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134B1 -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134B1
KR101061134B1 KR1020100116199A KR20100116199A KR101061134B1 KR 101061134 B1 KR101061134 B1 KR 101061134B1 KR 1020100116199 A KR1020100116199 A KR 1020100116199A KR 20100116199 A KR20100116199 A KR 20100116199A KR 101061134 B1 KR101061134 B1 KR 101061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eg
balance
adjust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식
신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에스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에스,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에스
Priority to KR102010011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받침대(10)와, 상기 하부 받침대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12)와, 상기 수직 지지대 상부에 전방이 회전축(22)으로 지지 설치되어 좌우 회전운동하는 좌우 회전체(30)와, 상기 좌우 회전체의 내측에 양측의 회전축(42)으로 지지 설치되어 전후 회전운동하는 전후 회전체(40)와, 상기 전후 회전체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운동자가 탑승하는 발판(45) 및, 상기 전후 회전체의 전후 방향에서 가이드(52)에 의해 전후 이동조절하는 파지구(51)에 의해 운동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고정대(50)로 구성된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45)이 설치되는 전후 회전체(40)의 양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발판(45)의 상부에 올라선 운동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수단(8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발판 상부에서 허리를 지지한 상태로 좌우, 전후 및 회전운동을 통해서 인체 밸런스(균형능력)의 평가, 트레이닝으로 균형감각 훈련, 척추안정화 운동을 행하는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을 실시할 수 있고, 아울러,장치에 적용된 다리 지지수단을 통해 하체의 다리부분을 더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인 외에도 하체가 특히 허약한 노약자 혹은 다리 치료의 재활을 위한 환자들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Appartus for rating and training of balance}
본 발명은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발판 상부에서 허리를 지지한 상태로 좌우, 전후 및 회전운동을 통해서 인체 밸런스(균형능력)의 평가, 트레이닝으로 균형감각 훈련, 척추안정화 운동을 행하는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 하체의 다리부분을 더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하여 본 장치를 통해 일반인 외에도 하체가 특히 허약한 노약자 혹은 다리 치료의 재활을 위한 환자들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각(Sensory)정보는 피부의 외부 수용기, 관절과 근육에서 감지된 동작과 위치를 중추 신경계에 전달하고 전정기관과 시각을 통해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감각 기능의 문제는 시각장애, 균형과 평행상태 등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고, 운동근육계가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근육과 근육 수축의 속도를 개선하는 것은 척추 안정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척추안정화는 척추를 싸고 있는 심부 근육(대 근육이 아니라 척추 깊이 위치해 있고, 우리 인체의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고유수용기가 많이 부착된 근육)들을 강화시키므로 척추의 불안전성을 보완하고 감각운동체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척추의 불안전성은 만성 요통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상기한 감각 운동체계나 척추의 불안전성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평가 및 트레이닝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됨은 당연하였다.
특히, 환자나 노약자 등이 무리하지 않고 안전하게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오랜 연구 개발을 통해 본 발명의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하여 제10-863494호(발명의 명칭: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로 등록받은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발판 상부에서 허리를 지지한 상태로 좌우, 전후 및 회전운동을 통해서 인체 밸런스(균형능력)의 평가, 트레이닝으로 균형감각 훈련, 척추안정화 운동을 행하고, 이러한 장치는 환자나 노약자 등이 무리하지 않고 안전하면서 효과적으로 균형감각 훈련, 척추안정화 운동을 행하므로 사용 만족도를 극대화하도록 하였다.
이에 대한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의 구성은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하부 받침대(10)와, 상기 하부 받침대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12)와, 상기 수직 지지대 상부에 전방이 회전축(22)으로 지지 설치되어 좌우 회전운동하는 좌우 회전체(30)와, 상기 좌우 회전체의 내측에 양측의 회전축(42)으로 지지 설치되어 전후 회전운동하는 전후 회전체(40)와, 상기 전후 회전체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운동자가 탑승하는 발판(45) 및, 상기 전후 회전체의 전후 방향에서 가이드(52)에 의해 전후 이동조절하는 파지구(51)에 의해 운동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고정대(50)로 이루어져 있다.
운동자가 상기 발판(45) 상부에 올라서서 파지구(51)로 운동자의 허리를 전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되어 있으며, 운동자가 발판(45)에 올라서서 허리를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전후 회전 및 좌우와 전후가 복합된 회전운동을 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운동은 모니터에 출력되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을 확인하여 따라하면서 밸런트 평가 및 트레이닝을 행하여 균형감각 훈련, 척추안정화 운동을 다양한 프로그램에 의해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함에 있어, 고정대를 통해 허리를 감싸듯 잡아줄 수 있지만, 특히 하체가 부실한 노약자 및 재활중에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발판에 서 있는 동작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트레이닝 장치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발판 상부에서 허리를 지지한 상태로 좌우, 전후 및 회전운동을 통해서 인체 밸런스(균형능력)의 평가, 트레이닝으로 균형감각 훈련, 척추안정화 운동을 행하는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 다리부분을 더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하여 본 장치를 통해 일반인 외에도 하체가 특히 허약한 노약자 혹은 다리 치료의 재활을 위한 환자들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받침대와, 상기 하부 받침대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직 지지대 상부에 전방이 회전축으로 지지 설치되어 좌우 회전운동하는 좌우 회전체와, 상기 좌우 회전체의 내측에 양측의 회전축으로 지지 설치되어 전후 회전운동하는 전후 회전체와, 상기 전후 회전체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운동자가 탑승하는 발판 및, 상기 전후 회전체의 전후 방향에서 가이드에 의해 전후 이동조절하는 파지구에 의해 운동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고정대와, 상기 발판이 설치되는 전후 회전체의 양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발판의 상부에 올라선 운동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수단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수단은,
전후 회전체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 상,하부가 간격을 두고 고정볼트로서 부착 설치되며, 일측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높이 조절공이 구비된 높이 조절대와, 상기 높이 조절대에 내경이 관통되며, 외측에는 높이 조절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1고정구 및 제1고정구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높이 조절대로부터 위치를 가압 고정하는 제1가압고정구가 구비된 수직 고정부재와, 상기 수직 고정부재의 양측에 횡으로 일단이 각각 부착되고, 길이방향에 전후 조절공이 배열 형성된 전후 조절대와, 상기 전후 조절대에 내경이 관통되며, 외측에는 전후 조절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2고정구 및 제2고정구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전후 조절대로부터 위치를 가압 고정하는 제2가압고정구가 구비된 전후 고정부재와, 상기 전후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길이방향에 좌우 조절공이 배열 형성된 좌우 조절대와, 상기 좌우 조절대에 내경이 관통되며, 외측에는 좌우 조절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3고정구가 구비된 좌우 고정부재와, 상기 좌우 고정부재의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어 운동자의 다리 양측을 감싸 지지하는 다리 파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발판 상부에서 허리를 지지한 상태로 좌우, 전후 및 회전운동을 통해서 인체 밸런스(균형능력)의 평가, 트레이닝으로 균형감각 훈련, 척추안정화 운동을 행하는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을 실시할 수 있고, 아울러,장치에 적용된 다리 지지수단을 통해 하체의 다리부분을 더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인 외에도 하체가 특히 허약한 노약자 혹은 다리 치료의 재활을 위한 환자들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 지지수단이 구비된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좌우 회전각도조절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발판을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리 지지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다리 지지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지지수단을 통해 운동자의 다리를 지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 지지수단을 통해 운동자의 다리를 지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부 받침대(10)와, 상기 하부 받침대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12)와, 상기 수직 지지대 상부에 전방이 회전축(22)으로 지지 설치되어 좌우 회전운동하는 좌우 회전체(30)와, 상기 좌우 회전체의 내측에 양측의 회전축(42)으로 지지 설치되어 전후 회전운동하는 전후 회전체(40)와, 상기 전후 회전체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운동자가 탑승하는 발판(45) 및 상기 전후 회전체의 전후 방향에서 가이드(52)에 의해 전후 이동조절하는 파지구(51)에 의해 운동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고정대(50)와, 상기 발판(45)이 설치되는 전후 회전체(40)의 양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발판(45)의 상부에 올라선 운동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수단(8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
삭제
상기 다리 지지수단(80)은, 전후 회전체(40)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 상,하부가 간격을 두고 고정볼트(B)로서 부착 설치되며, 일측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높이 조절공(81a)이 구비된 높이 조절대(81)와, 상기 높이 조절대(81)에 내경이 관통되며, 외측에는 높이 조절공(81a)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1고정구(82a) 및 제1고정구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높이 조절대(81)로부터 위치를 가압 고정하는 제1가압고정구(82b)가 구비된 수직 고정부재(82)와, 상기 수직 고정부재(82)의 양측에 횡으로 일단이 각각 부착되고, 길이방향에 전후 조절공(83a)이 배열 형성된 전후 조절대(83)와, 상기 전후 조절대(83)에 내경이 관통되며, 외측에는 전후 조절공(83a)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2고정구(84a) 및 제2고정구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전후 조절대(83)로부터 위치를 가압 고정하는 제2가압고정구(84b)가 구비된 전후 고정부재(84)와, 상기 전후 고정부재(84)의 일측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길이방향에 좌우 조절공(85a)이 배열 형성된 좌우 조절대(85)와, 상기 좌우 조절대(85)에 내경이 관통되며, 외측에는 좌우 조절공(85a)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3고정구(86a)가 구비된 좌우 고정부재(86)와, 상기 좌우 고정부재(86)의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어 운동자의 다리 양측을 감싸 지지하는 다리 파지구(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구는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구형의 손잡이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각 조절부재의 위치 조정하여 해당하는 조절공에 위치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제1 내지 제2가압구는 각 조절부재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조절대로부터 조절부재의 위치를 나사체결에 의한 가압으로 위치 세팅된 상태에서 조절부재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 구조로서, 통상의 높이조절에 사용하는 구성요소를 채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등록특허(제10-863494호)에 기술되어 있는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발판(45)의 중앙에는 상부에 조작핸들(46)이 설치된 스크류봉(47)이 전후 회전체의 프레임에 수직 설치된 지지봉(48)에 상하로 치합 설치되어 상기 조작핸들(46)을 회전조작함에 의해 발판(45)의 위치를 승하강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우 회전체(30)의 일측에는 각도 조절판(61)을 회전축(42)상에 축설되게 고정 설치하되, 상기 각도 조절판(61)에는 전후 회전체(30)의 회전축(42) 회전반경으로 다양한 각도의 반경을 갖는 다수의 회전안내공(62a)(62b)(62c)과 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회전안내공과 고정공을 통해 각각 걸림핀(65a)(65b)(65c),(66)을 전후 회전체(40)의 프레임에 삽입 설치하여서 상기 고정공과 회전안내공의 걸림핀을 선택적으로 분리함에 따라 전후 회전체(40)의 전후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전후 회전각도조절부(60)를 설치 구성한다.
상기 수직 지지대(12) 상부에는 각도 조절판(71)을 회전축(22)상에 축설되게 고정 설치하되, 상기 각도 조절판에는 좌우 회전체의 회전축(22) 회전반경으로 다양한 각도의 안내반경을 갖는 다수의 회전안내공(73a)(73b)(62c)과 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회전안내공과 고정공을 통해 각각 걸림핀(75a)(75b)(75c),(76)을 좌우 회전체(30)의 프레임에 삽입 설치하여서 상기 고정공과 회전안내공의 걸림핀을 선택적으로 분리함에 따라 좌후 회전체(3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좌우 회전각도조절부(70)를 구성한다.
상기 좌우 회전각도조절부(7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절판(71) 배면에 좌우 회전체(30)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72)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판에 중앙고정공(72a)의 회전 반경 위치로 다수 각도 위치에 보조 고정공(72b)(72c)(72b')(72c')을 형성하여 상기 좌우 회전체(30)를 좌우 회전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판(71)의 고정공을 통해 상기 보조 고정공으로 걸림핀(76)을 삽입 설치하여서 좌우 회전체(30)가 좌우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가 허리를 지지한 상태로 좌우, 전후 및 좌우와 전후가 복합된 회전운동을 통해서 인체 밸런스(균형능력)의 평가, 트레이닝으로 균형감각 훈련, 척추안정화 운동을 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장치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가 발판(45) 상부에 올라서서 파지구(51)를 가이드(52)에 의해 전후 이동 조절하여 운동자의 허리부분을 감싸 지지시켜 준다.
이때 운동자의 신장에 따라 상기 발판(45)을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조절하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발판 상부의 조작핸들(46)을 좌우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스크류봉(47)이 전후 회전체의 프레임에 수직 설치된 지지봉(48)에 치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발판(45)의 설치 높낮이를 상하로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운동자가 상기 발판(45) 상부에 올라서서 파지구(51)로 운동자의 허리를 전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운동자가 발판(45)에 올라서서 허리를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전후 회전 및 좌우와 전후가 복합된 회전운동을 행할 수 있으며, 이때, 수직 지지대(12)의 상부에 회전축(22)으로 지지된 좌우 회전체(30)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운동을 행하게 되고, 상기 좌우 회전체(30) 양측의 회전축(42)으로 지지 설치된 전후 회전체(40)가 전후 회전운동하면서 운동자의 좌우, 전후 및 좌우와 전후가 복합된 회전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운동자는 수직 지지대(12) 상부의 설치대(15) 상에 설치되는 모니터(20)에 출력되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을 확인하여 따라하면서 밸런트 평가 및 트레이닝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자에 따라 전후 회전각도조절부(60)와 좌우 회전각도조절부(70)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 회전 운동만을 행하게 하거나 전후 또는 좌우의 일정 각도에서 너무 무리하지 않는 운동만을 행하도록 다양하게 선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전후 회전각도조절부(60)에는 각도 조절판(61)의 다수의 회전안내공(62a)(62b)(62c)과 고정공에 걸림핀(65a)(65b)(65c),(66)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회전체(40)의 전후 회전은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공의 걸림핀(66)을 분리하면 상기 걸림핀(65a)이 회전안내공(62a)에 안내되는 각도(10도)에 한하여 전후 회전체(40)가 전후 회전하고, 다시 상기 회전안내공(62a)의 걸림핀(65a)을 분리하면 다음의 걸림핀(65b)이 회전안내공(62b)에 안내되는 각도(20도)에 한하여 전후 회전체(40)가 전후 회전하며, 다시 상기 회전안내공(62b)의 걸림핀(65b)을 분리하면 다음의 걸림핀(65c)이 회전안내공(62c)에 안내되는 각도(30도)에 한하여 전후 회전체(40)가 전후 회전하도록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좌우 회전각도조절부(70)에도 동일하게 각도 조절판(71)의 다수의 회전안내공(73a)(73b)(73c)과 고정공에 걸림핀(75a)(75b)(75c),(76)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 회전체(30)의 좌우 회전은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공의 걸림핀(76)을 분리하면 상기 걸림핀(75a)이 회전안내공(73a)에 안내되는 각도(15도)에 한하여 좌우 회전체(30)가 좌우 회전하고, 다시 상기 회전안내공(73a)의 걸림핀(75a)을 분리하면 다음의 걸림핀(75b)이 회전안내공(73b)에 안내되는 각도(30도)에 한하여 좌우 회전체(30)가 좌우 회전하며, 다시 상기 회전안내공(73b)의 걸림핀(75b)을 분리하면 다음의 걸림핀(75c)이 회전안내공(73c)에 안내되는 각도(45도)에 한하여 좌우 회전체(30)가 좌우 회전하도록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후 회전각도조절부(60)와 좌우 회전각도조절부(70)에 의해 조절되는 회전 각도는 전술한 각도 이외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좌우 회전각도조절부(70)는 좌우 회전체(30)가 수직 상태 이외에 예를 들면 좌우 각도로 +10도, +20도, 0도, -10도, -20도로 각도 변위된 상태로 고정한 상태로 전후 회전만 행하는 운동도 가능하게 제공된다.
이는 상기 걸림핀(76)이 각도 조절판(71)의 고정공을 통해 각도 조절판 배면에 위치하는 좌우 회전체에 고정된 고정판(72)의 중앙 고정공(7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 회전체(30)를 좌우로 각도 조절한 상태로 상기 걸림핀(75)이 각도 조절판(71)의 고정공과 고정판(72)의 중앙고정공(72a)의 회전 반경 위치로 다수 각도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 고정공(72b)(72c)(72b')(72c')에 선택 삽입함에 의해 상기 좌우 회전체(30)를 좌우 회전 상태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좌우 회전체(30)는 좌우 각도가 +10도, +20도, 0도, -10도, -20도로 각도 변위된 상태로 고정되어 전후 회전만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운동은 운동자의 허리를 감싸 지지시킨 상태로 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첨부된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에 적용 설치된 다리 지지수단(80)을 통해 운동자의 다리부분을 전후 감싸 준 상태에서도 동일한 운동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다리 지지수단(80)을 통한 다리부분의 안정된 지지효과는 다리 파지구(87)를 운동자의 무릎 기준으로 그 상부나 하부에 위치시켜 운동자가 서 있기에 용이한 자세로 지지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리 파지구(87)는 높이 조절대(81)에 내경이 관통되도록 한 수직 고정부재(82)측 제1고정구(82a) 및 제1고정구로부터 이격 설치된 제1가압고정구(82b)의 위치 세팅작업으로 전후 조절대(83)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전후 조절대(83)에 설치된 전후 고정부재(84)측 제2고정구(84a) 및 제2가압고정구(84b)으로서 전후 조절대(83)로부터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 고정부재(84)의 일측면에 일단이 부착된 좌우 조절대(85)는 그 길이방향에 마련된 좌우 조절공(85a)으로부터 좌우 조절대(85)의 위치를 운동자가 편안하게 발판 상부에 선 자세에 위치될 수 있도록 좌우 고정부재(86)를 위치시키고, 여기에 마련된 제3고정구(86a)로서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에서 다리 파지구(87)를 통해 운동자의 다리를 지지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운동자의 다리를 안정되게 지지시켜 줌으로써, 특히 짧은 시간 동안에도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운 노약자나 하체 재활중인 환자들에게도 상술한 바와 같은 인체 밸런스(균형능력)의 평가, 트레이닝으로 균형감각 훈련, 척추안정화 운동을 효과적으로 트레이닝할 수 있게 된다.
10: 하부 받침대 12: 수직 지지대
20: 모니터 22,42: 회전축
30: 좌우 회전체 40: 전후 회전체
45: 발판 50: 고정대
51: 파지구 52: 가이드
46: 조작핸들 47: 스크류봉
48: 지지봉 60: 전후 회전각도 조절부
70: 회전각도조절부 80: 다리 지지수단

Claims (2)

  1. 하부 받침대(10)와, 상기 하부 받침대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12)와, 상기 수직 지지대 상부에 전방이 회전축(22)으로 지지 설치되어 좌우 회전운동하는 좌우 회전체(30)와, 상기 좌우 회전체의 내측에 양측의 회전축(42)으로 지지 설치되어 전후 회전운동하는 전후 회전체(40)와, 상기 전후 회전체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운동자가 탑승하는 발판(45) 및, 상기 전후 회전체의 전후 방향에서 가이드(52)에 의해 전후 이동조절하는 파지구(51)에 의해 운동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고정대(50)와, 상기 발판(45)이 설치되는 전후 회전체(40)의 양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발판(45)의 상부에 올라선 운동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수단(8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수단(80)은,
    전후 회전체(40)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 상,하부가 간격을 두고 고정볼트(B)로서 부착 설치되며, 일측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높이 조절공(81a)이 구비된 높이 조절대(81)와,
    상기 높이 조절대(81)에 내경이 관통되며, 외측에는 높이 조절공(81a)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1고정구(82a) 및 제1고정구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높이 조절대(81)로부터 위치를 가압 고정하는 제1가압고정구(82b)가 구비된 수직 고정부재(82)와,
    상기 수직 고정부재(82)의 양측에 횡으로 일단이 각각 부착되고, 길이방향에 전후 조절공(83a)이 배열 형성된 전후 조절대(83)와,
    상기 전후 조절대(83)에 내경이 관통되며, 외측에는 전후 조절공(83a)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2고정구(84a) 및 제2고정구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전후 조절대(83)로부터 위치를 가압 고정하는 제2가압고정구(84b)가 구비된 전후 고정부재(84)와,
    상기 전후 고정부재(84)의 일측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길이방향에 좌우 조절공(85a)이 배열 형성된 좌우 조절대(85)와,
    상기 좌우 조절대(85)에 내경이 관통되며, 외측에는 좌우 조절공(85a)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3고정구(86a)가 구비된 좌우 고정부재(86)와,
    상기 좌우 고정부재(86)의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어 운동자의 다리 양측을 감싸 지지하는 다리 파지구(8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2. 삭제
KR1020100116199A 2010-11-22 2010-11-22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KR101061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199A KR101061134B1 (ko) 2010-11-22 2010-11-22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199A KR101061134B1 (ko) 2010-11-22 2010-11-22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134B1 true KR101061134B1 (ko) 2011-08-31

Family

ID=4493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199A KR101061134B1 (ko) 2010-11-22 2010-11-22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458Y1 (ko) * 2012-06-01 2016-01-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특수선내 설치되는 전자장비 케이블 커넥터 결선용 지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1299A1 (en) 2000-06-14 2003-09-25 Zlatko Matjacic Balance re-trainer
KR100863494B1 (ko) * 2008-08-02 2008-10-14 박창호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1299A1 (en) 2000-06-14 2003-09-25 Zlatko Matjacic Balance re-trainer
KR100863494B1 (ko) * 2008-08-02 2008-10-14 박창호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 A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458Y1 (ko) * 2012-06-01 2016-01-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특수선내 설치되는 전자장비 케이블 커넥터 결선용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494B1 (ko)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US8249714B1 (en) Lower extremity exercise device with stimul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1325066B1 (ko) 뇌졸중 환자의 보행재활 치료용 로봇
CA255523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raining
US8882802B2 (en) Chiropractic machine
KR101492347B1 (ko) 발목 관절 재활 운동 장치
KR101433284B1 (ko)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953236B1 (ko)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
KR100963099B1 (ko) 하반신 운동기구
EP2537564A2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KR101528562B1 (ko) 회전근개 재활운동 장치
KR20100055578A (ko) 동적체 평형 검사 및 운동장치
KR101875038B1 (ko) 3차원 척추교정 재활운동 기구
US9561395B2 (en)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KR101334613B1 (ko) 3차원 운동기구
KR101061134B1 (ko)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KR20130054538A (ko) 교정 보행기
KR101108926B1 (ko) 복부마찰운동용 헬스기구
KR101018975B1 (ko) 재활인과 일반인 겸용 운동기구
US10874904B2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physical resistance force produced by a patient, and physical rehabilitation assembly comprising such a device
KR20140030849A (ko) 신체 회전 운동기구
KR101222773B1 (ko) 교정 보행기
KR100873064B1 (ko) 하체강화 겸용 등 지압기
KR20100049462A (ko) 다기능 실버용 복합 운동기구
CN216169711U (zh) 下蹲训练与控制反馈训练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