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752B1 -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752B1
KR100212752B1 KR1019950044955A KR19950044955A KR100212752B1 KR 100212752 B1 KR100212752 B1 KR 100212752B1 KR 1019950044955 A KR1019950044955 A KR 1019950044955A KR 19950044955 A KR19950044955 A KR 19950044955A KR 100212752 B1 KR100212752 B1 KR 100212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rous web
density polyethylene
forming plate
low density
bind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4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408A (ko
Inventor
이태승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4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752B1/ko
Publication of KR97002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87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6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dry state, e.g. thermo-activatable agents in solid or molten state, and heat being applied subsequent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섬유웹 형성판재의 제조에 있어서 표피재와 강성재를 하나의 공정으로서 제조함으로서 그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바인더 파우더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용제 휘발용 클로로포름을 사용함으로써 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섬유웹 형성판재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섬유웹 형성판재의 제조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섬유웹 2 : 표피재
3 : 혼합장치 4 : 카딩장치
5 : 1차 니들링 장치 6 : 오븐
7 : 2차 니들링 장치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자용 섬유웹 형성판재의 제조에 있어서 표피재와 강성재의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바인더 파우더( binder powder ) 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 ),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 low low density polyethylene ),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 및 용제 휘발용 클로로포름( chlorofrm )을 사용하는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에는 자동차용 내장재로서는 표피재 및 기재와의 사이에 스펀-폰드 부직포를 사용한 적층물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할 경우에는 표피재와 기재의 열팽창 정도 혹은 신장율의 차이로 인하여 표피재가 기재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내장재의 형성 방법 이외에도 표피재에 열가융성 섬유를 함유한 기재를 적층시켜 적층물을 제조하고, 상기의 적층물을 기재의 측면으로부터 니들-펀칭한 다음, 상기의 적층물을 가열하여 표피재 및 기재를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표피재와 기재의 결합이 단순히 열가융성 섬유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열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92-9567에는 표피재 및 강성재를 적층시켜 적층물을 형성한 후 표피재의 측면으로부터 니들링( needling ) 하고, 상기의 적층물을 합성수지 유제에 함침시키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제조 기술은 자동차 내장재의 특성 중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동적이며 가혹적인 물리적 환경에서의 내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여,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웹 형성판재의 제조 공정중 기재로 사용되는 강성재 및 표피재를 동시에 제조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대폭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고, 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바인더 파우더로써 저밀도 폴리에틸렌,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용제 휘발용 클로로포름을 사용함으로써 그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혼합장치내에서 분산섬유와 공기 및 바인더 파우더를 분산·혼합시켜서 초기 상태의 섬유웹을 제조하고, 상기 초기 상태의 섬유웹을 카딩하고, 상기의 카딩된 섬유웹을 1차 니들링을 실시한 후 가열하고, 상기의 가열된 섬유웹과 니들링된 표피재를 적층시킨 후 2 차 니들링을 실시하고, 상기의 2차 니들링된 섬유웹을 롤링하고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인더 파우더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용제 휘발용 클로로포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되는 바인더 파우더는 200 mesh 이하의 바인더 파우더를 분산섬유 100 중량비당 약 15 내지 30 중량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혼합장치(3)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분산섬유를 공기와 함께 분산시키면서 동시에 바인더 파우더를 분산시킨다. 상기의 분산섬유로 사용될 수 있는 섬유로는 폴리에스터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등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내후성과 내마모성 등을 고려할 경우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혼합장치를 통과한 섬유웹(1)은 카딩(carding)장치(4)를 통과함으로써 정현된후 1차 니들링(5)이 실시된다. 1차 니들링한 후 섬유웹을 일정 두께로 조정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오븐(6)에서 일정시간 동안 가열한다. 상기의 가열온도 및 시간은 사용되는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160 내지 250 ℃의 온도 범위가 적당하다. 상기의 오븐을 통과한 섬유웹은 니들링된 표피재(2)와 함께 2차 니들링(7)을 실시하여 롤링( rolling )을 실시한 후 절단함으로써 본 발명의 섬유웹 형성판재를 완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혼합장치의 회전속도를 300 RPM으로 유지하면서 분산섬유를 공기와 함께 분산시키면서 동시에 바인더 파우더를 분산시켰다. 혼합장치를 통과한 섬유웹을 카딩( carding )하고 5600본의 바늘을 사용하여 1차 니들링을 실시하였다. 1차 니들링한 후 섬유웹을 일정 두께로 조정하고 160 ℃의 오븐에서 2분동안 가열한 후 니들링된 표피재와 함께 2차 니들링을 실시하여 롤링( rolling )을 실시한 후 절단함으로써 본 발명의 섬유웹 형성판재를 완성하였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섬유웹 형성판재의 제조 공정에 의하면 표피재 및 강성재가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바인더 파우더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용제 휘발용 클로로포름을 사용함으로써 섬유웹 형성판재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4)

  1. 분산섬유와 공기 및 바인더 파우더를 분산·혼합하여 초기 상태의 섬유웹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상태의 섬유웹을 카딩하는 단계와; 상기의 카딩된 섬유웹을 1차 니들링을 실시한 후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의 가열된 섬유웹과 니들링된 표피재를 적층시킨후 2차 니들링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의 2차 니들링된 섬유웹을 롤링하고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웹 형성판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인더 파우더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용제 휘발용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웹 형성판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인더 파우더의 양은 상기한 분산섬유의 전체량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 % 인 섬유웹 형성판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의하여 제조된 섬유웹 형성판재.
KR1019950044955A 1995-11-29 1995-11-29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12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955A KR100212752B1 (ko) 1995-11-29 1995-11-29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955A KR100212752B1 (ko) 1995-11-29 1995-11-29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408A KR970027408A (ko) 1997-06-24
KR100212752B1 true KR100212752B1 (ko) 1999-08-02

Family

ID=1943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4955A KR100212752B1 (ko) 1995-11-29 1995-11-29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7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13B1 (ko) * 2000-05-17 2002-08-0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부직포가 부착된 견면의 제조방법 및 장치
WO2017022918A1 (ko) * 2015-07-31 2017-02-09 박태근 흡음과 인테리어 기능이 뛰어난 흡음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흡음보드
WO2018124566A1 (ko) * 2016-12-27 2018-07-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828B1 (ko) * 2001-01-31 2003-07-12 대한민국 쉬어링 더스트와 바인더 섬유의 혼섬장치 및 혼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13B1 (ko) * 2000-05-17 2002-08-0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부직포가 부착된 견면의 제조방법 및 장치
WO2017022918A1 (ko) * 2015-07-31 2017-02-09 박태근 흡음과 인테리어 기능이 뛰어난 흡음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흡음보드
WO2018124566A1 (ko) * 2016-12-27 2018-07-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408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6388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nonwoven and nonwoven obtained by this process
US7226656B2 (en) Thermoformable acoustic sheet
RU2074914C1 (ru) Волокнистый материал,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олокнистого мат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варианты) и форм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EP0281663A2 (de) Zweilagiger, heisssiegelfähiger Vliesstoff
WO2007000206A1 (de) Elastischer, weicher und punkförmig gebundener vliesstoff mit füllstoffpartikel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KR100212752B1 (ko) 섬유웹 형성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H04222266A (ja) 熱的に安定であってバインダーで固定化したスパンボンドウエブ
EP1418092B1 (de) Schutzvlies für Bauteile
US20120124862A1 (en) Bi-component/binder fiber insole
TW500665B (en) Moldable composite article
DE19840050C2 (de) Hitze- und dimensionsstabiler thermisch verfestigter Vliesstoff
JP3534873B2 (ja) 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KR970008184B1 (ko) 자동차 트렁크 매트용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JPH0240779B2 (ko)
JPH04228717A (ja) 地盤用フィルター材料
AU2010233029B2 (en) A thermoformable acoustic sheet
JP2004292991A (ja) 難透水性土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91763B2 (ja) 吸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79658B2 (ja) 不織布表皮材の製造方法
AU2003100331B4 (en) A thermoformable acoustic sheet
JPS5837427B2 (ja) アツサホウコウニセンイシユウセキミツドコウバイオモツタフシヨクマツトノ セイゾウホウホウ
AU2006101040B4 (en) A thermoformable acoustic sheet and thermoformed acoustic article
CN117344454A (zh) 无胶骨架布及其制备方法
JPH0270428A (ja) ホットメルト成形用シート
AU2006101041A5 (en) A thermoformable acoustic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