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144B1 - 골프 스윙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144B1
KR101332144B1 KR1020130074590A KR20130074590A KR101332144B1 KR 101332144 B1 KR101332144 B1 KR 101332144B1 KR 1020130074590 A KR1020130074590 A KR 1020130074590A KR 20130074590 A KR20130074590 A KR 20130074590A KR 101332144 B1 KR101332144 B1 KR 101332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ar
groove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418A (ko
Inventor
윤동명
Original Assignee
윤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명 filed Critical 윤동명
Priority to KR102013007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1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보자는 물론, 숙련자까지 골프 스윙시 정확하고 바른 자세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베이스판(100)과, 하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유동방지판(200), 허리의 유연성을 길러주는 회전판(300), 좌, 우 한 쌍의 지지축(400) 및 상체를 교정해주는 상체지지부(500)와, 대퇴부를 교정해주는 대퇴부지지부(600) 및 하체를 교정해주는 하체지지부(700)로 구성되며, 상체지지부(500), 대퇴부지지부(600), 하체지지부(700)가 지지축에서 일정구간 개별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 장치{Golf swing practice device}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초보자는 물론, 숙련자까지 골프 스윙시 정확하고 바른 자세 교정이 되도록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든 운동이 그러하듯이 골프 역시 자세가 중요하다. 안정적인 자세는 비거리의 증가와, 몸의 균형유지는 물론, 몸의 힘을 빼서 같은 동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결국 초보자든 숙련자든 정확하고, 바른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바, 이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로써 특허공고 제84-001418호, 특허공개 제2003-0067297호, 및 특허공개 제2005-0076180호가 게시되어 있다.
그 중 상기 특허공고 제84-001418호는 복부와 어깨가 벨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구간 축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상체가 좌, 우측 방향으로 일정구간 축 회전이 되기 때문에 초보자보다는 숙련자에게 알맞은 구조이며, 초보자에게는 상체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스윙 연습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는 하나, 사람마다 사람의 상체와 하체의 길이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대응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테이크 백 이후의 탑 동작 과정에서 팔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공개 제2003-0067297호 역시 어드레스부터 팔로우 스루까지 유연한 동작이 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를 교정해주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이 역시 상체가 축 회전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초보자에게는 기대 이상의 효과를 제공받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하체는 물론, 테이크 백 이후의 탑 동작 과정에서 팔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공개 제2005-0076180호는 어드레스 및 스윙의 숙지 또는 자세교정을 위한 골프 훈련 기구로서 특히 사람의 하체와 둔부를 중심으로 자세 교정이 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 상체와 테이크 백 및 탑 과정에서의 팔의 위치를 정확하게 교정해 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람의 하체는 물론, 둔부와 상체 모두를 연습에 의해 정확한 자세가 될 수 있도록 교정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의 신장에 따른 하체와 상체의 길이에 각각 유연하게 높이 조절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골프의 어드레스, 테이크 백, 탑, 다운스윙, 임펙트, 팔로우 스루까지 일련의 동작을 연습에 의해 정확하게 자세가 교정될 수 있도록 하되, 초보자와, 숙련자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람의 신체에 따라 하체, 대퇴부, 상체가 개별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신체 조건에 따른 대응성을 향상시켜 골프 스윙 자세를 정확하게 교정해줄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 스윙 연습 전 충분한 허리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연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근육통을 조금이나마 예방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장착고정되어 손잡이의 기능과 하체의 유동을 방지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유동방지판(200);
상기 유동방지판(200) 사이의 베이스판(100) 상면에 자유로운 회전이 용이하도록 장착고정되어 허리의 유연성을 길러주는 회전판(300);
상기 유동방지판(200)의 일측 방향 베이스판(100) 상측에 장착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홈(410)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슬라이딩홈(410)의 외측에는 볼트(420)가 체결고정될 수 있는 체결홈(430)이 다수 개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축(400);
상기 슬라이딩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구간 승강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되는 슬라이딩블록(510)과, 상기 슬라이딩블록(5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 하부 회전체(540, 550)에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상, 하부 수평바(520,530)와, 상기 하부 수평바(53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베어링(551)이 장착고정되는 하부 회전체(550)와, 상기 베어링(551)에 축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체지지판(570)과 축 핀(571)으로 결합 고정되며, 다단 절곡부(561)가 형성된 샤프트(560)와, 상기 상부 수평바(520)의 좌, 추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각도 조절 뭉치(580)가 장착 고정되는 상부 회전체(540)와, 상기 상부 회전체(540)의 외주 면에 장착 고정되며, 각도 조절용 조절바(59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안착홈(581)이 마련됨과 동시에 그 안착홈(581)의 중심에는 조절바(590)의 걸림홈(591)에 대응하는 멈춤 돌기(58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581)의 좌, 우측에는 조절바(5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장(58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584)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인입홈(584)의 내측에는 빗장 고정용 고정볼트(585)를 축으로 일정구간 축 회전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빗장(58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 뭉치(580)와, 상기 각도 조절 뭉치(580)의 멈춤 돌기(582)에 대응할 수 있도록 걸림홈(59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상체지지판(570)과 축 핀(572)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상체지지판(570) 각도 조절용 조절바(590)와, 사람의 상체 뒷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상체 고정용 고정벨트(573)와, 팔의 한계 스윙을 제어하는 스윙리미트판(574)이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된 상체지지판(570)이 포함되어 기능적으로 연결 구성된 상체지지부(500);
상기 슬라이딩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구간 승강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되는 슬라이딩블록(610)과, 상기 슬라이딩블록(6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 하부 회전체(640, 650)에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상, 하부 수평바(620, 630)와, 상기 하부 수평바(63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연결체(660)가 장착고정되는 하부 회전체(650)와, 상기 하부회전체(650)에 고정된 상태에서 대퇴부지지판(670)과 축 핀(671)으로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660)와, 상기 상부 수평바(62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각도 조절 뭉치(680)가 장착 고정되는 상부 회전체(640)와, 상기 상부 회전체(640)의 외주 면에 장착 고정되며, 각도 조절용 조절바(69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안착홈(681)이 마련됨과 동시에 그 안착홈(681)의 중심에는 조절바(690)의 걸림홈(691)에 대응하는 멈춤 돌기(68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681)의 좌, 우측에는 조절바(6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장(68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684)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인입홈(684)의 내측에는 빗장 고정용 고정볼트(685)를 축으로 일정구간 축 회전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빗장(68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 뭉치(680)와, 상기 각도 조절 뭉치(680)의 멈춤 돌기(682)에 대응할 수 있도록 걸림홈(69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대퇴부지지판(670)과 축 핀(672)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대퇴부지지판(670) 각도 조절용 조절바(690)와, 사람의 대퇴부 뒷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대퇴부 고정용 고정벨트(673)가 구성된 대퇴부지지판(670)이 포함되어 기능적으로 연결 구성된 대퇴부지지부(600);
상기 슬라이딩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구간 승강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되는 슬라이딩블록(710)과, 상기 슬라이딩블록(7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 하부 회전체(740, 750)에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상, 하부 수평바(720, 730)와, 상기 하부 수평바(73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연결체(760)가 장착고정되는 하부 회전체(750)와, 상기 회전체(75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체지지판(770)과 축 핀(771)으로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760)와, 상기 상부 수평바(72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각도 조절 뭉치(780)가 장착 고정되는 상부 회전체(740)와, 상기 상부 회전체(740)의 외주 면에 장착 고정되며, 각도 조절용 조절바(79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안착홈(781)이 마련됨과 동시에 그 안착홈(781)의 중심에는 조절바(790)의 걸림홈(791)에 대응하는 멈춤 돌기(78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781)의 좌, 우측에는 조절바(7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장(78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784)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인입홈(784)의 내측에는 빗장 고정용 고정볼트(785)를 축으로 일정구간 축 회전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빗장(78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 뭉치(780)와, 상기 각도 조절 뭉치(780)의 멈춤 돌기(782)에 대응할 수 있도록 걸림홈(79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하체지지판(770)과 축 핀(772)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하체지지판(770) 각도 조절용 조절바(790)와, 사람의 종아리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종아리 부분 고정용 고정벨트(773)가 구성된 하체지지판(770)이 포함되어 기능적으로 연결 구성된 하체지지부(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 회전체(540,640,740) 및 하부 회전체(550,650,750)는 상부 수평바(520,620,720) 및 하부 수평바(530,630,730)를 축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헐거운 끼워 맞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회전 지지체(550)의 외주 면에는 상체지지판(570)이 하부수평바(530)를 중심으로 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553) 체결용 체결홈(552)이 형성되며, 그 체결홈(552)에는 고정볼트(553)가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골프의 어드레스, 테이크 백, 탑, 다운스윙, 임펙트, 팔로우스루까지 일련의 동작을 연습에 의해 정확하게 자세교정이 될 수 있으며, 초보자는 물론, 숙련자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람의 개인 신체에 따라 하체, 대퇴부, 상체부분 별로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신체 조건에 따른 대응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골프 스윙 자세를 보다 정확하게 교정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사용상태 예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 중 지지축과 슬라이딩 블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 중 상체지지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 중 상체지지부가 기울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 중 상체지지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장치 중 대퇴부지지부 및 하체지지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장치 중 각도 조절 뭉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장치 중 조절바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장치 중 빗장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도 1 내지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베이스판(100)과, 하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유동방지판(200), 허리의 유연성을 길러주는 회전판(300), 좌, 우 한 쌍의 지지축(400) 및 상체를 교정해주는 상체지지부(500)와, 대퇴부를 교정해주는 대퇴부지지부(600) 및 하체를 교정해주는 하체지지부(700)로 구성되며, 상체지지부(500), 대퇴부지지부(600), 하체지지부(700)가 지지축에서 일정구간 개별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 본원 발명의 핵심이다.
이때 상기 유동방지판(200)은 베이스판(100)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장착고정되어 허리운동시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고, 스윙 과정에서 하체의 유동을 방지하여 자세를 교정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300)은 유동방지판(200) 사이의 베이스판(100) 상면에 자유로운 회전이 용이하도록 장착고정되어 허리의 유연성을 길러준다.
또한 상기 지지축(400)은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방지판(200)의 일측 방향 베이스판(100) 상측에 장착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홈(410)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슬라이딩홈(410)의 외측에는 볼트(420)가 체결고정될 수 있는 체결홈(430)이 다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체지지부(500)는 도 1 및 도 5 내지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구간 승강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되는 슬라이딩블록(510)과, 상기 슬라이딩블록(5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 하부 회전체(540, 550)에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상, 하부 수평바(520, 530)와, 상기 하부 수평바(53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베어링(551)이 장착고정되는 하부 회전체(550)와, 상기 베어링(551)에 축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체지지판(570)과 축 핀(571)으로 결합 고정되며, 다단 절곡부(561)가 형성된 샤프트(560)와, 상기 상부 수평바(520)의 좌, 추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각도 조절 뭉치(580)가 장착 고정되는 상부 회전체(540)와, 상기 상부 회전체(540)의 외주 면에 장착 고정되며, 각도 조절용 조절바(59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안착홈(581)이 마련됨과 동시에 그 안착홈(581)의 중심에는 조절바(590)의 걸림홈(591)에 대응하는 멈춤 돌기(58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581)의 좌, 우측에는 조절바(5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장(58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584)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인입홈(584)의 내측에는 빗장 고정용 고정볼트(585)를 축으로 일정구간 축 회전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빗장(58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 뭉치(580)와, 상기 각도 조절 뭉치(580)의 멈춤 돌기(582)에 대응할 수 있도록 걸림홈(59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상체지지판(570)과 축 핀(572)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상체지지판(570) 각도 조절용 조절바(590)와, 사람의 상체 뒷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상체 고정용 고정벨트(573)와, 팔의 한계 스윙을 제어하는 스윙리미트판(574)이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된 상체지지판(570)이 포함되어 기능적으로 연결 구성된다.
또한 상기 대퇴부지지부(60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구간 승강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되는 슬라이딩블록(610)과, 상기 슬라이딩블록(6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 하부 회전체(640, 650)에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상, 하부 수평바(620, 630)와, 상기 하부 수평바(63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연결체(660)가 장착고정되는 하부 회전체(650)와, 상기 회전체(650)에 고정된 상태에서 대퇴부지지판(670)과 축 핀(671)으로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660)와, 상기 상부 수평바(62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각도 조절 뭉치(680)가 장착 고정되는 상부 회전체(640)와, 상기 상부 회전체(640)의 외주 면에 장착 고정되며, 각도 조절용 조절바(69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안착홈(681)이 마련됨과 동시에 그 안착홈(681)의 중심에는 조절바(690)의 걸림홈(691)에 대응하는 멈춤 돌기(68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681)의 좌, 우측에는 조절바(6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장(68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684)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인입홈(684)의 내측에는 빗장 고정용 고정볼트(685)를 축으로 일정구간 축 회전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빗장(68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 뭉치(680)와, 상기 각도 조절 뭉치(680)의 멈춤 돌기(682)에 대응할 수 있도록 걸림홈(69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대퇴부지지판(670)과 축 핀(672)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대퇴부지지판(670) 각도 조절용 조절바(690)와, 사람의 대퇴부 뒷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대퇴부 고정용 고정벨트(673)가 구성된 대퇴부지지판(670)이 포함되어 기능적으로 연결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체지지부(70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구간 승강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되는 슬라이딩블록(710)과, 상기 슬라이딩블록(7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 하부 회전체(740, 750)에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상, 하부 수평바(720, 730)와, 상기 하부 수평바(73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연결체(760)가 장착고정되는 하부 회전체(750)와, 상기 회전체(75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체지지판(770)과 축 핀(771)으로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760)와, 상기 상부 수평바(72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각도 조절 뭉치(780)가 장착 고정되는 상부 회전체(740)와, 상기 상부 회전체(740)의 외주 면에 장착 고정되며, 각도 조절용 조절바(79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안착홈(781)이 마련됨과 동시에 그 안착홈(781)의 중심에는 조절바(790)의 걸림홈(791)에 대응하는 멈춤 돌기(78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781)의 좌, 우측에는 조절바(7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장(78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784)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인입홈(784)의 내측에는 빗장 고정용 고정볼트(785)를 축으로 일정구간 축 회전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빗장(78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 뭉치(780)와, 상기 각도 조절 뭉치(780)의 멈춤 돌기(782)에 대응할 수 있도록 걸림홈(79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하체지지판(770)과 축 핀(772)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하체지지판(770) 각도 조절용 조절바(790)와, 사람의 종아리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종아리 부분 고정용 고정벨트(773)가 구성된 하체지지판(770)이 포함되어 기능적으로 연결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체(540,640,740) 및 하부 회전체(550,650,750)는 상부 수평바(520,620,720) 및 하부 수평바(530,630,730)를 축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헐거운 끼워 맞춤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회전 지지체(550)의 외주 면에는 상체지지판(570)이 하부수평바(530)를 중심으로 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553) 체결용 체결홈(552)이 형성되며, 그 체결홈(552)에는 고정볼트(553)가 체결 고정된다.
특히 상체가 회전되도록 할 경우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바(590)를 각도 조절 뭉치(580)에서 부터 완전 분리해주면 베어링과 축 삽입 연결 구성된 샤프트(560)가 축이 되어 스윙과정에서 상체만 회전된다. 이때 고정볼트(553)에 의해 하부 회전체(550)와, 하부 수평바(530)가 고정되기 때문에 샤프트(560)와 연결된 상체지지판(570) 역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최초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원 발명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스윙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초보자나 숙련자가 베이스(100)의 상면에 등을 기댄 채로선 다음, 고정벨트(773,673,573)를 이용하여 하체부터 고정을 시킨다.
신체가 고정되고 난 이후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세가 되는바, 이러한 자세로 스윙연습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신장이 크거나 작은 경우에는 지지축(400)의 외측에 구성된 볼트(42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블록(510,610,710)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체지지판(570), 대퇴부지지판(670) 하체지지판(770)의 기울기 조절은 도 9내지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바(590,690,79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절바(590,690,790)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홈(591,691,791)이 멈춤돌기(582,682,782)와 밀착될 경우 전면 방향으로 최대 기울어진 상태가 되며, 반대의 경우에는 수직에 가까운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조절바(590,690,790)를 안착홈(581,681,78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빗장(583,683,783)을 축 회전시켜 인입홈(584,684,784)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조절바(590,690,790)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스윙과정에서 사용자의 팔이 부딪히는 스윙리미트판(574)은 상체지지부(500)와 동일하게 상승 및 하강 되며, 일정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100:베이스판 200:유동방지판
300:회전판 400:지지축
410:슬라이딩홈 420:볼트
430:체결홈 500:상체지지부
510,610,710:슬라이딩블록
520,620,720:상부수평바
530,630,730:하부수평바
540,640,740:상부회전체
550,650,750:하부회전체
551:베어링 552:체결홈
553:고정볼트 560:샤프트
561:절곡부 570:상체지지판
571,572,671,672,771,772:축 핀
573,673,773:고정벨트 574:스윙리미트판
580,680,780:각도조절뭉치
581,681,781:안착홈 582,682,782:멈춤돌기
583,683,783:빗장 584,684,784:인입홈
585,685,785:고정볼트
590,690,790:조절바 591,691,791:걸림홈
600:대퇴부지지부 660,760:연결체
670:대퇴부지지판
700:하체지지부 770:하체지지판

Claims (3)

  1.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장착고정되어 손잡이의 기능과 하체의 유동을 방지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유동방지판(200);
    상기 유동방지판(200) 사이의 베이스판(100) 상면에 자유로운 회전이 용이하도록 장착고정되어 허리의 유연성을 길러주는 회전판(300);
    상기 유동방지판(200)의 일측 방향 베이스판(100) 상측에 장착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홈(410)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슬라이딩홈(410)의 외측에는 볼트(420)가 체결고정될 수 있는 체결홈(430)이 다수 개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축(400);
    상기 슬라이딩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구간 승강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되는 슬라이딩블록(510)과, 상기 슬라이딩블록(5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 하부 회전체(540, 550)에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상, 하 수평바(520,530)와, 상기 하부 수평바(53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베어링(551)이 장착고정되는 하부 회전체(550)와, 상기 베어링(551)에 축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체지지판(570)과 축 핀(571)으로 결합 고정되며, 다단 절곡부(561)가 형성된 샤프트(560)와, 상기 상부 수평바(520)의 좌, 추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각도 조절 뭉치(580)가 장착 고정되는 상부 회전체(540)와, 상기 상부 회전체(540)의 외주 면에 장착 고정되며, 각도 조절용 조절바(59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안착홈(581)이 마련됨과 동시에 그 안착홈(581)의 중심에는 조절바(590)의 걸림홈(591)에 대응하는 멈춤 돌기(58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581)의 좌, 우측에는 조절바(5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장(58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584)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인입홈(584)의 내측에는 빗장 고정용 고정볼트(585)를 축으로 일정구간 축 회전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빗장(58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 뭉치(580)와, 상기 각도 조절 뭉치(580)의 멈춤 돌기(582)에 대응할 수 있도록 걸림홈(59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상체지지판(570)과 축 핀(572)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상체지지판(570) 각도 조절용 조절바(590)와, 사람의 상체 뒷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상체 고정용 고정벨트(573)와, 팔의 한계 스윙을 제어하는 스윙리미트판(574)이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된 상체지지판(570)이 포함되어 기능적으로 연결 구성된 상체지지부(500);
    상기 슬라이딩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구간 승강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되는 슬라이딩블록(610)과, 상기 슬라이딩블록(6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 하부 회전체(640, 650)에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상, 하 수평바(620, 630)와, 상기 하부 수평바(63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연결체(660)가 장착고정되는 하부 회전체(650)와, 상기 하부 회전체(650)에 고정된 상태에서 대퇴부지지판(670)과 축 핀(671)으로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660)와, 상기 상부 수평바(62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각도 조절 뭉치(680)가 장착 고정되는 상부 회전체(640)와, 상기 상부 회전체(640)의 외주 면에 장착 고정되며, 각도 조절용 조절바(69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안착홈(681)이 마련됨과 동시에 그 안착홈(681)의 중심에는 조절바(690)의 걸림홈(691)에 대응하는 멈춤 돌기(68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681)의 좌, 우측에는 조절바(6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장(68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684)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인입홈(684)의 내측에는 빗장 고정용 고정볼트(685)를 축으로 일정구간 축 회전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빗장(68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 뭉치(680)와, 상기 각도 조절 뭉치(680)의 멈춤 돌기(682)에 대응할 수 있도록 걸림홈(69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대퇴부지지판(670)과 축 핀(672)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대퇴부지지판(670) 각도 조절용 조절바(690)와, 사람의 대퇴부 뒷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대퇴부 고정용 고정벨트(673)가 구성된 대퇴부지지판(670)이 포함되어 기능적으로 연결 구성된 대퇴부지지부(600);
    상기 슬라이딩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구간 승강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 우 대칭구조로 구성되는 슬라이딩블록(710)과, 상기 슬라이딩블록(7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 하부 회전체(740, 750)에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상, 하 수평바(720, 730)와, 상기 하부 수평바(73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연결체(760)가 장착고정되는 하부 회전체(750)와, 상기 회전체(75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체지지판(770)과 축 핀(771)으로 결합 고정되는 연결체(760)와, 상기 상부 수평바(720)의 좌, 우측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에는 각도 조절 뭉치(780)가 장착 고정되는 상부 회전체(740)와, 상기 상부 회전체(740)의 외주 면에 장착 고정되며, 각도 조절용 조절바(79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안착홈(781)이 마련됨과 동시에 그 안착홈(781)의 중심에는 조절바(790)의 걸림홈(791)에 대응하는 멈춤 돌기(78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781)의 좌, 우측에는 조절바(7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장(78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784)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인입홈(784)의 내측에는 빗장 고정용 고정볼트(785)를 축으로 일정구간 축 회전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빗장(78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 뭉치(780)와, 상기 각도 조절 뭉치(780)의 멈춤 돌기(782)에 대응할 수 있도록 걸림홈(79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하체지지판(770)과 축 핀(772)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하체지지판(770) 각도 조절용 조절바(790)와, 사람의 종아리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종아리 부분 고정용 고정벨트(773)가 구성된 하체지지판(770)이 포함되어 기능적으로 연결 구성된 하체지지부(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체(540,640,740) 및 하부 회전체(550,650,750)는 상부 수평바(520,620,720) 및 하부 수평바(530,630,730)를 축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헐거운 끼워 맞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회전 지지체(550)의 외주 면에는 상체지지판(570)이 하부 수평바(530)를 중심으로 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553) 체결용 체결홈(552)이 형성되며, 그 체결홈(552)에는 고정볼트(553)가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20130074590A 2013-06-27 2013-06-27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1332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590A KR101332144B1 (ko) 2013-06-27 2013-06-27 골프 스윙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590A KR101332144B1 (ko) 2013-06-27 2013-06-27 골프 스윙 연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418A KR20130083418A (ko) 2013-07-22
KR101332144B1 true KR101332144B1 (ko) 2013-11-21

Family

ID=4899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590A KR101332144B1 (ko) 2013-06-27 2013-06-27 골프 스윙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1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274B1 (ko) 1990-11-30 1999-08-16 도날드 에이.호퍼 골프 스윙 훈련 장치
KR20000030377A (ko) * 2000-02-25 2000-06-05 조웅래 골프 스윙 연습장치
JP2006068088A (ja) 2004-08-31 2006-03-16 Eijiro Tomomori 姿勢矯正器
US20070232406A1 (en) 2006-03-29 2007-10-04 Grant Sybil B M Swing c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274B1 (ko) 1990-11-30 1999-08-16 도날드 에이.호퍼 골프 스윙 훈련 장치
KR20000030377A (ko) * 2000-02-25 2000-06-05 조웅래 골프 스윙 연습장치
JP2006068088A (ja) 2004-08-31 2006-03-16 Eijiro Tomomori 姿勢矯正器
US20070232406A1 (en) 2006-03-29 2007-10-04 Grant Sybil B M Swing c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418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538B2 (en) Swing training jacket
KR100863494B1 (ko)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US7815518B2 (en) Training apparatus for improving a golf swing
EP2056776B1 (en) Exercising apparatus for calf muscle stretching
US20150265872A1 (en) Squat Exercising
US9561395B2 (en)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KR101222325B1 (ko) 다기능 골프 스윙 연습 기구
KR20130032040A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KR101332144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CN208510433U (zh) 一种穿戴式坐姿矫正支架
JP2016168337A (ja) 足圧連動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222773B1 (ko) 교정 보행기
KR102111218B1 (ko) 플랭크 운동기구
CN203483779U (zh) 高尔夫转腰动作练习仪
KR200441958Y1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
KR101271998B1 (ko) 골프 샷 훈련 및 교정 장치
KR101334951B1 (ko) 어깨회전 운동머신
CN207769062U (zh) 一种改进的划船器坐姿校正装置
CN204182081U (zh) 多功能健身器
KR200405261Y1 (ko) 척추 운동기구
KR200306557Y1 (ko) 골프용 타격자세 숙지장치
KR100565976B1 (ko) 골프용 타격자세 숙지장치
KR101061134B1 (ko)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CN207445435U (zh) 辅助划船器平行拉伸的校正器
CN210145431U (zh) 一种用于软开度训练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