 교차하는 블록(21),(31) 사이를 소재(1001)가 통과할 때 점직전으로 압착하게 된다.
제2도 (b)는 고정다이(20)에 일치되는 위치로 가동다이(30)가 교차되고 그사이에서 회전 및 이동되는 소재(100)가 대략 블록(21),(31)의 중간 위치를 통과하는 가공진행 상태로서, 이 경우 소재(100)의 외주면에는 원하는 가공량에 대해 약 절반정도의 가공이 진행된 상태이다.
이어서, (c)에서와 같이 가동다이(30)가 고정다이(20)와 동일 위치에서 더욱더 진행되어 각 블록(21),(31)의 종료지점(E)이 동일선상에 일치될 경우, 가동다이(30)의 진행이 종료되고 소재(100)의 가공도 종료되어 협지된 양측다이(20),(30)로부터 이탈된다.즉, 가동다이(30)의 직진동작에 의해 고정다이(20)와의 사이에 협지된 소재(100)는 회전과 이동, 바꾸어 표현하면 공전과 자전과 같은 동작을 통하여 단조가공이 완료되며, 각 다이(20),(30)로부터 이탈된 완제품(110)은 경사진 베이스(10)의 하부로 낙하되어 다른 공정(탭공정)을 통해 앵커볼트로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각 다이(20), (30)의 간격과 이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블럭(21), (31)의 돌출정도를 조정함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앵커볼트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설비를 간단하게 하여 설비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경제성이 있다.또한 가동다이(30)의 전후진 왕복에 의해 단조성형을 하게 됨으로써, 가공방법이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설비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품질을 재고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베이스(10)의 상면에 기립설치된 고정다이(20)에 대해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호대칭으로 마주보도록 양측면을 형단조를 할 수 있는 블럭(21), (22)을 구비한 가동다이(30)를 설치하여 이 가동다이와 상기 고정다이(20) 사이로 가공하기 위한 소재(100)를 진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동다이(30)에 연결된 작동봉(32)에 동력을 전달하여 고정다이(20)의 사이에 협지된 소재(100)를 회전 및 이동시키면서 그 외주면 상단에 헤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다이(20)에 교차되는 가동다이(30)가 완만하게 확대된 기울기를 가진 각 블럭(21), (31)의 종료지점(E)을 통과하는 순간 상기 헤드부와 와셔부 및 나사부의 가공을 완료하여 완제품(11)을 얻게되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KR1019960011305A 1996-04-15 1996-04-15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KR100216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305A KR100216404B1 (ko) 1996-04-15 1996-04-15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305A KR100216404B1 (ko) 1996-04-15 1996-04-15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187A KR970069187A (ko) 1997-11-07
KR100216404B1 true KR100216404B1 (ko) 1999-08-16

Family

ID=1945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305A KR100216404B1 (ko) 1996-04-15 1996-04-15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4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187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8746A (en) Burless blanking machine and process
CN1264654C (zh) 自动定心修边冲头
CN103639227A (zh) 一种制造超薄壁微小圆筒件的模具与方法
KR100216404B1 (ko)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KR102031876B1 (ko)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 제조방법
CN108097797A (zh) 一种电动机安装壳制备方法
CN112453292B (zh) 一种卡槽螺钉的加工工艺
CN203830619U (zh) 轴承锻造三工位工装调节机构
CA2147038A1 (fr) Procede et machine pour la realisation d'une armature en forme de bloc pour une piece de matiere composite
JPH01233035A (ja) 閉塞鍛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225599B1 (ko) 타이로드엔드 제조방법
CN211588409U (zh) 一种锻造模座
KR20040027773A (ko) 거푸집용 세파타이 가공장치
CN110153710B (zh) 一种压合裁切装置
SU140077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литейных заливов
KR100473890B1 (ko) 너클프레스
CN208437605U (zh) 一种金属类产品的局部镦厚成型模具
JP2625863B2 (ja) フープ材料成形方法
KR200340776Y1 (ko) 거푸집용 세파타이 가공장치
US631153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orged wide sidewalls of a continuous casting mold
RU2223839C1 (ru) Штамп для получения изделий типа паналей с ребрами жесткости
KR200270556Y1 (ko) 너클프레스
JPH01233034A (ja) 閉塞鍛造方法
JPS59225831A (ja) 絞り抜き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RU227073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кладных бол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