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240B1 - 자동차 조향장치용 멀티 스텝 유니버셜조인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용 멀티 스텝 유니버셜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240B1
KR100215240B1 KR1019960076686A KR19960076686A KR100215240B1 KR 100215240 B1 KR100215240 B1 KR 100215240B1 KR 1019960076686 A KR1019960076686 A KR 1019960076686A KR 19960076686 A KR19960076686 A KR 19960076686A KR 100215240 B1 KR100215240 B1 KR 100215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narrow
universal joint
groov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397A (ko
Inventor
정영석
신우섭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7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24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단으로 절첩되는 조향장치용 멀티 스텝 유니버셜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유니버셜 조인트의 전개 길이를 보다 확장하고자 함을 기술적 과제로 하여 일측이 조인팅부를 이루고, 내주면상 턱부(14)와 돌출부(18)를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탄착홈(16)을 형성한 중공형의 제 1축 부재(1); 길이 방향으로 요홈부(24)를 형성하면서 광폭부(26)와 협폭부(28)를 형성하고, 상기 광폭부(26)의 요홈부(24)측에는 관통공(22)을 형성하고 협폭부(28)측에는 탄착홈(20)을 형성한 제 2축 부재(2); 상기 제 2 축 부재(2)의 협폭부(28)의 내주면상 관착되기 위하여 일부 요입면(34)을 형성하고 나머지는 스플라인을 형성한 제 3 축 부재(3); 상기 제 1축부재(1)의 연결부 내측에서 상기 턱부(14)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제 2축 부재(2)의 요홈부(22)에 관통 설치되는 스토퍼 핀(6); 상기 제 3축 부재(3)의 요입면(34)에 탄착되는 스냅링(10); 상기 제 1축부재(1)의 연결부(12)에서 커버되는 제 1커버부재(4); 상기 제 2축 부재(2)의 협폭부(28)의 단부를 커버하는 제 2 커버부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트럭등의 운전석 캡의 오픈시 그 전개 스트로크가 많이 요구되는 경우에 적당한 유니버셜 조인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용 멀티 스텝 유니버셜 조인트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용 유니버셜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3단으로 절첩되는 멀티 스텝 유니버셜 조인트로서 트럭과 같은 캡의 변화량이 많이 요구되는 차종에서 작은 변위로 큰 스트로크를 낼 수 있도록 유니버샬 조인트의 축부재를 다단으로 인출 원복시킬 수 있는 멀티 스텝 유니버셜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내주면이 스플라인을 이루는 외측 축부재(100)와 이 스플라인에 대응하는 외주면이 스플라인을 이루는 내측 축부재(200)로 이루어지되 내측 축부재(200)의 외주 일부 구간에는 요입면(201)을 형성하고, 외측 축부재(100)의 외주에는 요입홈부(102)와 탄착공(101)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 축부재(200)가 관착된 후 인출시 마다 요입면(201)에서 돌출부가 걸리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400)를 상기 외측 축 부재(100)의 상기 탄착공(101)에 탄착시키고,이와같은 내,외측 축부재(200)(100)의 연결후 그 연결단부에 커버부재(300)를 장착하여서 되는 연결구조로 실시된 2단 축 부재의 유니버셜 조인트가 알려져 왔다.
그러나 대형 트럭과 같이 운전석 캡의 변화가 많은 차량에서는 유니버셜 조인트의 변위에 제한을 받아 필요로 되는 캡의 변위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차종에 무관하게 유니버셜 조인트 축의 변위량이 크게 혹은 작게 변화될 수 있는 유니버셜 조인트구조가 필요로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종래 극히 제한적인 유니버셜 조인트의 변위량을 늘려 작은 변위에서도 큰 스트로크를 낼 수 있도록 캡의 변화량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를 대응 적용할 수 있는 멀티 스텝의 유니버셜 조인트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2단 유니버셜 조인트의 결합 단면도.
도 2는 종래 유니버셜 조인트의 연결부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유니버셜 조인트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유니버셜 조인트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 제 1축 부재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5-2는 개구측 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 제 2축 부재의 협폭부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 유니버셜 조인트의 제 2축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 제 2축 부재의 광폭부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 제 3축 부재의 개구측 정면도이고,도 7b는 본 발명 제 3축 부재의 측면도이다.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제 1축 부재, 2: 제 2축 부재, 3: 제 3 축 부재, 4: 제 1 커버부재,
5: 제 2 커버부재, 6: 스토퍼 핀, 7: 멈춤링, 8: 제 1탄압링, 9: 제 2탄압링,
10: 스냅링, 12: 연결부, 14: 턱부, 16: 탄착홈, 18: 돌출부, 20: 요홈부,
22: 관통공, 24: 요홈부, 26: 광폭부, 28: 협폭부, 32: 스플라인, 34: 요입면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이 조인팅부를 이루고, 타측은 연결부를 이루되 내주면상 턱부와 돌출부를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탄착홈을 형성한 중공형의 제 1축 부재; 상기 제 1축 부재의 내주면상 관착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요홈부를 형성하면서 광폭부와 협폭부를 형성하고, 상기 광폭부의 요홈부측에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협폭부측에는 탄착홈을 형성한 제 2축 부재; 상기 제 2 축 부재의 협폭부의 내주면상 관착되기 위하여 일부 요입면을 형성하고 나머지는 스플라인을 형성한 제 3 축 부재; 상기 스토퍼핀에 걸리기 위한 멈춤링; 상기 제 1축 부재의 요홈부에 탄착되는 탄압링; 상기 제 1축부재의 연결부 내측에서 상기 턱부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제 2축 부재의 요홈부에 관통 설치되는 스토퍼 핀; 상기 제 2축 부재의 요홈부에 탄착되는 탄압링; 상기 제 3축 부재의 요입면에 탄착되는 스냅링;
상기 제 1축부재의 연결부에서 커버되는 제 1커버부재; 상기 제 2축 부재의 협폭부의 단부를 커버하는 제 2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니버셜 조인트로서 3단의 축부재가 인출되거나 원복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구조 원리로 인하여 3단 유니버셜 조인트의 축부재를 발전시켜 다단계의 축부재로 되는 유니버셜 조인트의 제공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 제 1축부재(1)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5b는 제 1 축부재(1)의 개구측 단부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 제 1축부재(1)는 일측이 조인팅부를 이루고, 타측 개구측 단부는 연결부(12)를 이루되 스플라인을 형성한 내주면상 턱부(14)와 돌출부(18)를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탄착홈(16)을 형성한 중공형의 관체로 된다.
첨부도면중 도 6a는 본 발명 제 2축부재(2)의 협폭부(28)측 정면도이고 도 6b는 제 2축 부재(2)의 단면도이고 도 6c는 광폭부(26)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과 도 3,도 4에 따르면 본 발명 제 2축부재(2)는 상기 제 1축 부재(1)의 내주면상 관착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요홈부(24)를 형성하면서 광폭부(26)와 협폭부(28)를 형성하고, 상기 광폭부(26)의 요홈부(24)측에는 관통공(22)을 형성하고 협폭부(28)측에는 탄착홈(28)을 형성하여서 된다.
첨부도면중 도 7a는 본 발명 제 3축 부재(3)의 개구부측 정면도이고 도 7b는 제 3축부재(3)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 3축부재(3)는 상기 도 3,도 4와 상기 도 7a,도 7b에 의하면, 상기 제 2 축 부재(2)의 협폭부(28)의 내주면상 관착되기 위하여 일부 요입면(34)을 형성하고 나머지는 스플라인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제 1축부재(1)과, 제 2축부재(2)와,제 3축부재(3)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2축부재(2)를 상기 제 1축부재(1)에 집어넣은 뒤 멈춤링(7)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축부재(1)의 연결부 내측에서 상기 턱부(14)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제 2축 부재(2)의 요홈부(22)에 스토퍼 핀(6)을 관통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제 2축부재(2)는 스토퍼 핀(6)이 턱부(14)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제 1축 부재(1)의 요홈부(16)에 탄압링(8)을 탄착시켜 제 1축부재(1)와 제 2축부재(2)의 관착상태를 밀착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 1축부재(1)의 연결부(12)에 제 1커버부재(4)를 커버하여 제 1축 부제(1)와 제 2 축 부재(2)를 연결 하게 된다.
이후 제 2축 부재(2)의 타측 개구단부를 통하여 제 3축 부재(3)를 관착시킴에 있어 제 2축 부재(2)의 타단을 통하여 먼저 상기 제 3축 부재(3)의 단부를 넣은 뒤 요입면(34)에 스냅링(10)을 탄착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 2축 부재(2)의 요홈부(20)에 탄압링(9)을 탄착시키고 상기 제 2축 부재(2)의 협폭부(28)의 단부를 제 2 커버부재(5)에 장착시킨다.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은 제 3축 부재(3)의 일측 개구단부를 제 2 커버부재(5)와 탄압링(9)을 제 2 축 부재(2)에 설치한 상태에서 제 2축 부재(2)의 협폭부(28)에 넣은 뒤 제 3축 부재(3)를 스냅링(10)으로 제 2축 부재(2)내부의 광협폭부(26)(28)경계부에서 걸려 지게 하고, 이어서 제 1탄압링(8)과 제 1커버부재(4)를 제 1축 부재(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 2축 부재(2)의 단부를 제 1축 부재(1)에 넣은 뒤 제 1축 부재(1)의 반대측에서 멈춤링(7)과 함께 스토퍼핀(6)을 상기 제 2축 부재(2)의 관통공(22)에 끼워넣어 제 2축 부재(2)를 당기면 제 1축 부재(1)의 내주면 턱부(14)에서 스토퍼핀(6)이 걸려 제 2축 부재(2)가 제 1축 부재(1)에서 이탈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조립 구성된 본 발명은 제 1축 부재(1)와 제 2 축 부재(2)와 제 3 축 부재(3)가 연속적으로 빠져 나올 수 있게 되어 종래 2단의 축 부재로 연결되어 절첩 되는 유니버셜 조인트의 길이 보다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 멀티 스텝 유니버셜 조인트는 그동안 많은 차량 특히 트럭 등에서 운전석 캡을 이동할 때 이동 궤적이 짧아 제대로 오픈 시키지 못하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넓게 오픈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유니버셜 조인트의 2단 통념을 깬 새로운 유니버셜 조인트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일측이 조인팅부를 이루고, 타측은 연결부(12)를 이루되 내주면상 턱부(14)와 돌출부(18)를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탄착홈(16)을 형성한 중공형의 제 1축 부재(1);
    상기 제 1축 부재(1)의 내주면상 관착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요홈부(24)를 형성하면서 광폭부(26)와 협폭부(28)를 형성하고, 상기 광폭부(26)의 요홈부(24)측에는 관통공(23)을 형성하고 협폭부(28)측에는 탄착홈(28)을 형성한 제 2축 부재(2);
    상기 제 2 축 부재(2)의 협폭부(28)의 내주면상 관착되기 위하여 일부 요입면(34)을 형성하고 나머지는 스플라인을 형성한 제 3 축 부재(3);
    상기 스토퍼핀(6)에 걸리기 위한 멈춤링(7);
    상기 제 1축 부재(1)의 요홈부(16)에 탄착되는 탄압링(8);
    상기 제 1축부재(1)의 연결부 내측에서 상기 턱부(14)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제 2축 부재(2)의 요홈부(22)에 관통 설치되는 스토퍼 핀(6);
    상기 제 2축 부재(2)의 요홈부(20)에 탄착되는 탄압링(9);
    상기 제 3축 부재(3)의 요입면(34)에 탄착되는 스냅링(10);
    상기 제 1축부재(1)의 연결부(12)에서 커버되는 제 1커버부재(4);
    상기 제 2축 부재(2)의 협폭부(28)의 단부를 커버하는 제 2 커버부재(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멀티 스텝 유니버셜 조인트.
KR1019960076686A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조향장치용 멀티 스텝 유니버셜조인트 KR100215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686A KR100215240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조향장치용 멀티 스텝 유니버셜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686A KR100215240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조향장치용 멀티 스텝 유니버셜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97A KR19980057397A (ko) 1998-09-25
KR100215240B1 true KR100215240B1 (ko) 1999-08-16

Family

ID=1949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686A KR100215240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조향장치용 멀티 스텝 유니버셜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243B1 (ko) * 1999-02-10 2003-04-1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연결구조
KR100707005B1 (ko) * 2003-01-06 2007-04-11 주식회사 만도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조인트
KR200496987Y1 (ko) * 2021-05-11 2023-06-28 주식회사 고려농기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97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0710B1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US6148581A (en) Internal high pressure formed nodal connection element for a fram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215240B1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멀티 스텝 유니버셜조인트
US7152872B2 (en) Air-bag-door-equipped vehicle interior trim artic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6168230B1 (en) Defroster duct installation structure
US5746534A (en) Clip for windshield wiper blade
FR2917053A1 (fr) Capot ava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tel capot.
JP2005510666A (ja) ジョイント
EP0739806B1 (en) Vehicle steering column with axially slidable coupling
US5482086A (en) Hose with intermediate coupling
KR100573453B1 (ko) 자동차용 후면 루프프레임 장치
JP3862308B2 (ja) 燃料注入管の保護カバー
KR200273408Y1 (ko) 차량의 크래쉬 패드 조립구조
KR200192396Y1 (ko) 자동차의 루프 패널 결합구조
JP4073811B2 (ja) 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H08119120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
KR0123758Y1 (ko) 자동차의 후드패널 결합구조
KR20240043398A (ko) 자동차용 푸시 클립
JP3593191B2 (ja) シートベルトアンカの取付方法
JP2696483B2 (ja) ホース中間保持金具用スリーブ本体とその製造方法
KR19990011326U (ko) 자동차용 카울 톱커버의 좌,우측결합부 구조
JPH0676074B2 (ja) 自転車およびその類似車両における中子を利用したフレームの結合構造
KR20050112100A (ko) 와이퍼 로드를 포함하는 조인트식 암
JPH06344945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970002611Y1 (ko) 승용차 전면 패널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