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938B1 -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938B1
KR102232938B1 KR1020200099479A KR20200099479A KR102232938B1 KR 102232938 B1 KR102232938 B1 KR 102232938B1 KR 1020200099479 A KR1020200099479 A KR 1020200099479A KR 20200099479 A KR20200099479 A KR 20200099479A KR 102232938 B1 KR102232938 B1 KR 102232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uxiliary
unit
wais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복천
신성현
박창희
박은혜
장영화
김재혁
우혜지
허진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전자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전자
Priority to KR102020009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938B1/ko
Priority to JP2021002931A priority patent/JP2022031095A/ja
Priority to PCT/KR2021/000881 priority patent/WO20220307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 제1 보조부, 제2 보조부 및 차단체를 통해 사용자의 엉덩이, 허리 및 다리의 움직임을 설정되는 각도로만 강제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자세를 강제로 잡아 교정시키므로, 잘못된 자세를 갖는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제1 보조부; 상기 제1 보조부의 상측에 본체부와 결합되도록 별도로 형성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허리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가이드와 함께 이송되는 제2 보조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왼쪽 다리 회전을 막도록 회동을 통해 펼쳐지는 차단체; 상기 본체부, 제1 보조부, 제2 보조부 및 차단체에 형성되어 본체부, 제1 보조부, 제2 보조부 및 차단체의 작동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강도와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제어하도록 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윙하는 자세를 촬영하는 초고속 카메라;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본체부의 위치와 높이, 제1 보조부의 돌출 간격, 엉덩이 폭, 제2 보조부의 허리 꺾임 각도, 높이 및 돌출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리가 제1 보조부와 제2 보조부에 밀착된 상태로 밸트를 통해 고정되어 사용자가 스윙할 때 사용자의 몸을 설정되는 회전각도로만 회전시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제어부가 사용자의 본체부 측면 또는 사용자의 팔에 찰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부의 제1 받침부재가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을 따라 회전되면, 제2 받침부재가 비틀어지며 대각선으로 회동되어 허리의 회전을 강제하여 보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Assistance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roofs for golf swing attitude}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본체부, 제1 보조부, 제2 보조부 및 차단체를 통해 사용자의 엉덩이, 허리 및 다리의 움직임을 설정되는 각도로만 강제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자세를 강제로 잡아 교정시키므로, 잘못된 자세를 갖는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정지상태에서 휘두르는 기구 즉, 클럽을 이용해 볼을 타격시키어 목표지점으로 쳐내는 것입니다. 여기서, 매우 중요한 것은 스윙의 낭비와 스윙시 클럽의 헤드가 제 궤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것을 지키기 위해서는 정적인 자세 예를 들어 그립, 어드레스 그리고 스탠스등 타격전의 기초자세와 그 기초자세를 바탕으로 한 동적인 자세인 스윙을 들을 수 있다.
그런데 초보자나 일반 골퍼들이 정적인 기초자세는 어느 정도 숙지 되나 동적자세인 스윙이 불안정한 다시 설명하면,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폴로드루 및 피니시등 연속적이고 리듬적으로 이루어지는 스윙을 숙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윙에서 갖추어야할 자세들이 많이 있으나 크게 대두되는 것은 허리와 어깨 및 둔부의 동선으로서, 이러한 스윙훈련은 주로 지도자의 조언이나 문언을 통해 숙지하게 되는데, 이때 지도자의 다각적이고 간접적인 지도방식 또는 골퍼의 감각에 따른 습득 정도의 차이로 훈련이 일관적이지 못하고 표준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일관적인 훈련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특히 초보자들에게는 혼선을 주게됨과 아울러, 훈련 효율의 저하는 물론이고, 정확한 자세, 즉 어드레스나 스윙을 정확히 숙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불안정한 어드레스 및 스윙으로 훅샷.슬라이스샷이 일어나 비구선이 정확하지 못하고 비거리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선행특허 1은 골프연습자의 상체 중 어깨와 등부위의 일부를 포함하는 상체의 일부분만을 통제시켜 스윙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 1은 다리의 좌,우 스탠스, 머리위치, 히프 및 어깨를 포함하는 상체의 위치, 골프채의 스윙가이드 등 신체의 전부위에 걸쳐 어느정도 자세교정이 이루어진 숙련된 연습자가 아닌 초심자의 경우에는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고, 숙련된 연습자라 하더라도 골프스윙연습시에 순간적으로 상체가 3차원 공간내에서 복잡한 형태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골프스윙연습자의 상체 각부위의 위치이동과 연습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해당부위의 위치이동이 상호간 순응하면서 조화를 이루어 작동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연습장치를 이루는 해당부위의 각 구성요소가 가지고 있는 기구적인 결함에 의하여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결국 스윙연습자에겐 연습상 저해요소로 작용하게 되어 연습이 불편한 취약점과 함께 심지어 안전사고 내지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2는 골프스윙연습자의 하체로서 다리의 좌,우 스탠스, 머리위치, 어 깨를 포함하는 상체의 위치, 골프채의 스윙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위치, 히프의 위치 등 신체의 각 부위를 골고루 통제하여 부위별로 자세를 교정하면서 골프스윙연습을 행할수 있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 2는 어깨부위를 포함하는 상체와 히프부위의 교정수단은 전술한 선행기술과 마찬가지로 스윙연습시 신체의 위치이동과 연습장치의 해당구성요소의 위치이동이 상호간 불균형을 이루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골프채의 스윙가이더가 후부 중앙에 위치하는 지지체에 연관,설치되고 작동시 연습자의 전방부위를 어떤 형태로든 통과하거나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스윙연습시 연습자에게 심리적인 구속감과 함께 작동상 저해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3은 평판형상의 탑재판을 가지며, 이 탑재판의 적소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기둥을 포함하는 지주체와, 지주체의 상기 기둥 상단에 일측을 지축으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전을 이루도록하는 회동암과, 회동암의 타단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탑재되어 자전을 이루면서 골퍼의 둔부을 받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 골퍼의 둔부 측면을 받치는 날개형의 보조 서포트를 포함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 3은 사용자의 골프 스윙시 엉덩이와 허리 및 어깨를 강제하여 회전을 보조하는 구성은 유사하나, 엉덩이, 허리 및 어깨의 움직임에 따라 가이드를 통해 넓게 회전되는 구성이 아니라서 자세 교정의 효과가 반감되고, 자세 교정시 정상적인 사용자의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해 자세가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4는 바닥에 저판을 마련하고 저판의 후부엔 지주를 세워 설치하며 저판이나 지주의 소정위치엔 스윙가이드기구, 히프교정기구, 상체교정기구, 스탠스교정기구, 머리교정기구 등을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 는 상부 일측을 후방으로 제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스윙가이드기구는 상기 지주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과 전방으로 돌출되게 제1회전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1회전부재의 선단부엔 만곡가이더가 설치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 4는 사용자의 골프 스윙시 엉덩이와 허리 및 어깨를 강제하여 회전을 보조하는 구성은 유사하나, 엉덩이, 허리 및 어깨의 움직임에 따라 가이드를 통해 넓게 회전되는 구성이 아니라서 자세 교정의 효과가 반감되고, 자세 교정시 정상적인 사용자의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해 자세가 틀어지는 선행특허 3의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1 : 일본특허공고 평성 제4-41632호 선행특허 2 : 일본특허 공고 평성 제4-56634호 선행특허 3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5415호(2006.04.25.) 선행특허 4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67297호(2003.08.14.)
본 발명은 본체부, 제1 보조부, 제2 보조부 및 차단체를 통해 사용자의 엉덩이, 허리 및 다리의 움직임을 설정되는 각도로만 강제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자세를 강제로 잡아 교정시키므로, 잘못된 자세를 갖는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는, 바닥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제1 보조부; 상기 제1 보조부의 상측에 본체부와 결합되도록 별도로 형성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허리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가이드와 함께 이송되는 제2 보조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왼쪽 다리 회전을 막도록 회동을 통해 펼쳐지는 차단체; 상기 본체부, 제1 보조부, 제2 보조부 및 차단체에 형성되어 본체부, 제1 보조부, 제2 보조부 및 차단체의 작동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강도와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제어하도록 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윙하는 자세를 촬영하는 초고속 카메라;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본체부의 위치와 높이, 제1 보조부의 돌출 간격, 엉덩이 폭, 제2 보조부의 허리 꺾임 각도, 높이 및 돌출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리가 제1 보조부와 제2 보조부에 밀착된 상태로 밸트를 통해 고정되어 사용자가 스윙할 때 사용자의 몸을 설정되는 회전각도로만 회전시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제어부가 사용자의 본체부 측면 또는 사용자의 팔에 찰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부의 제1 받침부재가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을 따라 회전되면, 제2 받침부재가 비틀어지며 대각선으로 회동되어 허리의 회전을 강제하여 보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보조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고정 형성되며, 사용자의 엉덩이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이송시키도록 본체부에 고정 형성되는 이송체; 상기 가이드의 전면에 고정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1 회동체 및 상기 제1 회동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가 밀착되는 제1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보조부는, 상기 제1 보조부의 상측에 별도로 형성되며 높이 조절 및 전후 방향 각도조절이 되는 고정대 상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 라인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며,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2 회동체 및 상기 제2 회동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밀착되는 제2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보조부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높이 조절 및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되는 고정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어깨 회전을 보조하도록 제3 보조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3 보조부는, 상기 제2 보조부의 상측에 일정 높이 이격되어 고정대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어깨 라인을 따라 형성되며, 사용자의 어깨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3 회동체; 상기 제3 회동체의 양측면 또는 어깨라인 수평 방향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어깨 외측 또는 어깨라인 등에 밀착되는 제3 받침부재 및 상기 제3 받침부재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프로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본체부, 제1 보조부, 제2 보조부 및 차단체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외측에 별도로 형성되는 제어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부, 제1 보조부, 제2 보조부 및 차단체를 통해 사용자의 엉덩이, 허리 및 다리의 움직임을 설정되는 각도로만 강제하여 사용자가 골프 스윙을 할때 보조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세를 강제로 잡아 교정시키므로, 잘못된 자세를 갖는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의 제1 보조부와 제2 보조부가 이송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의 제어부를 통해 작동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에 사용자가 접촉하여 밸트를 통해 고정되어 스윙을 준비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에 사용자가 접촉하여 밸트를 통해 고정된 상태로 스윙을 한뒤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의 가이드가 사용자를 중심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에 사용자가 접촉하여 어깨와 목까지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에 제3 보조부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정면 부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바닥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가이드(21)를 따라 이송되는 제1 보조부(20); 상기 제1 보조부(20)의 상측에 본체부(10)와 결합되도록 별도로 형성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허리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가이드(21)와 함께 이송되는 제2 보조부(30);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왼쪽 다리 회전을 막도록 회동을 통해 펼쳐지는 차단체(60); 상기 본체부(10),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및 차단체(60)에 형성되어 본체부(10),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및 차단체(60)의 작동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강도와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1)에서 제어하도록 하는 센서부(80);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윙하는 자세를 촬영하는 초고속 카메라(100);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본체부(10)의 위치와 높이, 제1 보조부(20)의 돌출 간격, 엉덩이 폭, 제2 보조부(30)의 허리 꺾임 각도, 높이 및 돌출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1)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리가 제1 보조부(20)와 제2 보조부(30)에 밀착된 상태로 밸트(b)를 통해 고정되어 사용자가 스윙할 때 사용자의 몸을 설정되는 회전각도로만 회전시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제어부(1)가 사용자의 본체부(10) 측면 또는 사용자의 팔에 찰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부(20)의 제1 받침부재(24)가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을 따라 회전되면, 제2 받침부재(32)가 비틀어지며 대각선으로 회동되어 허리의 회전을 강제하여 보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보조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에 고정 형성되며, 사용자의 엉덩이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21); 상기 가이드(21)를 이송시키도록 본체부에 고정 형성되는 이송체(22); 상기 가이드(21)의 전면에 고정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1 회동체(23) 및 상기 제1 회동체(23)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가 밀착되는 제1 받침부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보조부(30)는, 상기 제1 보조부(20)의 상측에 별도로 형성되며 높이 조절 및 전후 방향 각도조절이 되는 고정대(50) 상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 라인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며,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2 회동체(31) 및 상기 제2 회동체(31)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밀착되는 제2 받침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보조부(30)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높이 조절 및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되는 고정대(5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어깨 회전을 보조하도록 제3 보조부(4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3 보조부(40)는, 상기 제2 보조부(30)의 상측에 일정 높이 이격되어 고정대(50)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어깨 라인을 따라 형성되며, 사용자의 어깨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3 회동체(41); 상기 제3 회동체(41)의 양측면 또는 어깨라인 수평 방향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어깨 외측 또는 어깨라인 등에 밀착되는 제3 받침부재(42) 및 상기 제3 받침부재(42)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재(4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프로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본체부(10),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및 차단체(6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외측에 별도로 형성되는 제어장치(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면으로서, 바닥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가이드(21)를 따라 이송되는 제1 보조부(20); 상기 제1 보조부(20)의 상측에 본체부(10)와 결합되도록 별도로 형성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허리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가이드(21)와 함께 이송되는 제2 보조부(30);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왼쪽 다리 회전을 막도록 회동을 통해 펼쳐지는 차단체(60); 상기 본체부(10),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및 차단체(60)에 형성되어 본체부(10),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및 차단체(60)의 작동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강도와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1)에서 제어하도록 하는 센서부(80);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윙하는 자세를 촬영하는 초고속 카메라(100);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본체부(10)의 위치와 높이, 제1 보조부(20)의 돌출 간격, 엉덩이 폭, 제2 보조부(30)의 허리 꺾임 각도, 높이 및 돌출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1)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의 제1 보조부와 제2 보조부가 이송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면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의 제어부를 통해 작동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에 사용자가 접촉하여 밸트를 통해 고정되어 스윙을 준비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에 사용자가 접촉하여 밸트를 통해 고정된 상태로 스윙을 한뒤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의 가이드가 사용자를 중심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에 사용자가 접촉하여 어깨와 목까지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에 제3 보조부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정면 부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는 바닥에 고정되며, 상측으로 높이 조절이 되도록 형성되며, 바닥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체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체는 골프공이 위치하는 패드와 본체부(10) 간에 사용자가 위치할 때 사용자의 신장이 큰 경우 골프공이 위치하는 패드 범위를 벗어 날 수 있으므로 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슬라이드체가 형성되어 본체부(10)를 사용자의 뒤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는 제1 보조부(20) 및 제2 보조부(30)가 접혀지도록 형성되어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체 대신 하부에 이송롤러가 형성되어 이동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체는 본체부(10)의 이송을 위해 바닥에 슬라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회전기어가 결합되는 회전모터가 본체부(10) 내부에 구비되어 제어부(1)의 신호를 통해 본체부(10)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제1 보조부(20) 및 고정대를 승,하강 시킬수 있도록 내부에 승강부재가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상측을 승강시켜 제1 보조부(2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며, 제1 보조부(20)의 상측에 결합되는 고정대(50)도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에는 제1 보조부(20)가 형성되며, 제1 보조부(20)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을 따라 이송되며 엉덩이의 움직임을 제재하며 보조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제1 보조부(20)는 본체부(10)의 상측에 고정 형성되며, 사용자의 엉덩이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21), 가이드(21)를 이송시키도록 본체부(10)에 고정 형성되는 이송체(22), 가이드(21)의 전면에 고정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1 회동체(23) 및 제1 회동체(23)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가 밀착되는 제1 받침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21)는 사용자의 엉덩이 라인과 이격된 상태로 엉덩이 라인을 따라 굴곡지도록 형성되며, 이로 인해 엉덩이를 제1 받침부재(24)에 엉덩이가 받쳐진 상태로 가이드(21) 상에서 가이드(21)과 함께 제1 받침부재(24)가 이송되어 엉덩이가 밀착된 상태로 엉덩이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보조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21)에는 이송체(22)가 결합되어 이송체(22)의 롤을 따라 가이드(21)가 좌우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체(22)는 가이드(21)가 따라 이송되도록 다수의 롤이 상하 방향에서 형성되어 가이드(21)를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되며, 이송체의 후측이 본체부(10)에 결합 고정되어 가이드(21)가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21)의 전면에는 제1 회동체(23)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 이송 및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어 제1 받침부재(24)를 회동 및 전후 방향 간격을 조절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에 따라 제1 받침부재(24)가 회동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회동체(23)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엉덩이에 제1 받침부재(24)가 밀착될 때 소정 간격으로 엉덩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1 회동체(23)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이 조절되도록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동체(21)가 회동되도록 제1 받침부재(22)와 제2 회동체(21) 간은 유니버셜 조인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볼조인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체(23)의 전면에는 제1 받침부재(24)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와 밀착된다.
상기 제1 받침부재(24)는 쿠션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엉덩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엉덩이를 잡아주며, 전면측으로 밸트(b)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여 이송체(22)의 이송에 따라 사용자의 엉덩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21)은 사용자 허리의 굵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측으로 간격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회동체(23)가 가이드(21)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체(22)의 롤에는 제1 구동체가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가이드(21)를 좌우 방향으로 강제로 이송시킬 수도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구동체는 회전 모터로 이루어져 연결되는 롤을 회전시켜 가이드(21)를 따라 롤이 이송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의 회전이 강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1 구동체는 형성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이송체(22)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보조부(20)의 상측에는 고정대를 통해 결합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사용자의 허리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2 보조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보조부(30)는, 제1 보조부(20)의 상측에 별도로 형성되며 높이 조절 및 전후방향 각도 조절이 되도록 고정대(50) 상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허리 라인을 따라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며,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2 회동체(31) 및 제2 회동체(31)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밀착되는 제2 받침부재(3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50)는 제1 보조부(20)의 이송체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전측 또는 양측면에 가이드레일(51)이 형성되어 제2 보조부(30)의 제2 이송체(31)가 승강되어 제2 보조부(3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며, 제2 보조부(90)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제2 보조부(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대(50)의 각도조절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구동체(53)를 결합시켜 제어부(1)의 제어신호를 통해 자동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체(53)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또는 회전식 길이조절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부(30)의 제2 회동체(31)는 사용자의 허리와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고정대(5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51)을 따라 제2 회동체(31)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승강체(33)의 승강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2 회동체(31) 전면에 결합되는 제2 받침부재(32)가 제2 회동체(31)와 함께 승강된다.
상기 제2 회동체(31)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며,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되어 제2 회동체(31)의 전면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2 회동체(31)는 사용자의 허리 움직임을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골프 스윙을 할때 허리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되어 사용자의 허리 움직임이 불편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회동체(31)가 회동되도록 제2 받침부재(32)와 제2 회동체(31) 간은 유니버셜 조인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볼조인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동체(31)의 전면에는 제2 받침부재(32)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밀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 받침부재(32)는 쿠션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허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허리를 잡아주며, 전면측으로 밸트(b)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여 제2 이송체(32)의 이송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받침부재(32)는 사용자 허리의 굵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측으로 간격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부(30)의 상측에 이격되어 고정대의 상측에 제3 보조부(40)가 추가로 더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제2 보조부(30)는 제2 보조부(30)와 고정대(50)를 통해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어깨 회전을 보조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3 보조부(40)는, 상기 제3 보조부(40)는, 상기 제2 보조부(30)의 상측에 일정 높이 이격되어 고정대(50)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어깨 라인을 따라 형성되며, 사용자의 어깨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3 회동체(41); 상기 제3 회동체(41)의 양측면 또는 어깨라인 수평 방향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어깨 외측 또는 어깨라인 등에 밀착되는 제3 받침부재(42) 및 상기 제3 받침부재(42)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재(44)를 포함한다.
상기 제3 회동체(41))에는 제2 승강체(43)가 형성되며, 제2 승강체(43)는 제3 회동체(41)의 후면에 형성된 상태로 고정대(50)의 가이드레일(51) 상에 형성되어 제2 승강체(43)를 통해 제3 회동체(41)가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제3 회동체(41)는 사용자의 어깨 움직임을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 된다.
이러한 상기 제3 회동체(41)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되어 제3 회동체(41)의 전면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골프 스윙을 할때 허리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되어 사용자의 어깨 움직임이 불편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3 회동체(41)가 회동되도록 제3 받침부재(42)와 제3 회동체(41) 간은 유니버셜 조인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볼조인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회동체(41)의 전면에는 제3 받침부재(42)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어깨 양측면 또는 어깨라인의 등쪽이 밀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3 받침부재(42)는 쿠션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양측 어깨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양측 어깨 또는 어깨라인의 등을 잡아주며, 사용자의 양쪽 어깨를 구속 또는 등을 지지하여 제3 회동체(41)가 제2 보조부와 함께 이송되어 사용자의 상체가 회전될 때 설정되는 회전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3 받침부재(42)는 사용자 어깨의 넓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측으로 간격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받침부재(42)의 좌우 상측 방향에는 머리를 받칠 수 있도록 머리받침부재(44)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머리받침부재(44)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강제하여 머리 위치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는 사용자의 왼쪽 다리 외측에서 밀착되어 왼쪽 다리의 회전을 방지하는 차단체(60)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체(60)는 사용자가 본체부(10) 전면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펼쳐져 사용자의 왼쪽 다리 외측에 밀착되어 왼쪽다리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 받침부재(24), 제2 받침부재(32), 제3 받침부재(42) 및 차단체(60)에는 센서부(80)가 형성되어 사용자와 제1 받침부재(24), 제2 받침부재(32), 제3 받침부재(42) 및 차단체(60)가 사용자를 가압하는 압력 강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에 설정되는 압력 이상으로 사용자를 가압하지 않도록 가이드 및 차단체(60)의 작동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80)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또는 피에조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본체부(10)의 위치와 높이, 제1 보조부(20)의 돌출 간격, 엉덩이 폭, 제2 보조부(30)의 허리 꺾임 각도, 높이 및 돌출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1)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에는 표시체와 입력체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체를 통해 입력하는 제어값으로 본체부(10),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제3 보조부(40) 및 차단체(6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 및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제3 보조부(40), 차단체(60) 및 센서부(80)의 작동 상태를 표시체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는 본체부(10)의 측면 또는 사용자의 팔에 찰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는 사용자 또는 프로가 설정하여 사용자가 스윙하는 자세에 따른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제3 보조부(40) 및 차단체(70)의 상태가 사용자에 최적화 되는 경우 현재 상태 설정을 저장하여 동일 사용자의 경우 저장된 설정을 불러와 연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스윙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초고속 카메라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스윙 촬영 영상을 제어부(1)로 전송하여 제어부(1)의 통신부를 통해 휴대기기 또는 제어장치에서 사용자 또는 프로가 느린 화면 또는 캡쳐 영상 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프로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본체부(10),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제3 보조부(40) 및 차단체(6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외측에 별도로 형성되는 제어장치(7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장치(70)는 통신을 통해 휴대기기(90)와 통신하여 프로가 휴대기기(90)를 통해 제어신호를 제어장치(70)로 전송하여 본체부(10),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제3 보조부(40) 및 차단체(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본체부, 제1 보조부, 제2 보조부 및 차단체를 통해 사용자의 엉덩이, 허리 및 다리의 움직임을 설정되는 각도로만 강제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세를 강제로 잡아 교정시키므로, 잘못된 자세를 갖는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제어부
10 : 본체부
20 : 제1 보조부 21 : 가이드
22 : 이송체 23 : 제1 회동체
24 : 제1 받침부재
30 : 제2 보조부 31 : 제2 회동체
32 : 제2 받침부재 33 : 제1 승강체
40 : 제3 보조부 41 : 제3 회동체
42 : 제3 받침부재 43 : 제2 승강체
44 : 머리받침부재
50 : 고정대 51 : 가이드레일
52 : 구동체
60 : 차단체 70 : 제어장치
80 : 센서부 90 : 휴대기기
100 : 카메라

Claims (5)

  1. 바닥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가이드(21)를 따라 이송되는 제1 보조부(20);
    상기 제1 보조부(20)의 상측에 본체부(10)와 결합되도록 별도로 형성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허리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가이드(21)와 함께 이송되는 제2 보조부(30);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왼쪽 다리 회전을 막도록 회동을 통해 펼쳐지는 차단체(60);
    상기 본체부(10),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및 차단체(60)에 형성되어 본체부(10),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및 차단체(60)의 작동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강도와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1)에서 제어하도록 하는 센서부(80);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윙하는 자세를 촬영하는 초고속 카메라(100);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본체부(10)의 위치와 높이, 제1 보조부(20)의 돌출 간격, 엉덩이 폭, 제2 보조부(30)의 허리 꺾임 각도, 높이 및 돌출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1)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리가 제1 보조부(20)와 제2 보조부(30)에 밀착된 상태로 밸트(b)를 통해 고정되어 사용자가 스윙할 때 사용자의 몸을 설정되는 회전각도로만 회전시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제어부(1)가 사용자의 본체부(10) 측면 또는 사용자의 팔에 찰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부(20)의 제1 받침부재(24)가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을 따라 회전되면, 제2 받침부재(32)가 비틀어지며 대각선으로 회동되어 허리의 회전을 강제하여 보조하도록 하며,
    상기 제2 보조부(30)는,
    상기 제1 보조부(20)의 상측에 별도로 형성되며 높이 조절 및 전후 방향 각도조절이 되는 고정대(50) 상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 라인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며,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2 회동체(31) 및
    상기 제2 회동체(31)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밀착되는 제2 받침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에 고정 형성되며, 사용자의 엉덩이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21);
    상기 가이드(21)를 이송시키도록 본체부에 고정 형성되는 이송체(22);
    상기 가이드(21)의 전면에 고정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1 회동체(23) 및
    상기 제1 회동체(23)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가 밀착되는 제1 받침부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부(30)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높이 조절 및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되는 고정대(5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어깨 회전을 보조하도록 제3 보조부(4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3 보조부(40)는,
    상기 제2 보조부(30)의 상측에 일정 높이 이격되어 고정대(50)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어깨 라인을 따라 형성되며, 사용자의 어깨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 조절되는 제3 회동체(41);
    상기 제3 회동체(41)의 양측면 또는 어깨라인 수평 방향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어깨 외측 또는 어깨라인 등에 밀착되는 제3 받침부재(42) 및
    상기 제3 받침부재(42)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재(4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프로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본체부(10), 제1 보조부(20), 제2 보조부(30) 및 차단체(6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외측에 별도로 형성되는 제어장치(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KR1020200099479A 2020-08-07 2020-08-07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KR102232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479A KR102232938B1 (ko) 2020-08-07 2020-08-07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JP2021002931A JP2022031095A (ja) 2020-08-07 2021-01-12 ゴルフスイング姿勢矯正用補助装置
PCT/KR2021/000881 WO2022030711A1 (ko) 2020-08-07 2021-01-22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479A KR102232938B1 (ko) 2020-08-07 2020-08-07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938B1 true KR102232938B1 (ko) 2021-03-26

Family

ID=7525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479A KR102232938B1 (ko) 2020-08-07 2020-08-07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031095A (ko)
KR (1) KR102232938B1 (ko)
WO (1) WO20220307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698B1 (ko) 2022-10-05 2023-04-20 이승구 골프 스윙의 체중 이동 및 힙 턴 연습장치
KR102610971B1 (ko) 2023-02-15 2023-12-07 이승구 어깨 착용형 골프 스윙 연습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632A (ja) 1990-06-07 1992-02-12 Nikko Kyodo Co Ltd 電子機器用高力高導電銅合金及びその製造法
JPH0456634A (ja) 1990-06-25 1992-02-24 Kubota Corp 作業車の油圧回路構造
KR100216274B1 (ko) * 1990-11-30 1999-08-16 도날드 에이.호퍼 골프 스윙 훈련 장치
JP2000210405A (ja) * 1999-01-26 2000-08-02 Tsuruya Kk ゴルフスイング指導装置及び動作指導装置
KR200243155Y1 (ko) * 2000-12-14 2001-09-25 조웅래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030067297A (ko) 2002-02-08 2003-08-14 조웅래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0575415B1 (ko) 2004-01-19 2006-05-03 이동호 골프 훈련기구
KR20180080825A (ko) * 2017-01-05 2018-07-13 (주)레봇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7568U (ko) * 1987-06-12 1988-12-20
JPH0471982U (ko) * 1990-11-01 1992-06-25
JP2558594B2 (ja) * 1993-03-09 1996-11-27 美津濃株式会社 ゴルフスイング練習機
JPH0742645U (ja) * 1993-12-30 1995-08-11 慎一 鈴木 ゴルフスイング矯正装置
US8277331B2 (en) * 2010-11-15 2012-10-02 Ricky Whitt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632A (ja) 1990-06-07 1992-02-12 Nikko Kyodo Co Ltd 電子機器用高力高導電銅合金及びその製造法
JPH0456634A (ja) 1990-06-25 1992-02-24 Kubota Corp 作業車の油圧回路構造
KR100216274B1 (ko) * 1990-11-30 1999-08-16 도날드 에이.호퍼 골프 스윙 훈련 장치
JP2000210405A (ja) * 1999-01-26 2000-08-02 Tsuruya Kk ゴルフスイング指導装置及び動作指導装置
KR200243155Y1 (ko) * 2000-12-14 2001-09-25 조웅래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030067297A (ko) 2002-02-08 2003-08-14 조웅래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0575415B1 (ko) 2004-01-19 2006-05-03 이동호 골프 훈련기구
KR20180080825A (ko) * 2017-01-05 2018-07-13 (주)레봇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698B1 (ko) 2022-10-05 2023-04-20 이승구 골프 스윙의 체중 이동 및 힙 턴 연습장치
KR102610971B1 (ko) 2023-02-15 2023-12-07 이승구 어깨 착용형 골프 스윙 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31095A (ja) 2022-02-18
WO2022030711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938B1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US9808668B2 (en) Apparatus for automated walking training
US7117538B2 (en) Swing training jacket
US3698721A (en) Golf practice device
US4993716A (en) Golf stance alignment device
KR101770089B1 (ko)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US7946927B2 (en) Golf training aid
US5421579A (en) Training apparatus for a golf swing
US6139450A (en) System for training a pitcher to pitch a baseball
US7611420B1 (en) Golf swing training guide
US20020142854A1 (en) Golf swing instructional device and method
JP3277205B2 (ja) ゴルフスウィング練習装置
KR102523698B1 (ko) 골프 스윙의 체중 이동 및 힙 턴 연습장치
KR100986575B1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KR100895111B1 (ko) 운동기구
KR102015786B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150054181A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 장치
CN211885171U (zh) 一种能够调节角度的仰卧起坐装置
GB2424840A (en) Stance training device
KR20030067297A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523288B1 (ko) 골프스윙궤적 및 자세 형성장치
US20060205528A1 (en) Training device for golfers
JP2822152B2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装置
KR102497348B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JPH1199233A (ja) ゴルフのスイング練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