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295B1 - 포대자동인쇄 및 봉제기용 포대 로딩시스템 - Google Patents
포대자동인쇄 및 봉제기용 포대 로딩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15295B1 KR100215295B1 KR1019960051956A KR19960051956A KR100215295B1 KR 100215295 B1 KR100215295 B1 KR 100215295B1 KR 1019960051956 A KR1019960051956 A KR 1019960051956A KR 19960051956 A KR19960051956 A KR 19960051956A KR 100215295 B1 KR100215295 B1 KR 1002152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loading
- sewing
- printing
- sewing machin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8—Printing; Embos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Safety mea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04—Feeding sheets or blank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대 자동인쇄 및 봉제기에 있어서, 인쇄기를 경유하면서 인쇄 완료된포대를 봉제기로 자동으로 정렬하여 로딩하기 위한 오토로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각종 포대의 인쇄 및 포대 일측을 봉제하는 포대 인쇄기(1)와 포대 봉제기(2)상간에 연결되는 로딩시스템(3)을 구성함에 있어서, 포대 인쇄기(1)에서 언로딩되는 포대를 1차로 로딩받아 봉제를 위한 포대정렬을 행하는 정렬수단(14)과, 상기 정렬수단(14)의 간격을 임의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6)과, 정렬된 포대를 봉제기(2)로 1,2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로딩할 수 있는 간헐공급수단(25)으로 대분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자에 들어 P.P 포대 등의 활용도가 광범위하게 확대되면서 반가공 상태의 P.P포대 외면부에 소정의 내용을 자동으로 인쇄하는 인쇄기 및 인쇄된 포대의 일단을 재봉에 의하여 폐쇄하는 봉제기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이러한 포대 인쇄기 및 봉제기는 별도의 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쇄기를 통하여 인쇄된 포대를 작업자가 일일이 수거한 후 하나씩 봉제기로 로딩하여 재봉을 실시함으로서 작업능률이 극히 저조함은 물론 인력의 과다소모,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별도의 기기로 구성된 포대자동 인쇄기 및 봉제기를 포대 자동 로딩시스템을 사용하여 하나의 연속라인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의 향상과 인력절감,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포대자동인쇄 및 봉제기의 개략적인 레이아웃도
도 2는 본 발명의 포대 로딩시스템을 발췌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포대 로딩시스템을 발췌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포대 로딩시스템 중 정렬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포대 로딩시스템 중 간헐공급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쇄기 2 : 봉제기
3 : 로딩시스템 4 : 기대
5,5' : 로딩바아 6 : 간격조절수단
7 : 모터 8 : 스크류
9,9 : 슬라이드로드 10,10' : 가이드바
11,11' : 연결링크 12 : 체인스프라켓
13 : 체인 14 : 정렬수단
15 : 고정플레이트 16 : 가동플레이트
17 : 실린더 18 : 피스톤로드
19 : 연결로드 20 : 연동플레이트
21 : 연결간 22 : 푸셔
23 : 개구 24 : 센서
25 : 간헐공급수단 26 : 이송컨베이어
27 : 고정프레임 28 : 축봉
29 : 레버 30 : 샤프트
31 : 이송로울러 32 : 연결샤프트
33 : 실린더 34 : 피스톤로드
35 : 제 2 이송로울러 36 : 승강실린더
37 : 샤프트 38 : 포대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포대 자동 인쇄기(1) 및 봉제기(2)의 개략적인 레이아웃도로서, 본 발명의 포대 로딩시스템(3)은 상기 포대 자동 인쇄기(1)와 봉제기(2)의 상간에 설치된다.
포대 자동 인쇄기(1)를 경유하여 인쇄완료 상태로 언로딩되는 포대(38)는 길이방향으로 로딩이 이루어지며, 이때 포대(38)의 양단부는 개방상태이므로 포대(38) 일측을 봉제하기 위하여 봉제기I(2)로 로딩을 하여야 하는바, 봉제기(2)로 투입할 시에는 포대(38)의 일측 봉제부를 정확하게 정렬하여 투입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로딩시스템(3)을 도 2 내지 도 5와 함께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인쇄기(1)에서 언로딩되는 포대(38)를 로딩받기 위하여 기대(4)의 상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로딩바아(5,5')를 횡설하되, 상기 로딩바아(5,5')는 포대(38)의 규격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기 위하여 간격조절수단(6)과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간격조절수단(6)은 모터(7)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스크류(8)를 기대(4) 좌우로 설치된 수 개의 슬라이드로드(9,9')와 나사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로드(9,9')는 상하로 가이드바(10,10')에 슬라이드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다.
물론, 상기한 로딩바아(5,5')는 좌우의 슬라이드로드(9,9')에 직교되게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로드(9,9') 상호간에는 연결링크(11,11')를 개략(×)형으로 연속 연결하여 모터(7)의 정역구동에 따라 슬라이드로드(9,9') 전체가 슬라이드 조절이 각각 행하여지면서 간격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의 모터(7)와 스크류(8)의 구동을 위한 연결은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한 예는 체인스프라켓(12)과 체인(13)을 사용한 경우이다.
상기한 간격조절수단(6)은 후술하는 정렬수단(14)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바, 상기 간격조절수단(6)은 포대(38)의 규격에 따라 로딩바아(5,5') 상호간의 간격을 확장, 축소되게 조절하여 로딩바아(5,5)상에 올려진 포대(38)의 양단이 로딩바아(5,5')사이에 도 4와 같이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처지도록 함으로서 로딩바아(5,5')상의 포대(38)가 이의 교차방향으로 소정의 강도(펼쳐진 상태에서 정렬수단(14) 푸셔(22)의 푸싱력에 의해 구겨지지 않고 펼쳐진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푸셔(22)의 푸싱력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정도)를 가지도록 하는 바, 이러한 간격조절수단(6)에 대하여서는 정렬수단(14)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 다음 후술하는 정렬수단(124)과의 작용관계에서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로딩바아(5,5')상에 로딩된 포대(38)를 일측면을 기준으로 정렬하기 위하여 정렬수단(14)을 구비하는 바, 이는 고정플레이트(15) 일측, 즉 포대(38)가 로딩시스템(3)으로 로딩되는 선측으로는 가동플레이트(16)를 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18)와 연결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16)에는 연결로드(19)를 좌우로 연결하여 연결로드(19)의 타단을 연동플레이트(20)와 연결한다.
그리고 연동플레이트(20)의 상부에는 연결간(21)을 사용하여 포대 정렬용 푸셔(22)를 설치토록 한다.
상기한 푸셔(22)의 하부는 로딩바아(5,5')의 하부로 소폭 내려가도록 설치되며, 로딩바아(5,5')가 간격조절수단(6)에 의해 필요시 좌우로 간격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이때 방해되지 않도록 소정 폭의 개구(23)를 형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한 실린더(17)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포대 진입감지용센서(24)를 연동플레이트(20)상에 설치한다.
또한, 로딩바아(5,5')에 로딩된 포대(38)가 정렬된 상태에서 이를 소정타임을 두고 하나씩 봉제기(2)로 로딩하기 위하여 간헐공급수단(25)을 로딩바아(5,5') 일측의 이송컨베이어(26) 상부에 설치한다.
즉, 고정프레임(27)을 포대 이송용 이송컨베이어(26) 상측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27)에는 축봉(28)을 횡으로 설치하며, 상기 축봉(28)에는 각운동 가능한 레버(29)를 좌우로 설치하고 좌우 레버(29) 상간에 일측으로는 샤프트(30)를 사용하여 자유회전 가능한 이송로울러(31)를 축설한다.
그리고, 레버(29)의 타측은 연결샤프트(32)로 연결하여 고정프레임(27)에 소폭 각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실린더(33)의 피스톤로드(34)와 연결하여 레버(29)가 시이소형으로 승강작동을 하면서 이송로울러(31)가 이송컨베이어(26)와 선택적으로 연접하면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상기에서 이송로울러(31)는 각운동하면서 포대(38)를 압지하여 이송컨베어(26)측으로 공급시키게 되므로 이송컨베어(26)의 직상부에 설치하여서는 안되고, 하강 각운동이 완료된 도착점에서 이송컨베어(26)상에 위치되게 하여 이송로울러(31)가 각운동하면서 포대(38)의 일단을 압지하여 이송컨베어(26)측으로 끌고 들어가서 구동하는 이송컨베어(6)의 구동력에 의해 포대(38)의 로딩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는, 이송로울러(31)에 의해 포대(38)가 압지되어 이송컨베어(26)상으로 로딩 완료되면 이송컨베어(26)가 간헐적으로 구동되게 실시할 수 도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27)에는 이송로울러(31)와 이송컨베이어(26)에 의해 이송된 포대(38)를 봉제기(2)로 정확하게 로딩힐 수 있는 제 2 이송로울러(35)를 승강실린더(36)와 연결된 샤프트(37)좌우로 축설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9는 절첩용가이드, 40은 스토퍼, 41은 스프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포대 로딩시스템(3)이 적용된 포대 자동인쇄 및 봉제기를 사용하여 포대(38)를 인쇄후 봉제전까지 자동으로 정렬하여 로딩하는 본 발명의 로딩시스템(3)의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인쇄기(1)에서는 롤 상태로 보빈에 롤링된 포대(38)의 원자재가 1차로 커팅장치에 의해 소정 길이로 커팅된 후 인쇄장치를 경유하면서 하나 이상의 칼라로 인쇄가 이루어지고, 인쇄 완료된 포대(38)는 양단부가 개방상태이므로 일단을 재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딩시스템(3)을 경유한 다음 직교방향에 설치된 봉제기(2)로 로딩이 이루어지는 바, 봉제기(2)에서 포대(38)의 봉제를 정확하게 행하기 위하여서는 포대(38)의 봉제하고자 하는 부위에서 정확하게 정렬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우선, 인쇄기(1)에서 인쇄 완료된 포대(38)가 로딩시스템(3)의 로딩바아(5,5') 상간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진입하면 센서(24)가 포대(38)의 진입을 감지하게 되고, 로딩바아(5,5')상에 로딩안치된 포대(38)의 선단은 푸셔(22)에 연접하게 되는 바, 이때 센서(24)의 센싱작동에 의해 실린더(17)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18)를 수축작동시키게 된다.
물론, 이때는 포대(38)의 규격에 따라 로딩바아(5,5')의 간격을 조절하여 로딩바아(5,5')위로 올려진 포대(38)가 비교적 가지런히 정렬되게 하고, 양단은 로딩바아(5,5') 사이에서 하향으로 처지도록 하여 푸셔(22)의 푸싱력에 의해 포대(38)가 구겨지지 않고 나름대로 펼쳐진 원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푸싱력이 작용되게 하여 포대(38)가 구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푸셔(22)에 의한 푸싱작동이 원만히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살펴보면 ; 가령 포대(38)를 평판상에 올려 놓고 푸싱력을 가하게 되면 전혀 강성이 없는 포대(38)는 푸싱력이 작용하는 교차방향측의 원형유지력이 극히 미약하여 일측으로부터 작용하는 푸싱력에 의해 원형, 즉 펼쳐진 상태 그대로 푸싱력을 흡수하지 못하고 구겨지게 되어 푸셔(22)의 푸싱작용을 제대로 달성할 수 없으므로 로딩바아(5,5')의 간격을 포대(38)의 규격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포대(38)가 푸셔(22)의 푸싱력에 의해 구겨지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푸싱력을 받아들여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스톤로드(18)의 수축작동으로 이와 연결된 가동플레이트(16) 및 연결로드(19)와 연결되어 있는 연동플레이트(20)가 슬라이드 작동하면서 연동플레이트(20)에 연결간(21)으로 연결된 푸셔(22)가 연동 슬라이드하여 푸셔(22)에 선단이 연접되어 있는 포대(38)를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푸싱하게 되어 푸셔(22)의 푸싱작동에 의해 푸싱된 포대(38)가 기대(4)상의 스토퍼(40)까지 슬라이드 이동하면 실린더(17)가 수축작동을 정지하고 신장작동을 행하여 푸셔(22)는 이전의 상태로 슬라이드 복원된다.
이와 같이 푸셔(22)와 기대(4)의 스토퍼(40)에 의해 포대(38)가 정렬완료되면 간헐공급수단(25)이 작동하여 정렬된 포대(38)를 봉제기(2)의 미싱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바, 이때 정렬된 포대(38)의 일단부는 간헐공급수단(25)을 구성하는 이송컨베이어(26)의 일단에 근접하여 위치하게 되고, 이송컨베이어(26)에 근접한 포대(38)는 고정프레임(27)상에 설치된 실린더(33)가 신장작동을 하여 피스톤로드(34)와 연결된 레버(29)가 각운동하게됨으로서 레버(29)의 각운동에 의해 레버(29)일측 샤프트(30)에 설치된 이송로울러(31)가 이송컨베이어(26)측에 근접한 포대(38)의 상면부를 압지하면서 이송컨베어(26)측으로 공급시키게 된다.
이때, 이송컨베이어(26)는 구동상태에 있으므로 이송로울러(31)에 압지되어 이송된 포대(38)는 양자 상간에서 마찰되면서 봉제기(2)로 로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송로울러(31)에 의해 포대(38)가 이송컨베어(26)상으로 이송완료된 상태에서 이송컨베어(26)가 구동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당연히 포대(38)가 이송컨베어(26)로 이송완료된 상태에서 이송컨베어(26)의 구동으로 포대(38)를 로딩시키게 되므로 이송컨베어(26)가 간헐공급수단(25)과 함께 간헐적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포대(38)를 정렬시키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게된다.
한편, 압지된 포대(38)가 이송로울러(31)에 의해 로딩되면 제 2 이송로울러(35)가 포대(38)를 이송컨베이어(26)측으로 압지하여 봉제기(2)의 미싱측으로 최종 로딩을 수행하게 된다.
즉, 승강실린더(36)가 신장작동을 하여 샤프트(37)상에 축설된 제 2 이송로울러(35)를 이송컨베이어(26)를 향하여 하강시키게 되고, 제 2 이송로울러(35)와 이송컨베이어(26) 상간에 압지된 포대(38)는 압지상태로 이송컨베이어(26)의 구동력에 의하여 미싱으로 포대(38)를 로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포대(38)는 포대절첩용가이드(39)를 그 후단이 경유하면서 절첩상태로 미싱으로 로딩되어 절첩부를 미싱이 봉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대 로딩시스템(3)은 포대 자동 인쇄기(1)를 경유하면서 인쇄된 포대(38)를 봉제를 위하여 봉제기(2)로 자동 로딩이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포대 인쇄 및 봉제를 하나의 연속적인 라인으로 자동화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인력절감 및 작업효율성 및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각종의 P.P 포대 등을 자동으로 인쇄 및 봉제하는 포대 자동인쇄 및 봉제기에 있어서, 인쇄된 포대를 하나씩 정렬하여 봉제부로 자동로딩할 수 있는 포대 로딩시스템(loading system)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Claims (1)
- 각종 포대의 인쇄 및 포대 일측을 봉제하는 포대 인쇄기(1)와 포대 봉제기(2) 상간에 연결되는 로딩시스템(3)을 구성함에 있어서; 인쇄기(1)에서 언로딩되는 포대(38)를 1차로 로딩받아 봉제를 위한 포대정렬을 행하는 포대 정렬수단(14)과, 포대(38)의 규격에 따라 상기 정렬수단(14)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6)과, 정렬된 포대(38)를 봉제기로 1,2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로딩할 수 있는 간헐공급수단(25)으로 구성되며; 상기 정렬수단(14)은 소정 간격을 갖고 간격조절수단(6)과 연결된 수개의 로딩바아(5,5')와, 상기 로딩바아(5,5')상에 로딩된 포대(38)를 센서(24)와 연동하는 실린더(17)의 신축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드 운동하면서 포대(38)를 일방으로 정렬하는 가동플레이트(16)와 연결로드(19)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연동플레이트(20)상의 푸셔(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딩바아(5,5')와 연결되는 간격조절수단(6)은 모터(7)에 의해 정역회동되는 스크류(8)를, 가이드바(10,10')에 안내슬라이드되고 상호간에 연결링크(11,11')로 연결된 수 개의 슬라이드로드(9,9')와 연결구성하며; 상기 포대 간헐공급수단(25)은 이송컨베이어(26)와 이의 상부 고정프레임(27)상에, 실린더(33)의 신축작동에 의하여 시이소 운동을 하는 레버(29)상에 좌우로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26)와 선택적으로 마찰회동하는 이송로울러(31)와, 승강실린더(36)와 연결되어 승강운동하면서 이송컨베이어(26)와 선택적으로 마찰회동하는 제 2 이송로울러(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포대자동인쇄 및 봉제기용 포대 로딩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51956A KR100215295B1 (ko) | 1996-10-31 | 1996-10-31 | 포대자동인쇄 및 봉제기용 포대 로딩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51956A KR100215295B1 (ko) | 1996-10-31 | 1996-10-31 | 포대자동인쇄 및 봉제기용 포대 로딩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0539A KR970000539A (ko) | 1997-01-21 |
KR100215295B1 true KR100215295B1 (ko) | 1999-08-16 |
Family
ID=1948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51956A KR100215295B1 (ko) | 1996-10-31 | 1996-10-31 | 포대자동인쇄 및 봉제기용 포대 로딩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15295B1 (ko) |
-
1996
- 1996-10-31 KR KR1019960051956A patent/KR1002152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0539A (ko) | 1997-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48226A (en) | Material gripping arrangement for stencil printing machine | |
US4073122A (en) | Printing apparatus | |
JPH02131982A (ja) | 媒体を塗布する方法及び装置 | |
ITTO980203A1 (it) | Apparecchio e procedimento per lavorare su un tratto di materiale in foglio. | |
DK141787B (da) | Foldemekanisme til syanlaeg og til dannelse af en dobbeltfold ved snitkanter paa materialbaner | |
CN108160849A (zh) | 一种自动化压纹装置 | |
GB2115792A (en) | Method and device to continuously form packets of folded boxes to be processed in a further machine( | |
GB2026988A (en) | Apparatus for making and stacking plastics bags | |
CN205929800U (zh) | 一种病理报告自动整订系统 | |
ITMI942644A1 (it) | Macchina automatica per l'etichettatura di calze, particolarmente per calze lunghe o a gambaletto o calze corte. | |
JPH03104600A (ja) | 印刷物の3辺を裁断する装置 | |
KR100215295B1 (ko) | 포대자동인쇄 및 봉제기용 포대 로딩시스템 | |
US462420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double-folded wide hem in cut textile articles | |
US422666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fabricating pockets | |
US5098079A (en) | Apparatus for stacking pieces of limp material | |
JPH01299164A (ja) | タオルヘムの三つ折り装置 | |
US4741233A (en) | Cluster spreading and cutting system | |
JPH01310700A (ja) | 浴衣、ガウン類の連続折畳装置 | |
US2962989A (en) | Bag making machine | |
GB2157272A (en) | Interrupting flow of sheets to a stack | |
CN214326718U (zh) | 一种全自动分抽取纸机 | |
US375950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blanks | |
CA1263416A (en) | High-speed wrapping machine | |
CA1194898A (en) | Apparatus for laying tube or web sections into a folded z-shaped form | |
SE469431B (sv) |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vaerkapning, dubbelsidig faallning och soemnad av plana materialbanor, saerskilt frottevar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51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