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977B1 - 냉동사이클 - Google Patents

냉동사이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977B1
KR100204977B1 KR1019960064087A KR19960064087A KR100204977B1 KR 100204977 B1 KR100204977 B1 KR 100204977B1 KR 1019960064087 A KR1019960064087 A KR 1019960064087A KR 19960064087 A KR19960064087 A KR 19960064087A KR 100204977 B1 KR100204977 B1 KR 100204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der
microtube
evaporator
condense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464A (ko
Inventor
유키오 와타나베
히사오 와카바야시
히로나오 누모토
신지 와타나베
아키라 후지타카
칸지 하네다
요시노리 코바야시
유이치 야쿠마루
나리토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1315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049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7004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85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parallel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ompressor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사이클에 관한 것으로서, 냉방운전과 난방운전과의 절환의 유무에 관계없이, 간단하고 또한 염가의 구조로 미세관의 출구부나 입구부에 이물의 부착을 억제하고, 신뢰성이 높은 냉동사이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대체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팽창기(3)를 구성하는 미세관(3a)과 순환로(5)와의 접속부(3b)는 순환로(5)쪽으로부터 미세관(3a)쪽을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슬로프부(6)를 가진다. 미세관(3a)은, 그 단부를 순환로(5)쪽의 접속부(3b)내에 돌출하고 있다. 미세관(3a)의 돌출단부가 이 미세관의 축선에 대해서 비스듬히 개구하고 있다. 미세관(3a)의 돌출단부의 둘레벽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냉매내의 이물이 미세관(3a)이외의 부분에 적극적으로 부착되고, 그리고, 그 이물을 냉매내로부터 제거한다. 동시에, 이 부착된 이물이 냉매의 흐름에 영향주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동사이클(Refrigerated Cycle)
본 발명은 냉동사이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불화탄화수소계냉매군중 적어 도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냉매, 즉 대체냉매를 사용하고,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순환로에서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냉동사이클에 관한 것이다.
냉동사이클에 사용하는 압축기, 특히 정비가 불필요한 밀폐형압축기는 일본국특개소62-298680호 공보 등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밀폐용기의 내부에 상기 혼합냉매와 오일을 봉입하고, 냉매를 흡입해서 압축하는 압축기구와, 상기 오일을 각 기계슬라이딩부에 공급하는 오일펌프와, 이들을 구동축에 의해서 구동하는 전동기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이하 CFCs라고 약칭)R12 및 지정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이하, HCFs라고 약칭) R22와 같은 냉매를 사용해서 냉매사이클을 구성하고 있었다.
특정CFC(specific CFCs)는 그 이전의 냉매인 2산화황이나 메틸클로라이드와 비교해서,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가연성, 독성이 없고, 이상적인 냉매로서 널리 이용되고, 장년에 걸쳐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특정CFC가 분자속에 염소원자를 함유하고, 이것이 오존충의 파괴를 일으키는 것이 확인되고, 염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대체냉매의 개발 및 사용이 도모되고 있다.
실용성이 높은 대체 냉매로서,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HFC(Hydro Fluoro Carbon)과 같은 냉매가 제안되고 있다「유공압기술 '94. 6」(일본공업출판발행). 대체냉매로서, 예를 들면 R134a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대체냉매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특정CFC와 같은 뛰어난 윤활성은 바랄 수 없다.
이 때문에, 밀폐용기에 봉입하는 오일로서, 대체냉매와 상용성이 있는 오일이 특히 요구된다.
밀폐용기에 봉입되고 있는 오일은, 압축기구로부터 밀폐용기내에 토출되는 냉매에 잘 수반되고, 각 기계슬라이딩부의 세부에까지 잘 미친다.
따라서, 오일펌프에 의한 오일의 공급과 상승하여 윤활성능이 향상한다. 이와같은 오일로서, 일본국 특개평 6-235570호 공보 등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밀폐형압축기를 운전하고, 냉매사이클을 실행계속했을 때, 팽창기를 구성하는 미세관의 입구부와 출구부에 이물이 부착하고, 그 때문에 비교적 조기에 냉매의 흐름이 저해되고, 냉동기능이 저하한다.
이와 같은 결점의 원인을 해명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실험하여 검토했다. 그 결과, 대체냉매와 상용성이 있는 오일로서의 에스테르오일의 사용이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냉매의 순환계를 밀폐할때에 수분이 침입하고 있거나, 또, 밀폐후에 몇가지 이유에 의해 수분이 발생하는 일이 있는 경우, 에스테르오일은 이 수분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지방산을 생성한다.
그 지방산은 순환계 각부를 부식시키거나, 금속비누를 형성해서 슬러지를 발생한다. 또, 에스테르오일은 안정성이 낮고, 따라서 온도가 올라갔을때에 이물이 용해해서 온입하고, 다른 한편, 온도가 내려갔을 때에 이물이 석출하기 쉽다.
미세관의 입구부에서는 냉매의 유속이 떨어지고, 그 때문에 석출한 이물이 부착하기 쉽고 막히기 쉽다.
미세관의 출구부에서는 온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이물이 석출하기 쉽고 부착하기 쉽다. 상기 일본국 특개평 6-235570호 공보는, 냉매의 순환로의 도중에 미세관의 냉매의 흐름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쪽 직전에, 필터를 설치해서 이물을 보충하고, 미세관에서의 냉매의 흐름불량이나 막힘을 해소한 냉동사이클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필터구조는 복잡하고 고가가되고, 또 상기 미세관의 출구부에서 온도저하로 인해서 석출하고, 그 석출물이 곧바로 부착하는 결전에 대해서는 대응할 수 없다.
또, 히트펌프운동되는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냉난방의 절환에 의해 냉매의 흐름방향이 반대가 될 경우, 상기 필터는 미세관의 양쪽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또 고가의 것이 된다.
본 발명은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의 절환의 유무에 관계없이, 간단하고 또한 염가의 구조로 미세관의 출구부나 입구부에 이물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냉동사이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표시한 히트펌프타입인 냉동사이클의 모식도.
제2도는 제1도의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및 제어수단의 블록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형태를 표시한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기 2 : 응축기
3 : 팽창기
3a, 3e~3k, 3m, 3n, 3p~3s : 미세관 3b : 접속부
3c : 돌출단부 3d : 구멍
4 : 증발기 5 : 순환기
6, 7 : 슬로프부 6a, 7a : 공간
8, 9, 10 : 개폐밸브 11, 12 : 1방향밸브
13 : 접속관 20 : 4방향밸브
21 : 평활처리면 22 : 이형처리층
23 : 친수처리층 24 : 조면
25 : 친유처리층
본 발명의 냉동사이클은. 대체냉매를 사용하고,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순환로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구성에 있어서, 팽창기는, 미세관과,그 미세관과 순환로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가지고, 그 접속부의 내경이 미세관의 내경보다도 크다
냉매의 통과를 방해하는 이물이, 그 접속관의 안쪽의 공간에 적극적으로 부착한다. 특히, 그 접속부가 순환로쪽으로부터 미세관쪽으로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슬로프부를 가진다. 이 슬로프부는, 냉매가 어느 방향으로 흐른 경우에 있어서도, 미세관의 입구부나 출구부가 되는 단부에 넓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접속관의 내면에 이물이 부착해도, 이 부착한 이물은 접속부의 넓은 공간에 의해서, 미세관 및 접속부에서의 냉매의 주류에 영향를 주지 않는다.
또 미세관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냉동사이클의 냉동기능은 장기에 안정되고,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미세관과 순환로와의 걱 접속부의 관로형상의 개량만에 의해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염가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냉동사이클은, 대체냉매를 사용하고,압축기, 응축기, 팽창기및 증발기를 순환로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구성에 있어서, 팽창기는, 미세관과, 그 미세관과 순환로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가지고 미세관이 접속부의 속에 돌출하고 있다
냉매가 어느 방향으로 흘러도, 미세관의 입구부나 출구부가 되는 단부가, 이 단부보다도 대직경이고 넓은 접속부내에 돌출하고, 이 돌출부의 외면과 순환로쪽의 넓은 접속부의 내면과의 사이에 냉매의 흐름이 고이게 되고, 돌출부의 외표면과 접속부의 내면 및 이들의 사이의 공간에, 많은 이물이 적극적으로 부착한다..
또, 이 부착한 이물은 미세관 및 접속부에서의 냉매의 주류에 대해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미세관이 폐색되는 것을 보다 장기에 방지한다. 따라서, 냉동사이클의 냉동기능은 보다 장기에 안정되고, 신뢰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한, 미세관과 순화로와의 각 접속부의 접속상태의 개량만에 의해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염가가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접속부는 순환로쪽으로부터 미세관쪽으로 내경이 점차감소하는 슬로프부를 가진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조가 복잡해지는 일없이 상기와 동일한 작용효과도 나탸낸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미세관의 돌출단부는 이 미세관의 축선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개구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미세관의 순환로쪽의 넓은 공간쪽으로의 개구면적이 크고, 따라서, 미세관의 출입구부가 되는 돌출단부의 개구부에 이물이 걸리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구조가 복잡해지는 일없이, 미세관출입구부에서의 이물의 부착방지기능이 더욱 향상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미세관의 돌출단부의 둘레벽에 구멍이 형성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미세관의 돌출단부와 순환로쪽의 넓은 접속부와의 사이의 냉매의 출입이 상기 구멍에 의해서 원활화되고, 또하, 이 원활한 냉매의 흐름은 이물의 미세관의 출입구부가 되는 단부에의 부착을 방해한다.
따라서 구멍을 형성할 뿐인 간단한 부가조건에 의해 미세관출입구부에 대해서 이물의 부착의 방지기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팽창기를 구성하는 미세관이 내경 및 길이의 적어도 한쪽이 다른 복수의 미세관이고, 그 복수의 미세관이 병렬로 접속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순번(즉, 작은 내경을 가진 미세관, 또는, 긴 미세관)부터 순차적으로 이물이 채워져 간다.
따라서, 미세관전체의 조기의 막힘을 방지해서, 정상적인 기능을 장기에 유지할수 있다.
또한, 미세관수가 많아질 뿐이고, 그리고 미세관의 개수의 증가에 비례해서 미세관의 필요직경이 각각 작게, 또는 짧게 되기 때문에,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 않는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미세관과 순환로와의 접속부에, 순환로쪽으로부터 각 미세관쪽으로 내경이 점차 증가해서 각 미세관과 일괄 접속된 슬로프부를 형성한 구성이 특히 바랍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슬로프부에 의한 순환로보다도 큰 공간을 이용해서, 복수의 미세관을 일괄접속할 수 있다.
접속부를 크게할 뿐인 간단한 구조에 의해 상기 큰 공간에 의해 이물의 부착에 의한 냉매의 흐름에의 영향 및 막힘의 발생을 더욱 현저하게 방지할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 미세관을 슬로프부내에 돌출시킨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한 특유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미세관의 돌출단부는 이것의 축선에 대해서 비스듬히 개구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한 특유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미세관의 돌출단부의 둘레벽에 구멍이 형성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한 특유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팽창기를 구성하는 미세관이, 복수의 미세관을 가지고, 그 복수의 미세관중의 각각이 개폐밸브를 가진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미세관을 개폐밸브의 개페에 의해 1개로 하고, 사용하고 있는 미세관의 이물에 의한 막힘의 폐색도에 따라서 사용하는 미세관을 순차 절환하도록 한다.
이 구성에 의 미세관전체가 조기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환의 제어는 냉동사이클자체의 동작제어용 제어수단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 않고 정상적인 기능을 장기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냉동사이클은. 대체 냉매를 사용하고,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순환로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접속하고, 또한 히트펌프절환밸브를 가진 구성이다.
팽창기는 복수의 미세관과, 그 미세관과 순환로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가지고, 복수의 미세관은 각각에 1방향밸브를 가지고, 그 1방향밸브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의 절환에 의해, 냉매의 흐름의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것에 대응해서, 1방향밸브의 흐름방향의 제한에 의해, 냉방운전시와, 난방운전시에 있어서 냉매가 통과하는 미세관을 구분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관에 이물이 부착하여 막히는 것을 반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팽창기는 복수의 미세관을 가지고, 그 복수의 미세관은, 그들의 사이에 설치된 접속관을 개재해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관은 미세관의 내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진다. 접속관의 내경이 크기 때문에, 냉매를 고이게 해서 이물이 적극적으로 부착시켜 냉매로부터 제거하고, 미세관으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이물이 냉매의 흐름에 영향주지 않도록 하는 접속관에 의해서 미세관을 분단해서, 미세관의 실제길이를 필요길이의 수분의 1로 짧게하고, 미세관에 이물이 보다 막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미세관의 내면이 평활층을 가진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미세관내면의 평활층의 평활성에 의해서 이물이 걸리거나, 부착하거나 하기 어렵게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팽창기를 구성하는 미세관의 내면이 이형처리한 이형처리면을 가진 구성이 바람직하다.
미세관 내면의 이형면에 의해서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팽창기를 구성하는 미세관의 내면이 친수처리된 친수층을 가진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미세관의 내면의 친수성에 의해, 유성이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팽창기를 구성하는 미세관과 순환로와의 접속부의 내경이 미세관의 내경보다도 크게 하고, 또, 접속부의 내면이 조면처리한 조면을 가진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접속부의 조면을 가진 넓은 내면에, 적극적으로 이물을 부착시킴으로써, 냉매내의 이물을 제거하고, 동시에 이 부착이물이 냉매의 흐름에 영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관의 출입구부의 내면에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팽창기를 구성하는 미세관과 순환로와의 접속부의 내경이 미세관의 내경보다도 크게 하고, 또, 접속부의 내면이 친유처리한 친유층을 가진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친유성이 된 넓은 접속부의 내면에 적극적으로 유성의 이물을 부착시킴으로써, 이물을 냉매내로부터 제거하고, 동시에 이 부착이물이 냉매의 흐름에 영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관의 출입구부의 내면에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제1도~제1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제1실시형태를 표시한 히트펌프타입의 냉동사이클의 모식도가 제1도에 표시된다.
제1도에 있어서, 냉동사이클은 대체냉매를 사용하고, 압축기(1), 응측기(2), 팽창기(3)및 증발기(4)를 순환로(5)를 사용해서, 고리형상으로 접속해서 구성된다,
대체냉매에 상용성이 있는 합성오일을 사용해서, 본 냉동사이클이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으로 절환되어 운전되는지 이닌지에 관계없이, 냉매속에 혼재하는 이물이, 미세관의 입구부에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순환로(5)의 도중에는 냉방운전과 난방운전과의 절환을 위한 4방향밸브(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냉방운전시에는, 냉매가 제1도에 표시한 응축기(2), 팽창기(3) 및 증발기(4)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흐른다.
히트펌프 일때에 냉매는 거꾸로 흐른다. 이에 의해서, 냉방운전시의 응축기(2)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증발기(4)가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대체냉매에 대해서 상용성이 있는 합성오일로서 예를 들면 에스테르계의 오일을 사용하고,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할 때, 냉매속에 혼입하고, 또 석출하는 이물이, 팽창기(3)를 구성하는 미세관(3a)의 입구부나 출구부가 되는 단부, 특히 내면에 부착하기 쉽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물이 부착에 의해서 냉매의 흐름이 조기에 저해되고, 또는 막힘을 일으켜서, 냉동사이클기능이 조기에 저하하는 경우가 때로는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순환로(5)와 팽창기(3)와의 접속구조가 제2도에 표시된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팽창기(3)를 구성하는 미세관(3a)과 순환로(5)와의 접속부(3b)에 순환로(5)쪽으로부터 미세관(3a)쪽으로 내경이 점차감소하는 슬로프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로프부(6)는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에 있어서, 냉매가 어느 방향으로 흘러도 미세관(3a)의 출입구가 되는 각 단부에 넓은 공간(6a)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공간(6a)의 내면에 이물이 부착해도, 이 부착한 이물은 접속부(3b)의 공간이 넓기 때문에 미세관(3a)및 접속부(3b)에 있어서의 냉매의 주류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미세관(3a)이 페색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냉동사이클의 냉동기능은 장기에 안정되고,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미세관(3a)과 순화로(5)와의 각 접속부(3b)의 관로형상의 개량만에 의해,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염가인 냉동사이클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부(3b)는 순환로(5)및 미세관(3a)과 일체형성은 아니고 별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순환로(5)와 미세관(3a)과 접속부(3b)가, 서로 이어진 구조이고, 그 때문에 접속부(3b)의 슬로프형상을 단독부품의 가공에 의해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단독의 접속부(3b)가 순환로(5)및 미세관(3a)의 단부에 바깥기우기해서 이어져 있고, 그 때문에 이 접속구조가 그대로 슬로프부(6)를 가진 접속부(3b)에 의한 공간을 보다 크게하고, 상기 이물의 부착에 의한 냉매의 흐름에의 영향을 더욱 작게할 수 있고, 그 결과 냉동사이클의 기능의 장기안정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접속부(3b)는 순화로(5) 또는 미세관(3a)의 한쪽 또는 쌍방과 일체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접속부(3b)는 순환로(5) 및 미세관(3a)과 함께, 종래대로의 구리제이고, 상호의 접합은 납접합에 의해서 연결하면 된다. 또한, 다른 재료 및 접합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2]
제 2실시형태의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기기가 제3도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는, 제 1실시형태의 구조를 답습하고 있고,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에 있어서 팽창기(3)를 구성하는 미세관(3a)이. 순환로 (5)쪽의 접속부(3b)의 안쪽에 돌출되어 있다.
냉매가 어느방향으로 흘러도, 미세관 (3a)의 입구나 출구부가 되는 단부가, 이 단부보다도 대직경이고 넓은공간(6a)을 가진 접속부(3b)의 안쪽에 돌출하고, 이 돌출단부(3c)의 외면과 순환로(5)쪽의 넓은 접속부(3b)의 내면과의 사이의 부분(6b)에 냉매의 흐름이 고이게 된다.
따라서, 이들 돌출단부(3c)의 외면과 접속부(3b)의 내면과의 사이의 부분(6b)에 보다 많은 이물이 부착되고, 또한, 이 부착되는 이물은 미세관(3a)및 접속부(3b)에 있어서의 냉매의 주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구성에 의해 미세관 (3a)의 폐색이 보다 장기에 방지돠고, 그 때문에 냉동사이클의 냉동기능은 제 1실시형태보다도 장기에 안정되고,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또한, 미세관(3a)과 순환로(5)와의 각 접속부(3b)의 접속상태의 개량만에 의해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염가인 냉동사이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접속구조는, 제1도에 표시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직경이 큰 순환로(5)의 단부를 폐쇄한 단부판으로부터 직경이 작은 미세관(3a)의 단부가 순환로 (5)의 안쪽에 돌출된 구성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한 본 실시형태 특유의 작용효과를 발휘하고, 냉동사이클의 기능의 장기안정을 어느 정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제3실시형태는, 제 1, 제 2실시형태를 답습한 것이고, 이들과 동일한 부재에 동일부호를 붙이면서, 본 실시형태에 특유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가 제4도에 표시된다.
제4도에 있어서, 미세관(3a)의 돌출단부(3c)가 그 미세관 (3a)의 축선에 대해서 비스듬히 개구하고, 비스듬히 개구한 돌출단부(3c)가 접속부(3b)의 안쪽에 돌출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순환로 (5)의 넓은 공간(6a)쪽으로의 미세관(3a)의 개구면적이 커지고, 그 때문에, 미세관(3a)의 출입구부가 되는 돌출단부(3c) 의 개구부에 이물이 걸리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일없이 미세관(3a)의 출입구부에 있어서의 이물의 부착방지기능이 더욱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반드시 제 1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4]
제 4실시형태는, 제1, 제2의 각실시형태를 답습한 것이고, 이들과 동일한 부재에 동일부호를 붙이면서, 본 실시형태에 특유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가 제5도에 표시된다.
제5도에 있어서, 미세관(3a)의 돌출단부(3c)의 둘레벽에 구멍(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미세관(3a)과 순환로(5)쪽의 넓은 접속부(3b)와의 사이의 냉매의 출입이 상기 구멍(3d)에 의해서 원활화되고, 또한, 이 원활한 냉매의 흐름은 이물이 미세관(3a)의 출입구부가 되는 돌출단부(3c)에의 이물의 부착을 방해하고, 그 때문에 미세관(3a)의 출입구부에서의 이물의 부착방지기능을 더욱 향상할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반드시 제 1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5]
제5실시형태는, 제1~제 4실시형태의 냉동사이클을 답습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가 제6도에 표시된다.
제6도에 있어서, 팽창기(3)를 구성하는 미세관으로서 내경이 다른 복수의 미세관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3개의 미세관(3e)(3f)(3g)이 접속부(3)와의 안쪽에 돌출해서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내경이 작은 미세관(3g)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막히고, 따라서, 미세관(3e)~(3g)의 전체가 조기에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정상적인 기능을 장기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미세관(3e)(3f)(3g)의 개수가 많아질 뿐이고, 또 미세관(3e)(3f)(3g)의 개수가 많아지는 것에 비례해서 미세관(3e)(3f)(3g)의 필요한 관직경이 각각 작아질뿐이고, 따라서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 않는다.
복수의 미세관(3e)(3f)(3g)과 순환로(5)와의 접속부(3b)는, 순환로(5)쪽으로부터 미세관 (3e)(3f)(3g)쪽으로 내경이 점차 증가하는 슬로프부(7)를 형성하고 있다.
접속부(3b)는 이 슬로프부(7)에 의해, 순환로 (5)보다도 큰 공간 (7a)을 가진다.
이 큰 공간(7a)을 이용해서 복수의 미세관(3e)~(3g)을 일괄접속할 수 있다.
또, 상기 큰 공간 (7a)에 의해 이물의 부착에 의한 냉매의 흐름에의 영향 및 막힘의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미세관(3e)(3f)(3g)을 슬로프부(7)내에 돌출시킴으로써, 각 미세관(3e)~(3g)의 각 돌출단부(3c)의 외면과 슬로프부(7)의 내면 및 이들사이의 부분(7b)이 상기 제2실시형태 특유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와, 상기한 제 3, 제 4의 적어도 한쪽의 실시형태특유의 구성을 합친 구성도 가능하고, 채용한 구성에 특유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제6실시형태의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가 제7도에 표시된다.
제7도에 있어서,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직경이 다른 복수의 미세관에 대신해서, 길이가 다른 복수의 미세관(3h)(3i)(3j)이 병렬로 접속된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해,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긴 미세관(3h)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막히고, 그 때문에 미세관 (3h)(3i)(3j)의 전체가 조기에 막히는 것을 방지해서, 정상적인 기능을 장기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미세관(3h)~(3j)의 개수가 많아질 뿐이고, 또 미세관(3h)(3i)(3j)의 개수의 증가에 비례해서 미세관(3h)~(3j)의 필요한 관직경이 각각 작아지는 것이고 따라서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 않는다.
또한. 제5실시형태와 제6실시형태와의 쌍방의 구성을 합성한 실시형태가 가능하고, 이 경우, 냉매의 흐름의 난이함을 종류분류하기 쉽게 되고, 또 긴 미세관을 가장가늘게 형성함으로써 냉매의 흐르기난이함을 보다 증대하고, 또, 반대로 짧은 미세관을 가장 굵게 형성함으로써 냉매의 흐르기용이함을 보다 증대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제7실시형태의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가 제8도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는 제5, 제6실시형태에 대신하는 것이다.
제8도의 (a)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팽창기(3)를 구성하는 복수의 미세관(3k)(3m)(3n)이 각각에 개폐밸브(8)~(10)를 가지고, 순환로(5)에 접속되어 있다. 사용하는 미세관(3k)(3m)(3n)을 개폐밸브(8)~(10)의 개폐에 의해 3개의 미세관 (3k)(3m)(3n)의 개폐가 순차절환된다.
이 구성에 의해 미세관(3k)(3m)(3n)의 전제가 조기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8)의 절환의 제어는 냉동사이클자체의 동작제어용 제어수단, 예를 들면 제8도의 (b)에 에 표시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컴퓨터M,C를 이용하는 등에 의해,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 않고 정상적인 기능을 장기에 유지할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M,C는 이와 같은 제어를 위하여, 자동 또는 수동에서의 막힘신호를 받을때마다. 개폐밸브 (8)~(10)를 순차적으로 바꾸어서, 사용하는 미세관(3k)(3m)(3n)을 절환하도록 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M,C는 상기 자동절환을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각 미세관 (3k)(3m)(3n)에서의 냉매의 통과저항 등을 냉매의 이상승압을 내부기능에 의해 판별해서 자동적으로 막힘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8]
제8실시형태의 순환로의 팽창기와의 접속구조가 제9도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는, 제5~제7실시형태에 대신하는 것이고,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히트펌프절환밸브를 가진 냉동사이클에 속한다.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팽창기(3)는, 각각에 1방향밸브(11)(12)를 가진 미세관(3p)(3g)을 가지고, 그 2종류의 미세관(39)(39)은 서로의 1방향밸브(11)(12)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에 있어서, 냉매의 흐름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나. 이에 대응해서 상기 1방향밸브(11)(12)의 흐름방향의 제어에 의해 냉방운전시와, 난방운전시에서 냉매가 통과하는 미세관이 분류사용된다.
따라서, 미세관(3p)(3q)에 이물이 부착하여 막히는 것을 반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냉동사이클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또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고 염가가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1방향밸브(11)를 가진 미세관과, 1방향밸브(12)를 가지 미세관이 각각 굵기와 길이가 다른 복수의 미세관을 가지고, 그 복수의 미세관이 순차적으로 폐색해가는 구성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9]
제 9실시형태의 순환로와 팽창기와의 접속구조가 제1도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의 냉동사이클을 답습한 것이다.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팽창기(3)를 구성하는 복수의 미세관, 예를 들면 2개의 미세관(3r)(3s)이 그들의 사이에 설치한 접속관(13)을 개재해서 직렬로 접속되고, 접속관(13)의 내경은 미세관(3r)(3s)의 내경보다도 크다.
이 구성에 의해, 큰 내경을 다진 접속과(13)의 속에. 냉매를 고이게 해서 이물을 적극적으로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이물이 냉매로부터 제거되고 미세관에의 이물이 부착을 방지한다.
또, 이 이물이 냉매의 흐름에 영향주지 않도록 하는 접속관(13)에 의해서, 미세관을 분단하고, 미세관의 실제길이를 필요길이의 수분의 1로 짧게하고, 미세관에 이물이 보다 막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냉동사이클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동시에.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 않고 염가이다.
본 실시형태와 상기한 제2~제8의 각 실시형태를 조합시킨 구성도 가능하고, 그 구성에 의해, 특유의 적용효과가 발휘된다.
[실시형태 10]
제10실시형태의 팽창기를 구성하는 미세관의 일부의 단면도가 제1도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의 냉동사이클을 답습한 것이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팽창기(3)를 구성하는 미세관(3a)의 내면은 평활처리면(21)을 가진다.
미세관 (3a)의 내면의 평활처리면(21)의 평활성에 의해서, 이물이 걸리거나 부착하거나 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냉동사이클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 않고 염가이다.
평활처리는 블라스트가공 등의 연마처리, 도금, 또는 이미 알려진 다른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11]
제11실시형태의 팽창기를 구성하는 미세관의 일부의 단면도가 제1도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의 냉동사이클을 답습한 것이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팽창기(3)를 구성하는 미세과(3a)의 내면은 이형처리층(22)을 가진다.
미세관(3a)의 내면은 이형처리층(22)의 이형성에 의해서,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냉동사이클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 않고 염가이다.
이형처리의 방법은 예를 들면 불소코팅처리 등이 있고, 또 이미 알려진 다른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12]
제12실시형태의 팽창기를 구성하는 미세관의 일부의 단면도가 제1도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는 제 1실시형태의 냉동사이클을 답습한 것이다.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팽창기 (3)를 구성하는 미세관(3a)의 내면은 친수처리층(23)을 가진다.
미세관(3a)의 내면은 친수처리층(23)의 친수성에 의해서, 유성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냉동사이클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 않고 염가이다.
친수처리층(23)은 예를 들면 질소나 황원자를 많이 함유한 조성이 바람직하고, 질화처리층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미 알려진 다른 방법으로 행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13]
제13실시형태의 순환로의 팽창기의 접속구조가 제14도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의 구조를 답습한 것이다.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팽창기(3)를 구성하는 미세관(3a)과 순환로(5)와의 접속부(3b)의 내경이 미세관 (3a)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고, 넓은 공간(6a)을 가진다.
또, 접속부 (3b)의 내면이 조면처리된 조면(24)을 가진다. 조면 (24)과 넓은 공간(6a)을 가진 슬로프부(6)의 내면에 적극적으로 이물을 부착시켜 냉매내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동시에, 이 부착이물이 냉매의 흐름에 영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관(3a)의 출입구부의 내면에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냉동사이클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 않고 염가이다. 조면처리는 화학에칭이나 플라스트처리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알려진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알려진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와 제 2~제 6 또는 제 12실시형태를 조합시킨 구성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14]
제14실시형태의 순환로의 팽창기의 접속구조가 제15도에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는, 제13실시형태에 대신하는 것이다.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팽창기(3)의 접속부 (3b)의 내면이 친유처리한 친유처리층(25)을 가진다.
친유성의 내면과 넓은 공간 (6b)을 가진 슬로프부(6)의 내면에 적극적으로 유성의 이물을 부착시켜, 미세관(3a) 등의 내면에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냉동사이클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 않고 염가이다.
친유처리는 알콕계수지 등의 막코팅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냉바운전과 난방운전에 있어서, 냉매가 어느 방향으로 흐른 경우에 있어서도, 미세관의 입구부나 출구부가 되는 단부에 이물의 부착을 방지하고, 냉매의 흐름의 저해 및 미세관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냉동사리클의 냉동기능을 장기에 안정시키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구조가 특별히 복잡해지지않기 때문에, 염가이기도 하다.

Claims (19)

  1.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각의 사이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순환로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상기 증발기 및 순환로의 속을 순환하는 냉매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는 화학구조식에 있어서 염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이고, 상기 팽창기는 미세관과, 그 미세관과 상기 순환로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가지고,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순환로쪽으로부터 상기 미세관쪽으로, 내경이 점차로 감소하는 슬로프부를 가진 접속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2.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각의 사이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순활로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상기 증발기 및 순환로의 속을 순환하는 냉매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는, 화학구조식에 있어서 염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이고, 상기 팽창기는 미세관과, 그 미세관과 상기 순환로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가지고, 상기 미세관의 단부가, 상기 접속수단의 안쪽에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순환로쪽으로부터 상기 미세관쪽으로, 내경이 점차로 감소하는 슬로프부를 가진 접속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관의 돌출한 상기 단부는, 그 미세관의 축선에 대해서 비스듬한 개구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관의 돌출한 상기 단부의 둘레벽에 구멍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6.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각의 사이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순환로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상기 증발기 및 순환로의 속을 순환하는 냉매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는, 화학구조식에 있어서 염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이고, 상기 팽창기는 복수의 미세관과, 그 복수의 미세관과 상기 순환로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수단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미세관은 그 내경 및 길이중의 적어 도1개가 서로 다른 미세관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는 냉동사이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수단주의 각각은, 상기 순환로쪽으로부터 상기 미세관쪽으로, 내경이 점차로 감소하는 슬로프부를 가진 접속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미세관의 단부는 상기 슬로프부의 안쪽에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미세관의 돌출한 상기 단부는, 그 미세관의 축선에 대해서 비스듬한 개구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미세관의 돌출한 상기 단부의 둘레벽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냉동사이클.
  11.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각의 사이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순환로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상기 증발기 및 순환로의 속을 순환하는 냉매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는, 화학구조식에 있어서 염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이고, 상기 팽창기는 복수의 미세관과 그 복수의 미세관과 상기 순환로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수단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미세관의 각각은, 상기 냉매의 통과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가지고,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미세관중의 1개뿐인 상기 개폐밸브가 개방되고 그 개방된 미세관의 속을 상기 냉매가 통과하고, 상기 복수의 미세관의 상기 개폐밸브의 순차의 제어에 의해, 다른 미세관의 개폐밸브만이 개방되고, 그 개방된 미세관의 속을 상기 냉매가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12.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증발기 및 히트펌프절환밸브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상기 증발기 및 상기 히트펌프절환밸브의 각각의 사이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순환로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상기 증발기 및 순환로의 속을 순환하는 냉매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는, 화학구조식에 있어서 염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이고, 상기 팽창기는 복수의 미세관과, 그 복수의 미세관과 상기 순환로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수단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미세관의 각각은, 1방향밸브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미세관중의 하나는, 상기 1방향밸브의 작용에 의해 소정의 일방향에, 상기 냉매를 통과시키고, 상기 복수의 미세관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1방향밸브의 작용에 의해, 상기 1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냉매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13.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각의 사이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순환로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 상기 팽창기, 상기 증발기 및 순환로의 속을 순환하는 냉매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는, 화학구조식에 있어서 염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이고, 상기 팽창기는 복수의 미세관과, 그 복수의 미세관과 상기 순환로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수단을 가지고, 상기 각각의 미세관은, 상기 각각의 접속수단을 개재해서,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각각의 접속수단은, 상기 각각의 미세관보다도, 굵은 내경을 가진 접속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14.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및 증발기의 각각의 사이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순환로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상기 증발기 및 순환로의 속을 순환하는 냉매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는, 화학구조식에 있어서 염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이고, 상기팽창기는 미세관을 가지고 상기 미세관은. 평활화처리된 평활면의 내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15.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각의 사이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순환로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상기 증발기 및 순환로의 속을 순환하는 냉매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는, 화학구조식에 있어서 염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이고, 상기 팽창기는 미세관을 가지고, 상기 미세관은 이형처리된 이형면의 내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16.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각의 사이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순환로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상기 증발기 및 순환로의 속을 순환하는 냉매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는 화학구조식에 있어서 염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이고,
    상기 팽창기는 미세관을 가지고,
    상기 미세관은, 친수화처리된 친수면의 내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17.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각의 사이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순환로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 상기 증발기 및 순환로의 속을 순환하는 냉매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는, 화학구조식에 있어서 염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이고, 상기 팽창기는 미세관과, 그 미세관과 상기 순환로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가지고,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미세관의 내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진 접속관이고, 상기 냉매의 통과를 방해하는 이물이, 상기 접속관의 안쪽의 공간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은, 조면화처리된 조면의 내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은, 친유화처리된 친유면의 내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
KR1019960064087A 1995-12-11 1996-12-11 냉동사이클 KR100204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21342 1995-12-11
JP32134295A JP3540075B2 (ja) 1995-12-11 1995-12-11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464A KR970047464A (ko) 1997-07-26
KR100204977B1 true KR100204977B1 (ko) 1999-06-15

Family

ID=1813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087A KR100204977B1 (ko) 1995-12-11 1996-12-11 냉동사이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06326A (ko)
EP (1) EP0779482B2 (ko)
JP (1) JP3540075B2 (ko)
KR (1) KR100204977B1 (ko)
CN (1) CN1101535C (ko)
ES (1) ES2162966T5 (ko)
MY (1) MY1190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9399B1 (en) * 1999-11-19 2001-03-13 American Standard Inc. Bi-directional refrigerant expansion and metering valve
DE102004038641A1 (de) * 2004-08-09 2006-02-23 Linde Kältetechnik GmbH & Co. KG Kältekreislauf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ältekreislaufes
KR101319198B1 (ko) * 2005-09-26 2013-10-16 다까오 하라 응축용 열 변환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냉동 시스템
AU2007240171A1 (en) * 2006-12-11 2008-06-26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Variable flow valve
US7892213B2 (en) * 2007-04-20 2011-02-22 Carefusion 303, Inc. Fluid flow control system having capillary fluid flow restrictor
CN101893356B (zh) * 2010-06-30 2012-08-22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控制方法
KR20120114576A (ko) * 2011-04-07 2012-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2305501B (zh) * 2011-09-13 2015-09-09 苏州恒兆空调节能科技有限公司 空调器喷嘴节流装置
DE102012002593A1 (de) 2012-02-13 2013-08-14 Eppendorf Ag Zentrifuge mit Kompressorkühl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Kompressorkühleinrichtung einer Zentrifuge
CN103629869B (zh) * 2012-08-23 2016-04-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管路的流量调节装置及包括该装置的空调管路系统及空调
DE112015001545T5 (de) 2014-03-31 2016-12-22 Trane International Inc. Abweisende/aufnehmende Strukturen in Kühlsystemen und Flüssigdampfabscheidung in Kühlsystemen
CN104165483A (zh) * 2014-07-23 2014-11-26 珠海格力电器科技有限公司 膨胀阀节流结构及包含该膨胀阀节流结构的热泵系统
CN106918162B (zh) * 2017-03-29 2020-07-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06958892B (zh) * 2017-03-29 2020-05-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08278830A (zh) * 2018-02-07 2018-07-1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6454A (en) * 1951-01-11 1954-01-19 Standard Oil Dev Co Expansion joint
US2720756A (en) * 1954-12-29 1955-10-18 Gen Electric Heat pump, including fixed flow control means
US3394563A (en) * 1966-08-31 1968-07-30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system with roughened restrictor tube
US3531947A (en) * 1968-10-29 1970-10-06 Gen Electric Refrigeration system including refrigerant noise suppression
US3894562A (en) * 1973-12-20 1975-07-15 Jr Charles D Moseley Fluid flow controller
US4150558A (en) * 1977-11-04 1979-04-2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forming a variable restrictor
US4408467A (en) * 1981-11-23 1983-10-11 Carrier Corporation Noise suppressing feeder tube for a refrigerant circuit
FR2591729A1 (fr) * 1985-12-13 1987-06-19 Chausson Usines Sa Echangeur du type evaporateur a faisceau tubulaire
JPS62298680A (ja) 1986-06-19 1987-12-25 Matsushita Refrig Co スクロ−ルコンプレツサ
US4793150A (en) * 1988-05-13 1988-12-27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ion system including refrigerant noise suppression
IT1231284B (it) * 1989-07-18 1991-11-28 Delchi Carrier Spa Apparecchiatura per il condizionamento dell'aria, a duplice possibilita' di funzionamento.
DE4120651A1 (de) 1991-06-22 1993-01-14 Krupp Vdm Ag Verdampfer fuer ein kompressor-kuehlgeraet
EP0563718A1 (de) 1992-03-30 1993-10-06 KM-SCHMÖLE GmbH Kälteeinrichtung für Kühlschränke
JPH06235570A (ja) 1993-02-10 1994-08-2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装置
EP0594431B1 (en) 1992-10-23 1998-01-07 Matsushita Refrigeration Company Refrigerant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system incorporating same
JPH06159865A (ja) * 1992-11-25 1994-06-07 Toshiba Corp 冷凍サイクル
JPH0727448A (ja) * 1993-07-15 1995-01-27 Toshiba Corp 冷凍装置
JPH07269988A (ja) * 1994-03-31 1995-10-20 Toshiba Corp 冷凍サイクル
JPH08210738A (ja) * 1995-02-06 1996-08-20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62966T3 (es) 2002-01-16
JPH09159322A (ja) 1997-06-20
ES2162966T5 (es) 2008-05-01
JP3540075B2 (ja) 2004-07-07
CN1101535C (zh) 2003-02-12
CN1158971A (zh) 1997-09-10
EP0779482A2 (en) 1997-06-18
EP0779482A3 (en) 1998-08-05
MY119006A (en) 2005-03-31
KR970047464A (ko) 1997-07-26
US5806326A (en) 1998-09-15
EP0779482B1 (en) 2001-09-05
EP0779482B2 (en) 200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4977B1 (ko) 냉동사이클
EP1150080B1 (en) Refrigerant circul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a refrigerant circuit
US6006544A (en) Refrigeration cycle
JPH09222083A (ja) 冷凍サイクルと圧縮機
US7624583B2 (en) Freezer device
EP1659353B1 (en) Refrigerant bypassing and filter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5300157A (ja) 空気調和装置
JP2006258418A (ja) 冷凍装置
JP3708505B2 (ja) 冷凍サイクルと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3361765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JP3440912B2 (ja) 冷凍装置
JP2003075029A (ja) 冷凍サイクルと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3440911B2 (ja) 冷凍装置
JP2020085334A (ja) 冷凍サイクルにおけるキャピラリチューブの閉塞防止機構
KR19980032421A (ko) 건조장치를 갖는 냉동사이클
JP3866359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6098050A (ja) 冷凍空調装置
JP3700723B2 (ja) 冷凍装置
JP3755998B2 (ja) 冷凍空調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H08121885A (ja) 冷蔵庫
JPH03213959A (ja) 密閉型ターボ冷凍機の油回収装置
KR100520055B1 (ko) 냉장고용 어큐뮬레이터
JP4411527B2 (ja) 空気調和機
KR100595268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 여과장치
JPH0694311A (ja) 冷凍サイ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