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559B1 -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559B1
KR100205559B1 KR1019970027699A KR19970027699A KR100205559B1 KR 100205559 B1 KR100205559 B1 KR 100205559B1 KR 1019970027699 A KR1019970027699 A KR 1019970027699A KR 19970027699 A KR19970027699 A KR 19970027699A KR 100205559 B1 KR100205559 B1 KR 10020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mponent
biaxially oriented
oriented polyester
polyest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749A (ko
Inventor
임대우
서정태
이수형
Original Assignee
한형수
주식회사새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형수, 주식회사새한 filed Critical 한형수
Priority to KR1019970027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559B1/ko
Publication of KR1999000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표면이 극히 평활하여 자기테이프로 만들어졌을때 우수한 전자변환특성을 나태내는 주행성과 권취성이 우수한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성은 수지의 80몰%이상의 화학구조적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중에 제1성분으로서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 0.05∼10wt%를 첨가하여 분산처리된 평균입경 0.05∼0.5㎛인 구형실리카입자를 0.05∼1.0중량% 첨가하고, 제2성분으로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아크릴산 암모늄염 및 폴리메타아크릴산염으로 구성된 고분자 폴리카르본산류 공중합체로 표면처리된 평균입경 0.1∼2.0㎛인 칼사이트형 육면체 탄산칼슘입자를 0.005∼0.5wt% 첨가하되 제1성분의 함량이 제2성분의 함량의 2∼20배 범위내에서 첨가함을 요지로 하는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임.

Description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은 필름표면이 극히 평활하여 자기테이프로 만들어졌을때 우수한 전자변환특성을 나타내는 주행성과 권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의 80몰% 이상의 화학구조적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중에 구형 실리카입자를 제1성분으로하고, 칼사이트형 육면체 탄산칼슘업자를 제2성분으로 하여제1성분의 함량이 제2성분의 함량의 2∼20배 범위로 첨가하여 필름상에 조대돌기가 적어 자기테이프로서 우수한 전자변환특성을 갖는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물리적, 화학적특성이 우수하여, 산업상 기초소재로서 현재 폭넓게 이용되어지고 있다. 이중,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다른 필름에 비하여 평면성, 치수안정성, 기계적강도등이 특히 우수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의 자기기록매체용 베이스필름, 콘덴사 및 전기절연용 필름, 포장용 및 그래픽용등의 공업용 필름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들어 자기기록매체의 개량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자연히 베이스필름의 품질향상을 요구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와 같은 자기테이프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고밀도의 기록이 요구되어지고 고평활의 표면을 갖는 베이스필름이 요구되어왔다. 그러나 필름의 공정주행성, 이활성 및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이산화타탄, 가교 고분자 입자와 같은 외부입자를 필름내에 첨가하는 방법과 필름내에서 임의의 촉매석출에 의해 입자가 생성되는 내부입자법이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로 사용된 입자로 인해 나타나는 필름의 표면조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고 너무 작은 입경의 입자를 사용하여 필름의 표면조도를 적정수준 이하로 낮추게 되면 자기테이프로 사용되어 질 때 테이프의 전자변환특성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필름제조공정에서의 주행성이 떨어지고 필름과 필름 사이의 마찰마모로 인해 다량의 백분과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너무 큰 입자를 사용할때에는 필름의 주행성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필름내의 큰 입자로 인해 생성되는 거대돌기는 필름의 표면조도를 상승시켜 자기테이프의 드롭아웃등의 전자변환특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자변환특성 향상을 위해서는 비자성 지지체 표면의 평활성이 요구되어지고, 핸드링성, 주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조도가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에서는 이런 두가지 상반적인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필름이 요구된다.
위에서 설명한 두가지 성질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제조방법으로는 필름표면에 특정의 도제를 도포하여 불연속피막 구조를 형성시키는 방법(일본특허공보 평3-80410,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0-180837, 소60-180838, 소60-180839)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자기테이프로 사용되어질 때 자성체가 도포되거나 증착되는 필름면과 이의 반대면의 표면설계를 달리하여 자기테이프로 만들어졌을 때 전자변환특성 및 필름제조공정상의 주행성을 향상시킨 적층 폴리에스테르필름을 형성시키는 방법(일본특허공보 평1-26337, 평1-26338,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7-36340, 평2-214657, 평3-325674호)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필름은 자성체가 도포되거나 증착되는 필름면의 극히 낮은 표면조도에 기인하는 필름제조공정에서 금속롤과의 마찰로 인하여 블로킹현상, 마모분 및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마모분 및 스크래치는 필름의 낮은 표면 조도에도 불구하고 자기테이프로 만들어졌을 때 드롭아웃등의 전자변환특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필름의 내마모성을 개선하기위하여 필름의 전면에 산화알루미나와 같은 고경도 미세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일본공개특허공보 평6-64034호, 평6-143409호)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로서 얻어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양호한 탄성율, 내열성, 기계적강도, 화학적특성은 얻을 수 있으나 고밀도 자기기록용으로서의 표면평활성이 충분하고, 주행성 및 권취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할 때 우수한 표면평활성과 더불어 주행성, 권취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연구한 결과, 수지의 80몰% 이상의 화학구조적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중에 제1성분으로서,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 0.05-10중량%를 첨가하여 분산처리된 평균입경이 0.05-0.5㎛인 실질적인 구형실리카입자를 0.05-1.0중량% 첨가하고, 제2성분으로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아크릴산암모늄 및 폴리메타아크릴산암모늄염으로 구성되는 고분자폴리카르본산류 공중합체로 표면처리된 평균입경이 0.1-2.0㎛인 칼사이트형 육면체 탄산칼슘입자를 0.005-0.5중량% 첨가하되, 제1성분의 함량이 제2성분 함량의 2배에서 20배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만들어지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을 만들었다. 이때 제1성분인 실리카 입자는 아래식으로 표현되는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로 분산처리된 것을 사용하고,
Figure kpo00001
제2성분인 칼사이트형 육면체 탄산칼슘입자는 아래식으로 표현되는 고분자폴리카르본산류 공중합체로 표면처리된 것을 사용함과 동시에,
Figure kpo00002
아래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서,
D25/D75 2.0 : (1)
0.5 ≤ D50 ≤ 2.0 : (2)
(여기서 D25, D50, D75는 각각 누적중량의 백분율로서 전체의 25%, 50%, 75%에 해당될때의 입자직경(㎛)를 의미한다.)
만들어진 필름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SRa)가 0.005-0.015㎛이고, 단위면적당(㎟) 높이가 0.05㎛이상인 돌기의 개수가 100-1,000개이며, 단위면적당(㎟) 높이가 0.01-0.05㎛인 돌기의 개수가 2,000-6,000개인 것을 만족시킴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시킬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등과 같은 방향족디카르본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화의 에틸렌글리콜을 주로 출발원료로 하여 만들어지지만 또 다른 제3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출발원료인 디카르본산 성분은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프탈산, 아디프산, 세바신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산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반복되는 구조단위의 80% 또는 그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조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가 더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는 열안정제, 블로킹방지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등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폴리에스테르필름에 분산성이 우수한 작은 실리카를 특정량 첨가함으로서 입자의 응집으로 인한 조대돌기의 발생이 없으면서, 필름표면에 미세한 돌기를 형성시켜 필름 제조공정에서 필름이 금속롤과 마찰할 때 마찰계수 상승으로 인한 블로킹현상 및 점착형상을 방지하면서 저조도 필름을 만들어 자기테이프로 만들어졌을 때 우수한 전자변환특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도분포가 균일한 칼사이트형 육면체 탄산칼슘입자로부터 형성된 높은 돌기는 필름 제조 공정에서 우수한 주행성을 나타내며, 저조도 필름 권취시의 문제점인 주름이나 단면빠짐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폴리에스테르필름 또는 자기테이프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중에 제1성분으로서 평균입경이 0.05-0.5㎛인 실질적인 구형실리카 입자를 0.05-1.0중량% 첨가하였는데, 평균입경이 0.05㎛ 보다 작으면 필름표면에 미세돌기를 형성시키기가 어려우며 응집으로 인한 조대돌기의 발생이 심해진다. 또한 평균입경이 0.5㎛보다 크면 필름의 표면조도를 0.015㎛이하로 제어하기가 힘들어져 고밀도 자기기록매체로 사용하기가 적당하지 않다. 바람직하기로는 평균입경이 0.1-0.4㎛사이에 있으면 좋다. 그리고 제1성분의 함량이 0.05중량%보다 작으면 충분한 개수의 작은 돌기를 형성시키지 못하고, 1.0중량%보다 많으면 표면조도가 상승하여 전자변환특성이 저하되었다. 제2성분으로 평균입경이 0.5-2.0㎛인 칼사이트형 육면체 탄산칼슘입자를 0.005-0.5중량% 첨가하는 것이 좋으며, 평균입경이 0.5㎛ 보다 작으면 필름표면에 큰 돌기를 형성시키기가 어려워 필름의 주행성이 나빠지고, 평균입경이 2.0㎛ 보다 크면 표면조도가 올라간다. 바람직하기로는 평균입경이 0.6-1.2㎛사이에 있으면 좋다. 그리고 제2성분의 함량이 0.005중량%보다 작으면 충분한 개수의 큰 돌기를 형성시키지 못하여 주행특성이 불랭해지고, 0.5중량%보다 많으면 표면조도가 상승하여 전자변환특성이 저하된다. 제1성분의 함량은 제2성분함량의 2배에서 20배사이가 좋은데, 더욱 더 좋기로는 5배에서 10배사이인 것이 좋다. 2배보다 작으면 상대적으로 큰 돌기의 비율이 커져 전자특성이 떨어지고, 20배이상이면 큰 돌기의 비율이 작아져 주행성이 불량해진다.
제1성분인 실리카입자는 아래식으로 표현되는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 0.05-10중량%를 첨가하여 분산처리된 것을 사용하는데,
Figure kpo00003
실리카 분산처리방법은 에틸렌글리콜중에 0.05-0.5㎛의 평균입경을 갖는 실리카를 에틸렌글리콜에 대하여 5-30중량% 첨가하고 그 실리카에 대하여 0.05-10중량%의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를 투입하고 4-150℃에서 2시간 이상 교반처리하는 것인데 실리카에 대한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의 양이 0.05중량% 미만이면 실리카의 분산성이 충분하게 발휘되지 못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중합시 부반응으로 인하여 생성 폴리에스테르의 색깔을 변화시킨다. 실리카 분산처리 온도가 40℃미만이면 에틸렌글리콜과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와 잘 섞이지 않아 실리카 분산성이 개선되지 않고, 150℃를 초과하면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본 발명에서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가 미치는 분산성 개선의 메카니즘은 명확히 알 수는 없으나 실리카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인 실라놀기와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가 반응하여 실라놀기가 봉쇄됨으로서 실리카입자 표면의 친수성을 감소시켜 실리카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처리된 실리카-에틸렌글리콜 슬러리는 폴리에스테르의 증합공정중 에스테르화반응 또는 에스테르교환반응의 임의의 시점에 첨가하여도 그분산성이 우수하다.
제2성분인 칼사이트형 육면체 탄산칼슘입자는 아래식으로 표현되는 고분자 폴리카르본산류 공중합체로 표면처리된 것을 사용하는데,
Figure kpo00004
표면처리방법은, 일반적으로 탄산화반응으로 합성이 완료된 탄산칼슘입자를 특정입경으로 분쇄하는 공정전 또는 공정중에 표면처리제를 첨가하여 분쇄를 함으로서, 분쇄로서 생기는 표면에너지가 높은 새로운 표면에 대해서 충분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짐으로서 입자 전체에 대해서 표면처리제가 효과적으로 부착된다. 표면처리제의 첨가량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입자총량에 대해서 0.1∼5중량%가 바람직하다. 0.1중량%미만은 표면처리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많고, 또 5중량% 초과시에는 입자간의 응집이나 표면처리 자체의 응집이 생기기 쉽다.
제2성분인 탄산칼슘입자의 입도분포비(D25/D75)는 2.0미만이 좋으면, 바람직하게는 1.1-1.9사이가 더욱 좋다. 분포비가 2.0이상이면 필름표면에 높이 0.5㎛를 초과하는 조대돌기가 나타나 필름롤상에서 자성체가 도포되거나 증착되는 필름면에 전사되어 표면조도를 상승시켜 자기테이프로 제조되었을 때 전자변환특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중심선 평균조도는0.05㎛~0.015㎛ 범위에 있는 것이 좋으며, 더욱더 좋기로는 0.007㎛∼0.013㎛사이에 있는 것이 적당하다. 평균조도가 0.005㎛미만일 경우에는 필름의 마찰계수가 높아지게 되어 자기기록테이프로 사용되었을 때 주행특성이 불량해지며 평균조도가 0.015㎛ 초과할 경우 필름표면의 평활성이 악화되어 고밀도자기기록매체로 사용되었을 때 전자변환특성이 나빠진다. 필름의 평활성과 이활성을 동시에 만족시켜 주기 위해서는 필름의 평균표면조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과 더불어, 돌기의 분포도 적절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필름표면 1㎟ 당 높이가 0.05㎛이상인 돌기의 개수(SP1)가 100에서 1,000가 되도록 한다. 필름의 표면조도가 0.005-0.015㎛의 범의를 만족한다고 할지라도, 단위면적당 돌기의 개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즉, SP1이 100개 미만이면 필름의 이활성이 불량해지면, 1,000개를 초과하게 되면 평활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은 높이가 0.01-0.05㎛인 돌기의 개수(SP2)가 2,000-6,000이 되도록 한다. 작은 돌기가 큰 돌기가 충분하게 만족시키지 못하는 주행성을 보조적으로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SP2가 6,000을 넘으면 표면조도가 상승하여 자기기록매체로 사용되었을 때 전자변환특성이 불량해진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성질 및 제반물성의 측정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입자크기
입자 슬러리의 평균입경은 입도 분포 측정기(MALVERN사 ZETASIZER 4)을 이용하였고, 필름상의 입자크기는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때 입자를 구형으로 환산한 체적분율 50%인 점을 입자의 평균입경으로 하였다.
(2) 필름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 SRa
일본 KOSAKA사 제품인 3차원 표면조도계를 사용하여 중심선 평균조도를 측정하였다.
(3) 단위면적당(㎟) 돌기의 개수 : SP1 및 SP2
필름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SRa) 측정시 얻어진 3차원 표면조도 곡선으로부터 필름 단위면적 (㎟)당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돌기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4) 필름의 주행성
폭 1/2인치로 재단한 필름을 시중에서 사용되는 가이드핀에 150°각으로 접촉시키고 초당 7.5㎝의 속도로 주행시킨다. 입구의 장력 Т0를 50g으로 조정하고, 필름이 1m 줄구장력 Т1을 검출하여 하기식에 따라 필름의 마찰계수를 구한다.
UK=(2.303/θ)LOG(T0/T1)
그 다음에 필름을 100회 왕복시킨 후 같은 방법으로 마찰계수를 측정하여 초기 마찰계수와의 차이인 △UK를 계산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1급 : △UK 0.05 미만 2급 : △ UK 0.05∼0.10
3급 : △UK 0.10∼0.15 4급 : △ UK 0.15∼0.20
5급 : △UK 0.20 이상
(5) 이활성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일정폭의 롤 테이프로 만든 다음 금속계 가이드롤에 고정장시간 접촉하면서 주행시킨후 필름 표면의 긁힘 정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가이드롤에 발생한 백분량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1급 : 가이드롤과 마찰후 필름 표면에 긁힘이 거의 발생치 않음.
2급 : 가이드롤과 마찰후 필름 표면에 긁힘이 소량 발생.
3급 : 가이드롤과 마찰후 필름 표면에 긁힘이 다량 발생.
(6) 필름표면의 조대돌기의 평가
필름표면을 다중 간섭현미경을 사용하여, 높이 1㎛을 초과하는 조대돌기수(측정면적 1㎟ 내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1급 : 1∼3개 2급 : 4∼6개
3급 : 7∼9개 4급 : 10개이상
(7) 권취성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일정폭으로 슬리팅하여 보빈에 감은 후 감긴 단면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1급 : 단면빠짐 현상 없음
2급 : 단면빠짐현상 약간 발생
3급 : 단면빠짐현상 심함
(8) 드롭아웃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 표면에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4㎛ 두께로 자성층을 코팅하여서 비디오테이프로 제조한 다음, 이 비디오테이프에 5단계 난차 신호로 최적 전류를 기록하여 비디오헤드 출력의 감쇄량이 20dB, 계속시간 15㎲ec 이상인 것을 드롭아웃으로 간주하고, 30분간 계속하여 측정한 다음, 1분당 평균하여 A∼D 등급으로 나누어서 평가하였다.
A : 10개 미만/분
B : 10개 이상/분 ∼ 30개 미만/분
C : 30개 이상/분 ∼ 50개 미만/분
D : 50개 이상/분
(9) VTR 헤드 출력
송하전기의 NV-3700형 비데오테크를 사용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신크로스코프로 4MHz의 주파스로 측정되며, 브랭크의 0 dB에 대한 상대치를 측정값으로 나타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3]
디메틸테레프탈산 100부, 에틸렌글리콜 70부에 에틸렌글리콜에 용해된 삼산화안티몬 0.03부 및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03부를 첨가하고, 에틸렌글리콜에 균일 분산된 제1, 2성분의 입자(제1성분 입자인 구형실리카는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로 분산처리된 것, 제2성분 입자인 칼사이트형 육면체 탄산칼슘입자는 고분자폴리카르본산류 공중합체로 표면처리된 것을 사용)를 표 1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소정량 첨가한 후, 메탄올을 유출시키며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실시하였다.
다음 증축합 반응을 실시하여 폴리에스테르 칩을 얻었다. 이를 건조한 후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고, 이 미연신 필름을 130℃에서 종방향으로 4.0배 연신하고 140℃에서 횡방향으로 3.5배 연신한 다음 230℃에서 40초간 열경화시켜 두께 14㎛의 필름을 얻었다. 이 배향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으며, 주행성, 이활성, 조대돌기, 드롭아웃, VTR헤드출력등의 물성이 우수하였다.
[비교예 1∼3]
표 1에 기재된 바와같이 제1, 2성분의 입자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필름을 얻었으며 필름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시에 분산성이 우수하면서 특정입경을 갖는 실리카입자 및 탄산칼슘입자를 특정량 첨가하여 돌기를 형성시킴에 있어, 필름의 평균표면조도와 단위면적당 돌기의 개수 및 비율이 적절한 범위조건을 만족하도록 조절함으로서, 종래의 한계를 극복하여, 필름표면이 극히 평활하여 자기테이프로 만들어 졌을 때 우수한 전자변환특성을 나타내고 주행성 및 권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수지의 80몰% 이상의 화학구조적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중에 제1성분으로서,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 0.05-10중량%를 첨가하여 분산처리된 평균입경이 0.5-0.5㎛인 실질적인 구형실리카 입자를 0.05-1.0중량% 첨가하고, 제2성분으로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아크릴산암모늄염 및 폴리메타아크릴산염으로 구성되는 고분자폴리카르본산류 공중합체로 표면처리된 평균입경이 0.1-2.0㎛인 칼사이트형 육면체 탄산칼슘입자를 0.005-0.5중량% 첨가하되, 제1성분의 함량이 제2성분 함량의 2배에서 20배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만들어지는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성분인 실리카 입자가 아래식으로 표현되는 쿠밀페닐아세테이트에스테르로 분산처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느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
    Figure kpo00006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성분인 칼사이트형 육면체 탄산칼슘입자는 아래식으로 표현되는 고분자폴리카르본산류 공중합체로 표면처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
    Figure kpo00007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성분인 탄산칼슘입자는 아래의 식을 만족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
    D25/D75 2.0 : (1)
    0.5 ≤ D50 ≤ 2.0 : (2)
    (여기서 D25, D50, D75는 각각 누적중량의 백분율로서 전체의 25%, 50%, 75%에 해당될때의 입자직경(㎛)를 의미한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만들어진 필름의 중심선 평균조도가(SRa)가 0.005-0.15㎛이고, 단위면적당(㎟)높이가 0.05㎛이상인 돌기의 개수(SP1)가 100-1,000개이며, 단위면적당(㎟) 높이가 0.01-0.05㎛인 돌기의 개수(SP2)가 2,000-60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
KR1019970027699A 1997-06-26 1997-06-26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0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699A KR100205559B1 (ko) 1997-06-26 1997-06-26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699A KR100205559B1 (ko) 1997-06-26 1997-06-26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749A KR19990003749A (ko) 1999-01-15
KR100205559B1 true KR100205559B1 (ko) 1999-07-01

Family

ID=1951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699A KR100205559B1 (ko) 1997-06-26 1997-06-26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3671B2 (en) * 2020-01-27 2023-11-14 Rolls-Royce Corporation Microtextured nozzle for directed energy deposition with greater than 100 features per square milli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749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598B1 (ko) 자기기록 매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598008B1 (ko)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18698B1 (ko) 열가소성폴리에스테르조성물 및 그것으로 구성하는 필름
KR100205559B1 (ko)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492329B1 (ko)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JPH04266933A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KR0138013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
KR960009293B1 (ko)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
KR19980044267A (ko)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52501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9990065003A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00019275A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37838B1 (ko) 주행성이 우수한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터 필름
KR100200427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3309497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イルム
KR0132263B1 (ko)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55609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9980054877A (ko) 데이터 저장 매체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48733B1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558566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JP3227843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00428B1 (ko)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960003819B1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베이스필름
KR100290820B1 (ko) 폴리에스터필름의제조방법
JPH06297661A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