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147B1 -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147B1
KR100214147B1 KR1019960081248A KR19960081248A KR100214147B1 KR 100214147 B1 KR100214147 B1 KR 100214147B1 KR 1019960081248 A KR1019960081248 A KR 1019960081248A KR 19960081248 A KR19960081248 A KR 19960081248A KR 100214147 B1 KR100214147 B1 KR 100214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processor
unit
memo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871A (ko
Inventor
채승훈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8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147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1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41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using multi-process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06Microcomputer; Microproc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 상위 프로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나의 하위 프로세서의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하위 프로세서는 상기 상위 프로세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정합부와, 상기 통신 정합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제어하며 메모리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통신 제어에 따라 저장한 후 아비터부로 전송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약속되어져 있는 통신 프로세서가 메모리를 읽고 쓸것인지를 결정하여 필요로 하는 통신 프로세서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아비터부와, 상기 아비터부에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통신 프로세서가 갖고 있는 데이터를 다수의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으로 많은 수의 통신 채널을 확보할 수 있으며, 메모리, 제어부, 통신 정합부 등을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 장치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개의 하위 프로세서와 다수의 가입자간의 다중 통신 프로세서를 구현하므로 많은 수의 통신채널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전전자 교환기의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시스템 블록 구성도로써 상위 프로세서(10)와 하위 프로세서(20a∼20n) 및 다수의 가입자(30a∼30n)로 구성된다.
상위 프로세서(10)는 서로 다른 프로세서간 통신 기능을 위해 호 처리, 번호번역, 교환제어, 다중주파수 신호처리, 시스템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신호 장치 및 스위치 제어를 위해 L-버스(12) 회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하위 프로세서(20a∼20n)에게 전송된다.
상위 프로세서(1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하위 프로세서(20a∼20n)는 각기 통신 접합부(22a∼22n)와, 제어부(24a∼24n)와, 메모리부(26a∼26n)와, 통신 프로세서(28a∼28n)로 구성된다. 하위 프로세서(20a∼20n)의 내부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통신 접합부(22a∼22n)에는 상위 프로세서(10)와의 통신을 위한 L-버스(12) 정합회로가 포함되어 이를 통하여 상위 프로세서(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4a∼24n)로 전송한다.
제어부(24a∼24n)는 수신한 데이터를 메모리부(26a∼26n)로 전송한다. 메모리부(26a∼26n)에 저장된 데이터는 통신 프로세서(28a∼28n)가 필요로 할 때 불러와서 가입자(30a∼30n)에게 전송한다.이와 같이, 통신 프로세서(28a∼28n)와 가입자(30a∼30n)간의 제공할 수 있는 통신채널의 수는 하위 프로세서(20a∼20n) 내부의 디바이스를 공유할 수 없으므로 다수의 통신 채널 확보가 어렵고, 일대일 채널로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전전자 교환기의 한 개의 하위 프로세서에서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를 구현하므로 보다 많은 통신 채널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 상위 프로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나의 하위 프로세서의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하위 프로세서는 상기 상위 프로세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정합부와, 상기 통신 정합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제어하며 메모리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통신 제어에 따라 저장한 후 아비터부로 전송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약속되어져 있는 통신 프로세서가 메모리를 읽고 쓸것인지를 결정하여 필요로 하는 통신 프로세서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아비터부와, 상기 아비터부에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통신 프로세서가 갖고 있는 데이터를 다수의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은 종래 기술의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시스템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시스템 블록 구성도.
제3도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을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위 프로세서 20a∼20n : 하위 프로세서
22a∼22n : 통신 접합부 24a∼24n : 제어부
26a∼26n : 메모리부 28a∼28n : 통신 프로세서
30a∼30n : 가입자 100 : 상위 프로세서
150 : 하위 프로세서 152 : 통신 접합부
154 : 제어부 156 : 메모리부
158 : 아비터(Arbiter)부 160a∼160n : 통신 프로세서
200a∼200n : 가입자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시스템 블록 구성도로써, 상위 프로세서(100)와 하위 프로세서(150) 및 다수의 가입자(200a∼200n)로 구성된다.
상위 프로세서(100)는 서로 다른 프로세서간 통신 기능을 위해 호 처리, 번호번역, 교환제어, 다중주파수 신호처리, 시스템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신호 장치 및 스위치 제어를 위해 L-버스(120) 회로를 포함하며, 이 L-버스(120)를 통하여 데이터를 하위 프로세서(150)에게 전송한다.
하위 프로세서(150)는 통신 접합부(152)와, 제어부(154)와, 메모리부(156)와,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160a∼160n)로 구성된다.
하위 프로세서(150)의 내부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통신 접합부(152)는 상기 상위 프로세서(100)와의 통신을 위한 L-버스(120) 정합회로가 포함되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54)로 전송한다. 제어부(154)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메모리부(156)로 전송한다.
메모리부(156)는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제어부(154)의 제어에 따라 아비터부(158)로 전송한다.
아비터부(158)는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160a∼160n)중 필요로 하는 통신 프로세서가 메모리를 읽고 쓸것인지를 결정하여 필요로 하는 통신 프로세서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160a∼160n)는 상기 아비터부(158)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아 다수의 가입자(200a∼200n)에게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방법을 도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위 프로세서(1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하위프로세서(150)의 통신접합부에서 데이터를 수신(300)하여 제어부(154)에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156)로 데이터를 이송(310)한다.
따라서, 상기 단계(310)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아비터부(158)에서 약속 된 장소로 송신할 통신 프로토콜의 접근이 되었는가 판단(320)하여, 약속된 장소로 송신할 통신 프로토콜이 접근되면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160a∼160n)중 선택된 통신 프로세서로 데이터를 이송(330)한다.
여기서, 아비터(Arbiter)는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가 공유할 때 어느 시점에서 그중 한 개의 통신프로세서만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일을 해주므로 데이터의 충돌 및 유실없이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단계(320)에서 약속된 장소로 송신할 통신 프로토콜의 접근이 수행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310)를 다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330)에서 데이터 이송이 완료되면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160a∼160n)로 부터의 데이터를 다수의 가입자(200a∼200n)에게 이송(340)한다.
이상,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한 개의 하위 프로세서에서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가 다수의 가입자와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아비터를 첨부하여 약속된 장소로 송신할 통신 프로토콜의 접근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한 개의 하위 프로세서에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를 포함하므로 많은 수의 통신 채널을 확보할 수 있으며, 메모리, 제어부, 통신 정합부 등을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위 프로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나의 하위 프로세서의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하위 프로세서는, 상기 상위 프로세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정합부; 상기 통신 정합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제어하며 메모리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통신 제어에 따라 저장한 후 아비터부로 전송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약속되어져 있는 통신 프로세서가 메모리를 읽고 쓸 것인지를 결정하여 필요로 하는 통신 프로세서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아비터부; 상기 아비터부에서 테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통신 프로세서가 갖고 있는 데이터를 다수의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다수의 통신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 장치.
KR1019960081248A 1996-12-31 1996-12-31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1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248A KR100214147B1 (ko) 1996-12-31 1996-12-31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248A KR100214147B1 (ko) 1996-12-31 1996-12-31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71A KR19980061871A (ko) 1998-10-07
KR100214147B1 true KR100214147B1 (ko) 1999-08-02

Family

ID=1949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2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4147B1 (ko) 1996-12-31 1996-12-31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1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71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700200A (ko) 회로 스위칭 시스템
KR880014760A (ko) 통신 처리장치
US5107257A (en) Bus relay apparatus for multi-data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EP0059731A1 (en) Processor interconnection system
KR100214147B1 (ko) 다중 통신 프로세서의 구현 장치
KR830008579A (ko) 모듀울 전송통신 시스템
JPS63279692A (ja) 自動着信分配管理装置
US6741588B1 (en) Elimination of operational loop-around trunks
ES2084630T3 (es) Disposicion de circuito para una instalacion de conmutacion de telecomunicaciones controlada de forma centralizada, especialmente instalacion de conmutacion telefonica-pcm, con procesador central de coordinacion y grupos de conexion descentralizados con mecanimos de control parci
EP0781433B1 (en) Bus assignment system for dsp processors
KR10021081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핸들러 리셋 장치
KR0184971B1 (ko) 데이타 공유 방법
JP2933478B2 (ja) 交換システムのリソース制御方式
KR10019742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와 디바이스간 알람 통신 장치
KR960016661B1 (ko) 사설 교환기의 데이타 베이스 생산방법
JPS58206259A (ja) 割り込み機能をもつ同報通信方式
JP3039717B2 (ja) 時分割交換機
JP2983029B2 (ja) 網終端装置
EP0841784A2 (en) Packet switch for the transmission of PCM frames
MXPA97001974A (en) Common bar assignment system for processors
JPH05197662A (ja) 情報処理装置
JPH05265671A (ja) ポート自動切換装置
KR960020278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입출력 단말접속 정합 장치
KR19990038247A (ko) 사설 교환기의 착신번 번역 방법
JPS622251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