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274B1 - 골프 스윙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274B1
KR100216274B1 KR1019930701629A KR930701629A KR100216274B1 KR 100216274 B1 KR100216274 B1 KR 100216274B1 KR 1019930701629 A KR1019930701629 A KR 1019930701629A KR 930701629 A KR930701629 A KR 930701629A KR 100216274 B1 KR100216274 B1 KR 100216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golfer
golf swing
saddle
train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046A (ko
Inventor
제임스트로이 발라드
놀린올리버 루이스
칼톤윌리스 몽고메리
챨스하덴 버드송
Original Assignee
도날드 에이.호퍼
로버트 이. 쿠쉬
버지니아 호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드 에이.호퍼, 로버트 이. 쿠쉬, 버지니아 호퍼 filed Critical 도날드 에이.호퍼
Publication of KR93070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62Leg restrai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골퍼의 히프를 앉히기 위한 새들, 골프 스윙시 새들을 측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어셈블리, 다운스윙 및 활로우 스루시에 히프회전을 촉진시키는 제2 어셈블리, 스윙시에 골퍼의 어깨를 위치시키기 위한 제3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1 어셈블리는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피봇 가능한 연결수단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직선의 트랙에 측면 이동하도록 설치된 트래블러를 포함한다. 제2 어셈블리는 백스윙시에 새들이 그 둘레를 회전하는 제1 힌지 및 활로우 스루시에 새들이 그 둘레를 회전하는 제2 힌지를 갖는 힌지 어셈블리 및 스프링이다. 제3 어셈블리는 골퍼가 입는 조끼, 고정 백 플레이트, 새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으로 연장 가능한 서포트 어셈블리 및 백스윙시에 서포트 어셈블리에 회전력을 가하는 텐션 수단을 포함한다. 다리이동 제한 장치는 베이스에 부착되거나 골프스윙시에 골퍼의 다리 이동을 제한하도록 골퍼가 서있는 표면에 위치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골프 스윙 훈련 장치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골프스윙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퍼에게 원하는 골프스윙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기위해 (공이 있든지 없든지간에) 일련의 연습과정동안 골퍼의 적정한 움직임을 진전시키고 촉진시키는데 특히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년에 걸쳐 완벽한스윙으로 골퍼들을 연습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련한 특허가 다수 등록되었다. 이 장치들은 일련의 연습스윙 하는 동안 골퍼의 신체일부 떠는 온몸을 가이드하고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원하는 스윙의 종류는 장치마다 변하기 때문에 선행장치들은 골퍼에게 실제적으로 다른 스윙을 시키기 위한 다수의 다른 방법으로 작용해 왔다. 이 선행 장치들은 상체, 머리, 어깨 및 팔의 움직임을 강조한 반면에 골퍼의 히프 움직임을 무시하거나 제한 해 왔다.
예를들면, 1925. 3. 24. 특허된 씨. 디. 레밍톤(C. D. Remington)의 미국특허 제 1,530,519호는 전형적인 골프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장치는 골프스윙하는 동안 어떤 수직적인 또는 위쪽으로의 동작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골퍼는 히프를 포함하는 신체가 고정된 축 주위를 피봇하도록 강제된다. 마찬가지로, 1952. 9. 23.자 등록된 제이. 알. 오하라(J. R. O' Hara)의 미합중국 특허 제2,611,610호는 골프스윙하는 동안 그 위치에서 어깨, 히프 및 발을 고정시키는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메카니즘은 히프의 측면 움직임과 어깨의 측면 움직임을 촉진하기 보다는 히프 부착 패드로 인하여 히프의 측면운동을 제한한다.
1953. 1. 20. 및 1956. 3. 6 자에 각각 등록된 지. 엠. 티. 젠크그(G.M.T. Jenks)의 미합중국 특허 제2,626,151호 및 제2,737,437호는 스윙하는 동안 신체의 움직임을 조정하는 골프 훈련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이 특허들은 스윙하는 동안의 히프 움직임이 몇몇 측면 구성요소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그 특허들의 메카니즘은 어떤 그러한 움직임을 심하게 제한한다. 다른 선행기술과 같이, 이 장치에서 골퍼의 히프움직임은 장치의 중심축 둘레의 회전으로 한정된다.
1956. 7. 17. 등록된 제이. 알. 오하라의 미합중국 특허 제2,755,091호는 골퍼의 히프가 단일 축 둘레의 회전운동으로 제한된 경우에 있어서의 골프 스토로크 하는 동안의 신체움직임을 훈련시키기 위한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1969. 2. 25 자 등록된 알. 아벨, 주니어(R. Abel, Jr) 의 미합중국 특허 제3,429,571호는 히프받이(hip harness)가 측면 동작을 할 수 있게 하거나 촉진하지 않고 단일 축 둘레를 회전하는 모터구동 스윙 훈련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1965. 11. 2 자 등록된 에스. 이. 셀던(S. E. Sheldon)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215,438호는 단일 축 둘레의 히프회전이 이탈되었을 때 경고신호가 주어지는 골퍼용 히프 훈련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1986. 6. 10 자 등록된 안셀모(Anselmo)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593,909호는 골퍼에게 특정의 스윙을 강요하는 다수의 벨트를 갖는 골프 훈련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이 특허는 히프의 측면 움직임을 촉진하지 않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발명자인 제임스 발라드(Jemes Ballard)는 30년간 골프코스에서, 그리고 비데오테이프 및 사진으로 골퍼를 가르치고 연구한 결과 히프가 골프스윙하는 동안 중심축 둘레를 회전한다는 전통적 개념은 틀린것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보다 큰 힘과 조절은 측면 히프이동을 강조하는 스윙에서 얻어진다.
백스윙하는 동안, 오른손잡이 골퍼의 히프는 오른쪽 측면으로 이동해야 하는 반면에 골퍼에 체중읕 오른쪽 발에 얹혀 지는데, 즉 오른쪽다리로 지탱한다. 히프는 윈래의 어드레스(address) 위치에서 45°까지 회전할 수 있다.
다운 스윙에서, 양 히프는 오른쪽 히프가 동시에 스윙되므로 공이 떨어지는 지점을 향하여 측면으로 움직여야 한다(즉, 왼쪽측면 동작). 히프는 원래의 어드레스 위치를 통하여 움직이며 활로우 스루(follow-through)시에 양 히프가 목표지점을 향하거나 가능하게는 목표지점의 왼쪽을 향하는 한 위치로 이동한다. 다운스윙의 시작시에, 어깨는 팔을 스윙시키고, 그렇게하므로서 볼레 임팩트되는 순간까지는 히프보다 뒤로 지연된다. 타구점(striking point)에서, 히프, 어깨 및 골프 클럽 샤프트는 원래의 어드레스 위치에 거의 접근한 위치에 도달한다. 발, 다리 및 히프는 철저하게 동작의 기초를 제공하도록 연쇄반응으로 조정된다. 뒤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이러한 동작은 발라드 스윙(Ballard Swing)으로 불리는데 그의 저서 당신의 골프 스윙을 완벽하게 하는법(골프 다이제스트/테니스, 인코포레이티드. 1981) 및 레이드 돌프, 인코포레이티드(Reid Dolph, Inc.)에서 제작된 그의 1989년 비디오 기초적인 스윙에 설명되어 있다. 선행의 연습장치는 발라드 스윙으로 골퍼를 연습시키지 않는다. 실제로, 대부분은 그러한 동작을 막는다.
본 발명의 골프훈련장치는 골퍼의 체중을 오른쪽 다리로 지탱하고 그와 일치하는 정확한 상체, 어깨 및 팔동작을 갖는 측면 및 회전 히프동작이 조화되는 발라드 스윙을 하도록 골퍼를 도와준다. 발라드 스윙은 골퍼의 히프운동을 제한하여 안내하는 히프 새들(saddle)의 사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히프 새들은 측면 좌우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수평틀랙을 따라 이동한다. 히프 새들대는 이중 한지 설치수단에 의해 트랙에 부착된다. 이것은 히프 새들대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골퍼는 어깨를 가로질러 부착된 고정 바(rigid bar)를 갖는 조끼를 입는다. 이 어깨바는 유동 샤프트 어셈블리(floating shaft assembly)에 연결되어 있다. 유동 샤프트 어셈블리는 히프새들대 설치수단 위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동 샤프트 어셈블리의 베이스 위치는 히프 새들이 스윙을 통하여 이동하므로서 변화한다. 많은 스프링 및 탄성부재가 히프 새들대와 고정 어깨 바의 이동을 적절하게 조화시킨다. 또한, 스윙의 이상적인 전환점, 즉, 골퍼가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 변환 할 때에 일치하는 위치에는 조정가능한 다리 정지부(leg stop)가 위치해 있다. 이 정지부는 오른쪽다리의 표적으로서 그리고 측면 움직임과 체중이동의 정도를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사용시에, 골퍼는 원할 경우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가이드 되는 동안 실제로 공을 칠 수 있는 일련의 골프연습을 할 수 있고 따라서 원하는 스윙을 개발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제1도는 오른손잡이 골퍼에 대하여 도시된 본발명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면에 따른 제1도 장치의 배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면에 따른 스윙 칼라(collar)를 도시한 장치 세그먼트의 단편적인 평면도;
제4도는 본발명 서포트 어셈블리(support assembly)의 단편적인 배면도;
제5도는 제2도의 5-5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측면도;
제6도는 샤프트의 측면도;
제7도는 본발명 트래블러 어셈블리(traceler assembly)의 단편적인 배면도;
제8도는 제7도의 8-8면으로부터본 본발명 트래블러 어셈블리의 측단면도;
제9도는 본발명 히프 새들 어셈블리의 평면도;
제10도는 히프 새들의 부분도;
제11도는 제9도의 11-11면으로부터 본 본발명 히프 새들 어셈블리의 단편적인 부분 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12-12선에 따른 본발명 히프 새들 어셈블리의 단면도;
제13도는 본발명 유동 샤프트 보조 어셈블리의 단편적인 측단면도;
제14도는 점선으로서 조끼 뒷면의 선택성을 보여주는 본발명에 사용된 조끼의 묘사도;
제15, 16 및 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시 새들 어셈블리가 이동하는 다양한 위치의 묘사도;
제18도는 선행기술 장치에 의한 히프움직임의 개략적인 다이아그램;
제19-26도는 골퍼의 훈련에 사용할때의 본발명 골프 훈련 장치의 묘사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른손잡이를 위한 골프 훈련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플레이트(10)는 장치의 받침대가 설치되는 플랫폼 및 골퍼(11)와 골프공(12)이 연습시에 위치할 수 있는 베이스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10)에 부착된 것은 베이스(13)인데 이 베이스는 너트 및 볼트(14)와 같은 부착수단에 의해 플레이트(10) 위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스(13)는 플로어 또는 지면에 위치한 콘크리트 슬랩(sldb)(도시되지 않음)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베이스(13)는 베이스 새들(17)에 의해 상단에 연결된 두 개의 단부 플레이트(15,16)로 구성된다. 베이스 새들(17)은 그 단부에 설치 플레이트(18,19)가 부착된다. 설치 플레이트(18,19)는 베이스 새들(17)의 선단(22) 가까이에 구멍(20,21) (점선으로 도시됨)을 갖는다. 베이스 새들(17)은 각각 구멍(20,21) 및 단부 플레이트(15)에 있는 구멍(28,29)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피못 핀(26,27)에 의해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설치 플레이트(18,19)에 있는 구멍(23,24)과 단부플레이트(15,16)에 있는 초생달 모양의 개구부(32,33)를 통하여 끼워진 체결수단(30,31)은 단부 플레이트(15,16)와 미끄럼 가능한 연결로 베이스 새들(17)의 후단(25)을 고정한다. 체결수단(30,3)은 사용하지 않을때의 위치에서는 베이스 새들(17)을 잠그도록 조여지는 반면에 사용시에는 초생달형 개구부(32,33)에서 베이스 새들(17)의 후단(25)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느슨해진다. 선택적으로 체결수단은 각각 구멍(23,24)과 초생달형 개구부(32,33)를 통하여 끼워진 단순한 핀이 될 수 있는데 베이스 새들(17)을 클램핑 하기 위한 수단없이 어떤 편리한 수단으로 적절하게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새들(17)의 전진운동은 어떤 편리한 수단에 의해 베이스 새들(17)의 후단(25) 및 통상의 설치수단(36,37)에 의해 단부 플레이트(15,16)에 결합된 스프링(34,35)에 의해 조정된다. 스프링(34,35)은 연습 스윙시에 골퍼의 히프와 어깨의 수직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정상적인 사용시에 스프링(34,35)은 골프스윙시 신장(伸張)한다.
관형 설치스탠드(38)는 베이스 새들(17)에 있는 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위치한다. 스탠드(38)상에 위치한 것은 필수적으로 위치하는 핀(fin, 40)을 갖는 스윙칼라(39)이다. 스윙칼라(39)는 셋트 스크류(41)에 의해 설치스탠드(38)에 고정되지만 베이스 새들(17)에 상대적으로 설치 스탠드(38)가 회전하도록 한다. 스윙칼라(39)는 설치스탠드(38)의 초기 조정시에 설치 스탠드(38)가 베이스 새들(17)에 상대하여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최대 높이를 설정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골퍼의 신장에 맞춰 초기 조정한 후에 셋트 스크류(42)는 베이스 새들(17)에 상대하여 설치 스탠드(38)의 수직위치를 고정시키지만 스윙시에 베이스 새들(17)에 상대하여 설치스탠드(38)의 수직적, 즉, 높이, 이동을 하게하지 않는다. 레버작용 어셈블리(lever action assembly)(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선택적인 수단이 베이스 새들(17)과 설치스탠드(38)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나사진(threaded) 서포트 요소(45,46) 수단에 의해 베이스 새들(17) 상에 설치된 셋트 스크류(43,44)는 베이스 새들과 관련하여 스윙 칼라(39) 및 설치 스탠드(38)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핀(40)과 상호작용한다. 정상적인 작동시에 셋트 스크류(44)는 지지체(46)를, 셋트 스크류(43)는 지지체(45)를 통하여 연장되도록 조정된다. 이것은 다운 스윙에서 보다 백스윙시에 스탠드(38)가 보다 큰 회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셋트 스크류(43,44)는 스위 칼라(39)의 회전을 적절하게 제한하도록 적절하게 위치한 고정된 정지부(stops)로 대체될 수 있다.
스탠드(38)의 상부에 설치된 것은 베이스 플레이트(47)이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7)는 힌지 어셈블리(49)에 의해 트래블러 서포트 플레이트(48)에 움직이게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50,51)은 베이스 플레이트(47)와 트래블러 서포트 플레이트(48) 사이에 위치한 볼트 어셈블리(52,53)에 의해 적절하게 고정된다. 스프링(50,51)은 장지 상부의 중량을 서포트하도록 작용하여 자유롭게 상하로 유동시키고 동시에 스윙시에 전달된 충격을 흡수한다.
볼트(54)와 플레이트(55)에 의해 트래블러 서포트 플레이트(48)에 설치된 것은 내부에 자요롭게 회전가능한, 단계진(stepped) 샤프트(57)를 갖는 샤프트 케이싱(56)이다. 샤프트(57)의 일단은 보다 큰 장방형 부분(60)위에 설치된 원주형 부분(59)을 갖는 단게진 플레이트(58)에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57)는 샤프트 케이싱(56)에 비하여 회전하는 것이 자유롭기 때문에 플레이트(58) 역시 회전하는 것이 자유롭다. 플레이트(58)는 샤프트 케이싱(56)의 양쪽에 있는 볼트(62,63)에 의해 트래블러바(61)에 부착되어 있다. 샤프트(57)의 다른 단부는 처음에 도면번호 64와 같이 작아지고 다시 도면번호 65와 같이 작아져서 나사져 있다.
처음 작아진 부분(64) 위에 설치된 것은 T자형 샤프트 회전 제한 수단(66)이다. 샤프트 케이싱(56)과 샤프트(57) 상에 있는 샤프트 회전 제한 수단 사이에 위치한 것은 워셔(67)이다. 샤프트(57)의 나사진 단부(65)은 적절히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너트와 결합된다. 샤프트(57)는 우드러프(woodruff) 키이(69)에 의해 샤프트 회전제한 수단에 관련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트래블러 바(61)가 수직면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 할 수 있다.
샤프트 회전 제한 수단(66)은 두 개의 스크류 조절부(70,71)를 갖는다. 스크류 조절부(70,71)는 샤프트 회전 제한 수단(66)의 아암(arms)과 트래블러 지지체(48) 상에 단단하게 설치된 플레이트(72) 사이에 어느정도 까지만 연장한다. 스피링(73,74)은 샤프트 회전 제한 수단(66)의 아암과 플레이트(72) 사이에서 스크류 조절부(70,71) 상에 설치된다. 이들 요소들의 조합은 샤프트(57)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반면에 그러한 운동에 의해 전달된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것은 트래블러 바가 할 수 있는 회전량을 제한한다.
제7도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느 바와 같이, 트래블러 바의 단부에 부착된 것은 단부 플레이프(75,76)이다. 단부 플레이트(75,76) 사이에 설치된 것은 다운스윙 정지부(78)와 백스윙 정지부(79)이다. 다운스윙 정지부(78)는 셋트 스크류(80)에 의해 로드(77) 상에 고정되고 백스윙 정지부는 셋트 스크류(81)에 의해 고정된다. 하기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정지부(78,79)는 트래블러 어셈블리(83) 상에 설치된 트래블러 정지부(82)와 상호 작용한다. 트래블러 정지부(83)는 로드(77)가 통과하는 구멍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스프링(84)은 다운스윙 정지부(78)와 트래블러 정지부(82) 사이의 로드(77) 상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85)은 트래블러 정지부(82)와 백스윙 정지부(79)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트래블러 어셈블리(83)는 세 개의 휠(wheels, 87,88,89)이 설치된 트래블러 설치 플레이트(86)를 포함한다. 윌(87,88,89)은 트래블러 바(61)와 연결되어 양쪽에 위치한다. 휠(87)은 단부 플레이트(75)와 트래블러 정지부(82) 사이에서 트래블러 바(61)의 상부상에 위치한다. 휠(88) 역시 마찬가지로 트래블러 정지부 및 단부 플레이트(76) 사이에 위치한다. 휠(89)는 트래블러 바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트래블러 어셈블리(83)는 트래블러 바(61)를 따라서 옆으로 이동한다. 트래블러 정지부(82)는 지지 플레이트(90)에 의해 트래블러 설치 플레이트(86) 상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트래블러 정지부(82)는 트래블러 어셈블리(82)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연습 스윙시 골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스프링(84,85), 백스윙 정지부(79) 및 다운스윙 정지부(78)와 상호작용한다.
트레블러 어셈블리(83)는 제15-18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힌지(93,94)를 갖는 힌지 어셈블리를 통하여 골퍼의 히프에 입혀지는 히프 새들(91)에 부착된다. 지지 아암(95,96)은 트래블러 어셈블리(83) 상에 설치되어 힌지(94)에 부착된 아암(97)에 함께 연결된다. 아암(98)은 힌지(94) 둘레를 회전하도록 힌지(94)에 부착된다. 아암(98)에 부착된 것은 아암 연장부(98)이다. 탄성의 범퍼(bumpers, 100,101)는 아암(98)이 지지 아암(96)과 접촉하거나 아암(99)이 아암(97)과 접촉할때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각각 아암(97,98) 상에 설치된다. 아암 연장부(99)는 다른쪽 단부에서 힌지(93)의 한쪽에 부착된다. 힌지(93)의 다른 아암(102)은 히프 새들(91)에 부착된다. 탄성 범퍼(103)와 조정가능한 제한 정지부(104)는 힌지(93)가 아암 연장부(99)에 부착될 경우에 힌지(93)에 부착된다.
히프 새들(91)은 각각 서포트 플레이트(107,108)에 부착된 두 개의 방석을 댄(padded) 표면(105,106)을 갖는다. 서포트 플레이트(107,108)는 백플레이트(back plate, 109)에 미끄럼 가능하게 부착된다. 서포트 플레이트(107,108)는 통상의 조정수단(110) 의하여 플레이트(109)에 상대적인 운동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서포트 플레이트(107,108)에 부착된 것은 통상의 방법으로 함께 고정된 벨트 스트랩(111,112)이다. 서포트 플레이트(108)에 부착된 것은 스프링(114)의 일단이 부착된 금속고리(eyelet, 113)이다. 스프링(114)의 다른 단부는 트래블러 어셈블리(83) 상에 설치된 아암(115)에 조정 가능한 금속고리(116)에 의해 부착된다.
백플레이트(109)는 백 서포트 새들 플랫폼(back support saddle platform, 117)에 부착된다. 금속고리(118)는 백 서포트 새들 플랫폼 상에 설치된다. 금속고리(118)에 부착된 것은 스프링(119)의 일단부로서 타단부는 조정가능한 금속고리(120)에 의해 트레블러(83) 상에 설치된 아암(12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백 서포트 새들 플랫폼(117) 상에 설치된 것은 백 서포트 어셈블리(122)이다. 백 서포트 어셈블리(122)는 그것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운동될 수 있는 방법으로 피봇 어셈블리(123) 상에 설치되어 있다. 피봇 어셈블리(123) 상에 설치된 볼 베어링 레이스(race, 124)는 백 서포트 어셈블리(122)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백 서포크 어셈블리(122)의 저면부는 수직이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방법으로 고무 지지체(125)에 설치되어 이요소들의 조합된 작용이 볼 조인트의 작용과 유사하도록 한다. 백 서포트 어셈블리(122) 상에 설치된 것은 탄성 띠(strap, 127)의 일단이 부착된 조정 가능한 금속고리(126)이다. 탄성 띠(127)의 다른 단부는 트래블러 바(61)의 단부 플레이트(75) 상에 설치된 아암(128)에 조정가능한 금속고리(129)를 통하여 부착된다. 띠(127)의 텐션(tension)은 아암(128)을 따라서 금속고리(128)의 위치를 변경하므로서 조절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중공(hollow) 튜브(130)는 금속고리(126) 바로 위에서 백 서포트 어셈블리(122) 부분을 형성한다. 서포트 어셈블리(122) 위에 설치된 것은 튜브(130)와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연장으로 맷팅 상부 자유유동(mating upper free-floating) 백 서포트 어셈블리(131)이다. 자유 유동 백 서포트 어셈블리(131)는 백 서포트 어셈블리(122)의 정사각형 튜브(13)의 반대쪽에 있는 일련의 구멍과 일치하는 반대쪽에 있는 구멍(slots, 132)을 갖는다. 너트 및 볼트 어셈블리(134)는 자유유동 상부 백 서포트 어셈블리(131) 및 중공 튜브(130)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 하도록 그들을 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자유 유동 상부 백 어셈블리(131)의 상단부는 고정 플레이트(131)에 부착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135)는 골퍼(11)가 입을 조끼(136)의 어깨부분을 가로질러 부착되어 있다. 조끼는 통상적인 수단으로 전면을 가로질러 부착되는데 미합중국 특허 제4,691,924의 기술에 따른 아암 커넥터(137)를 갖는다.
베이스(13)에 부착된 것은 아암(139)이 베이스(13)에 부착되는 지접 둘레를 피봇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골퍼의 다리와 상기 아암(139)사이의 측면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수단(140)에 의해 베이스(13)에 부착된 아암(139)으로 이루어진 다리이동 제한 장치(138)와 목표물이다. 아암(139)의 다른 단부는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패드(141)에 부착된다. 따라서, 패드(141)의 위치는 트래블러 어셈블리(83)의 이동과 같은 방향인 측면으로 조정될 수 있어서 패드(141)가 백스윙과 다운스윙사이의 전환점에서 다리이동을 정확하게 제한하기 위한 적절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다리이동 제한 장치는 골퍼가 서있는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모두 히프이동에 관련된 경우의 선행 골프 훈련 장치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축 둘레의 회전운동을 제한했다. 선행기술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어드레스 위치에서 오른쪽히프(142)와 왼쪽히프(143)는 공(12)에 직각으로 정렬된다. 백스윙시에 히프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오른쪽 히프가 142'에, 왼쪽히프는 143'에 위치된다. 다운 스윙시에, 히프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윙의 마지막 부분에서 오른쪽 히프 및 왼쪽 히프가 142″ 및 143″에 위치하므로서 원래의 어드레스 위치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정열되도록 한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은 발라드 스윙을 가르친다. 발라드 스윙으로 백 스윙시에는 오른손잡이 골퍼의 히프는 우측으로 이동해야 하지만 오른쪽 발은 공의 예상 비행선에 대하여 수직 위치에 고정된다. 골처의 체중은 오른쪽 다리로 지탱하면서 오른쪽 발에 실린다. 골퍼는 오른쪽 발의 안쪽부분, 오른쪽무릎 및 상부 허벅지 또는 서혜부 내부에 압력을 느낀다. 골퍼의 왼쪽 히프는 원래의 어드레서 위치로부터 45°이하로 회저한다. 다운스윙시에, 양 히프는 오른쪽 히프가 동시에 스윙(즉, 회전 히프 이동)하므로 볼이 떨어지는 지점을 향하여 측면으로 이동(즉, 좌측이동)하여야 한다. 히프는 원래의 어드레스 위치를 통하여 이동하는데 활로우스루시에 양 히프가 목표지점을 향하거나 가능하게는 목표지점의 왼쪽으로 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다운스윙의 시작시에 어깨는 팔을 스윙시키고 그렇게 함으로서, 공에 임팩트 되는 순간까지 히프보다 지연된다. 타구점에서 히프, 어깨 및 골프클럽 샤프트는 원래의 어드레스 위치와 거의 가까운 위치에 도달한다. 발, 다리 및 히프는 철저하게 기초를 제공한다.
스윙을 하기위한 본 발명의 동작은 제19도 내지 제26도에서 명확히 알 수 있다. 발라드 스윙에서의 어드레서 위치에서는 다리는 지탱을 하고 무릎은 가볍게 부딪치며, 발은 어깨의 폭까지 벌리고(즉, 골퍼의 발 사이의 거리는 골퍼 어깨의 외부측정치와 같다), 발 안쪽은 정상적인 궤도의 타격을 위해서 왼쪽 뒤꿈치를 내부로 놓는다. 체중은 연결된 큰 내부 근육과 발의 내부에 싣는다. 무릎과 히프는 수평이고 오른쪽 어깨는 단지 오른쪽 손이 왼쪽 손 아래 즉, 클럽 샤프트의 더 아래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왼쪽 어깨보다 아래에 있다.
제19도는 어드레스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훈련 장치를 사용하는 골퍼를 도시한 것이고 제15도는 어드레스 위치에서의 히프 새들(91)과 트래블러 어셈블리(83)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1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래블러 어셈블리(83)는 동일한 압축하의 스프링(84,85)과 함께 트래블러 바를 따라서 중간에 위치해 있다. 스프링(84,85)은 트래블러 어셈블리(83)가 중심에 오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백서포트 어셈블리(122)와 고정 플레이트(135)는 적절한 위치에서 골퍼의 몸을 고정시키도록 T자를 형성한다. 탄성 띠(127)는 텐션이 없거나 약간있고 백 서포트 어셈블리(122)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토오크가 없다. 스프링(114)은 피봇(93) 둘레의 운동으로부터 히프 새들(91)을 고정하도록 작용한다. 스프링(119)은 약간의 텐션만을 가지며 기본적으로 중립적인 작용을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7), 트래블러 서포트 플레이트(48) 힌지 메카니즘(49) 및 스프링(50,51)의 작용은 골퍼에게 자연스런 운동을 방해하는 장치의 중량을 느끼지 않고 클럽의 정확한 위치를 향하여 상체가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한다. 발라드 스윙의 초기에, 어깨, 팔, 손 및 중심(즉, 척추) 모두는 오른쪽으로 함께 회전한다. 히프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회전을 시작한다. 골퍼의 체중은 오른쪽 다리로 지탱하면서 오른쪽 발로 이동을 시작한다. 백 스윙시에는 체중을 오른쪽 발과 다리로 지탱하고, 왼쪽 히프는 회전하면서 오른쪽으로 측면 이동하며 머리와 상체는 오른쪽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는 제20도 및 제21도와 일치한다.
골퍼가 백스윙을 시작할 때 골퍼는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트래블러 어셈블리(83)는 골퍼의 기하학적 측면에 근거하여 오른쪽으로 2-6인치 이동한다. 트래블러 어셈블리(83)의 이러한 측면 운동 때문에 즉, 우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탄성 띠(127)는 텐션을 가지게 되고 금속고리(126)은 고정된 금속고리(129)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게 된다. 이것은 골퍼의 어깨가 원하는 방향으로 돌아가도록 해주는 백 서포트 어셈블리(122)에 회전 토오크를 준다. 골퍼의 히프가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새들(91)은 힌지(93) 둘레를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작한다. 스프링(114)은 너무 이른 회전을 방지하도록 작용하여 백스윙시의 이동으로부터 야기되는 힘을 흡수하도록 작용한다. 샤프트(57)의 작용에 의해 히프 새들(91)은 백스윙시 히프의 상대적인 높이에 따른 차이점을 보상하도록 각을 조정할 수 있다. 제16도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래블러 어셈블리(83)는 히프 새들(91)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에 대하여 우측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과잉의 회전을 제한 정지부(104)에 의해 방지된다.
골퍼의 체중이 그의 오른쪽 다리에 실리므로(즉, 오른쪽 다리로 지탱하므로), 다리 이동 제한 장치(138)골퍼가 오른쪽 다리(오른손잡이 골퍼에 대하여)를 이동시킬수 있는 목표로서 작용하고 백스윙의 완료시에는 제2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과잉의 체중이동 또는 오른쪽 다리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발라드 스윙에서, 백스윙의 완료(즉, 전환점)로부터 다운 스윙의 시작 까지의 변환을 공을 향하여 오른쪽 발, 오른쪽 무릎 및 오른쪽 히프의 킥(kick)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적절한 다운 스윙면에 클럽을 셋트 시키는 이동이다. 다운 스윙은 어깨보다는 발, 다리 및 히프가 먼저 시작되어야 한다. 제16도 내지 제2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환점에서의 탄성 띠(127)는 다운스윙의 시작시에 어깨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텐션을 가지며 스프링(85)은 압축되고 스프링(84)은 늘어난다. 이것은 다운스윙으 시작시에 요구되는 히프동작을 도와주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이장치는 띠(127)에 의한 어깨의 억제작용과 스프링(84)의 절대적인 작용을 통하여 다운스윙의 시작시에 발, 다리 및 히프를 도와준다.
다운스윙의 진행시에 히프 새들(91) (따라서, 골퍼의 히프)은 힌지(93) 둘레를 회전하고, 발라드 스윙에서 요구되는 조합된 회전운동 및 측면운동이 되면서 트래블러 어셈블리(83)가 트래블러 바(61)를 따라 이동하는 것처럼 측면으로 이동한다. 골퍼는 골퍼가 초기 어드레스 위치에 거의 돌아오는 시점에서 공을 타격한다. 즉, 트래블러 어셈블리(83)은 제15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래블러 바의 중심으로 되돌아 온다. 스프링(114,119)은 힌지(94) 둘레의 히프 새들(91)의 회전운동을 방지한다. 탄성 띠(127)의 텐션이 풀어지고 백 서포트 어셈블리(122)의 비틀림이 없다.
골퍼는 제23도 내지 제26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활로우 스루를 계속할 때 골퍼의 히프는 목표를 향하거나 목표의 왼쪽을 향할때까지 회전을 계속한다. 이러한 활로우 스루시에 골퍼는 무릎, 히프, 어깨와 함께 스윙을 완료하고 체중을 전체적으로 왼쪽으로 놓아야 한다. 활로우스루의 완료시에 히프 새들(91)은 제1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 있다. 활로우스루시에 트래블러 어셈블리(83)는 히프 새들이 힌지(94) 둘레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바와 같이 왼쪽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이것은 탄성 띠(127)의 텐션을 완전히 없애서 활로우 스루시에 어깨가 자유로운 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스프링(114,119)은 힌지(93) 둘레를 히프 새들(91)이 너무 일찍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스프링(114) 역시 힌지(93) 들레를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스프링(114)은 골퍼의 히프가 목표에 일직선으로 되거나 발라드 스윙에서 요구되는 것과 같은 목표의 약간 왼쪽으로 있도록 보장하도록 히프 새들(91)이 힌지(93) 둘레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게 한다. 스프링(114,119) 역시 이러한 동작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작용한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는 골퍼가 원하는 발라드 스윙으로 이동하도록 도와주고 이 소정의 패턴에 반하는 스윙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이 장치에서는 발라드 스윙 이외의 골프스윙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장치에서의 많은 연습 스윙의 수행은 골퍼의 신체가 정확한 발라드 스윙이 되도록 훈련시킨다. 이 장치는 골프공과 함께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장치는 신체가 정확한 스윙을 하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공을 적절하게 타구하는 것과 같은 실제적인 느낌을 주고 정확한 스윙의 결과를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명세서 및 도면은 오른손잡이 골퍼를 훈련시키는 것에 관하여 설명된 것이다. 이 장치 및 이동 방향에서의 단순한 변형은 본 발명을 왼손잡이 골퍼가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정의 상세한 사항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기술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6)

  1. 골퍼의 히프를 앉히기 위한 새들 ; 골프 스윙시 새들을 측면운동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어셈블리, 새들을 제1 어셈블리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a) 백스윙시 새들이 제1축 둘레를 회전운동 하도록 촉진시키고, (b) 활로우스루시 새들이 제2축 둘레를 회전 운동하도록 촉진시키는 제2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어셈블리가 힌지와 스프링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어셈블리가 백스윙시 새들을 그 둘레에 회전하게 하는 제1 힌지 및 활로우스루시 새들을 그 둘레에 회전하게 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어셈블리가 골프 스윙시에 트랙을 따라 측면으로 움직이도록 직선의 트랙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트래블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새들이 활로우스루시에 트랙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스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스윙시에 골퍼의 어깨를 위치시켜 주고, 한쪽 단부는 골퍼의 어깨에 부착되고, 다른쪽 단부는 새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3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3 어셈블리가 골퍼의 다운 스윙 시작시에 어깨의 이동을 억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제2 어셈블리가 다운스윙의 시작시에 새들이 제1축 둘레를 회저하도록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직선의 트랙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봇 가능한 연결 수단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피봇가능한 연결 수단이 골프 스윙시에 트랙의 수직이동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피봇 가능한 연결 수단이 핀과 스프링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트랙이 골퍼의 신장과 관련하여 새들의 각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제3 어셈블리가, 골퍼가 입게될 앞면과 뒷면을 갖는 조끼, 조끼의 뒷면에 부착된 고정 플레이트, 상단이 고정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하단이 새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서포트 어셈블리, 백스윙시에 서포트 어셈블리에 회전력을 가하는 텐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서포트 어셈블리가 수직으로 연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베이스에 부착되고 골프스윙시에 골퍼의 다리이동을 제한하도록 위치한 다리이동 제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다리이동 제한 장치가 골퍼가 서있는 표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훈련장치.
KR1019930701629A 1990-11-30 1991-10-22 골프 스윙 훈련 장치 KR100216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20,271 US5050885A (en) 1990-11-30 1990-11-30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620,271 1990-11-30
PCT/US1991/007814 WO1992009338A1 (en) 1990-11-30 1991-10-22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046A KR930703046A (ko) 1993-11-29
KR100216274B1 true KR100216274B1 (ko) 1999-08-16

Family

ID=2448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629A KR100216274B1 (ko) 1990-11-30 1991-10-22 골프 스윙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050885A (ko)
EP (1) EP0559761B1 (ko)
JP (1) JP3495041B2 (ko)
KR (1) KR100216274B1 (ko)
AT (1) ATE135246T1 (ko)
AU (1) AU652899B2 (ko)
BR (1) BR9107137A (ko)
CA (1) CA2096829C (ko)
DE (1) DE69117972T2 (ko)
DK (1) DK0559761T3 (ko)
ES (1) ES2088127T3 (ko)
WO (1) WO1992009338A1 (ko)
ZA (1) ZA91851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03B1 (ko) 2010-03-16 2010-09-15 박웅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
KR101332144B1 (ko) 2013-06-27 2013-11-21 윤동명 골프 스윙 연습 장치
WO2018128211A1 (ko) * 2017-01-05 2018-07-12 (주)레봇 피봇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교정 장치
KR102232938B1 (ko) * 2020-08-07 2021-03-26 (주)케이에스전자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5663A (en) * 1991-03-06 1992-06-30 Lurowist Jr Nicholas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5259621A (en) * 1992-10-09 1993-11-09 Keefer Donald L Chipping and putting trainer device
US5397121A (en) * 1993-03-17 1995-03-14 Gipson; John S. Visual swing aid for golfers
US5449335A (en) * 1993-12-06 1995-09-12 Better Shape-Up, Inc. Waist-trimming exercise apparatus
AU1348597A (en) * 1995-12-29 1997-07-28 Michael J. Alton Human activity simulator
AU724631B2 (en) * 1996-03-05 2000-09-28 Paul Shane Kerin A golf stroke trainer
DE19630820C2 (de) * 1996-07-31 2000-09-28 Norbert Blank Vorrichtung zum Trainieren der Körperhaltung und der Körperbewegung eines Golfspielers
EP0963222B1 (en) * 1997-01-21 2001-11-07 Michel Dagenais Training and exercise apparatus for golf
US6024656A (en) * 1997-10-08 2000-02-15 Lane; Joseph Golf swing training method
WO1999032199A1 (es) * 1997-12-22 1999-07-01 Antonio Foncillas Marro Maquina para aprendizaje del swing del golf
US5984796A (en) * 1998-09-15 1999-11-16 Myong Chun Mah Golf swing training device for detecting correct weight shift
US6431991B1 (en) * 1999-01-26 2002-08-13 John W. Deabler, Inc. Golf swing training system
US5984797A (en) * 1999-01-26 1999-11-16 John W. Deabler, Inc. Golf swing training system
US6551196B1 (en) * 1999-01-26 2003-04-22 John W. Deabler, Inc. Freestanding golf swing training system
CA2387116A1 (en) * 1999-11-12 2001-05-17 Thomas F. Mora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6371863B1 (en) 1999-11-12 2002-04-16 Thomas F. Mora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6575844B1 (en) 2001-02-24 2003-06-10 Richard R. Gray, Jr. Golf stance and movement training device
US6558266B2 (en) 2001-03-23 2003-05-06 Mcmahon Anthony Basil Golf training glasses
KR20030067297A (ko) * 2002-02-08 2003-08-14 조웅래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0416202B1 (ko) * 2002-03-30 2004-01-31 김성수 상체회동 운동기구
AU2003901136A0 (en) 2003-03-13 2003-03-27 Keith Reginald Lloyd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7134969B2 (en) * 2003-04-01 2006-11-14 Citron Lowell A Golf posture brace and garment
WO2004096383A1 (en) * 2003-04-04 2004-11-11 Benolt, Llc Golf swing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7117538B2 (en) * 2003-04-18 2006-10-10 Rene Bosne Swing training jacket
US7544172B2 (en) * 2004-06-29 2009-06-09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 Enterprises Walk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US7238116B1 (en) 2005-06-16 2007-07-03 Sulzener Randy W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8360942B2 (en) 2005-08-09 2013-01-29 The University Of Toledo Core muscle strengthening
US7695415B2 (en) * 2005-08-09 2010-04-13 University Of Toledo Trunk rotation
WO2007110682A1 (en) * 2006-03-29 2007-10-04 Grant, Sybil Swing cage
CA2552993A1 (en) * 2006-06-19 2007-12-19 Tim Cranston Golf training glasses
US7645198B2 (en) * 2007-03-22 2010-01-12 Van Heerden Andre P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7874970B2 (en) * 2007-07-02 2011-01-25 Glisan Billy J Power-core training system
DE202009005761U1 (de) 2008-10-30 2010-03-25 Krispler, Walter Vorrichtung zum Lernen und Trainieren des Golfschwungs
DE202009009416U1 (de) * 2009-07-09 2009-09-17 Boldin, Alexander Golfschwung-Übungsgerät
US20110021329A1 (en) * 2009-07-24 2011-01-27 Patrick Dunne Body attached sports training device
US9050515B1 (en) 2012-02-17 2015-06-09 Calvin M. Kimura Golf swing training machine
US9687717B2 (en) * 2012-03-19 2017-06-27 Michael Licata Sports swing training apparatus
KR101553015B1 (ko) 2013-12-05 2015-09-15 박경원 골프 스윙 연습 및 교정 시스템
US9561421B2 (en) * 2014-09-30 2017-02-07 James Hungelmann Sports training and conditioning apparatus relating to golf
US9278272B1 (en) * 2015-02-12 2016-03-08 Joseph Sery Golf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CN107970104B (zh) * 2016-10-21 2023-10-24 深圳光启合众科技有限公司 腰部旋转机构
US11235218B2 (en) 2018-12-06 2022-02-01 Brian Wiggins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WO2020146597A1 (en) 2019-01-10 2020-07-16 Mason Bradley R Swing training assembly for swing sports including golf, baseball, tennis or hocke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0519A (en) * 1923-02-23 1925-03-24 Edward De Groot Golf-form apparatus
US1854392A (en) * 1929-02-13 1932-04-19 Irving L Bambrick Golf club guide
US2737432A (en) * 1949-01-28 1956-03-06 Jenks George M Troutman Golf practice apparatus
US2626151A (en) * 1949-01-28 1953-01-20 Jenks George M Troutman Golf practicing apparatus
US2611610A (en) * 1950-05-16 1952-09-23 Hara James Rikuo Mechanical golf player's stance positioner
US2755091A (en) * 1953-10-23 1956-07-17 James R Hara Golf practice device
US3138388A (en) * 1961-10-06 1964-06-23 Charles C Herold Device for coordinating the pivotal movement of a golfer's shoulders and hips
US3215438A (en) * 1961-12-22 1965-11-02 Samuel E Sheldon Hip movement training device for golfers
US3415523A (en) * 1966-08-17 1968-12-10 Alvin M. Boldt Golfer's training device
US3429571A (en) * 1966-12-08 1969-02-25 Roy Abel Jr Programmed swing training device
US3767204A (en) * 1972-09-21 1973-10-23 Bryson H Ray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3876212A (en) * 1973-10-01 1975-04-08 Jess Oppenheimer Swing-accommodation apparatus
US4034991A (en) * 1974-03-18 1977-07-12 Jess Oppenheimer Swing training apparatus
US3917281A (en) * 1974-03-18 1975-11-04 Jess Oppenheimer Swing training apparatus
US3895366A (en) * 1974-03-18 1975-07-15 Francis E Morris Golf swing sensing device
US4071251A (en) * 1976-07-26 1978-01-31 John Beckish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4211418A (en) * 1979-02-09 1980-07-08 Jess Oppenheimer Unattached swing teaching apparatus
US4326718A (en) * 1980-08-18 1982-04-27 Kiehl Arthur H Golf swing training and exercising device
US4659084A (en) * 1982-04-01 1987-04-21 Vuick Michael C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4593909A (en) * 1984-02-16 1986-06-10 John Anselmo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US4691924A (en) * 1986-05-07 1987-09-08 J. B. Golf Enterprises, Inc. Golfer's arm movement control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03B1 (ko) 2010-03-16 2010-09-15 박웅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
KR101332144B1 (ko) 2013-06-27 2013-11-21 윤동명 골프 스윙 연습 장치
WO2018128211A1 (ko) * 2017-01-05 2018-07-12 (주)레봇 피봇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교정 장치
KR20180080819A (ko) * 2017-01-05 2018-07-13 (주)레봇 피봇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교정 장치
KR101902981B1 (ko) 2017-01-05 2018-10-02 (주)레봇 피봇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교정 장치
KR102232938B1 (ko) * 2020-08-07 2021-03-26 (주)케이에스전자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WO2022030711A1 (ko) * 2020-08-07 2022-02-10 (주)케이에스전자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35246T1 (de) 1996-03-15
JP3495041B2 (ja) 2004-02-09
CA2096829A1 (en) 1992-05-31
WO1992009338A1 (en) 1992-06-11
EP0559761B1 (en) 1996-03-13
DE69117972T2 (de) 1997-04-17
DK0559761T3 (da) 1996-07-22
AU652899B2 (en) 1994-09-08
AU9067191A (en) 1992-06-25
KR930703046A (ko) 1993-11-29
CA2096829C (en) 2004-01-27
US5050885A (en) 1991-09-24
DE69117972D1 (de) 1996-04-18
ZA918513B (en) 1992-08-26
BR9107137A (pt) 1994-02-22
ES2088127T3 (es) 1996-08-01
JPH06503017A (ja) 1994-04-07
EP0559761A1 (en) 199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6274B1 (ko) 골프 스윙 훈련 장치
US5393280A (en) Swimming exercise and training apparatus
US6551196B1 (en) Freestanding golf swing training system
US7585228B2 (en) Golf swing plane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9561421B2 (en) Sports training and conditioning apparatus relating to golf
US4717149A (en) Free throw shooting practice device
US4623148A (en) Free throw shooting practice device
US6224522B1 (en) Swing exerciser
US3044776A (en) Football training device
US5743805A (en) Golf swing timing trainer
US20040043824A1 (en) Swing training device
WO1998022188A9 (en) Golf swing timing trainer
US6431991B1 (en) Golf swing training system
WO1982001471A1 (en) Swing training device
KR100607686B1 (ko) 클럽 스윙훈련 방법
GB2570216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7223218B2 (en) Muscle strengthening device
US5913755A (en) Stretching device for increasing upper torso flexibility
US5478079A (en) Golf training apparatus
JPH02502340A (ja) 抵抗力式練習装置
US7699714B1 (en) Multi-functional golf train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US7517292B2 (en) Apparatus for improving body rotation for striking a bal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0176515A1 (en) BATTLE GAME EXERCISE DEVICE.
US5690494A (en) Golf teaching aid
CN211050830U (zh) 一种组合式体育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