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058B1 -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058B1
KR100212058B1 KR1019960073895A KR19960073895A KR100212058B1 KR 100212058 B1 KR100212058 B1 KR 100212058B1 KR 1019960073895 A KR1019960073895 A KR 1019960073895A KR 19960073895 A KR19960073895 A KR 19960073895A KR 100212058 B1 KR100212058 B1 KR 10021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voice message
voice
incoming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729A (ko
Inventor
박경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7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05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연동된 셀룰라시스템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시스템으로 음성메시지가 착신된 것을 통보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셀룰라시스템과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가 저장되면, 상기 셀룰라시스템 가입자의 휴대 전화기로 상기 음성메시지 착신을 알리고, 상기 음성메시지를 송출한다. 한편, 상기 셀룰라시스템 가입자가 휴대용 전화기를 끄고 있는 경우 상기 가입자가 상기 휴대용 전화기를 켜고 통화로를 형성하기 전에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접속되어, 상기 착신된 음성메시지를 송출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연동된 셀룰라시스템에서 가입자에게 음성메시지 착신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본 발명은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룰라시스템과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을 가입자에게 음성으로 통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셀룰라시스템과 음성사서함시스템이 연동되어 있는 경우 가입자가 상기 음성사서함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가입자가 통화중이거나 전원이 꺼져있는 경우 등으로 인해 상기 가입자와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가입자를 호출하면,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접속되어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 메시지를 녹음하여 남길 수 있다.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연동된 셀룰라시스템에서 종래 음성 메시지 착신 통보하는 방법은 가입자별로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여부에 대응되는 플래그를 관리한다.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가 착신되면 상기 셀룰라시스템으로 가입자 플래그를 설정하고, 가입자가 전화를 걸거나 전화를 받아 통화로가 설정되기 전에 상기 메시지 착신을 알리는 특정톤을 송출한다. 가입자는 상기 메시지 착신을 알리는 특정톤을 듣고, 상기 메시지를 청취하기 위해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접속하여 상기 메시지를 청취하면, 상기 셀룰라시스템은 상기 가입자 플래그를 해제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연동된 셀룰라시스템은 가입자가 단순히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여부만을 알 수 있고, 그밖의 자세한 사항은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와 접속하여 상기 음성메시지를 확인해야만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연동된 셀룰라시스템에서 가입자에게 음성메시지 착신을 통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사서함시스템에 저장된 음성메시지의 정보를 셀룰라시스템에서 가입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셀룰라시스템과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가 저장되면, 상기 셀룰라시스템 가입자의 휴대 전화기로 상기 음성메시지 착신을 알리고, 상기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셀룰라시스템 가입자가 휴대용 전화기를 끄고 있는 경우 상기 가입자가 상기 휴대용 전화기를 켜고 통화로를 형성하기 전에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접속되어, 상기 착신된 음성메시지를 송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음성사서함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셀룰라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시스템과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에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연동된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의 착신 확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시스템과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의 착신 정보를 통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셀룰라시스템과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셀룰라시스템100과 가입자단말기101과 가입자접속부111과 음성처리부112와 제어부113과 메모리114와 하드디스크115로 구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가입자접속부111은 셀룰라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신호를 음성처리부112으로 전송한다. 음성처리부112는 제어부113의 제어를 받아 전송된 음성데이터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한다. 제어부113은 가입자접속부111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신호에 따라 접속된 가입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사서함시스템110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114는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에 따른 음성정보를 저장한다. 하드디스크115는 음성처리부112에서 처리된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전송한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셀룰라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중앙제어장치200과 디지털 셀룰라 스위칭장치(digital cellular switch)210∼21n과 음성사서함시스템220∼22n과 셀사이트230∼23n과 공중전화망240과 휴대전화기250으로 구성된다.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셀룰라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중앙제어장치200은 셀룰라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디지털 셀룰라 스위칭장치210은 중앙제어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공중전화망240과 접속하여 공중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음성사서함시스템220은 디지털 셀룰라 스위칭장치210를 통해 공중전화망과 연결되어, 상기 공중전화망240을 통해 접속된 가입자에게 음성사서함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사이트230은 휴대전화기250와 연결되어 호의 설정 및 상기 호의 완료를 제어하고, 디지털 셀룰라 스위칭장치210을 통해 음성사서함시스템220와 접속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시스템과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셀룰라시스템 가입자와 접속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가입자에게 남기고자하는 음성메시지를 음성사서함시스템에 저장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시스템과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300과정에서 중앙처장치200은 비가입자가 통화하고자하는 가입자의 상태를 점검한다. 310과정에서 중앙제어장치200은 상기 가입자가 다른 가입자와 통화중이거나 상기 가입자가 휴대전화기를 끄고 있는 경우등으로 상기 가입자와의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320과정에서 중앙제어장치200은 디지털 셀룰라 스위칭장치210을 제어하여 상기 가입자와 통화하고자하는 비가입자의 호를 음성사서함시스템220으로 전환한다.
330과정에서 음성사서함시스템220은 상기 호를 통해 접속된 비가입자에게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 340과정에서 음성사서함시스템220은 상기 비가입자가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에 응답하여 소정 음성메시지를 녹음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음성메시지가 녹음된 경우 350과정에서 음성사서함시스템220은 상기 셀룰라시스템의 가입자에 대한 음성메시지 착신을 통보하는 플래그를 설정하고, 상기 호를 종료한다.
도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연동된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의 착신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셀룰라시스템에서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을 제어하여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을 확인한다.
도2 및 도4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메시지의 착신 통보 방법을 설명한다. 400과정에서 중앙제어장치200은 상기 가입자가 통화를 하고자하는 시도를 하는 것을 휴대전화기250을 통해 검출한다. 410과정에서 중앙제어장치200은 음성사서함시스템220에 해당 가입자에 대한 음성메시지의 착신을 통보하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요청을 한다. 420과정에서 중앙제어장치200은 음성사서함시스템220으로부터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음성메시지의 착신을 통보하는 플래그의 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을 통보하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을 통보하는 플래그 설정된 경우 430과정에서 중앙제어장치200은 디지털 셀룰라 스위칭장치210을 통해 음성사서함시스템220과 상기 가입자간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440과정에서 중앙제어장치200은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음성사서함시스템220에서 상기 가입자의 휴대전화기250으로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에 대한 정보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에 대한 정보 송출이 끝나면, 450과정에서 중앙제어장치200은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220으로부터 메시지 송출 완료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가입자의 휴대전화기250으로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에 대한 정보 송출의 완료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에 대한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에 대한 정보 송출이 완료된 후 460과정에서 중앙제어장치200은 상기 가입자가 통화하고자하는 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한다. 한편, 음성사서함시스템220은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에 대한 정보의 송출이 완료되면,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에 대한 플래그의 설정을 해제한다. 중앙제어장치200은 상기 가입자간의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화가 끝난 후 다시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음성메시지의 착신에 대한 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상기와 같은 제어 동작을 반복한다.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시스템과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을 휴대전화기로 알리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2 및 도4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시스템과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을 통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은 가입자에 대한 메시지가 저장되면, 상기 가입자의 통화 의도와 관계없이 상기 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기 음성메시지가 착신된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한다. 510과정에서 음성사서함시스템220은 셀룰라시스템을 통해 상기 음성메시지가 착신된 휴대전화기250이 통화가능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음성메시지가 착신된 휴대전화기250이 통화가능한 상태인 경우 520과정에서 음성사서함시스템220은 상기 휴대전화기250과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상기 휴대전화기250과 통화로가 형성되면 530과정에서 음성사서함시스템220은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휴대전화기250으로 상기 음성메시지 착신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송출한다. 한편, 상기 휴대전화기250과의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음성사서함시스템220은 510과정부터 제어 동작을 되풀이한다. 휴대전화기250을 사용하는 가입자가 상기 음성메시지 착신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듣고, 상기 착신된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고자하면, 540과정에서 음성사서함시스템220은 상기 통화로를 통해 상기 착신된 음성메시지를 송출한다. 상기 가입자가 상기 착신된 음성메시지를 모두 확인하면, 550과정에서 음성사서함시스템220은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음성메시지 착신에 대응하는 플래그의 설정을 해제한다. 한편, 상기 가입자가 상기 착신된 음성메시지을 확인하고, 상기 음성메시지를 삭제하지 않으면, 상기 음성메시지 착신에 대한 플래그의 설정을 해제하지 않고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시스템과 연동된 셀룰라시스템에서 가입자에게 음성메시지 착신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즉, 셀룰라시스템에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으로 음성메시지가 착신되면, 상기 셀룰라시스템의 가입자에게 상기 음성메시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안내해 줄 수 있다.

Claims (4)

  1. 음성사서함시스템와 연동된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에 소정 가입자에 대한 음성메시지의 착신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된 것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에 상기 가입자에게 착신된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된 음성메시지가 있는 상기 가입자의 통화 시도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자에게 음성메시지의 착신에 대한 정보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에 대한 정보를 송출한 후 상기 음성메시지 착신에 대응되는 플래그의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3. 셀룰라시스템과 연동된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에 소정 음성메시지가 착신된 상기 셀룰라시스템의 가입자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자 사서함에 음성메시지 착신에 대한 플래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셀룰라시스템의 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로가 형성된 가입자에게 상기 착신된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에게 상기 착신된 음성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가입자가 상기 착신된 음성메시지의 삭제를 요구하면,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에 대응하는 플래그의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KR1019960073895A 1996-12-27 1996-12-27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KR10021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895A KR100212058B1 (ko) 1996-12-27 1996-12-27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895A KR100212058B1 (ko) 1996-12-27 1996-12-27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729A KR19980054729A (ko) 1998-09-25
KR100212058B1 true KR100212058B1 (ko) 1999-08-02

Family

ID=1949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895A KR100212058B1 (ko) 1996-12-27 1996-12-27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199B1 (ko) * 1999-07-16 2006-1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729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9147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essage-stor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RU214642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отклика в системе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US6587681B1 (en) Mail reception notifying system and mail reception notifying method
JP2777748B2 (ja) アナログ/デジタル音声記憶セルラ電話
US60944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answering service of portable telephone in a base station unit
US8116443B1 (en) Automatic callback and caller ID method and system
KR100212058B1 (ko) 셀룰라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KR100251733B1 (ko) 이동통신 망에서 긴급메시지 전달방법
KR100710138B1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JPH1032245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KR20000042751A (ko) 기지국에서 휴대폰 통화중 사서함 서비스 전환방법
KR101083529B1 (ko)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KR100652636B1 (ko) 휴대 단말기의 부재중메시지 전달 방법
KR100273631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의 착신거부상태 알림방법
KR100329651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메시지대기통보방법
JP4183147B2 (ja) 通信端末、制御方法
KR20000075219A (ko) 단말기에서의 안내 방송 서비스 방법
KR100346197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237568B1 (ko) 자동응답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시스템
JPH082068B2 (ja) 自動応答機能付コールウエイテイング装置
KR20010047655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우편 답장 서비스 방법
JPS6281876A (ja) 自動fax発信通知装置
KR100265119B1 (ko) 자동응답기능을갖는전화기의메시지자동전송방법
KR100545650B1 (ko) 사설교환기시스템의 메시지 스크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80978B1 (ko) 단문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