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139B1 - 골프 스윙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139B1
KR100874139B1 KR1020070049276A KR20070049276A KR100874139B1 KR 100874139 B1 KR100874139 B1 KR 100874139B1 KR 1020070049276 A KR1020070049276 A KR 1020070049276A KR 20070049276 A KR20070049276 A KR 20070049276A KR 100874139 B1 KR100874139 B1 KR 100874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olf swing
adjustment
golf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617A (ko
Inventor
성민경
Original Assignee
성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경 filed Critical 성민경
Priority to KR102007004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13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와 높낮이가 조정되는 받침대를 구비한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윙자세 습득과 자세 교정이 가능한 스윙 연습장치에 설치한 받침대를 상하, 좌우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에서도 필드와 같은 상황하에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골프 스윙시 골프채가 이동하게 설치된 스윙궤도와, 이 스윙궤도가 안정되도록 설치한 지지대와, 이 지지대가 안정된 자세로 바닥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하, 좌우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재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상하, 좌우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받침대를 통해, 스윙자세를 실전처럼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골프채, 스윙, 골프, 발판

Description

골프 스윙연습장치{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SWING }
도 1은, 종래 골프 스윙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와 높낮이가 조정되는 받침대가 구비된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받침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발판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받침 프레임에 형성된 조정홀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조정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에서 A-A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스윙궤도의 다른 실시예로 장방형 스윙궤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B-B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C-C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한 스윙궤도의 다른 실시예로 사다리꼴 스윙궤도a,b를 나타낸 도면.
도 12a,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궤도의 전후, 좌우 조정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골프 스윙 연습장치 4:스윙궤도
10:받침대 12:지지대
14:발판 16:조정부재
18:힌지(Hinge) 20:조정링부
24:받침 프레임 25:고정힌지
26:조정힌지 30:조정홀
32:고정부 34:링 몸체
40:스톱퍼(Stoper) 42:이동통로
44:걸림홈
본 발명은 경사와 높낮이가 조정되는 받침대를 구비한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설치한 받침대를 상하, 좌우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설치하여, 실내에서도 필드처럼 상황을 만들어 자세 습득과 자세교정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 제2006-40973호에 개시된 골프 스윙연습장치(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윙축을 중심으로 원호상의 궤도를 형성하고 궤도이탈방지봉이 구비되는 스윙궤도(4)와, 이 스윙궤도(4)에 골프채(6)의 클럽헤드(8)가 이동 가능하게 받침대(10) 및 지지대(12)에 설치되고, 지지대(12)에는 동작조절 봉 및 센서류와 음성안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골프 스윙연습장치(2)는 받침대(10)에 서서 스윙궤도(4)를 따라 클럽헤드(8)를 회전시킴으로써 올바른 스윙자세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2)는, 받침대(10)가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어 평지의 스탠딩 자세에서만 스윙연습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하나의 스탠딩 자세로만 연습한 사용자가 실제 필드에 서게 되면, 연습할 때와 같은 기량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즉, 기존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2)로는 사용자가 다양한 스탠딩 자세로 스윙연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설치되는 원호상의 스윙궤도 외에 장방형, 사다리꼴 스윙궤도를 구비하여 다양한 스윙 자세를 설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윙 연습장치에 설치된 받침대를 상하, 좌우로 높낮이를 조정하여 실전처럼 연습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호형, 장방형, 사다리꼴 스윙궤도를 사용자 필에 따라 교환 설치할 수 있는 골프 스윙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궤 도이탈방지봉이 구비된 골프 스윙시 골프채가 이동하게 설치된 스윙궤도와, 이 스윙궤도가 안정되도록 동작조절봉과 센서류 및 음성안내장치가 설치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가 안정된 자세로 바닥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하, 좌우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조정부재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받침대는, 지지대가 설치되는 받침 프레임과, 이 받침 프레임에 상하·좌우로 높낮이가 조정되도록 설치되고 일 측변 양쪽에 힌지가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발판은, 일 측변을 따라 축선을 그리게 양쪽에 돌출 형성된 힌지와, 이 힌지 선상의 타측에 해당되는 측변에 높이가 조정되도록 조정링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는, 받침 프레임에 고정되어 회전하게 설치되는 고정힌지와, 이 고정힌지의 반대측 받침프레임의 조정홀을 이동하게 형성한 조정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정힌지는, 발판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조정부재는, 받침프레임에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형성된 조정홀과, 이 조정홀의 타측에 형성된 볼홈과, 상기 조정홀에 설치되는 발판의 일측변에 높낮이가 조정되도록 구비되는 조정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정홀은, 받침프레임에 경사지게 형성된 이동통로와, 이 이동통로의 하측변에 높이가 다른 걸림홈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정홀은, 받침 프레임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정링부는, 발판 측벽에 고정부로 일단이 설치되는 C형의 링 몸체와, 이 링 몸체의 타측 단을 안내하도록 발판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링과, 이 가이드링과 동일 선상인 측벽에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설치된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 몸체에는, 일면에 스톱퍼가 걸리게 일정 간격을 두고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와 높낮이가 조정되는 받침대가 구비된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받침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발판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받침 프레임에 형성된 조정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조정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에서 A-A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스윙궤도의 다른 실시예로 장방형 스윙궤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B-B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C-C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한 스윙궤도의 다른 실시예로 사다리꼴 스윙궤도a,b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a,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궤도의 전후, 좌우 조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2)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 스윙시 골프채(6)가 이동하게 설치된 스윙궤도(4)와, 이 스윙궤도(4)가 안정되도록 설치한 지지대(12)와, 이 지지대(12)가 안정된 자세로 바닥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받침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받침대(10)는 받침 프레임(24)에 좌우 높낮이가 조정되도록 조정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받침대(10)는, 지지대(12)가 설치되는 받침 프레임(24)과, 이 받침 프레임(24)에 상하·좌우로 높낮이가 조정되도록 설치되고 일 측변 양쪽에 힌지(18)가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 발판(14)을 포함한다.
상기한 발판(14)은, 일 측변을 따라 축선을 그리는 위치인 양쪽에 힌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힌지(18)를 연결하는 선상에서 타측에 해당되는 측변에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링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발판(14)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발판(14R)과, 좌측 발판(14L)으로 설치되어 있어 높낮이를 각각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힌지(18)는 받침 프레임(24) 일측에 움직일 수 있게 고정힌지(25)로 설치되고, 이 고정힌지(25) 반대측에는 받침 프레임(24)의 조정홀(30)에 삽입 설치되는 조정힌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정힌지(26)는 조정홀(30)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정힌지(26)는 발판(14)의 일측변 양측에도 형성할 수 있다. 이경우, 발판(14)의 조정폭을 크게 할 수가 있다.
상기한 조정부재(16)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 프레임(24)에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조정홀(3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조정홀(30)의 타측에는 고정힌지(25)가 조립되는 볼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홀(30)에 설치되 는 발판(14)의 일측변에는 높낮이가 조정되도록 조정링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조정홀(30)은, 받침 프레임(24)에 경사지게 이동통로(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이동통로(42)의 하측변에는 높이가 다른 다수 개의 걸림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44)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간격을 두고 a,b,c,d로 형성되며, 도면에 개시된 형태나 갯수에 제한받지 않고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홀(30)은, 받침 프레임(24) 양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정홀(3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 프레임(24)에 일정 높이로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31) 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조정홀(30)은 앞서 기술한 조정홀보다 그 높이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확장된 조정홀(30)에는 걸림홈(44) 간격을 더 크게 할 수 있어서 받침대(10)의 조정폭을 확대할 수 있다.
상기한 조정링부(20)는, 도 3,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발판(14) 측벽에 고정부(32)로 설치되는 C형의 링 몸체(34)와, 이 링 몸체(34)의 타측 단을 안내하도록 발판(14) 측벽에 고정되는 가이드링(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링(22)과 동일 선상인 측벽에는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스톱퍼(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링 몸체(34)에는 일면에 스톱퍼(40)가 걸리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톱퍼(40)는 발판(14)의 측벽에 형성된 스프링구멍(38)을 통해 링 몸체(34)를 상시 누르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스윙궤도(4-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방형 스윙궤도(4-1)는 테이크 백(Take Back) 및 임팩트(Impact) 후 클럽헤드가 움직이는 실제궤적과 동일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스윙궤도(4-1)(4-2)는, 도 9,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2)의 가이드 봉(13)에 상하 이동과 전,후진이 조절되도록 조절홀더(H)로 설치된다. 상기 조절홀더(H)는 가이드 봉(13)에 상하 이동하게 조립되고, 조임볼트(B1)로 고정되는 상하 조절홀더(H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 조절홀더(H1)에는, 조절봉(S)이 전,후로 수평 이동되도록 전후 조절홀더(H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후 조절홀더(H2)에 조립되는 조절봉(S)은 조임볼트(B2)로 고정된다.
상기한 조절봉(S)은, 미리 삽입되는 고정링(N)으로 스윙궤도(4-1)(4-2)에 결합되어 스윙궤도(4-1)(4-2)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한 스윙궤도(4-1)(4-2)는, 지지대(12)의 가이드 봉(S)에 조절홀더(H)로 설치되어 있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조절홀더(H1)에 의하여 좌,우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홀더(H)의 전후 조절홀더(H2)에 스윙궤도(4-1)(4-2)와 힌지 연결되는 조절봉(S)의 길이 조절을 통해 전,후 기울기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윙궤도는 도 11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스윙궤도(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사다리꼴 스윙궤도(4-2)는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상황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스윙궤도(4-1)와 같이, 상기 사다리꼴 스윙궤도(4-2)의 경우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전후, 좌우로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리고 스윙궤도(4-1)(4-2)는, 도면에 나태내고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지지대에 설치되는 동작조절봉과, 스윙궤도에 설치되는 궤도이탈방지봉을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궤도(4)는 원호형, 장방형, 사다리꼴 등에 제한되지 않고,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평상태에서의 스윙 자세 연습과 교정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서는 받침 프레임(24)의 조정홀과 볼홈에 설치된 받침대(10)에 의한 높낮이 조정 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한 받침대(10)를 이루는 발판(14)은, 받침 프레임(24)의 볼홈(28)에 고정힌지(25)가 볼조인트 타입으로 설치되어 있어 이동이 불가능하고, 반면 전방 측은 조정홀(30)에 조정힌지(26)가 삽입 설치되어 있어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다.
설치된 발판(14)의 높낮이를 높게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조정힌지(26)를 현재 위치에서 걸림홈(44)a에 걸쳐 놓는다. 그리고 발판(14)을 바깥 측을 높이지 않고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가이드링(22)으로 지지되고 있는 조정링부(20)를 위로 당겨 발판(14) 아래로 형성되는 원호를 작게 함으로써, 삼각 형태의 구릉을 넓게 형성한다.
상기한 조정링(20)은 가이드링(22)을 이용해 발판(14) 아래로 큰 원호를 형성하도록 세팅할 수 있다. 한편, 조정링부(20)의 링 몸체(34)는 스톱퍼(4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 프레임(24)에 도 6처럼 형성된 돌출부(31)의 조정홀(30) 에 받침대(1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 방법으로 조정할 수 있으나 그 조정폭은 커지게 된다.
상기한 조정 과정을 거쳐 받침대(10)의 조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필드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조정된 받침대(10) 위에서 실전에서와 같이 스윙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받침대(10)에서 이루어지는 스윙연습시, 원호형 스윙궤도(4) 외에 장방형이나,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스윙궤도(4)로 교체하면 다양한 자세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궤도는 가이드 봉(13)에 설치된 조절홀더(H)와 조절봉(S)을 상하 및 전후로 이동시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조건에서의 스윙연습을 할 수 있으므로 필드 적응력을 증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의하면, 스윙자세 교정과 연습시 받침대를 필드 상황에 맞게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써 실전처럼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호형 스윙궤도 대신에 장방형, 사다리꼴 궤도를 교환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환경에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스윙궤도와, 받침대의 높낮이를 골프 스윙 연습장치 하나로 구현할 수 있어 장비 한대로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여 실전처럼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골프 스윙시 골프채(6)가 이동하게 설치된 스윙궤도(4)와, 이 스윙궤도(4)가 안정되도록 설치한 지지대(12)와, 이 지지대(12)가 안정된 자세로 바닥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받침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에는 상하, 좌우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부재(16)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받침대(10)는, 지지대(12)가 설치되는 받침 프레임(24)과, 이 받침 프레임(24)에 상하·좌우로 높낮이가 조정되도록 설치되고 일 측변 양쪽에 힌지(18)가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 발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4)은, 일 측변을 따라 축선을 그리도록 받침 프레임(24) 한쪽에 고정되어 회전하게 고정힌지(25)를 형성하고, 다른 쪽 받침 프레임(24)에 조정홀(30)을 이동하게 돌출 형성한 조정힌지(26)로 이루어진 힌지(18)와, 이 힌지(18) 선상의 타측에 해당되는 측변에 높이가 조정되도록 조정링부(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4)에는 양측 모두에 조정힌지(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16)는, 받침 프레임(24)에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정홀(30)과, 이 조정홀(30)의 타측에 형성된 볼홈(28)과, 상기 조정홀(30)에 설치되는 발판(14)의 일측변에 높낮이가 조정되도록 구비되는 조정링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홀(30)은, 받침 프레임(24)에 경사지게 형성된 이동통로(42)와, 이 이동통로(42)의 하측변에 형성되는 높이가 다른 다수의 걸림홈(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홀(30)은, 받침 프레임(24)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링부(20)는, 발판(14) 측벽에 고정부(32)로 일단이 설치되는 C형의 링 몸체(34)와, 이 링 몸체(34)의 타측 단을 안내하게 발판(14)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링(22)과, 이 가이드링(22)과 동일 선상인 측벽에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설치되는 스톱퍼(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몸체(34)에는, 일면에 스톱퍼(40)가 걸리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홈(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10. 골프 스윙시 골프채(6)가 이동하게 설치된 스윙궤도(4)와, 이 스윙궤도(4)가 안정되도록 설치한 지지대(12)와, 이 지지대(12)가 안정된 자세로 바닥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받침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윙궤도(4)는, 지지대(12)의 가이드 봉(13)에 상하 이동하게 설치되는 조절홀더(H)와, 이 조절홀더(H)에 전후 이동하게 조립되는 조절봉(S)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궤도(4)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궤도(4)는, 상부가 넓은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궤도(4)는,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궤도(4)는, 궤도의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0070049276A 2007-05-21 2007-05-21 골프 스윙연습장치 KR10087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76A KR100874139B1 (ko) 2007-05-21 2007-05-21 골프 스윙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76A KR100874139B1 (ko) 2007-05-21 2007-05-21 골프 스윙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617A KR20080102617A (ko) 2008-11-26
KR100874139B1 true KR100874139B1 (ko) 2008-12-16

Family

ID=4028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276A KR100874139B1 (ko) 2007-05-21 2007-05-21 골프 스윙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582A (ko)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휴앤텍 골프클럽 움직임 제어를 통한 스윙자세 훈련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9233A (ja) 1997-09-26 1999-04-13 Kanazawa Chuo Hatsujo Kogyo Kk ゴルフのスイング練習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9233A (ja) 1997-09-26 1999-04-13 Kanazawa Chuo Hatsujo Kogyo Kk ゴルフのスイング練習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617A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4858A (en) Golf training apparatus
KR101167707B1 (ko) 골프 타석의 경사 조절장치
US5026065A (en) Golf training apparatus
JP4204979B2 (ja) ゴルフパッティング練習器
US5433445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0874139B1 (ko) 골프 스윙연습장치
KR20090083466A (ko) 골프 스윙의 이동 시퀀스 연습 장치
KR200381852Y1 (ko) 낚시용 틀 받침대
AU2003206288A1 (en) Golf putting trainer
US10010780B2 (en) Head engaging assembly for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13024480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1108851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JP5582620B2 (ja) スイング補助装置およびその補助フレーム
KR200366325Y1 (ko) 골프 퍼팅자세 교정용 보조구
KR102037107B1 (ko) 골프 스윙 동작 교정 장치
KR102598054B1 (ko)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
KR200332215Y1 (ko) 퍼팅 스윙궤적 교정기
KR20090020747A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220000625U (ko) 골프연습장용 경사 퍼팅 연습장치
JP3137693U (ja) ラケットのガット張設装置におけるガット挟持部の高さ調節装置
JPH06304277A (ja) ゴルフの基本スイング練習器
JP2598235Y2 (ja) バスケットボール用ゴール
JP2007167196A (ja) ゴルフパター練習器の半自動調整装置
KR100565976B1 (ko) 골프용 타격자세 숙지장치
KR200469762Y1 (ko) 쇼트게임을 연습하고 게임장치를 퍼팅하기 위한 골프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