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295B1 -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295B1
KR100211295B1 KR1019950049181A KR19950049181A KR100211295B1 KR 100211295 B1 KR100211295 B1 KR 100211295B1 KR 1019950049181 A KR1019950049181 A KR 1019950049181A KR 19950049181 A KR19950049181 A KR 19950049181A KR 100211295 B1 KR100211295 B1 KR 100211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rtridge
film
region
cartridg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640A (ko
Inventor
다카히사 미야모리
요시유키 야마지
도루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906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47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277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0633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칸이치
Publication of KR96002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3/00Packages of films for inserting into cameras, e.g. roll-films, film-packs; Wrapping materials for light-sensitive plates, films or papers, e.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dyes, printing inks, adhesiv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3/00Processing apparatu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covered by groups G11B3/00 - G11B11/00
    • G03D13/003Film feed or extraction in development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71Holders for the original in enlargers
    • G03B27/6285Handling str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복수의 필름카트리지(20)를 열형상으로 적중하여 수납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송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암부(83a)와 제2암부(83b)를 설치한 개별송출기구(80;180;280)의 요동부재(83)의 요동에 의해 적중된 필름카트리지가 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출된다.
제1영역과 제2영역에서 요동가능한 요동부재(83)의 제1암부(83a)는 상기 제1영역에 있어서 최하단의 필름카트리지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 최하단 필름카트리지를 송출부(60)에 송출하고, 요동부재의 제2암부(283b)는 상기 제1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쪽으로의 필름카트리지의 낙하를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 제1암부쪽으로의 필름카트리지의 낙하를 금지한다.
제2암부의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제2영역으로의 요동에 있어서, 상기 제2암부와 맞닿아 있는 필름카트리지와 상기 제2암부의 요동궤적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탄성퇴피수단(90;190;290)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를 적용한 사진인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필름카트리지의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의한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의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에 의한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VI-VI선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VII-VII선 단면도.
제8도는 개별송출기구의 단면도.
제9(a)도, 제9(b)도는 제8의 IX-IX선 단면으로 도시한 개별송출기구의 동작설명도.
제10(a)도, 제10(b)도는 개별송출기구의 동작설명도.
제11(a)도, 제11(b)도는 개별송출기구의 동작설명도.
제12(a)도, 제12(b)도, 제12(c)도는 개별송출기구의 변형예의 동작설명도.
제13도는 제12도의 개별송출기구의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정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XV-XV선 단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의 사시도.
제17(a)도, 제17(b)도, 제17(c)도는 제14도의 개별송출기구의 동작설명도.
제18도는 카트리지 도피기구의 변형예의 개략도.
제19도는 기어전동기구의 개략도.
제20(a)도, 제20(b)도는 암부 도피기구의 개략적인 동작설명도이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복수의 필름카트리지를 수납하고 이들의 필름카트리지를 개별적으로 송출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상기한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진프린터나 필름프로세서 등의 각종 사진처리장치에 조립되어 처리할 필름카트리지를 한개씩 소정의 자세로 공급하고, 전체의 처리를 자동화하는 것에 공헌하고 있다.
종래의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로서는 드럼형상의 수납체의 둘레부에 필름카트리지의 외형형상에 대응하는 내벽형상을 가지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필름카트리지의 유지부로 하고, 그 드럼을 회전시켜서 유지부에 수납된 필름카트리지를 순차적으로 꺼내는 구성의 것이나, 무단(無端) 벨트에 필름카트리지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는 내벽형상을 가지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필름카트리지의 유지부로 하고, 그 무단벨트를 회전시켜서 유지부에 수납된 필름카트리지를 순차적으로 꺼내는 구성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지부가 필름카트리지의 외형형상에 대응하는 내벽형상을 갖기 때문에 필름카트리지의 소망의 자세가 유지되어서 필름카트리지 수납케이스로부터 송출되는 필름카트리지의 자세가 항상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필름카트리지의 수납용량을 증가시키려고 하면, 드럼의 직경이 커지고, 또 무단벨트의 길이가 길어져서 이들의 설치 스페이스가 커지고, 필름카트리지 수납케이스부의 스페이스가 커지는 결함이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카트리지 수납케이스부의 스페이스를 고효율로 이용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카트리지 수납케이스부에 수납된 필름카트리지의 개별 송출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는 상기 필름카트리지를 열형상으로(염주형상으로; in a row) 쌓아 수납하는 수납케이스부, 상기 필름카트리지를 상기 수납케이스부에 특정 자세로 투입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투입구를 설치한 투입부, 상기 수납케이스부에 수납된 필름카트리지를 특정 자세로 외부에 송출하기 위해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송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투입구의 형상에 의해 규제된 특정 자세로 수납케이스부에 투입된 필름카트리지는 순차적으로 열형상으로 쌓여간다. 수납케이스부내에 있어서의 필름카트리지는 서로 맞닿은 상태로 간격을 두지 않고 쌓여 있으므로 수납케이스부의 공간을 고효율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입부에는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필름카트리지를 일단 유지하는 안내부가 설치되면, 이 안내부에 의해 필름카트리지를 특정 자세로 일단 유지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특정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필름카트리지를 수납케이스부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에 의해 유지된 필름카트리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엑세스(예컨대 손가락으로 미는)함으로써 안내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는 그 자체는 공지인 기구에 의해 안내부를 도피시킴으로써 유지된 필름카트리지를 개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적합한 실시형태의 하나에 있어서, 수납케이스에 수납된 필름카트리지를 개별적으로 송출하기 위하여 송출부의 주변에 개별 송출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그 때에 이 개별 송출기구는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변위가능한 가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제1암부와 제2암부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제1암부는 상기 제1영역에 있어서 최하단의 필름카트리지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 필름카트리지를 상기 송출부로 송출하고, 상기 제2암부는 상기 제1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쪽으로의 필름카트리지의 낙하를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쪽으로의 필름카트리지의 낙하를 금지한다. 이 경우, 제1암부와 제2암부가 번갈아 필름카트리지를 받아냄으로써 필름카트리지를 하나씩 송출한다.
또한, 수납케이스부 내에서의 부주의한 필름카트리지의 자세변경을 피하기 위하여 수납케이스부는 실질적으로 4각형 횡단면을 가지고, 그 한쪽 변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필름카트리지 외형의 축심방향 길이에 대응하고, 그 다른쪽 변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필름카트리지 외형의 직경방향 최소길이에 대응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개별송출기구의 동작영역, 정확하게는 제1암부와 제2암부의 동작영역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의 필름카트리지의 자세변경 스페이스가 필요하므로, 이 영역에 있어서의 필름카트리지의 통과로의 횡단면은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횡단면에 비하여 필름카트리지의 직경방향에 관하여 크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개별송출기구의 가동부재가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 사이에서 요동하는 요동부재로서 구성된다면, 1회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1암부를 필름카트리지의 통과로 내로 침입시키는 동시에 제2암부를 필름카트리지의 통과로 밖으로 퇴거시킬 수도 있게 되어, 개별송출기구의 제어가 간단화된다.
상기와 같은 개별송출기구에 있어서, 복수의 필름카트리지가 쌓여 있기 때문에 서로의 카트리지가 간섭함으로써 뒤틀리게 되어 개별송출기구의 송출요동암이 동작불능으로 되는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적합한 실시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요동부재의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제2여역으로의 요동에 있어서, 상기 제2암부와 맞닿아 있는 필름카트리지와 상기 제2암부의 요동궤적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탄성도피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최하단의 필름카트리지를 송출하기 위해 요동부재를 제2영역으로 요동시킬 때, 제2암부와 쌓여 있는 필름카트리지의 사이에서 뒤틀리게 되어도 탄성도피수단에 의해 제2암부와 맞닿아 있는 필름카트리지와 상기 제2암부의 요동 궤적의 간섭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제2암부, 결과적으로는 제1암이 원활하게 요동하고, 최하단의 필름카트리지가 제1암으로부터 벗어나 송출부로 송출된다.
또 다른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상기 탄성도피수단을 상기 제2암부와 맞닿아 있는 필름카트리지를 탄성적으로 상기 제2암부의 요동궤적 밖으로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도피기구로서 구성한 것이 있다. 이 경우 제2암부의 요동운동에 의해 쌓여 있는 필름카트리지에 힘이 미치게 되면 그 필름카트리지가 카트리지 도피기구에 의해 제2암부의 요동궤적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도피된다.
이 카트리지 도피기구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벽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외부쪽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하는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제2암부의 요동운동에 의해 쌓여 있는 필름카트리지에 힘이 미치게 되면, 상기 변위하는 부재가 수납케이스부의 외부쪽으로 변위하고, 수납케이스의 스페이스를 확장하기 위하여 그 확장된 스페이스로 필름카트리지가 도피하고 제2암부의 요동이 원활하게 된다.
그와 같은 변위하는 부재를 간단하게 구비하기 위해서는 변위하는 부재를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벽체에 일부를 남긴 절결에 의해 형성된 설편(舌片)으로 하면 된다. 이 경우, 절결되지 않은 일부가 이 설편의 탄성적인 힌지로서 기능한다. 만약,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벽체의 재료가 탄성적인 힌지로서 부적합한 경우나 보다 확실한 힌지가 필요한 경우는, 상기 변위하는 부재를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벽체에 설치된 개구를 폐쇄하도록 스프링 가압된 요동덮개로 구성하면 된다. 이 경우, 요동덮개를 가압하는 스프링력을 선택함으로써 소망의 변위경향을 지닌 카트리지 도피기구가 실현된다.
또 다른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상기 탄성도피수단을 상기 제2암부와 맞닿아 있는 필름카트리지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암부를 이동시키는 암부 도피기구로 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경우, 제2암부와 필름카트리지의 사이에서 뒤틀림이 생기면 제2암부 스스로가 도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요동부재의 요동운동은 보증되고, 그 때 수납케이스부에는 어떤 세공도 할 필요가 없다.
상기 암부도피기구는 전형적인 것으로서 상기 요동체의 요동축을 스프링을 통하여 변위가능하게 상기 수납케이스부에 연결하는 플랜지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요동체의 요동축을 맞닿아 있는 필름카트리지로부터 멀어질 수 있도록 요동축을 스프링지지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제2암부재는 아니고 제1암부재가 어떠한 것과 간섭할 때에도 유효하게 기능하는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부차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요동체가 기어전동기구를 통하여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전동기구의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어느 한 쪽이 맞물림 톱니를 가진 작용영역과 맞물림 톱니를 갖지 않는 비작용영역을 동일한 분포로 구비하고, 상기 요동체의 제1영역으로부터 제2영역의 요동은 상기 작용영역을 이용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행해지고, 상기 요동체의 제2영역으로부터 제1영역의 요동은 상기 비작용영역을 이용하여 스프링력에 의해 행해진다. 이 경우, 요동부재는 반복요동운동을 행함에도 불구하고 구동모터는 정회전만으로 간헐 구동되면 좋으며, 요동부재의 복귀요동은 스프링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된 힘으로 급속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그 외의 특징 및 이점은 이하 도면을 사용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의 실시형태를 사진인화장치에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인화장치(1)에는 필름(2)의 화상정보를 인화지(3)에 투명노광하는 투영노광부(10), 투영노광부(10)에서 노광된 인화지(3)를 현상하는 현상처리부(30) 및 사진인화장치(1) 각부의 작동의 제어등을 행하는 콘트롤러(4)가 설치되고, 콘트롤러(4)에는 각종의 지시압력 및 모드설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테이블(5),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6) 및 복수의 화상을 한 장의 프린트용지에 프린트하는 소위 인덱스 프린트를 제작하기 위한 비디오프린터(7)가 접속되어 있다.
인화지(3)를 롤 형상으로 수납하고 있는 인화지 매거진(31)으로부터 인출된 인화지(3)는 투영노광부(10)에서 노광된 후, 현상처리부(30)에서 현상되고, 한 컷분의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크기로 절단되어서 배출된다.
이하, 각 구성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영노광부(10)에는 광원(11), 필름(2)에 조사하는 광의 색 밸런스를 조정하는 조광필터(12), 조광필터(12)를 통과한 광을 균일하게 혼색하는 미러터널(13), 필름(2)의 화상을 인화지(3) 상에 결상시키는 인화렌즈(14) 및 셔터(15)가 노광광로를 이루는 동일 광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인화렌즈(14)의 측방에는 필름(2)의 화상어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판독수단에는 반사미러(16), 렌즈(17), 둘레방향에 R(적), G(녹), B(청)의 컬러필터가 배열되어 있는 회전컬러필터(18a), 회전컬러필터(18a)를 회전구동하는 모터(18b) 및 CCD 이미지 센서(19)가 구비되어 있고, 모터(18b)나 이미지센서(19) 등의 작동은 콘트롤러(4)에 의해 제어된다.
반사미러(16)는 인화렌즈(14)와 함께 도시하지 않은 이동대에 부착되어 있다. 인화렌즈(14)와 반사미러(16)를 부착한 이동대가 제1도중 화살표(A)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인화렌즈(14)가 노광광로중에 위치하는 상태와 반사미러(16)가 노광광로중에 위치하는 상태가 교체된다.
인화렌즈(14)가 노광광로중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필름(2)의 화상정보는 인화렌즈(14)에 의해 인화지(3) 상에 결상되고, 반사미러(16)가 노광광로중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필름(2)의 화상정보는 반사미러(16)에 의해 반사된 후, 렌즈(17)에 의해 CCD 이미지센서(19)의 수광면상에 결상된다.
CCD 이미지 센서(19)는 필름(2)의 화상정보를 회전컬러필터(18a)의 회전에 의해 R, G, B 각각으로 색분해된 상태로 검출하고 검출된 화상정보는 콘트롤러(4)로 전송된다.
노광광로의 필름(2) 반송경로 상류측에는 롤러(21)가, 필름(2) 반송경로 하측에는 롤러(22)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롤러(21,22)는 모터(23)에 의해 연동구동되어 필름(2)을 반송한다.
롤러(21)의 필름반송경로 상류측에는 제2도에 도시하는 필름카트리지(20)를 복수개 수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수납장치(100)가 착탈자유롭게 구비되어 있다.
카트리지 수납장치(100)는 그 전체가 제3, 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이 카트리지 수납장치(100)는 복수의 필름카트리지(20)를 세로열 형상으로 쌓아 수납하는 수납케이스부(50)와, 사진인화장치(1)의 본체에 대하여 착탈되는 송출부(60)와, 송출부(60) 주변에 설치된 개별송출기구(80)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케이스부(50)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51), 한쌍의 사이드플레이트(52,53), 앞커버(54) 및 상부커버(55)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세로로 긴 직육면체형상으로 조립한 것이며, 그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어 송출부(60)를 형성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1)는 앞커버(54)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어 있고, 수납케이스부(50)의 내부공간에 있어서의 상방측 개소에는 베이스플레이트(51)의 상단면(51a)이 노출되어 있다.
수납케이스부(50)의 내부공간내에서 필름카트리지(20)가 1회전하지 않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카트리지(20)의 필름배출구(20a)를 비스듬히 아래로 향하게 한 수평자세로 쌓일 수 있도록 사이드 플레이트(52,53)간의 간격이 필름카트리지(20)의 길이방향의 길이와 거의 일치하고, 베이스플레이트(51)와 앞커버(54)의 간격이 필름카트리지(20)의 필름감기축(20b) 방향에서 본 최소폭과 거의 일치한다. 이로써 필름카트리지(20)의 필름배출구(20a)를 하향으로 하여 삽입한 경우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배출구(20a)가 비스듬히 아래로 또는 바로 아래로 향하는 수납 자세로 낙하한다.
한편, 송출부(60)의 상방 개소에 있어서는 베이스플레이트(51)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51)와 앞커버(54)와의 간격이 필름카트리지(20)의 필름배출구(20a)가 수평방향을 향한 상태로 통과가능한 길이로 하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별송출기구(80)에 의해 필름카트리지(20)의 자세가 필름배출구(20a)가 아래쪽으로 수평방향을 향하는 소망자세로 전환된다.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사이드플레이트(52)의 상단부근에는 필름카트리지(20)의 필름감기축(20b)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형상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필름카트리지(20)의 필름배출구(20a)에 대응하는 부분이 하향으로 되는 투입용 자세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필름카트리지(20)의 투입구인 카트리지 삽입용 관통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삽입용 관통구멍(56)은 베이스플레이트(51) 상단면(51a)이 노출되어 있는 위치보다도 약간 상부측에서 또한 필름카트리지(20)의 필름배출구(20a)에 대응하는 오목부(56a)가 측면에서 보아 베이스플레이트(51)의 상단면(51a)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카트리지 삽입용 관통구멍(56)에 맞춰 필름카트리지(20)를 통(筒) 상부 안으로 삽입한 경우에는 필름카트리지(20)의 필름배출구(20a)가 베이스플레이트(51)의 상단면(51a)에 수용되고, 필름카트리지(20)가 세로자세 즉 길이방향이 상하로 되는 자세로 수납케이스부(50)의 내부공간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단부(51a)는 필름카트리지(20) 투입시의 안내부로서 가능하다.
또, 상부커버(55)의 카트리지 삽입용 관통구멍(56)과 같은 높이의 장소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조작용구멍(57)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플레이트(51)의 상단면(51a)에 받쳐져 있는 필름카트리지(20)를 이 가압조작용구멍(57)을 통하여 손가락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필름카트리지(20)를 낙하시킬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51)의 송출부(60) 근처에 제5, 6, 7, 8도에 도시하는 개별송출기구(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별송출기구(80)는 요동부재(83), 요동부재(83)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판(84), 요동부재(83)의 요동축(82), 이 요동축(83)을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판(81), 요동축(82)에 끼워 통해져 요동부재(83) 및 연결판(84)을 제5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85), 이들을 덮는 커버(86)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부재(83)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카트리지(20)의 낙하를 저지하는 제2암부(83b)와 필름카트리지(20)를 받아내어 필름카트리지(20)를 소정 자세로 되도록 하는 제1암부(83a)가 각각 좌우 한쌍으로 설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C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암부(83a) 및 제2암부(83b)가 일체로 요동하여 필름카트리지(20)의 통과공간에 돌입(突入)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51)에 한쌍의 관통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판(84)은 제9(a)도, 제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가 굴곡되어 요동부재(83) 쪽으로 뻗어서 요동부재(83)에 고착되어 있다. 연결판(84)의 L자 형상 부분(84a)은 사이드플레이트(53)를 따라 요동하고, 사이드플레이트(53)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 형상부분(84a)의 요동을 허용하도록 측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 형상의 스폿페이싱부(53a)가 형성되어 있고, L자 형상부분(84a) 외측의 면과 사이드플레이트(53)의 표면이 동일면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폿페이싱부(53a)의 상단면은 코일스프링(85)으로 가압되는 L자 형상부분(84a)에 맞닿아서 요동부재(83)의 요동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이 연결관(84)을 요동구동하기 위한 로터리 솔레노이드(87)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인화장치(1)의 본체측에 설치되어 있고, 로터리 솔레노이드(87)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회전판(88)의 클릭(88a)이 연결판(84)의 L자 형상 부분(84a)에 있어서의 요동부재(83)와의 연결측과 반대측면인 클릭안내면(84b)에 맞닿아 있고(제9(a)도, 제9(b)도 참조), 로터리 솔레노이드(87)의 회전에 따라 연결판(84) 및 요동부재(83)를 제9(a)도, 제9(b)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요동 구동한다.
또한, 이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100)는 사진인화장치(1)의 본체측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고, 사이드플레이트(53)의 스폿페이싱부(53a)에 착탈시에 회전판(88)의 클릭(88a)이 통과되고, 또한 요동부재(83)의 요동 조작시에 클릭(88a)의 요동이동을 허영하기 위한 홈형상 스폿페이싱부(53b)가 더욱 깊게 형성되어 있다(제8도 참조).
이하, 상기 구성의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100)의 작동을 개략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삽입용 관통구멍(56)으로부터 필름카트리지(20)를 투입하면, 필름카트리지(20)의 필름배출구(20a)가 베이스플레이트(51)의 상단면(51a)에 맞닿아 특정 자세로 받쳐진다. 이 상태에서 가압조작용 구멍(57)으로부터 필름카트리지(20) 가압조작하면, 필름카트리지(20)가 수납케이스부(50)로 낙하한다. 수납케이스부(50)를 낙하하는 필름카트리지(20)는 먼저 수납되어 있는 필름카트리지(20)가 있으면, 그 필름카트리지(20)에 접촉하여 정지하고, 최초의 투입되는 필름카트리지이면, 제1요동영역에 위치하는 요동부재(83)의 제1암부(83a)에 받쳐져 정지한다.
복수개의 필름카트리지(20)를 수납한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100)로부터 필름카트리지(20)를 하나씩 꺼낼 때는 로터리 솔레노이드(20)를 작동시켜서 연결판(84)을 코일스프링(29)의 가압력에 맞서서 제9(a)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요동부재(83)가 제2요동영역으로 요동하여 제10(a)도, 제1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카트리지 통과공간에 돌입되어 있던 제1암부(83a)가 필름카트리지 통과공간 밖으로 인퇴(引退)되고, 대신에 제2암부(83b)가 필름카트리지 통과공간 내로 돌입한다. 이로써 제1암부(83a)에 받쳐져 있던 하단의 필름카트리지(20)가 낙하하고, 그 위의 필름카트리지(20)는 제2암부(83b)에 받쳐져 낙하가 저지된다.
재1암부(83a)에 받쳐져 있던 필름카트리지(20)는 수납케이스부(50)에서의 자세가 제10(a)도, 제10(b)도 또는 제11(a)도, 제11(b)도에 도시하는 자세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필름배출구(100)가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향한 상태에서는 그대로 자세로, 제1암부(83a)에 받쳐지고, 필름배출구(100)가 바로 밑을 향한 상태에서는 제1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암부(83a)에 맞닿으면 제1암부(83a) 위를 미끄러지는 상태로 자세변화되어 제5도에 도시하는 자세로 받쳐진다. 즉, 어떤 자세로 낙하하여도 제5도에 도시하는 제1암부(83a)에 받쳐진다. 제1암부(83a)가 인퇴됨으로써 이 자세의 상태로부터 필름카트리지(20)가 그 중량 밸런스에 의해 제10(a)도, 제10(b)도 및 제11(a)도, 제1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배출구(100)가 수평방향을 향하는 특정자세로 회전하고, 그 회전후의 자세가 송출부(60)의 내벽에 규제되는 상태로 낙하한다.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100)로부터 필름카트리지(20)가 공급되고, 필름(2)이 투영노광부(10)로 반송되면, 투영노광부(10)에서는 반사미러(16)가 노광광로중에 위치함으로써 필름(2)의 화상정보를 CCD 이미지센서(18)로 판독하고, 인화렌즈(13)가 노광광로중에 위치함으로써 필름(2)의 화상정보를 인화지(3)에 노광할 수 있다.
제12(a)도, 제12(b)도, 제12(c)도 및 제13도에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100)로부터 하나씩 필름카트리지(20)를 송출하는 개별송출기구의 변형예가 예시되어 있다.
이 개별송출기구(180)에서는 수납케이스부(50)를 낙하하는 필름카트리지(20)를 받아내는 요동부재(183)의 제1암부(183a) 및 제2암부(183b)는 별체로 구성되고, 모두 앞커버(54)의 외면쪽에 요동축(182) 주위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제1암부(183a) 및 제2암부(183b)는 제12(a)도, 제12(b)도, 제12(c)도에 있어서 요동축(182)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코일스프링(185a,185b)(제13도 참조)에 의해 각각 복귀 가압되고, 제1암부(183a)와 제2암부(183b)는 제2암부(183b)의 기단측 각부(183d)가 제1암부(183a)의 기단측 지지부(183c)에 맛닿음으로써 연동된다.
제1암부(183a)에는 한쌍의 측판부(183c)에 유지되는 바닥판부(183e)가 구비되고, 이 바닥판부(183e)에서 낙하하는 필름카트리지(20)를 받아낸다. 또한, 측판부(183c)의 요동범위를 따라 사이드플레이트(52,53)의 내면측에 부채형상의 오목부(184)가 형성되어 있고, 측판부(183c)가 필름카트리지 통과공간으로 돌출하여 필름카트리지(20)의 낙하를 방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이 부채형상의 오목부(184)의 상단 경사면은 측판부(183c)와 맞닿아 제1암부(183a)의 요동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제1암부(183a)의 바닥판부(183e)는 수납케이스부(50)를 낙하하는 필름카트리지(20)를 제12(a)도에 도시하는 자세로 받아낸다. 이 상태에서 제1암부(183a)를 도시하지 않는 로터리 솔레노이드 등의 액츄에이터로 제12(b)도 및 제1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요동구동하여 필름카트리지 통과 공간 밖으로 인퇴시키면, 필름카트리지(20)는 필름배출구(20a)가 앞커버(54)에 맞닿아서 제12(c)도에 도시하는 필름배출구(20a)가 수평방향을 향한 특정자세로 되어 낙하한다. 이와 동시에 제2암부(183b)가 제1암부(183a)의 기단측 지지부(40a)에 가압조작되는 상태로 수납케이스부(50) 내의 공간으로 돌압하여, 낙하되어가는 필름카트리지(20)의 상측의 필름카트리지(20)의 낙하를 저지하고 필름카트리지(20)를 하나씩 낙하시킨다.
제14도~제17(a)도, 제17(b)도, 제17(c)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앞서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은 부재에는 같은 도면번호를 부여하여 불필요한 설명의 반복은 생략하고 있다.
이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200)에서는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커버(54)의 개별송출기구(280)의 바로 위쪽 장소에 탄성도피수단(90)의 한 형태인 카트리지 도피기구(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도피기구(90)는 앞커버(54)에 절개된 U자형 슬릿(91)과 이 U자형 슬릿(91)의 양쪽 상단과 근소하게 간격(94)을 두고 절개된 수평슬릿(92)에 의해 구획된 설편(9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93)은 상기 간격(94), 즉 잘려 남겨진 앞커버(54)와의 연결부분이 힌지의 작용을 함으로써, 쌓여진 필름카트리지(20)로부터 힘이 미칠 때 외부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한다. 이 목적과 수납된 카트리지(20)를 외부로부터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앞커버(54)는 합성수지로 만든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형태의 카트리지 도피기구(190)로서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커버(54)에 완전한 개구부(191)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191)를 폐쇄하는 요동덮개(193)를 설치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194는 요동덮개를 외측으로만 요동시키는 힌지이고, 192는 요동덮개의 요동을 저지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이다. 이 스프링력을 극복하는 힘이 필름카트리지(20)로부터 미치게 되면 요동덮개(193)는 외측으로 요동한다.
제14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앞커버(54)의 아래쪽은 다른 부재로 개별송출기구(280)를 위한 지지플레이트(58)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플레이트(58)는 T형 또는 옆으로 넘어진 H형의 형상이고, 수평으로 뻗은 상변부(上邊部)(58a)와 하변부(58c), 그리고 상변부(58a)와 하변부(58c)의 중앙을 접속하는 수직으로 뻗은 수직변부(58b)로 이루어진다. 상변부(58a)는 사이드플레이트(52와 53)의 측단면에 나사고정되어 있고, 하변부(58c)는 수직변부(58b)를 통하여 상변부(58a)로부터 매달린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수직변부(58b)와 하변부(58c)의 양측 및 하변부(58c)의 하측에 필름카트리지(20)의 수납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게 된다.
개별송출기구(280)는 지지플레이트(58)의 하변부에 나사고정된 브래킷(281), 이 브래킷(28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요동축(282), 이 요동축(282)에 고정된 요동부재(283)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부재(283)는 C자 형상으로 2개소에서 절곡된 플레이트로 형성된 제1암부(283a)와 한쌍의 부채형 플레이트로 형성된 제2암부(283b)로 구성되어 있다. 제1암부(283a)는 그 C자 형상의 자유단에서 요동축(282)과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있는 동시에 제2암부(283b)는 부채형의 중심부에서 요동축(282)과 고정되어 있고, 또한 제2암부(283b)를 형성하는 각 부채형 플레이트와 제1암부(283a)와 제2암부(283b)는 요동축(282)에 관하여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제1암부(283a)가 하변부(58c)와 사이드플레이트의 틈새를 이용하여 필름카트리지(20)의 통로내로 들어가도록 요동하면, 제2암부(283b)는 수직변부(58b)와 사이드플레이트의 틈새를 이용하여 수납케이스부의 밖으로 나오도록 요동한다.
요동부재(283)의 요동범위는 제1암부(283a)가 그 C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의 중간에 위치하는 수평플레이트부에서 위로부터 떨어져 오는 필름카트리지를 유지할 수 있는 제1영역(제17(a)도로 표시된 요동부재의 자세)과 상기 수평플레이트부가 필름카트리지로부터 이탈하여 이 필름카트리지를 송출부(60)로 송출할 수 있는 제2영역(제17(c)도로 표시된 요동부재의 자세)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제1영역에 있어서 제2암부는 제1암부쪽으로 필름카트리지의 낙하를 허용하고(제17(a)도), 제2영역에 있어서 제1암부쪽으로의 필름카트리지의 낙하를 금지한다(제17(c)도).
요동부재(283)의 요동은 요동축(282)의 회전으로 행해지나, 이 요동축(282)은 기어전동기구(286,287)를 통하여 구동모터(288)에 연결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종동기어(286)는 보통의 평기어이고, 제19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구동기어(287)는 맞물림톱니를 지닌 작용영역과 맞물렴톱니를 갖지 않는 비작용영역이 90도마다 분포되어 있다. 요동부재(283)의 제1영역으로부터 제2영역의 요동은 상기 작용영역올 이용하고, 즉 구동기어(287)와 종동기어(286)의 맞물림을 통하여 구동모터(287)에 의해 행해지고, 요동부재(283)의 제2영역으로부터 제1영역의 요동은 비작용 영역을 이용하고, 즉 구동기어(287)와 종동기어(286)의 연결이 해제되고, 정지된 구동모터(287)로부터 자유롭게 된 요동축(282)이 스프링(285)에 의해 복귀회전됨으로써 실현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스프링(285)은 한단을 브래킷(281)에 다른 단을 요동부재(283)에 연결하고 있는 코일스프링이고, 요동축(282)에 바깥끼움되어 있다.
또, 구동모터(287)에는 회전검출센서(289)가 구비되어 있고, 이 센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콘트롤러(4)가 구동모터(287)의 회전·정지를 제어한다.
284는 제1암부의 제1영역에 있어서의 엔드스토퍼이며, 제1암부에 맞닿는 원반부와 이 원반부를 지지하는 암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58)의 하변부(58c)에는 다시 이 개별송출기구(280)의 커버가 장착되나, 여기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이 필름카트리지 수납송출장치(200)는 사진인화장치(l)의 본체측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고, 송출부(60)의 하측에는 개별적으로 송출되어온 필름카트리지를 필름인출장치의 장소까지 반송하는 반송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의 필름카트리지 수납송출장치(200)의 개별송출동작을 제17(a)도, 제17(b)도, 제17(c)도를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카트리지 삽입용 관통구멍(56)으로부터 필름카트리지(20)를 투입하면 필름카트리지(20)의 필름배출구(20a)가 베이스플레이트(51)의 상단면(51a)에 맞닿아 받쳐진다.
이 상태에서 가압조작용 구멍(57)으로부터 필름카트리지(20)를 가압주작하면 필름카트리지(20)가 대략 삽입자세로 수납케이스부(50)내로 낙하된다. 수납케이스부(50)내를 낙하하는 필름카트리지(20)는 먼저 수납되어 있는 필름카트리지(20)가 있으면 그 필름카트리지(20)에 접촉하여 정지하고, 그것이 최초로 투입되는 필름카트리지이면, 제1요동영역으로 요동되어 있는 요동부재(283)의 제1암부(283a)에, 상세하게는 제1암부(283a)의 하측변에 받쳐져 정지한다.
수납케이스부(50)내에 수납된 필름카트리지(20)를 개별적으로 송출하는 경우, 구동모터(288)의 회전력을 기어(287,286)의 각각의 톱니의 맞물림에 의해 요동축(282)에 전달하고, 제17(a)도에 도시한 제1영역에 위치하는 요동부재(283)를 스프링(285)의 가압력에 맞서서 제1암부(283a)가 수직으로 되는 방향, 즉 제2영역쪽으로 요동시킨다(제17(b)도). 이 요동부재(283)의 제1영역으로서의 요동에 의해 수납케이스부(50)의 내부공간에 돌입되어 있던 제1암부(283a)가 외부로 인퇴도고, 대신에 제2암부(283b)가 수납케이스부(50)의 내부공간으로 돌입한다(제17(c)도). 이것에 의해 제1암부(283a)에 받쳐져 있던 최하단의 필름카트리지(20)가 송출부(60)로 낙하하고 그 위의 필름카트리지(20)는 제2암부(283b)의 부채형 외주부에 하단부를 밑으로부터 떠올려져서 유지되고, 그 낙하가 저지된다.
이 제2암부(283b)에 의해 필름카트리지(20)의 하단부를 떠올릴 때 그 윗쪽에 쌓여 있는 필름카트리지(20)가 여러개 있으면, 그들의 뒤틀림에 의해 제2암부(283b)의 요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뒤틀림이 생긴 경우는 제17(b)도, 제17(c)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카트리지 도피기구(90)인 설편(93)이 바깥쪽으로 변위되어 필름키트리지(20)를 약간 도피시킴으로써 제2암부(283b)의 수납케이스부(50)의 내부공간으로의 돌입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 기어(287)의 톱니가 없는 영역에 기어(286)와 대향하는 곳까지 회전하면 기어(287)와 기어(286)의 연결이 해제되고, 스프링(285)의 힘으로 요동부재(283)는 다시 제2영역으로부터 제1영역으로 복귀한다(제17(a)도). 그 때 제2암부(53b)가 인퇴함으로써 필름카트리지(20)가 다시 수납케이스부(50)의 내부공간으로 돌입한 제1암부(283a)에 의해 받쳐지는 곳까지 낙하한다.
요동부재(283)의 제2영역으로의 요동에 의해 낙하한 필름카트리지(20)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장치에 의해 필름카트리지(20)의 배출구(20a)로부터 필름을 인출하는 장치의 장소까지 이송된다. 필름(2)이 투영노광부(10)로 반송되면 투영노광부(10)에서는 반사미러(16)가 노광 광로중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필름(2)의 화상정보를 CCD 이미지센서(19)로 판독하고, 인화렌즈(14)가 노광광로중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필름(2)의 화상정보를 인화지(3)에 노광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도피수단은 필름카트리지 도피기구(90)로서 구성되었으나, 카트리지를 도피시키는 대신에 요동부재(283), 즉 제2암부(283b)를 도피시키는 암부도피기구(290)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0(a)도, 제2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부재(283)의 요동축(282)을 지지하는 브래킷(291)에 좌우 한쌍의 긴 구멍(292)을 형성하고, 이 긴 구멍(292)에 요동축 (282)을 끼워통하고 요동축(282)을 카트리지 수납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미끄럼 움직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요동축(282)은 스프링(293)에 의해 내부공간쪽에 배치 가압되어 있다. 제2암부(283b)와 필름카트리지(20)의 사이에서 뒤틀림이 생긴 경우에 스프링(293)에 맞서서 요동축(282)이 외측으로 미끄러짐으로써 제2암부(283b)가 필름카트리지(20)로부터 도피하고 제2 암부(283b)의 펼름카트리지(20)의 떠올림요동이 원활하게 된다. 이 구조의 경우, 요동축(282)이 변위하기 때문에, 요동축(282)과 구동모터(288)의 사이의 전동기구는 기어가 아니라 벨트차(294와 295)로 하고, 그 사이를 '펼요한 경우 타이트너로 장력 조정되는 타이밍벨트(296)'로 감는다. 타이밍벨트에는 톱니가 있는 작용영역과 톱니가 없는 비작용영을 동일하게 설치해 두기 때문에, 상기한 기어기구와 동일한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 암부 도피기구(290)의 간단한 형태로서, 예컨대 상기한 지지플레이트(58)의 수직변부(58b)의 폭올 좁게 하고 탄성변형되기 쉽게 함으로써 실현한다. 이 경우도 요동축(282)과 구동모터(288)의 사이의 전동기구는 기어가 아니고 벨트식이 사용된다.
또한 이제까지의 실시예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형상의 펼름카트리지(20)를 수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수납대상으로 되는 필름카트리지(20)는 필름감기축심방향에서 보아 직경이 다른 형상이면, 각종 형상의 것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수납되는 필름카트리지로서는 국제규격(ISO,JIS 등)으로 정해진 모든 타입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이용될 수 있고, 그를 위한 개량변경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들어가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송출장치를 사진인화장치(1)에 부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필름프로세서, 필름스플라이 등 각종 사진처리장치에 부착하거나, 또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름카트리지를 상하 직선형상으로 수납하는 대신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쌓아 수납하거나, 만족시켜서 종열상으로 수납하는 등, 수납되는 필름카트리지의 정렬상태는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또한, 필름카트리지 수납자세는 실시예로 도시된 자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하좌우로 회전시킨 여러가지의 수납자세를 채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Claims (16)

  1. 복수의 필름카트리지를 수납하고, 이들 필름카리지를 개별적으로 송출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로서, 상기 필름카트리지(20)를 열형상으로 쌓아 수납하는 수납케이스부(50); 상기 필름카트리지(20)를 상기 수납케이스부(50)에 특정 자세로 투입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투입구(56)를 설치한 투입부; 및 상기 수납케이스부(50)에 수납된 필름카트리지(20)를 특정 자세로 외부로 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송출부(6O)를 포함하는 상기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에는 상기 투입구(56)로부터 투입된 필름카트리지를 일단 유지하는 안내부(51a)가 설치되어 있는 것올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51a)에 의해 유지된 필름카트리지(20)를 상기 수납 케이스부(50)에 투입하기 위하여 이 필름카트리지(20)에 액세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51a)에 의해 유지된 필름카트리지(20)는 개구부(57)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4. 복수의 필름카트리지를 수납하고, 이들 필름카트리지를 개별적으로 송출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로서, 상기 필름카트리지(20)를 열형상으로 쌓아 수납하는 수납케이스부(50); 상기 필름카트리지(20)를 상기 수납케이스부(50)에 특정 자세로 투입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투입구(56)를 설치한 투입부; 상기 수납케이스부(50)에 수납된 필름카트리지(20)를 특정 자세로 외부로 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송출부(60); 및 상기 송출부의 주변에 설치된 개별송출기구(80;180;280)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송출기구(80;180;280)는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재(83;183;283)를 가지고, 상기 가동부재는 제1암부(83a;183a;283a)와 제2암부(83b;183b;283b)를 설치치하고 있고, 상기 제1 암부는 상기 제1영역에 있어서 최하단의 필름카트리지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 필름카트리지를 상기 송출부로 송출하고, 상기 제2 암부는 상기 제1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쪽으로의 필름카트리지의 낙하를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 쪽으로의 필름카트리지의 낙하를 금지하는 상기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83a;183a;283a)는 상기 제1영역에 있어서 유지된 필름카트리지를 상기 제2영역으로의 변위에 근거하여 필름카트리지의 자세를 소정 상태로 변경한 후에 상기 송출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부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그 한쪽 변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필름카트리지 외형의 축섬방향 길이에 대응하고, 그 다른쪽 변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펼름카트리지 외형의 직경방향 최소 길이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송출기구의 동작영역에 있어서, 필름카트리지의 통과로의 횡단면은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횡단면에 비하여 필름카트리지의 직경방향에 관하여 크게 되어 있는 것올 특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송출기구의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사이에서 요동하는 요동부재(83;183;283)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8. 복수의 필름카트리지를 수납하고, 이들 필름카트리지를 개별적으로 송출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로서, 상기 필름카트리지(20)를 열형상으로 쌓아 수납하는 수납케이스부(50); 상기 필름카트리지(20)를 상기 수납케이스부(50)에 특정 자세로 투입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투입구(56)를 설치한 투입부; 상기 수납케이스부(50)에 수납된 필름카트리지(20)를 특정 자세로 외부로 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송출부(60); 및 상기 송출부의 주변에 설치된 개별송출기구(80;180;280)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송출기구(80;180;280)는 제1 영역과 제2영역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재(83;183;283)를 가지고, 상기 가동부재는 제1암부(83a;183a;283a)와 제2암부(83b;183b;283b)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제1암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있어서 최하단의 필름카트리지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 필름카트리지를 상기 송출부로 송출하고, 상기 제2 암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쪽으로의 필름카트리지의 낙하를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쪽으로의 필름카트리지의 낙하를 금지하는 상기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암부(83b;183b;283b)의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의 요동에 있어서, 상기 제2 암부와 맞닿아 있는 필름카트리지와 상기 제2 암부의 요동궤적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탄성도피수단(90;190;29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도피수단은 상기 제2암부와 맞닿아 있는 필름카트리지를 탄성적으로 상기 제2 암부의 요동궤적 밖으로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도피기구(90;190)로서 방향에서 보아 대향하는 2개의 돌기로서 형성된 외주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이 돌기에 의해 상기 필름카트리지는 상기 수납케이스부 내에서 특정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도피기구(90)는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벽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외부쪽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하는 부재(93, 19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하는 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벽체에 일부를 남긴 절결에 의해 형성된 설편(9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하는 부재는 상기 수납케이스부의 벽체에 설치된 개구를 폐쇄하도록 스프링 가압된 요동덮개(19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도피수단(290)은 상기 제2 암부와 맞닿아 있는 필름카트리지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암부를 이동시키는 암부 도피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도피기구는 상기 요동부재의 요동축(283)을 스프링(293)을 통하여 변위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랜지(29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재는 기어전동기구를 통하여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어전동기구의 구동기어(287)와 종동기어(286)의 어느 한쪽은 맞물림 톱니를 가진 작용영역과 맞물림 톱니를 갖지 않는 비작용영역을 동일한 분포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요동체(83;183;283)의 제1영역으로부터 제2영역의 요동은 상기 작용영역을 이용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행해지고, 상기 요동체의 제2 영역으로부터 제1영역의 요동은 상기 비작용영역을 이용하여 스프링력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16. 제4항 내지 제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카트리지는 필름감기축심방향에서 보아 대향하는 2개의 돌기로서 형성된 외주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이 돌기에 의해 상기 필름카트리지는 상기 수납케이스부 내에서 특정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KR1019950049181A 1994-12-13 1995-12-13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KR100211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906594A JP2874728B2 (ja) 1994-12-13 1994-12-13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収納装置
JP94-309065 1994-12-13
JP7277795A JP2870633B2 (ja) 1995-10-25 1995-10-25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収納送り出し装置
JP95-277795 1995-10-25
JP94-277795 1995-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640A KR960024640A (ko) 1996-07-20
KR100211295B1 true KR100211295B1 (ko) 1999-08-02

Family

ID=2655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181A KR100211295B1 (ko) 1994-12-13 1995-12-13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25462A (ko)
EP (1) EP0717310B1 (ko)
KR (1) KR100211295B1 (ko)
CN (1) CN1088204C (ko)
CA (1) CA2164998C (ko)
DE (1) DE6953056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01515T1 (de) * 1996-06-12 2001-06-15 Giampaolo Sala Magazin zur verwaltung und verarbeitung von fotografischem material und dazugehöriges automatisches verfahren
JPH10186619A (ja) * 1996-12-25 1998-07-14 Noritsu Koki Co Ltd カートリッジ入りフィルム搬送供給方法及び装置
DE59802804D1 (de) * 1998-09-14 2002-02-28 Gretag Imaging Ag Filmpatronenladevorrichtung und damit versehene Filmbüh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6211A (en) * 1987-10-12 1990-05-15 Fuji Photo Film Co., Ltd. Printing paper convey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JP2771352B2 (ja) * 1990-08-03 1998-07-0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の取り扱い方法
JPH04116641A (ja) * 1990-09-07 1992-04-17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取扱方法及び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
JP2805413B2 (ja) * 1991-05-28 1998-09-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用カートリッジ及び自動現像装置
EP0565490B1 (fr) * 1992-04-10 1996-09-18 Fotolabo S.A. Procédé de développement de films photographiques pour laboratoires automatisés et magasin d'entreposage de bobines de films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éd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64998A1 (en) 1996-06-14
DE69530560D1 (de) 2003-06-05
CN1088204C (zh) 2002-07-24
EP0717310A2 (en) 1996-06-19
US5825462A (en) 1998-10-20
CN1161471A (zh) 1997-10-08
CA2164998C (en) 2000-05-02
DE69530560T2 (de) 2004-03-18
KR960024640A (ko) 1996-07-20
EP0717310A3 (en) 1996-11-20
EP0717310B1 (en) 200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0802B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with this process cartridge
US4059211A (en) Web material storage device
KR100211295B1 (ko) 필름카트리지 수납장치
US4837601A (en) Automatic photographic paper processing apparatus
JP2987928B2 (ja) カメラのフィルムガイド機構
JP2870633B2 (ja)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収納送り出し装置
JP2004114363A (ja) 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
US6446960B1 (en) Sheet feeding device
US4618251A (en) Recording apparatus
JPS61278837A (ja) 自動写真焼付装置
JP2874728B2 (ja)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収納装置
US5276469A (en) Rotatable print cartridge and method of operation for transporting print media within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EP0449712B1 (en) A cartridge for containing film papers and printing papers and a color video printer using the cartridge
JP3670176B2 (ja) 排紙装置及び印刷装置
EP07231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films
US5148215A (en) Magazine unit of image recording apparatus for accommodating image recording medium
JP3668696B2 (ja) ロール紙収容機構
US5617183A (en) Photometric system structure
JPS6361252A (ja) フイルム供給装置
JPH07117864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2106731A (ja) 特にプリンターのための、フイルム巻き付け及び巻き戻し装置
JPH11305352A (ja) 記録材料マガジ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記録装置
JPH02279364A (ja) 記録媒体の搬送装置
JPH06347990A (ja) ペーパカッタ
JPH01246535A (ja) エックス線写真用ロールフィルムの画像読取装置におけるフィルム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