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817B1 - 다수 데크부를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다수 데크부를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817B1
KR100205817B1 KR1019960031577A KR19960031577A KR100205817B1 KR 100205817 B1 KR100205817 B1 KR 100205817B1 KR 1019960031577 A KR1019960031577 A KR 1019960031577A KR 19960031577 A KR19960031577 A KR 19960031577A KR 100205817 B1 KR100205817 B1 KR 100205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elector
power
pow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028A (ko
Inventor
김오중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3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817B1/ko
Publication of KR98001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6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데크부들을 포함한 듀플리케이터/더블데크 등과 같은 시스템에서 기능부위별 선택 구동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이러한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소정 데크부의 소정 기능 부위에서 고장이 났을때는 고장난 기능부위를 수리하지 않는한 이러한 시스템의 복사/재생 등의 기능을 수행할수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되어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상기 시스템의 전원부(23)와 데크부(31∼3n) 들 사이에 연결 되어져서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의 제어하에 전체 또는 일부분의 데크부에만 제한적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선택 연결하여 주는 전원선택부(1)와, 다수 데크부의 기능 부분별로 분리시킨 비디오 처리부(31a,32a)들과 프리앰프부(31b,32b)들 사이에서 이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기능부분 선택부(12)와, 상기 전원선택부(1)에 사용자가 설정한 데크부들에만 전원이 가해지도록 제어하고 시스템 고장이 있을때는 기능부분 선택부(12)를 통한 기능부분 연결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동작의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데크부을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를 제공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다수 데크부을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
본 발명은 다수의 데크부를 포함한 테이프 복사장치(일명, 듀플리케이터; Duplicator) 등과 같은 시스템에서 기능 부위별 구동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테이프 복사장치 등과 같이 복수개 데크 유니트를 이용한 동시 녹화/순차재생/ 더빙 기능 등을 수행할때 데크 유니트를 이루고 있는 비디오 처리부와 프리앰프부등의 어느 부위에 고장이 났을때도 고장이 나지 않은 다른 기능부위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시스템의 이용을 호환성있게 운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외부의 비디오 소스나 비디오 프로그램이 녹화된 녹화 테이프로부터 다수의 빈 테이프에 녹화를 동시 진행하거나 순차 재생, 더빙 기능 등을 수행할 때는 듀플리케이터라는 테이프 복사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전형적 형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복수의 데크 유니트(51∼53)가 복사장치 본체(5)의 전면 측으로부터 양면 손잡이(b)를 이용하여 결합되어지고 이 데크 유니트(51∼ 53)에는 제각기 테이프 장입을 위한 테이프 삽입부(a)와 전원 스위치 등이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복사 장치의 배면에는 도 2와 같이 외부연결 잭부(d)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이들은 제각기 리모콘 입/출력잭(e), 오디오 입/출력잭(f), 비디오 입/출력잭(g) 등이 배열 설치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복사 장치의 시스템 회로는 도 3과 같이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상기 데크 유니트(51∼53)는 제각기 엘시(L/C) 모터와 연결되는 시스콘 회로(56)와, 드럼 모터 및 캡스턴 모터와 연결되는 서보 회로(59)와, 하이파이 오디오 헤드(HFH) 등과 연결되어져 있는 오디오 회로(57)와, 비디오 헤드(PRH)와 연결되어져 있는 비디오 회로(58) 등을 포함하고 있고, 복사기 장치의 본체(54)에는 시스템 제어의 마이크로 컴퓨터(55a)를 포함한 메인 회로 (55)와, 선택스위치/경고표시기 등을 포함하는 후론트 회로(61)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입출력잭 등과 관련된 백(BACK) 회로(60), 시스템의 전원 공급회로(62)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 상기 데크 유니트(51∼53)들이 복사장치 본체(5) 측에 결합될 때는 도 3과 같이 A, B, C 점들을 포함한 접속점들이 이어져서 복사장치 본체 (5)와 데크 유니트(51∼53)들간의 접속 상태를 이루면서 오디오 입력(AI), 비디오 입력(VI) 측에 제각기 비디오 복사/재생를 위한 외부 비디오 신호가 접속되면 데크 유니트(51∼53)들을 통한 테이프의 복사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복사 장치에서 복사장치 본체(5)에 제각기 결합되는 다수의 데크 유니트(51∼53)들이 외부의 비디오 소스로부터 제각기 녹화가 진행되어 완성된 제품의 테이프는 이것을 재생하여 보면 제대로 녹화가 진행 되었는가를 알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듀플리케이터는 상기 데크 유니트(51∼53)들이 동시 복사기능외에 순차재생/더빙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한 동시 복사 기능외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동작이 불필요한 데크 유니트에 전원이 그대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불요 전력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외에도, 종래에는 브이시알 두개가 합쳐져서 더빙기능 동시녹화, 방송녹화/재생등의 기능을 수행할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도 4와 같이 나타 내었다.
여기서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입출력부(21)와, 다수의 데크중에 제각기 포함 되어져 있는 데크측 마이크로 컴퓨터(z)와, 비디오 회로(x), 프리앰프(y), 비디오 헤드(v) 등을 포함하고 있는 데크부(31∼3n)들과, 이들 데크부(31∼3n)들의 마이크로 컴퓨터(z)와 각기 이어져서 정보를 주고 받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와, 이들 각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3)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상기 독립된 데크부(31∼3n)들은 제각기 비디오 처리부(x)와 프리앰프부(y)등이 독립된 기판으로 연결 되어져 있고, 이러한 기판들의 집합에 의하여 시스템 구성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하나의 데크부에 제각기 비디오 처리부(x)와 프리앰프부(y)등이 포함 되어져 있을때 이들중 어느 하나의 기능 부위에 고장이 났을때는 그 데크부의 구동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재생 작업시에 문제가 되는 것이었다.
일례로, 더블데크에서 A 데크의 프리앰프부에 이상이 있을때는 이 A 데크를 이용하지 못하고 B 데크를 이용하게 된다던가 또는 B 데크의 비디오 처리부에 이상이 있을때는 역시 B 데크의 이용이 불가능 하므로 A 데크를 이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복사장치나 더블데크 시스템에서 지금 사용하고 있는 데크부의 기능 부위별 고장이 있을때는 함께 구비된 다른 데크의 같은 기능부위를 이용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시스템의 호환적 이용을 기대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시스템의 전원부와 데크부 들 사이에 연결 되어져서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하에 기능 부위별로 제한적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선택 연결 하여주는 전원선택부와, 이 전원선택부에 사용자가 설정한 기능 부위별 부위에만 전원이 가해지도록 제어하고 기능부분 선택부를 통하여 고장난 기능 부위가 있으면 이것에 대신한 기능 부위를 연결하여 주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와, 각 데크측의 비디오 처리부와 프리앰프부들 사이에 연결 되어져서 프리앰프부들을 비디오 처리부들측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기능부분 선택부를 포함한 구성의 다수 데크부을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 더 상세히 설명하여 봄으로써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비디오 테이프 복사장치의 정면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 회로 블록도
도 4는 도 3과 관련된 시스템 전원을 중심으로 한 또다른 종래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부위별 구동부가 구비된 시스템 회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전원 선택부 12 : 기능부분 선택부
21 : 입출력부 22 : 신호선택부
23 : 전원부 24 : 메인마이크로 컴퓨터
31,32 : 데크부 31a,32a : 제1,2비디오 처리부
31b,32b : 제1,2 프리앰프부
즉,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수 데크부을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의 요부 회로 블록을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상기 시스템의 전원부(23)와 데크부(31,32) 들 사이에 연결 되어져서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의 제어하에 전체 또는 일부분의 데크에만 제한적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선택 연결 하여주는 전원선택부(11)와, 이 전원선택부(11)에 사용자가 설정한 기능 부위별 부위에만 전원이 가해지도록 제어하고 기능부분 선택부(12)를 통하여 고장난 기능 부위가 있으면 이것에 대신한 기능 부위를 연결하여 주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와, 각 데크측의 비디오 처리부(31a,32a)와 프리앰프부(31b,32b)들 사이에 연결 되어져서 프리앰프부(31b,32b)들을 비디오 처리부(31a,32a)들 측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기능부분 선택부(1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뤄져 있다.
상기 전원선택부(1)는 전원부(23)와 데크부(31,32)들 사이에서 전원을 연결하거나 끊어주는 다수의 전원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 하거나 또는 이와 균등한 옵토 카플러등의 스위치로 구성할 수가 있으며, 기능부분 선택부(12)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로 제어되는 전자 스위치들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동시 녹화/재생시등에는 전원부(23)로 부터 신호 입출력부(21), 신호 선택부(22),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 데크부(31,32)들에 제각기 구동 전원이 제공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 다수의 데크부(31,32)들중에 어느 하나 또는 임의개만 구동 시킬때는 사용자가 이들 데크부(31,32)들중에 임 의 데크부를 선택하도록 한 명령을 키입력부등을 통하여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에 제공하면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는 전원 선택부(1)의 선택된 릴레이 스위치들을 온 상태로 하고 나머지는 오프 상태로 하게 되면 선택된 데크부(31,32)에만 전원부(23)가 연결 되고, 이외의 데크부들은 전원 투입이 없기 때문에 시스템에서는 소정 데크부를 이용한 테이프 복사/ 순차재생/더빙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2개의 데크부(31,32) 중에 제1 데크부(31)가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프리앰프부(31b)에서 고장이 났을때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는 기능부분 선택부(12)를 제어하여 제2 데크부(32)의 프리앰프부(32b)를 제1 프리앰프부(31a)측으로 연결시켜 제1 데크부(31)의 구동을 계속 할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데크부(31,32) 중에 제2 데크부(32)가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프리앰프부(32b)에서 고장이 났을때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는 기능부분 선택부(12)를 제어하여 제1 데크부(31)의 프리앰프부(31b)를 제2 프리앰프부(32a)측으로 연결시켜 제2 데크부(31)의 구동을 계속 할수가 있다.
또, 상기 2개의 데크부(31,32) 중에 제1 데크부(31)가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비디오 처리부(31a)에서 고장이 났을때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는 기능부분 선택부(12)를 제어하여 제2 데크부(32)의 비디오 처리부(32a)를 제1 프리앰프부(31a)측으로 연결시켜 제1 데크부(31)의 구동을 계속 할수가 있다.
또, 상기 2개의 데크부(31,32) 중에 제2 데크부(32)가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비디오 처리부(32a)에서 고장이 났을때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는 기능부분 선택부(12)를 제어하여 제1 데크부(31)의 비디오 처리부(31a)를 제2 프리앰프부(32a)측으로 연결시켜 제2 데크부(31)의 구동을 계속 할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2개의 데크부(31,32)를 포함한 브이시알 시스템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 이상의 데크부들을 포함한 시스템에서도 릴레이 스위치 등의 개수만 증설될 뿐 그 기본적 형태는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데크부를 포함한 브이시알 시스템에서 데크부를 구성하는 기능 부분별로 시스템을 운용할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운데 다운된 기능 부분에 대한 대체된 기능 부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의 기능 부분별 고장으로 인한 녹화/재생 동작 불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자동 복구할수 있어 이러한 시스템 이용의 편리성을 확보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데크 유니트들과, 이들을 제어하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 전원부 등을 포함한 브이시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전원부(23)와 데크부(31∼3n)들 사이에 연결되어져서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의 제어하에 전체 또는 일부분의 데크부에만 제한적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선택 연결 하여주는 전원선택부(1)와, 다수 데크부의 기능 부분별로 분리시킨 비디오 처리부(31a,32a)들과 프리앰프부(31b,32b)들 사이에서 이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기능부분 선택부(12)와, 상기 전원선택부(1)에 사용자가 설정한 데크부들에만 전원이 가해지도록 제어하고 시스템 고장이 있을 때는 기능부분 선택부(12)를 통한 기능부분 연결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동작의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2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데크부을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
KR1019960031577A 1996-07-30 1996-07-30 다수 데크부를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 KR100205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577A KR100205817B1 (ko) 1996-07-30 1996-07-30 다수 데크부를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577A KR100205817B1 (ko) 1996-07-30 1996-07-30 다수 데크부를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028A KR980011028A (ko) 1998-04-30
KR100205817B1 true KR100205817B1 (ko) 1999-07-01

Family

ID=1946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577A KR100205817B1 (ko) 1996-07-30 1996-07-30 다수 데크부를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8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028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0739B1 (en) System feature starting method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dio/visual system
US5732059A (en) Synchronous dubb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205817B1 (ko) 다수 데크부를 포함한 브이시알에서 기능부위별 구동회로
US5712738A (en) Method of controlling signal lines among audio and/or video apparatus
KR980009569U (ko) 다수 데크부를 포함한 브이시알의 제한전원 공급회로
US5623572A (en) Double-deck videocassette recorder
JPH0227391Y2 (ko)
JPS63290096A (ja) 学習機能付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JP2000339938A (ja) コンポーネント選択制御システム
US52490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bbing a recorded video tape in synchronism with the playing of the video tape
KR0181812B1 (ko) 비디오 테이프 복사장치의 아이디 기록처리 시스템
JPH02260997A (ja) 入出力切換回路
EP0466385B1 (en) Copy timing control circuit for double-deck video cassette recorder
KR0176386B1 (ko) 비디오 테이프의 다중재생 처리시스템
KR100205812B1 (ko) 비디오 테이프의 복사 시스템
JPH0614418B2 (ja) テ−プレコ−ダの操作装置
KR960013003B1 (ko) 더블데크 시스템에서의 데크구동 절환방법
US5539591A (en) Integrated, multi-track driven, two device control system
JPH06245265A (ja) Avシステムのシステムフィーチャー起動方法及び管理方法
KR0135477Y1 (ko) 비디오 테이프 복사장치 등에서 연결상태 표시 시스템
KR19990047528A (ko) 멀티 데크 브이시알 시스템의 출력제어 방법
JPS63113866A (ja) デイジタルレコ−ダ
JP3277424B2 (ja) ビデオ編集装置
JPH0611627Y2 (ja) デジタル信号選択回路の制御装置
JPH05102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