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089B1 -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089B1
KR101770089B1 KR1020170000137A KR20170000137A KR101770089B1 KR 101770089 B1 KR101770089 B1 KR 101770089B1 KR 1020170000137 A KR1020170000137 A KR 1020170000137A KR 20170000137 A KR20170000137 A KR 20170000137A KR 101770089 B1 KR101770089 B1 KR 10177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section
rail
track s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백균
Original Assignee
조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백균 filed Critical 조백균
Priority to KR102017000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63B69/3644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스윙궤도구간(12)과, 백스윙탑궤도구간(13)과, 다운스윙궤도구간(14)과, 임팩트궤도구간(15)과, 팔로우스로우궤도구간(16)과, 피니시궤도구간(17)으로 이루어진 스윙궤도레일을 통해 골퍼들의 스윙자세 교정 및 학습이 보다 양질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Golf posture correcting device}
본 발명은 골퍼들의 스윙자세 교정 및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의 스윙은 진자운동의 원리, 즉 시계추와 같이 일정한 궤도를 그리면서 일정한 템포와 몸의 자세를 통해 어드레스(골프준비자세)-테이크백(테이크어웨이)- 백스윙- 백스윙탑-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우스로우- 피니시의 7단계를 실시함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 가장 올바른 자세로 알려진 위 골프스윙 7단계를 학습 및 교정하기 위하여 많은 골프 애호가들은 경험이 있는 경험자나 혹은 전문 지도자로부터 단체 또는 개인으로 지도를 받아 올바른 자세를 숙지하였는데, 이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음은 물론 개개인마다 서로 다른 운동신경으로 올바른 스윙자세를 숙지하기가 매우 어려웠던 실정이었다.
한편, 근래에는 위 문제를 해결하고자 골프스윙의 가장 올바른 자세를 제공하는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상세하게 상기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는 골프클럽의 스윙궤도를 안내하는 원형가이드대와 상기 원형가이드대를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기울기 조절하는 기울기조절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형가이드대로 골프클럽을 거치하여 스윙안내 및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 구성의 교정장치는 단순히 골프클럽의 안내에 국한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자세 즉, 위 설명한 골프스윙 7단계에 적합한 상, 하체의 올바른 자세는 물론 스윙 궤도를 올 바르게 교정 또는 학습도모하지 못하였고, 또 골프클럽을 사용자가 자력으로 스윙함에 따라 자세 교정 및 학습의 어려움과 잘못된 습관을 가질 수 있었고 특히 스윙궤도가 달리 요구되는 백스윙- 백스윙탑-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우스로우- 피니시 단계의 스윙 궤도가 하나의 궤도로 이루어지게 원형가이드를 구성하고 있어, 골프스윙의 올바른 교정 및 학습이 불가능하였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1487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스윙의 단계별 궤도를 정확하게 구분 제공하여 사용자가 각 단계별 스윙을 보다 정확하게 교정 및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골프스윙시 요구되는 자세까지 교정 및 학습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클럽을 동력으로 스윙 안내하여 스윙의 교정 및 학습이 보다 집중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제시하는 본 발명의 골프스윙자세 교정장치는 일정넓이의 스테이지(101)를 가지는 수평프레임(102)과;, 수평프레임(102) 일 측으로 수직선상 구성하는 수직프레임(103)과;, 상부와 양 측부를 제1고정수단(1a) 및 제2,3고정수단(1b)(1c)으로 수직프레임(102)에 설치하고 하부는 수평프레임(102) 타측 중심부에 제4고정수단(1d)으로 고정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게 한 둥근 모양의 스윙궤도레일(1)과;, 내장롤러(21)를 스윙궤도레일(1) 내에 안치하고 외장롤러(22)를 스윙궤도레일(1) 내주연에 장착하여 스윙궤도레일(1)을 따라 이송되게 한 대차(23)와;, 상기 대차(23) 상부에 골프클럽의 헤드를 고정하도록 한 헤드장착대(24)로 구성하는 이송수단(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스윙궤도레일(1)은 일정길이의 곡률형상으로 구획하는 어드레스궤도구간(11)과, 어드레스궤도구간(11)과 연결하면서 한쪽방향으로 반원형상을 가지게 구획하는 백스윙궤도구간(12)과, 백스윙궤도구간(12)과 연결하면서 백스윙궤도구간(12)과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길이 반환되도록 곡률형상으로 구획하는 백스윙탑궤도구간(13)과, 백스윙탑궤도구간(13)과 연결하면서 한쪽방향으로 반원형상을 가지게 구획하는 다운스윙궤도구간(14)과, 다운스윙궤도구간(14)과 연결하면서 일정길이의 곡률형상으로 상기 어드레스궤도구간과 동일위치에 구획하는 임팩트궤도구간(15)과, 임팩트궤도구간(15)과 연결하면서 상기 백스윙궤도구간(12)과 반대되는 타측방향으로 반원형상을 가지게 구획하는 팔로우스로우궤도구간(16)과, 팔로우스로우궤도구간(16)과 연결하면서 상기 백스윙궤도구간(12)방향으로 일정길이 곡률형상으로 구획하는 피니시궤도구간(1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이송수단(2)에 구동모터(23')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수직프레임(103)의 중심부 수직선상으로 교정대설치프레임(104)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머리, 어깨, 허리, 다리의 자세를 교정하여 주는 자세교정대(4)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테이지(101)에 발판(5)을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단을 통하여 골프에 가장 올바른 단계별 스윙궤도를 제공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스윙동작은 물론 골프스윙시 요구되는 정자세의 교정 또는 학습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스윙궤도레일의 각도(기울기)조절을 통해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가장 적합한 스윙동작 및 자세가 교정 및 학습 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발판의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필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노면 상황의 연출 및 그에 따른 스윙동작과 자세를 교정 및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송수단의 측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송수단의 확대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발판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1고정수단 확대도.
상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단 아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에 대한 설명은 간략 또는 생략하고 동일 작용을 가지는 구성에 대하여 하나의 명칭과 부호로 통일하여 설명하고 또 첨부된 도면 도 1에 표기된 방향표를 구성 및 실시 예의 위치설명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골프스윙 자세교정 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에서와 같이 일정넓이의 스테이지(101)를 가지는 수평프레임(102)과, 수평프레임(102) 일측으로 수직선상 구성하는 수직프레임(103)과, 상부와 양 측부를 제1고정수단(1a) 및 제2,3고정수단(1b)(1c)으로 수직프레임(103)에 설치하고 하부는 수평프레임(102) 타측 중심부에 제4고정수단(1d)으로 고정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게 한 둥근 모양의 스윙궤도레일(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윙궤도레일(1)은 도 1을 참고하였을 때, 그 상, 하부가 각각 수직프레임(103)과 수평프레임(102)에 설치되어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 구성된다. 상세하게 스윙궤도레일의 상부는 제1고정수단에 의해 수직프레임의 상부 중심에 설치되고, 그 양측(좌,우)부는 제2고정수단 및 제3고정수단에 의해 수직프레임 양측부에 설치되며 그 하부는 제4고정수단에 의해 수평프레임 일측 중심부와 연결 구성되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다.
또한 스윙궤도레일(1)은 일정길이의 곡률형상으로 구획하는 어드레스궤도구간(11)과, 상기 어드레스궤도구간(11)과 연결하면서 한쪽방향으로 반원형상을 가지게 구획하는 백스윙궤도구간(12)과, 상기 백스윙궤도구간(12)과 연결하면서 백스윙궤도구간(12)과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길이 반환되도록 곡률형상으로 구획하는 백스윙탑궤도구간(13)과, 상기 백스윙탑궤도구간(13)과 연결하면서 한쪽방향으로 반원형상을 가지게 구획하는 다운스윙궤도구간(14)과, 상기 다운스윙궤도구간(14)과 연결하면서 일정길이의 곡률형상으로 상기 어드레스궤도구간과 소폭 간격을 두고 동일 위치에 구획하는 임팩트궤도구간(15)과, 상기 임팩트궤도구간(15)과 연결하면서 상기 백스윙궤도구간(12)과 반대되는 타측방향으로 반원형상을 가지게 구획하는 팔로우스로우궤도구간(16)과, 상기 팔로우스로우궤도구간(16)과 연결하면서 상기 백스윙궤도구간(12)방향으로 일정길이 곡률형상으로 구획하는 피니시궤도구간(17)으로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내장롤러(21)를 스윙궤도레일(1) 내에 안치하고 외장롤러(22)를 스윙궤도레일(1) 내주연에 장착하여 스윙궤도레일(1)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 대차(23)와, 상기 대차(23) 상부에 설치되어 골프클럽의 헤드를 고정하는 헤드장착대(24)로 구성한 이송수단(2)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골프 스윙의 가장 올바른 자세인 어드레스(골프준비자세)-테이크백(테이크어웨이)- 백스윙- 백스윙탑-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우스로우- 피니시의 7단계를 정확하면서도 쉽게 교정 및 학습할 수 있도록 도모하여 주는 장치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골프스윙의 가장 이상적인 단계별 궤도를 스윙궤도레일(1)에 어드레스궤도구간(11), 백스윙궤도구간(12), 백스윙탑궤도구간(13), 다운스윙궤도구간(14), 임팩트궤도구간(15), 팔로우스로우궤도구간(16), 피니시궤도구간(17)으로 분할 구획하여 사용자가 각 단계별 궤도를 따라 올바르게 스윙 교정 및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팔이 펼쳐진 상태에서 몸체 외측으로 크게 백스윙 될 수 있도록 백스윙궤도구간을 반원형상으로 크게 형성하고 또 몸체 내측으로 소폭 당기면서 축에 의한 회전운동이 최대화된 상태로 다운스윙이 될 수 있도록 다운스윙궤도구간을 백스윙궤도구간에 비해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하면서 백스윙탑궤도구간을 통해 연결하여 백스윙과 백스윙탑 그리고 다운스윙이 가지는 각기 다른 스윙 궤도를 쉽게 교정 및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은 스윙궤도레일로 팔로우스로우궤도구간과 피니지궤도구간을 위 설명한 백스윙궤도구간 보다 넓게 형성하여 임팩트의 유지 및 마무리 스윙자세의 올바른 교정 및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수직프레임(103)과 수평프레임(102)으로 스윙궤도레일(10)을 고정 구성하는 제1,2,3,4고정수단(1a)(1b)(1c)(1d)에 있어,
상기 제1고정수단(1a)은 스윙궤도레일(1)의 상부 일측에 구성하는 각도조절대(3)와 수직프레임(103) 상부 중심에 관통 설치하는 나사조절대(31)로 구성하되, 상기 나사조절대(31)의 일단에 레버(32)를 구성하면서 반대되는 타단은 상기 각도조절대(3) 내에 삽설하여 각도조절대(3)에 형성된 일정길이의 수직조절공(33)에 끼움된 걸핀(34)과 걸림 구성되게 하고,
상기 제2고정수단(1b) 및 제3고정수단(1c)은 각각 스윙궤도레일(1)의 양측부에 구성하는 길이조절대(35)와, 수직프레임(103)의 양측에 설치하는 고정대(36)로 구성하되, 상기 길이조절대(35)를 수직프레임(103) 내에 삽설하여 조임나사(37)로 상호 결합 구성되게 하고
상기 제4고정수단(1d)은 스윙궤도레일(1) 하부 일측에 구성하는 회전대(38)와 수평프레임(102)의 일단 중심부에 설치하는 고정대(39)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대(38)와 고정대(39)를 상호 핀 결합하여 경첩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실시 예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골프스윙궤도가 보다 정확하게 제시될 수 있도록 스윙궤도레일의 기울기(각도) 조절을 가능케 한 예이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스윙궤도레일의 기울기 조절이 필요할 경우 제1고정수단인 각도조절대와 연결된 나사조절대를 레버(32)로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제2,3고정수단인 길이조절대를 고정대로부터 삽입 또는 인출하여 조임나사로 위치 고정시켜 스윙궤도레일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스윙궤도레일은 하부 제4고정수단을 기준으로 그 상부가 수직프레임 방향으로 기울기(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나사조절대()를 회전시키는 레버(32)는 핸들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직접손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교정장치의 생산비용을 절감하도록 하거나, 레버(32)를 모터로 구성하여 나사조절대의 회전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각도조절대()의 이동거리를 세밀하게 이동하도록 하여 스윙궤도레일()의 기울기(각도)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이송수단(2)에 있어, 대차(23) 상부 측으로 구동모터(23')와 벨트 연결되는 외장롤러(22)를 구성하여 상기 구동모터(23')에 의한 구동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실시 예는 골프클럽을 사용자의 자력이 아닌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는 정확한 궤도로 이동하는 골프클럽을 단순히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들이지 않고 각 단계별 스윙 자세의 교정 및 학습을 보다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종래에는 골프스윙자세의 교정 또는 학습시 사용자가 자력으로 골프클럽을 스윙 하였던 바, 신체에 많은 무리가 있었음은 물론 스윙동작에서 많은 힘이 부여되어 자세가 심하게 흐트러지면서 나쁜 습관을 가질 수 있었던 문제가 대두되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심부 수직선상으로 교정대설치프레임(104)을 마련한 다음 그 교정대설치프레임(104) 수직선상으로 사용자의 머리, 어깨, 허리, 다리자세를 교정하여 주는 자세교정대(4)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자세교정대(4)는 머리교정대(41)(41')와, 어깨교정대(42)와 허리교정대(43)와 다리교정대(44)로 이루어지면서 각각 일정길이의 플렉시블비트(45)를 통해 상기 교정대설치프레임(104)의 수직길이 선상으로 일정높이를 두고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 도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여러 개의 교정대를 플렉시블비트로 정 위치시켜 골프스윙시 요구되는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 및 학습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스테이지(101)에 있어, 스테이지(101) 중심부로 발판(5)을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발판(5)은 그 하부중심으로 스테이지(101) 바닥의 지지체(51)와 결합되는 반구형의 회전체(52)를 구성하면서 발판(5) 하부 전, 후 및 좌, 우측 방향으로 각각 각도조절실린더(53)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 도 6에서와 같이 골프스윙 교정 또는 학습시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발판을 여러 개의 각도조절실린더로 전, 후 및 좌우측방향으로 다양한 각도를 각도(기울기)를 부여하여 필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노면 상황의 연출 및 그에 따른 사용자의 올바른 스윙동작과 자세를 교정 및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스테이지 102 : 수평프레임
103 : 수직프레임 104 : 교정대설치프레임
1 : 스윙궤도레일 11 : 어드레스궤도구간
12 : 백스윙궤도구간 13 : 백스윙탑궤도구간
14 : 다운스윙궤도구간 15 : 임팩트궤도구간
16 : 팔로우스로우궤도구간 17 : 피니시궤도구간
1a : 제1고정수단 1b : 제2고정수단
1c ; 제고정수단 1d : 제4고정수단
2 : 이송수단 21 : 내장롤러
22 : 외장롤러 23 : 대차
24 : 구동모터 3 : 각도조절대
31 : 나사조절대 32 : 레버
33 : 수직조절공 34 : 걸핀
4 : 자세교정대 41,41' : 머리교정대
42 : 어깨교정대 43 : 허리교정대
44 : 다리교정대 45 : 플렉시블비트
5 : 발판 51 : 지지체
52 : 회전체 53 : 각도조절실린더

Claims (5)

  1. 일정넓이의 스테이지(101)를 가지는 수평프레임(102)과;, 수평프레임(102) 일측으로 수직선상 구성하는 수직프레임(103)과;, 상부와 양 측부를 제1고정수단(1a) 및 제2,3고정수단(1b)(1c)으로 수직프레임(102)에 설치하고 하부는 수평프레임(102) 타측 중심부에 제4고정수단(1d)으로 고정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게 한 둥근 모양의 스윙궤도레일(1)과;,
    내장롤러(21)를 스윙궤도레일(1) 내에 안치하고 외장롤러(22)를 스윙궤도레일(1) 내주연에 장착하여 스윙궤도레일(1)을 따라 이송되게 한 대차(23)와, 대차(23) 상부 측으로 구동모터(23')를 설치하여 외장롤러(22)가 상기 구동모터(23')와 연결되는 벨트에 의해 구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이송수단(2);, 으로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스윙궤도레일(1)은 일정길이의 곡률형상으로 구획하는 어드레스궤도구간(11)과, 어드레스궤도구간(11)과 연결하면서 한쪽방향으로 반원형상을 가지게 구획하는 백스윙궤도구간(12)과, 백스윙궤도구간(12)과 연결하면서 백스윙궤도구간(12)과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길이 반환되도록 곡률형상으로 구획하는 백스윙탑궤도구간(13)과, 백스윙탑궤도구간(13)과 연결하면서 한쪽방향으로 반원형상을 가지게 구획하는 다운스윙궤도구간(14)과, 다운스윙궤도구간(14)과 연결하면서 일정길이의 곡률형상으로 상기 어드레스궤도구간과 동일위치에 구획하는 임팩트궤도구간(15)과, 임팩트궤도구간(15)과 연결하면서 상기 백스윙궤도구간(12)과 반대되는 타측방향으로 반원형상을 가지게 구획하는 팔로우스로우궤도구간(16)과, 팔로우스로우궤도구간(16)과 연결하면서 상기 백스윙궤도구간(12)방향으로 일정길이 곡률형상으로 구획하는 피니시궤도구간(17)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고정수단(1a)은 스윙궤도레일(1)의 상부 일측에 구성하는 각도조절대(3)와 수직프레임(103) 상부 중심에 관통 설치하는 나사조절대(31)로 구성하되, 상기 나사조절대(31)의 일단에 레버(32)를 구성하면서 반대되는 타단은 상기 각도조절대(3) 내에 삽설하여 각도조절대(3)에 형성된 일정길이의 수직조절공(33)에 끼움된 걸핀(34)과 걸림 구성되게 하고,
    상기 제2고정수단(1b) 및 제3고정수단(1c)은 각각 스윙궤도레일(1)의 양측부에 구성하는 길이조절대(35)와, 수직프레임(103)의 양측에 설치하는 고정대(36)로 구성하되, 상기 길이조절대(35)를 수직프레임(103) 내에 삽설하여 조임나사(37)로 상호 결합 구성되게 하고,
    상기 제4고정수단(1d)은 스윙궤도레일(1) 하부 일측에 구성하는 회전대(38)와 수평프레임(102)의 일단 중심부에 설치하는 고정대(39)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대(38)와 고정대(39)를 상호 핀 결합하여 경첩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심부 수직선상으로 교정대설치프레임(104)을 마련한 다음 그 교정대설치프레임(104) 수직선상으로 사용자의 머리, 어깨, 허리, 다리자세를 교정하여 주는 자세교정대(4)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자세교정대(4)는 머리교정대(41)(41')와, 어깨교정대(42)와 허리교정대(43)와 다리교정대(44)로 이루어지면서 각각 일정길이의 플렉시블비트(45)를 통해 상기 교정대설치프레임(104)의 수직길이 선상으로 일정높이를 두고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스테이지(101) 중심부로 발판(5)을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발판(5)은 그 하부중심으로 스테이지(101) 바닥의 지지체(51)와 결합되는 반구형의 회전체(52)를 구성하면서 발판(5) 하부 전, 후 및 좌, 우측 방향으로 각각 각도조절실린더(53)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KR1020170000137A 2017-01-02 2017-01-02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KR10177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137A KR101770089B1 (ko) 2017-01-02 2017-01-02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137A KR101770089B1 (ko) 2017-01-02 2017-01-02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089B1 true KR101770089B1 (ko) 2017-08-30

Family

ID=5976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137A KR101770089B1 (ko) 2017-01-02 2017-01-02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08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602B1 (ko) 2017-12-07 2019-03-06 최원석 골프 원플레인 스윙 보조기구
KR20210026480A (ko) 2019-08-30 2021-03-10 최장민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270991B1 (ko) 2020-08-21 2021-06-29 이기의 스윙플레인 유지가 용이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KR20210157533A (ko)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골프 스윙 자세 조절기
KR102523288B1 (ko) * 2022-08-13 2023-04-21 주식회사 케이테크 골프스윙궤적 및 자세 형성장치
WO2024029824A1 (ko) * 2022-08-02 2024-02-08 백성훈 다목적 골프 연습기
KR20240019527A (ko) 2022-08-04 2024-02-14 최장민 골프 스윙 가이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0269A (ja) * 2014-02-17 2015-08-24 株式会社岡冨士運輸 簡易型ゴルフ練習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0269A (ja) * 2014-02-17 2015-08-24 株式会社岡冨士運輸 簡易型ゴルフ練習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602B1 (ko) 2017-12-07 2019-03-06 최원석 골프 원플레인 스윙 보조기구
KR20210026480A (ko) 2019-08-30 2021-03-10 최장민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10157533A (ko)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골프 스윙 자세 조절기
KR102270991B1 (ko) 2020-08-21 2021-06-29 이기의 스윙플레인 유지가 용이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WO2024029824A1 (ko) * 2022-08-02 2024-02-08 백성훈 다목적 골프 연습기
KR20240019527A (ko) 2022-08-04 2024-02-14 최장민 골프 스윙 가이드 장치
US11951371B2 (en) 2022-08-04 2024-04-09 Jang Min Choe Golf swing guide apparatus
KR102523288B1 (ko) * 2022-08-13 2023-04-21 주식회사 케이테크 골프스윙궤적 및 자세 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089B1 (ko)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US7946927B2 (en) Golf training aid
US7815518B2 (en) Training apparatus for improving a golf swing
US9283463B2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2807472A (en) Golf swing trainer
US10974115B1 (en) Golf putting training aid
US2013024480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20150054181A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 장치
WO1985000529A1 (en) Games stroke practising apparatus
US10967238B1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8079917B2 (en) Training apparatus for improving an athletes swing
KR100848470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1007581B1 (ko) 골프 스윙자세 교정기구
KR102598054B1 (ko)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
KR200259041Y1 (ko)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KR102037107B1 (ko) 골프 스윙 동작 교정 장치
KR200366325Y1 (ko) 골프 퍼팅자세 교정용 보조구
JP4052958B2 (ja) パッテイング動作矯正装置
KR101954602B1 (ko) 골프 원플레인 스윙 보조기구
KR20020072375A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
US11331556B1 (en) Golf putting training aid
KR100567372B1 (ko) 골프 퍼팅용 연습장치
KR100874139B1 (ko) 골프 스윙연습장치
JPS60501840A (ja) スポ−ツのストロ−ク練習装置
JP2814199B2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