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300B1 -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 - Google Patents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300B1
KR100209300B1 KR1019940004135A KR19940004135A KR100209300B1 KR 100209300 B1 KR100209300 B1 KR 100209300B1 KR 1019940004135 A KR1019940004135 A KR 1019940004135A KR 19940004135 A KR19940004135 A KR 19940004135A KR 100209300 B1 KR100209300 B1 KR 10020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illar
storage chamber
loop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토시 토야마
도모히코 아카시
가즈타카 기무라
후지오 나카무라
고이치 스기오카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346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46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346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981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015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3358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2Box-shaped seats; Bench-type seats, e.g. dual or twin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2륜차 혹은 자동3륜차 등의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 후부에 세워 설치된 좌우 1쌍의 필라 상부에 루프가 지지되어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루프가 부착된 자동2.3륜차 시이트의 시이트부의 높이를 낮게 유지하면서 시이트의 하부에 대용량의 물품수납실을 형성한다.
차체후부의 본체(B) 내부에 전방측수납실(151) 및 후방측수납실(152)을 상호 연통되게 형성하고, 그들의 상부개구를 각각 시이트(16)의 시이트부(161) 및 등받이부(162)로 개폐 가능하게 덮는다. 후방측수납실(152)은 시이트부(161)의 후방에서 루프를 지지하는 좌우 1싸의 필라(14) 간의 데드스페이스를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시이트부(161)의 높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높이가 높은 헬멧(H)을 수납할 수 있다.
전방측수납실(151)은 키가 낮은 물품의 수납에 이용되며 양 수납실(151)(152)을 동시에 사용하면 어태쉐이 케이스(A)와 같은 전체길이가 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전방측수납실(151)과 후방측수납실(152)의 하방에 주행용 파워유닛(P)를 배치하여, 차체길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물품수납실(15)을 확보 할 수 있다.
루프(12)의 만곡면(241)과 만곡면(242)의 경계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보스부(243)가, 만곡면(241)의 중간부에는 장착구멍(244)이, 또 만곡면(242)의 후면에는 윈도우부(245)가 각각 형성되며, 보스부(243)에는 태핑스크류(26)로 상부에서 하이마운트 스톱램프(250)가 장착되고, 또 장착구멍(244)을 통해 태핑스크류(247)로 하부에서 커버(260)가 장착되며, 이 커버(260)와 만곡면(241)(242)사이에 형성된 중공부(S)내에 상기 하이마운트 스톱램프(250)가 수납된다.
물품수납실(15)과 리어본체 커버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F)의 후부에 필라브라켓(232)이 장착되며, 이 필라브라켓(323)의 상단부에는 개구(316a)를 통해 리어본체커버의 외측으로부터 필라(14)의 하단을 체결하는 금속밴드(325)가 장착되며, 개구(316a)보다 하부위치에는 메인스탠드를 걸거나, 떼어낼 때 손을 질러넣는 그립부(316b)가 외측으로 팽창 돌출되고 있고, 이 그립부(316b)의 외측에 필라커버(330)가 끼워져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륜차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도.
제3도는 제2도에서 3부분의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선4-4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선5-5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의 선6-6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7-7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8-8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물품수납실 및 시이트의 확대측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대응하는 물품수납실의 종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11-11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선12-12에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제2도의 선13-13에 따른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14-14에 따른 단면도.
제15도는 제2도에서 15하부분의 확대도.
제16도는 제15도의 선16-16에 따른 단면도.
제17도는 필라 장착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상기 제7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18도는 제17도의 선18-18에 따른 단면도.
제19도는 완충기의 상단지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상기 제9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에 관한 램프의 배설구조를 적용한 경차량의 전체측면도.
제21도는 루프후부의 분해사시도.
제22도는 루프후부의 종단면도.
제23도는 제22도의 선23-23에 따른 단면도.
제24도는 제22도의 선24-24에 따른 단면도.
제25도는 루프를 후방에서 본 일부 절결도면.
제2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루푸후부의 종단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선27-27에 따른 단면도.
제28도는 제26도의 선28-28에 따른 단면도.
제29도는 동 필라지지구조를 적용한 경차량의 후부확대도.
제30도는 제29도의 선30-30에 따른 단면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리어본체커버의 측면도.
제32도는 본 발명의 리어본체커버의 평면도.
제33도는 본 발며의 필라커버의 측면도.
제34도는 본 발명의 필라커버의 평면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리어본체커버와 필라커버의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36도는 제3도의 요부확대도.
제37도는 그립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파워유닛행거 12 : 루프
13 : 필라지지브라켓 14 : 필라
15 : 물품수납실 151: 전방측수납실
152: 후방측수납실 15f :전방부재
15r : 후방부재 16 : 시이트
161: 시이트부 162: 등받이부
18 : 시이트캐치 21 : 제1링크(링크)
22 : 제2링크(링크) 53 : 시이트표피재
H : 헬멧 P : 파워유닛
221 : 본체부 222 : 벽부
226,271 : 러버부재 230 : 장착플레이트
231 : 브라켓 250 : 램프
260 : 커버 273 : 크로스부재
S : 중공부 F : 프레임
B : 리어본체커버 316a : 개구
316b : 그립부 323 : 필라브라켓
330 : 필라커버
본 발명은 자동2륜차 혹은 자동3륜차 등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 후방부에 세워 배설된 좌우 1쌍의 필라(pillar) 상부에 루프(roof)가 지지되어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런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로서 일본국 실개평3-61495호 공보의 제1∼제7도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물품수납실은 루프를 지지하는 좌우 필라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구부는 시이트(seat)의 등받이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물품수납실은 헬멧이 모두 수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기에 헬멧을 수납하면 다른 작은 물건을 수납하는 스페이스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헬멧을 수납하지 않는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부품을 수납할 수 없었다. 그래서, 물품수납실을 시이트의 시이트부 아래 까지 연장하여 거기에 헬멧을 수납할 수 있게 하면 시이트부의 높이가 상승되어 운전자의 자세가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이트부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면서 헬멧과 같이 높이가 높은 물품이나 네모난 소형소류가방인 어태쉐이케이스(attache case)와 같은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좌우 필라의 상단부 사이에 가로 기둥을 건너질러 설치하고, 이 가로 기둥내에 램프를 배설한 구조로서 일본국 실개평2-96388호에 개시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좌우 필라의 상단부 사이에 가로기둥을 건너질러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필라 자체의 형상이 복잡해지므로 제작이 번거롭다. 따라서, 본 발명은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의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high mount stop lamp)의 부착성과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일본국 실개평2-63288호에 개시된 경차량은 경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경우 차체커버의 후부 윗쪽의 측면에 조향을 하기 위한 그립을 부착하고 있다.
일본국 실개평2-632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전체를 박스형상으로 덮어 버리면 유지보수가 불편하거나 중량이 증가된다는 불이익이 있다. 한편, 일본국 실개평2-963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체 후부에 필라를 세워 배설하고, 이 필라로 루프를 지지하도록 하면 경량화를 꾀할 수는 있은나, 차체에 대한 필라 장착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보기가 흉하고 먼지 등이 끼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은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필라장착부를 외부로부터 감춤과 동시에 그립 보호를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는 차체 후부에 배설된 좌우 1쌍의 필라 차체장착부 사이에 헬멧을 수납할 수 있는 후방측수납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후방측수납실 앞쪽에 상기 후방측수납실보다 수납공간의 높이가 낮은 전방측수납실을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후방측수납실 및 전방측수납실의 상부면 개구를 각각 시이트의 등받이부 및 시이트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방측수납실과 후방측수납실의 수직하방에 주행용 파워유닛이 배치된 것을 제1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1특징과 아울러 시이트의 시이트부 및 등받이부의 경계 근방에서 시이트표피재를 시이트바닥판쪽에 매다는 것을 제2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1특징과 아울러 시이트를 닫음 위치로 잠그는 시이트캐치(seat catch)를 장착하는 시이트캐치 브라켓을, 필라를 차체에 장착하는 필라지지 브라켓에 지지하는 것을 제3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1특징과 아울러 후방측수납실 및 전방측수납실로 이루어진 물품수납실을 차체전후방향으로 분할한 2부재로 구성된 것을 제4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1특징과 아울러 주행용 파워유닛을 차체에 연결하는 파워유닛 행거를 복수의 링크로 구성한 것을 제5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1특징과 아울러 경차량의 운전석 상부에 배설되는 루프의 후단부에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 등의 등화기류를 배설한 것을 제6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1특징과 아울러 상기 루프를 지지하는 필라 하단은 필라 브라켓에 장착되면, 이 필라장착부의 근방에 차체 측방으로 돌출된 그립을 배설하고, 필라장착부 및 그립을 필라커버로 일체로 덮은 것을 제7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2륜차(V)의 차체프레임(F)의 앞쪽에는 하단에 전륜(Wf)을 현가하는 프론트포크(1)가 조향핸들(2)에 의해 좌우조향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차체프렘임(F)의 후부에는 엔진(E), 트랜스미션 케이스(M) 및 후륜(Wr)을 구비한 주지의 회동형 파워유닛(P)이 더블링크식 파워유닛 행거(3)를 통해 상하 용동 가능하게 회동지지되어 있으며, 그 파워유닛(P)의 후부와 차체프레임(F)이 완충기(4)를 통해 접속된다. 차체프레임(F)에는 연료탱크(5), 배터리(6) 및 오일탱크(7)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파워유닛(P)에는 에어크리너(8), 캬브레타(9) 및 머플러(10)가 설치된다.
차체프레임(F)을 덮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본체(B)의 앞쪽에는 윈도우시일드(11)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 원도우시일드(11)의 상단으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뻗은 루우프(12)의 후단이 차체프레임(F)의 후부에 필라지지브라켓(13)(13)을 통해 세워 설치된 좌우 1쌍의 필라(14)(14)상단에 지지된다.
파워유닛(P)의 상부를 덮는 본체(B)에는 헬멧(H)이나 어태쉐이 케이스(A)등의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수납실(15)이 형성된다. 물품수납실(15)의 상부개구는 운전자용 시이트(16)에 의해 덮여 있으며, 이 시이트(16)를 힌지(17)를 통해 차체 앞쪽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물품수납실(15)의 상부개구가 개방된다.
시이트(16)의 후단은 시이트캐치(18)에 의해 차체에 록크된다.
다음에, 제3∼제5도에 의거해서 파워유닛(P)을 차체프레임(F)에 지지하는 파워유닛 행거(3)의 구조를 설명한다.
파워유닛 행거(3)는 차체프레임(F)측에 접속된 제1링크(21)와, 파워유닛(P)측에 접속된 제2링크(22)를 구비한다.
제1링크(21)는 차제프레임(F) 좌우 1쌍의 사이드멤버(F1)(F1) 사이에 건너질러 설치된 것으로, 상기 사이드멤버(F1)(F1)에 각각 배설한 보스부(23)(23)를 관통하는 볼트(24)에 의해 고정되는 좌우 1쌍의 인너파이프(25)(25)와, 양 인너파이프(25)(25)사이에 끼워진 컬러(26)와, 양 인너파이프(25)의 외주에 삽입된는 아우터파이프(27)와, 아우터파이프(27)와 인너파이프(25)(25)에 외주 및 내주를 달구어 붙인 좌우 한쌍의 고무부시(28)(28)와, 아우터파이프(27)의 양단부를 폐색하는 좌우 한쌍의 갭(29)(29)과, 아우터파이프(27)의 양단부에 용접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한쌍의 제1아암(30)(30)과, 아우터파이프(27)에 용접되어 앞쪽 하부로 비스듬하게 뻗은 한 개의 제2아암(31)과, 제2아암(31)의 선단에 배설된 전후 한쌍의 고무댐퍼(32)(32)를 구비한다.
그리고 후부의 고무댐퍼(32) 뒷면은 좌우의 사이드멤버 (F1)(F1)를 접속하는 크로스멤버(F2)의 앞면에 대향시킴과 동시에, 앞쪽의 고무댐퍼(32) 앞면은 크로스멤버(F2)에 용접한 댐퍼수용부재(33)의 내면에 대향된다.
제2링크(22)는 파워유닛(P)과 상기 제1링크(21)를 접속하는 것으로서 제1링크(21)의 좌우 한쌍의 인너파이프(35)(35)와, 양 인너파이프(35)(35)사이에 끼워진 컬러(36)와, 양 인너파이프(35)(35)의 외주에 끼워맞춤되는 아우터파이프(37)와, 아우터파이프(37)와 인너파이프(35)(35)에 외주 및 내주를 소결한 좌우 한쌍의 고무부시(38)(38)와, 아우터파이프(37)의 양단부를 폐색하는 좌우 한쌍의 갭(39)(39)과, 아우터파이프(27)에 용접되어 차체 후방으로 뻗은 1개의 제1아암(40)과, 아우터파이프(27)에 용접되어 상부 방향으로 뻗은 1개의 제2아암(41)과, 제2아암(41)의 선단에 배설된 전후 1쌍의 고무댐퍼(42)(42)를 구비한다. 그리고 앞쪽의 고무댐퍼(42)는 제1링크(21)의 제2아암(31)에 용접된 댐퍼수용부재(43)에 대향되고, 후부의 고무댐퍼(42)는 제1링크(21)의 한쪽 제1아암(30)에 용접된 댐퍼수용부재(44)에 대향된다.(제5도 참조). 또, 제2링크(22)의 제1아암(40)의 후단은 파워유닛(P)의 전단에 돌설된 좌우 한쌍의 브라켓(45)(45)사이에 끼워져서 볼트(46)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후륜(Wr)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으로 파워유닛(P)에 상하 방향 혹은 전후방향의 하중에 작용하면 그 하중은 파워유닛(P)의 브라켓(45)(45)으로부터 파워유닛행거(3)의 제2링크922)에 전달되어 제2링크(22)를 볼트(34) 주변으로 회동시키려고 한다. 제2링크(22)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인너파이프(35)(35)와 아우터파이프(37)를 접속하는 고무부시(38)(38)가 비틀려서 상기 하중을 흡수함과 동시에, 제2링크(22)의 제1아암(41)에 배설된 고무댐퍼(42)(42)가 제1링크(21)의 전후 한쌍의 댐퍼수용부재(43)(44)에 가압접촉되어 상기 하중을 흡수한다.
파워유닛(P)으로부터의 하중은 제2링크(22)를 통해 제1링크(21)에도 전달되고, 이 제1링크(21)를 볼트(24) 주변으로 회동시키려고 한다. 제1링크(21)의 회동에 의해 그 인너파이프(25)(25)와 아우터파이프(27)를 접속하는 고무부시(28)(28)가 비틀려서 상기 하중을 흡수함과 동시에, 제1링크(21)의 제2아암(31)에 배설한 고무댐퍼(32)(32)가 크로스멤버(F2) 및 댐버수용부재(33)에 가압접촉되어 상기 하중을 흡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후륜(Wr)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은 파워유닛(P)과 차체프레임(F)사이에 배설한 더블링크식 파워유닛행거(3)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진동이 윈도우시일드(11) 및 필라(14)(14)로부터 루프(12)에 전달되기 어려워지므로, 루프(12)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는 제6도∼제8도에 의거해서 루프(12)의 후단을 지지하는 필라(14)(14)의 차체프레임(F)에 대한 장착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또, 좌우의 필라(14)(14)장착부의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그 한쪽(차체 좌측의 필라(14))에 대해 설명한다.
필라(14)의 하단을 지지하는 필라지지 브라켓(13)은 차체프레임(F)의 사이드멤버(F1)의 후단에 용접한 설편(51)에 2개의 볼트(52)(52)로 결합된다. 필라지지 브라켓(13)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시이트캐치를 지지하기 위한 시이트캐츠 브라켓(53)과, 손가락 걸개로서 이용되고 또한 후술하는 커버(54)의 지지에 이용되는 그립(55)과, 필라(14)의 하단을 고정하는 필라고정부재(56)가 상하 2개의 볼트(57)(57)로 공동으로 체결된다. 필라고정부재(56)는 금속판이 필라(14)를 끼우도록 절곡된 것으로서 중첩된 양단부가 상기 볼트(57)(57)로 필라지지 브라켓(13)에 고정된다.
필라(14)는 본체(B)에 형성한 개구(B1)를 통해 본체(B)외측에 상부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립(55)도 상기 개구(B1)를 통해 본체(B)의 외측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립(55)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합성수지제 커버(54)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슬릿(541)이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54)는 본체(B)의 개구(B1) 및 필라고정부재(56)를 덮는 위치에 고정된다. 커버(54)는 그립(55)보다 약간 큰 윤곽을 가지며, 그 앞쪽 가장자리 및 후부 가장자리는 차체 내측쪽으로 대략 원호상으로 만곡하여 본체(B)의 표면에 맞닿아 있다.(제8도참조). 그립(55)의 하부 가장자리는 개구되어 있으며, 여기에 손가락을 끼워넣음에 따라 차체를 잡아올려 스탠드를 일으켜 세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제9도∼제12도에 의거해서 물품수납실(15)의 구조를 설명한다.
물품수납실(15)은 상부면이 개방된 합성수지 용기로서 파워유닛(P)의 상부를 덮는 본체(B) 내부에 상부로부터 끼워맞춤된 상태로 유지되며, 그 상부면을 개폐가능하게 덮는 시이트(16)와 협동하여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을 구획한다. 물품수납실(15)은 상호 연통하는 앞쪽의 전방측수납실(151)과 후측의 후방측수납실(152)로 구성되며, 시이트(16)는 대략 수평한 앞쪽 시이트부(161)와, 상기 시이트부(161)의 후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뒤쪽을 향해 상승되도록 경사진 등받이부(162)로 구성된다.
물품수납실(15)은 앞쪽의 전방부재(15f)와 후부의 후방부재(15r)로 2분할 되어 있으며, 그 분할선(P)은 후방측수납실(152)의 대략 중앙부에 설정된다. 이와 같이 물품수납실(15)을 2개의 부재(15f)(15r)로 분할함에 따라 그 성형을 용이하게 또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 할 수 있다.
물품수납실(15)의 앞쪽은 좌우의 사이드부재(F1)(F2)에 배설한 한쌍의 브라켓(91)(91)에 각각 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또, 물품수납실(15)의 후부는 좌우의 사이드부재(F1)(F1)를 접속하는 크로스부재(F2)에 배설한 브라켓(93)에 볼트(94)를 통해 고정된다. 물품수납실(15)의 앞쪽 하부면의 상기 사이드부재(F1)(F1)에 대한 장착부 사이에는 오일탱크(7)를 수납하기 위한 상부 방향의 오목부(95)가 형성된다.(제10도 참조). 또, 제9도 및 제11도의 부호(96)는 완충기(4)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이다.
시이트(16)의 등받이부(162)하부에 구획되는 후방측수납실(152)은 비교적 큰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거기에는 헬멧(H)과 같이 높이가 높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시이트(16)의 시이트부(161)하부에 구획된 전방측수납실(151)은 비교적 높이가 낮으며 전후방향 길이가 큰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후방측수납실(152)과 협동하여 어태쉐이 케이스(A)와 같은 비교적 얇고 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가 안착하는 시이트부(161)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필라(14)(14)사이의 데드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거기에 비교적 큰 높이를 가진 후방측수납실(152)을 형성했으므로, 시이트(16)의 시이트부(161)의 높이, 즉 운전자의 힙(hip)포인트를 낮게 유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배면 높이가 높은 헬멧(H)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시이트(16)의 시이트부(161)의 하부에 비교적 높이가 낮은 전방측수납실(151)을 형성함에 따라 후방측수납실(152)이 헬멧(H)으로 막혀 있는 경우라도 작은 물건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 전후방측 수납실(151)(152)을 동시에 사용하여 어태쉐이 케이스(A))와 같은 길이가 큰 물품도 수납할 수 있다. 또, 좌우 한쌍의 필라(14)사이에 시이트(16)를 배설함에 따라 2인 승용시 양 필라(14)(14)사이의 데드스페이스를 후부측 승무원의 거주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시이트(16)후단을 양 필라(14)(14)의 장착위치보다 후방으로 연장하면 뒤쪽 승무원의 탑승공간을 더욱 확대할 수 있다.
다음에 제13도 및 제14도에 의거해서 시이트(16)를 차체에 록크하는 시이트캐치(18)에 대한 구조를 설명한다.
시이트캐치(18)의 기판(62)은 그 후단이 도어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시이트캐치 브라켓(53) 상단에 2개의 볼트(61)(61)로 고정됨과 동시에, 그 앞쪽이 물품수납실(15)의 후방부재(15r)의 상부 가장자리에 2개의 볼트(60)(60)로 고정되고, 본체(B)의 내부면과 물품수납실(15) 외부면 사이에 배설된다. 시이트캐치(18)의 기판(62) 전단에는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은 절결부(6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621)에 시이트(16) 후단에 볼트(63)로 고정된 올가미 형상의 걸림부재(64)가 끼워맞춤된다.
기판(62)에는 걸기부재(65) 및 록크부재(66)가 각각 핀(67)(68)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들 걸기부재(65) 및 록크부재(66)는 스프링(69)으로 서로 연결된다. 스프링(69)에 의해 압박된 록크부재(66)의 임시시계방향의 회동단은 기판(62)에 돌설된 스토퍼(622)에 의해 규제된다. 걸기부재(65)는 상기 절결부(621)의 상부에 있어서 걸림부재(64)에 계합가능한 후크(651)를 구비함과 동시에, 걸림부재(66)에는 상호 맞닿아 걸기부재(65)를 록크위치로 유지하는 캠면(653)(661)이 각각 형성된다. 록크부재(66)에는 상기 록크부재(66)에 의한 록크를 해제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릴 리즈레버에 접속하는 릴 리즈와이어(70)가 결착된다. 또, 제14도에 있어서 부호(71)는 물품수납실(15)과 시이트(16)사이를 시일하는 시일부재이다.
그리고, 물품수납실(15)의 상부면 개구를 닫는 위치를 향해 시이트(16)를 회동시키면 시이트(16)의 후단에 배설된 걸림부재(64)가 걸기부재(65)의 압압면(652)을 압압하고, 상기 걸기부재(65)를 스프링(69)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제13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 결과, 걸기부재(65)의 후크(651)가 걸림부재(64)에 걸어맞춤됨과 동시에, 걸기부재(65)의 캠면(653)이 록크부재(66)의 캠면(661)에 계합되며, 이로 인해 시이트(16)는 닫힘위치로 록크된다. 시이트(16)의 록크를 해제하기 위해 릴릴즈와이어(70)를 빼면 록크부재(66)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되고, 록크부재(66)의 캠면(661)이 걸기부재(65)의 캠면(653)으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걸기부재(65)가 스프링(69)의 탄발력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후크(651)가 걸림부재(64)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시이트(16)는 개방위치를 향해 회동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술한 시이트캐치(18)를 지지하는 시이트캐치 브라켓(53)을, 필라(14)(14)를 차체프레임(F)에 지지하는 강성이 높은 필라지지 브라켓(13)(13)에 장착함에 따라 시이트(16)를 닫힘위치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15도 및 제16도에 의거해서 시이트(16)의 구조를 설명한다.
시이트(16)는 시이트바닥판(81)과, 시이트표피재(82)와, 시이트바닥판(81) 및 시이트표피재(82)에 끼워진 쿠션재(83)로 구성된다.
시이트(16)의 시이트부(161)와 등받이부(162)와의 경계부 근방에 있어서 쿠션재(83)의 상부면에 차체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홈 (83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홈(831)에 연통하여 쿠션재(83) 및 시이트 바닥판(8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84)..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84).. 은 차체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실시예에서는 3개)형성된다.
상기 홈(831)에 대응하는 시이트표피재(82)의 뒷면 3부위에는 시이트형상의 매단끈(85)..의 일단이 연결부재(86)...를 통해 꿰매어져 있고, 이들 매단끈(85)..의 타단은 상기 구멍(84)...을 하부쪽으로 관통하여 시이트 바닥판(81)의 뒷면에 걸기부재(87)...에 의해 걸어맞춤된다.
그리고, 시이트표피재(82)의 표면을 홈(831)의 안쪽으로 끌여들임에 따라 그 헐거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시이트(16)의 등받이부(162)에 부착된 빗물이 시이트부(161)쪽으로 흐르더라도 그 빗물은 시이트표피재(82)를 안쪽으로 구부러진 상기 당김부를 따라 차체 좌우방향으로 배출되어 시이트부(161)가 젖는 것을 최대한 회피할 수 있다.
또, 제12도에서 밝혀졌듯이, 시이트(16)의 바닥판(81)은 그 좌우방향 중앙부가 물품수납실(15)의 내부쪽을 향해 하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이로인해 상기 바닥판(81)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노면과 시이트(16)의 시이트부(161)의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쿠션재(83)의 두께를 증가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17도 및 제18도에 의거해서 필라(14)(14)장착부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각 필라(14)의 하단이 각각 상하 1 쌍의 탄성지지부재(101)(101)를 통해 차체에 지지된다. 턴성지지부재(101)는 외측 칼라(102) 및 내측 칼라(103) 사이에 원통형상의 부시 러버(104)를 가열접착하여 고정한 것으로서 그 외측 칼라(102)가 필라(14)를 관통하여 용접된지지 칼러(105)내주에 압입함으로써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재(101)의 내측 칼라(103)를 관통하는 볼트(57)가 그립(55), 필라지지 브라켓(13) 및 시이트캐치 브라켓(53)을 관통하여 그것들을 일체로 공통으로 체결한다.
그리고, 차체프레임(F)의 사이드부재(F1)(F1)로부터 좌우의 팔라지지브라켓(13)(13)에 전달된 진동은 상기 4개의 탄성지지부재(10)...에 의해 좌우의 필라(14)(14)에 대한 전달이 저지되고, 상기 더불링크식 파워유닛 행거(3)에 의한 방진효과와 함께 필라(14)(14)에 지지한 루프(12)의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19도에 의거해서 완충기(4)의 상단지지부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좌우의 사이드부재(F1)(F1)를 접속하는 크로스부재(F2)에 용접된 브라켓(96)이 상부쪽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으며, 이 브라켓(96)을 수용하기 위해 후방측수납실(152)의 저벽이 상부쪽으로 볼록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후방측수납실(152)의 저벽에 형성된 상기 블록형상 만곡부는 상기 후방측수납실(152)에 수납되는 헬멧(H)의 내부공간에 돌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헬멧(H)의 수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브라켓(96)을 상부로 돌출시킴에 따라 완충기(4)의 스트로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제20도-제28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6특징인 등화기류를 배설한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0도는 본 발명에 관한 램프의 배설구조를 적용하는 스쿠터타입의 경차량의 전체측면도로서, 이 경차량은 앞뒤로 뻗은 프레임(F)의 전단부에 헤드파이프(202)를 장착하고, 이 헤드파이프(202)에 조향축(203)를 관통 삽입하고, 이 조향축(203)의 상단에 핸들(2)을 장착하고, 또 조향축(203)의 하단에는 프론트포크(1)를 장착하고, 이 프론트포크(1)의 하단에 전륜(Wf)의 축을 지지하고 있다.
또, 프레임(F)의 중간부에는 연료탱크(5)를, 이 연료탱크(5)보다 약간 뒤쪽인 상부에는 오일탱크(7)를 장착하고, 또 연료탱크(5)보다 후방 위치에는 링크기구(22)를 통해 엔진, 동력전달기구 등으로 이루어진 파워유닛(P)의 전단부를 연결하고, 이 파워유닛(P)의 후부와 프레임(F)의 후부사이에 완충기(4)를 개설함과 동시에 파워유닛(P)의 후부에서 후륜(Wr)의 축을 지지하고 있다.
또, 프레임(F)은 커버류로 덮여져 있다. 즉, 프레임(F)이 세워 배치된 앞부분에는 레그시일드(213)가 배설되며, 이 레그시일드(213)의 전면에는 프론트본체커버(214)가 장착되고, 또 레그시일드(213)에 연속해서 발을 얹는 플로어(215)가 배설되고, 이 발을 얹는 플로어(215)의 후부에 연속되게 리어본체커버(B)가 배설되며, 이 리어본체커버(B)의 내측에서 좌우 프레임 사이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연속적으로 헬멧 등을 수납하는 물품수납실(15)이 배설되고, 이 물품수납실(15)의 전단부에는 시이트(16)가 그 전단부를 회전점으로 개폐가능하게 지지되며, 리어본체커버(B)의 후단에는 테일앤드스톱램프 및 방향지시램프를 조립한 콤비네이션 램프(23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본체커버(214)의 상단부에는 윈도우 시일드(11)의 하단부가 지지되고, 이 윈도우 시일드(11)는 운전석의 상부까지 뻗어 루프(12)가 되며, 이 루프(12)의 후단은 필라(14)로 지지되고 있다.
다음에, 루프(12) 후부의 구조를 제21도 내지 제25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21도는 루프후부의 분해사시도, 제22도는 구프후부의 종단면도, 제23도는 제22도의 선23-23에 따른 단면도, 제24도는 제22도의 선24-24에 따른 단면도, 제25도는 루프를 후방에서 본 일부 절결도면이다.
우선, 루프(12)와 필라(14) 결합부에 대해 설명하면 루프(12)의 후부 저면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통형상부(221)가 형성되며, 이 통형상부(221)내에는 벽부(222)가 배설되고, 이 벽부(222)의 대략 중앙에는 소직경의 통형상부(223)가 형성되며, 또 벽부(222)에는 개구(224)(22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필라(14)의 상단에는 캡형상 러버부재(226)가 씌워지며, 이 러버부재(226)에는 상기 소직경의 통형상부(223)에 끼워맞춤되는 구멍(227)과, 상기 개구(224)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돌기(228)가 형성되어 있다.
러버부재(226)는 필라(14)로부터의 진동이 루프(1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러버부재(226)와 필라(14) 상단 사이에는 진동 등에 의해 러버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프레임(229)을 개재하고 있다.
또, 필라(14)의 상단 내측에는 장착플레이트(230)를 리벳으로 고착하고 있다. 이 장착플레이트(230)는 상기 개구(225)를 관통하여 벽부(222) 상부까지 뻗으며, 그 선단에는 브라켓(231)이 볼트로 조여져 있다. 이 브라켓(231)은 앵글형상을 이루며, 수평부에는 상기 소직경의 통형상부(223)에 끼워맞춤되는 구멍(232)이 형성되고, 수평부 하면은 상기 돌기(228)에 맞닿아 벽부(222)상부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루프(12)와 필라(14)를 결합하려면 장착플레이트(230)를 고착함과 동시에 러버부재(226)를 씌운 필라(14) 상단부를 하부로부터 통형상부(221)안에 삽입하고, 한편 통형상부(221)의 벽부(222) 상부면에는 미리 브라켓(231)을 세트시켜 두고, 이 브라켓(231)과 장착플레이트(230)를 볼트로 결합함으로서 완료된다.
한편, 루프(12)의 후부는 후방과 좌우 양측을 향해 서서히 하부로 경사진 만곡면(241)과, 이 만곡면(241)에 연속적으로 후방과 좌우 양측을 향해 서서히 상부로 경사진 만곡면(242)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만곡면(241)(242)사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만곡면(241)과 만곡면(242)의 경계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보스부(243)가 만곡면(241)의 중간부에는 장착구멍(244)이, 또 만곡면(242)의 뒷면에는 윈도우부(245)가 각각 형성되며, 보스부(243)에는 태핑스크류(246)로 상부로부터 하이마운트스톱 램프(250)가 장착되고, 또 장착구멍(244)을 통해 태핑스크류(247)에 의해 하부로부터 커버(260)가 부착되며, 이 커버(260)와 만곡면(241)(242)사이에 형성된 중공부(S)내에 상기 하이마운트 스톱램프(250)가 수납된다.
하이마운트 스톱램프(250)는 차폭방향으로 뻗은 투명케이스(151)를 상기 윈도우부(245)에 향하게 함과 동시에 투명케이스(251)내에 다수의 발광소자(LED)(252)를 배치하고, 또 케이스(251)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걸어맞춤편(253)으로 윈도우부(245)의 상부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커버(260)는 상기 태핑스크류(247)가 나사결합된 보스부(261)를 하부면으로 돌출시키고, 그위에 좌우 양측을 향해 서서히 하부로 경사진 만곡형상으로 이루고, 그 주변가장자리 형상은 상기 루프(12)의 만곡면(242)의 상부 가장자리부형상에 적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6도는 루프(12)와 필라(14)의 결합구조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루프 후부의 종단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선 27-27에 따른 단면도, 제28도는 제26도의 선 28-28에 따른 단면도로서, 루프(12)와 커버(260)사이에 형성된 중공부(S)에 하이마운트 스톱램프(250)가 수납되어 있는 점이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형상부(221)내에 링형상의 돌출부(270)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270)에 통형상 러버부재(271)의 외주부를 걸어맞춤하고, 이 통형상 러버부재(271)내에 필라(14)를 관통 삽입시키고 있다.
또, 루프(12)에는 보스부(272)를 돌출되게 배설하고, 이 보스부(272)에 앵글 형상 크로스부재(273)를 부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스부(272)는 차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이 보스부(272)에는 러버링(274)을 끼운 부재(275)를 나사(276)로 체결함으로서 부착된다.
또한, 크로스부재(273)의 양단에는 금속벨트(277)가 용접되어 있으며, 이 금속벨트(277)를 필라(14)의 상단에 감아 볼트(278)로 체결함으로서 루프(12)와 필라(14)가 결합된다. 여기서, 금속벨트(277)에는 구멍(277a)이 형성되며, 필라(14)의 상단에는 구멍(277a)에 끼워맞춤된 돌기(220a)가 형성되어 있다. 아와 같이 구멍(277a)에 돌기 (220a)를 끼움으로서 필라(14) 하부에 대한 배출을 방지 할 수 있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 상부에 대한 배출은 필라(14)의 상단이 크로스부재(273)에 부딪치므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등화기류로서 하이마운트 스톱램프를 나타냈으나, 테일램프, 정규의 스톱램프, 방향지지기 등의 램프 혹은 리플렉터라도 상관없다. 등화기류를 루우프중간 뿐만 아니라 루프의 상부 혹은 하부에 배설해도 된다.
다음에 제29도-제37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7특징인 필라지지구조를 배설한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필라(14)의 하단을 장착한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차체의 후부구조를 제29도 내지 35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29도는 차체의 후부확대도, 제30도는 제29도의 선 30-30에 따른 단면도, 제31도는 리어본체커버의 측면도, 제32도는 리어본체커버의 평면도, 제33도는 필라커버의 측면도, 제34도는 필라커버의 평면도, 제35도는 제30도의 요부확대도이다.
제29도 및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프레임(F)(도면에서는 좌측 프레임을 도시했으나 실제로는 좌우 한쌍이다)사이에는 상반부(322a)와 하반부(322b)로 이루어진 물품수납실(15)을 배치하고, 이 물품수납실(151)과 리어본체커버(B)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F)의 후부에 필라브라켓(323)을 볼트(324)로 장착하고 있다. 이 물품수납실(15)은 헬멧(H)을 수납하는 외에 어터슈케이스(322d)등의 폭이 넓은 물건을 수납하기 위해 중앙을 측방에 대한 팽창 돌출부(322e)로 하고 있다. 또, 프레임(F)의 후부에는 운반용 후크(301a)를 형성하고 있다.
또, 필라(14)의 하단에는 금속밴드(325)가 감겨지고, 리어본체커버(B)에는 제31도 및 제32도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316a)가 형성되며, 개구(316a)보다 하부위치에는 메인스탠드를 걸거나, 떼어내거나 할 때 손을 질러넣는 그립부(316b)가 외측으로 팽창 돌출하고 있고, 또 개구(316a) 및 그립부(316b)주변에 걸어맞춤구멍(316c)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316a)를 통해 리어본체버버(B)의 외측으로부터 필라브라켓(32)의 상단부에 상기 금속밴드(325)를 볼트(326)로 체결하여 장착하고 있다. 또, 볼트(326)는 2개 사용하고, 한쪽의 볼트(326)에 의해 필라브라켓(323)의 상단부에 시이트캐치 브라켓(327)이 공동으로 체결되고, 이 시이트캐치 브라켓(327) 차폭방향의 중간부에는 시이트(317)의 후단부에 배설한 후크(317a)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편(328)이 장착되어 있다. 또, 그립부(316b)의 외측에는 필라커버(330)가 질러넣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다.
또, 필라커버는 고무형상의 커버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이어도 된다. 필라커버(330)는 제33도 내지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3각형상을 이루는 기부(330a)로 그립부(316b)를 에워싸고, 기부(330a)로부터 일체적으로 후부 상부쪽으로 비스듬하게 개구(316a)를 감추는 반통 형상의 기립부(330b)가 기립되고, 이 기립부(330b)상단에는 필라(14)가 관통하는 구멍(330c)이 형성되며, 주변 가장자리부에는 5군데에 상기 걸어맞춤구멍(316c)이 끼워진 돌기(330d)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필라커버(330)의 하부 가장자리부에는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접는 부분(331)이 형성되고, 이 되접는 부분(331)에는 개구(33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6도의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라커버(330)를 그립부(316b)의 하부로부터 필라커버(330)의 하부 가장자리부와 되접는 부분(331)사이에 그립부(316b)를 끼워넣듯이 질러넣으면 되접는 부분(331)이 눌려져 개구(331a)가 그립부(316b)에 형성된 돌기(316c)에 걸어맞춤된다. 이 계합에 의해 필라커버(330)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며 그후 상기한 바와 같이 질러넣기구조로 필라커버(330)를 부착한다.
제37도는 그립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립(316b) 의 강도를 꾀하기 위해 필라 브라켓(323)의 외측에 보강편(340)을 용접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로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본 발명은 자동2륜차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3륜차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루프를 지지하는 좌우 1쌍의 필라차체장착부 사이에 후방측수납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전방에 후방측수납실 보다 높이가 낮은 전방측수납실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방측수납실 및 전방측수납실의 상부면 개구를 각각 시이트의 등받이부 및 시이트부에서 개폐가능하게 덮음으로써 좌우 필라 사이의 데드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고 또 운전자의 힙(hip)포인트 높이에 영향을 주지 않고 후방측수납실을 형성하여 뒤쪽이 높은 헬멧을 합리적으로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측수납실을 이용해서 작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헬멧을 수납하지 않을때에는 양 수납실을 이용해서 예를 들면 어태쉐이케이스와 같은 전체길이가 큰 물품도 수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시이트의 시이트부 및 등받이부의 경계근방에서 시이트표피재를 시이트 저판측에 매담에 따라 시이트표피재의 이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시이트부와 등받이부의 경계 근방에 형성되는 홈에 의해 등받이부를 전달하여 흐르는 빗물을 측방으로 배출하고, 시이트부가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시이트를 닫음위치로 로크하는 시이트캐치를 장착하는 시이트캐치 브라켓을, 필라를 차체에 장착하는 필라지지 브라켓에 지지함에 따라 시이트캐치를 강성이 높은 부분에 장착하여 시이트를 확실하게 록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특징에 따르면 후방측수납실 및 전방측수납실로 이루어진 물품수납실을 차체 전후방향으로 분할된 2부재로 구성함에 따라 물품수납실의 구성부품을 소형화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특징에 따르면 주행용 파워유닛을 차체에 연결하는 파워 유닛행거를 다수의 링크로 구성함에 따라 파워유닛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필라 및 루프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특징에 따르면, 경차량의 운전석 상부에 배설되는 루프의 후단부에 등화기류를 배설하였으므로, 필라의 상단부간에 가로 기둥을 건너질러 설치하는 등 필라자체의 형상을 특수한 형상으로 할 필요가 없으며, 제작이 용이하고, 또 루프에 등화기류를 고착한 후에 필라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조립성이 뛰어나고 조립 후의 내구성도 뛰어나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운전석의 상부에 루프를 배설한 경차량에 있어서, 상기 루프를 지지하는 필라 하단은 필라 브라켓에 장착하고, 이 필라 장착부 근방에 차체측방으로 돌출된 그립을 배설하고, 필라장착부 및 그립을 필라커버로 일체로 덮었으므로, 그립커버를 전용으로 부착할 필요가 없으며, 필라장착부를 눈에 띄지 않고, 또 그립보다 필라커버쪽이 외측에 위치하므로, 범퍼의 역할도 발휘된다.

Claims (7)

  1. 차체후부에 세워 배설한 좌우 1쌍의 필라(14) 상부에 루프(12)가 지지되어 부착된 경차량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필라(14)의 차체장착부 사이에 헬멧(H)을 수납할수 있는 후방측수납실(152)을 형성함과 동시에, 후방측수납실(152)의 전방에 상기 후방측수납실(152)보다 수납공간의 높이가 낮은 전방측수납실(151)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방측수납실(152) 및 전방측수납실(151)의 상부면 개구를 각각 시이트(16)의 등받이부(162) 및 시이트부(161)에서 개폐 가능하게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방측수납실(151)과 후방측수납실(152)의 수직하방에는 주행용 파워유닛(P)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시이트(16)의 시이트부(161) 및 등받이부(162)의 경계 근방에서 시이트 표피재(82)를 시이트바닥판(81)측에 달아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시이트(16)를 닫힘위치로 잠그는 시이트캐치(18)를 장착하는 시이트캐치 브라켓(53)을, 필라(14)를 차체에 장착하는 필라지지 브라켓(13)에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후방측수납실(152) 및 전방측수납실(151)로 이루어진 물품수납실(15)을 차체전후방향으로 분할한 2개의 부재(15f)(15r)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주행용 파워유닛(P)은 복수의 링크(21)(22)로서 구성한 파워유닛 행거(3)에 의해 차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2)의 후단부에 하이마운트 스톱램프(250)와 같은 등화기류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2)를 지지하는 필라(14)의 하단은 필라 브라켓(323)에 장착되며, 이 필라 장착부 근방에 차체 측방으로 돌출된 그립(316b)을 배설하고, 필라장착부 및 그립을 필라커버(330)로 일체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구조.
KR1019940004135A 1993-03-04 1994-03-03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 KR100209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43461 1993-03-04
JP04346193A JP3294658B2 (ja) 1993-03-04 1993-03-04 軽車両用灯火器類の配設構造
JP04346093A JP3398168B2 (ja) 1993-03-04 1993-03-04 ルーフ付き軽車両のピラー支持構造
JP93-43460 1993-03-04
JP17015293A JP3333589B2 (ja) 1993-03-17 1993-07-09 ルーフ付き軽車両における物品収納室構造
JP93-170152 1993-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9300B1 true KR100209300B1 (ko) 1999-07-15

Family

ID=2729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135A KR100209300B1 (ko) 1993-03-04 1994-03-03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09300B1 (ko)
CN (1) CN1101763C (ko)
IT (1) IT1268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8789B2 (ja) * 1998-07-16 2008-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後部収納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75Y2 (ko) * 1986-10-14 1993-05-20
FR2649064A1 (fr) * 1989-06-30 1991-01-04 Ith Sovanna Habitacle telescopique, rigide, entierement transparent, integrant les arceaux de protection pour vehicules a deux roues, trois roues et quatre ro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170A (zh) 1995-01-11
ITTO940144A1 (it) 1995-09-03
CN1101763C (zh) 2003-02-19
ITTO940144A0 (it) 1994-03-03
IT1268031B1 (it) 199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609B2 (en) Storage box structure
JP4332010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物品収納構造
JP4252876B2 (ja) 自動二輪車
KR100584110B1 (ko)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
JP2005112310A (ja) 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4119344B2 (ja) 自動二輪車
US20040124031A1 (en) Rear structure of motorcycle
US6405771B1 (en) Bicycle cover adapted for use with a vehicle-mounted bicycle rack
US20040108160A1 (en) Rear structure of motorcycle
KR100209300B1 (ko) 루프가 부착된 경차량의 물품수납실 구조
EP1524178B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light vehicle
JP3333589B2 (ja) ルーフ付き軽車両における物品収納室構造
JP3367760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4145766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H107054A (ja) スクータ型車両の収納装置
JP2710067B2 (ja) スクータ型車輛の収納箱装置
JP3036097U (ja) 自動二輪車のバッテリボックスの取付構造
JPH0516072Y2 (ko)
FR2707239A1 (fr) Structure de conteneur d'objets pour véhicule léger équipé d'un toit.
JP2020050284A (ja) 鞍乗り型車両の荷物搭載構造
JP4010899B2 (ja) スイングユニット式車両
JP4681017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2762083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2008168889A (ja) 自動二輪車
JP2005112311A (ja) 自動二輪車のバックレス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