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254B1 - 페놀성 아민 색소탈실 및 항흑색종제 - Google Patents

페놀성 아민 색소탈실 및 항흑색종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254B1
KR100204254B1 KR1019920702629A KR920702629A KR100204254B1 KR 100204254 B1 KR100204254 B1 KR 100204254B1 KR 1019920702629 A KR1019920702629 A KR 1019920702629A KR 920702629 A KR920702629 A KR 920702629A KR 100204254 B1 KR100204254 B1 KR 100204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mpound
hydrogen atom
composition
cysteaminylphe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위치짐바우
Original Assignee
노르우드 데이비드 씨.
더 거버너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알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우드 데이비드 씨., 더 거버너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알버타 filed Critical 노르우드 데이비드 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24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25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23/40Y being a hydrogen or a carbon atom
    • C07C323/41Y being a hydrogen or an acyclic carbon atom

Abstract

피부 색소침착, 흑피증 및 흑색종의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은 (i) N-아세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α-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N,N'-디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및 4-S-호모-시스테아미닐페놀과 같은 4-S-시스테아미닐페놀 유도체의 생물학적 유효량 ; 및 (ii)선택된 활성 화합물에 대한 적당한 생물학적 상용성 담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페놀성 아민 색소탈실 및 항흑색종제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사람 또는 동물 멜라닌세포의 멜라닌합성을 차단하는 데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조성물은 흑색종 형태의 피부암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피부병에 기인하는 색소침착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발명의 배경]
색소침착 질환은 멜라닌세포, 즉 멜라닌세포를 합성하는 사람 및 동물 세포내의 티로시나 제효소의 레벨이 상승되는 것으로 종종 특징지어진다. 색소침착 질환에는 흑피증, 흑색종 및 모반(mole)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특히, 모반은 햇빛에 노출된 후 흑색종이 되기 쉽고 티로시나제 합성을 증가시킨다.
보통 시판의 색소탈실 조성물은 히드로퀴논의 사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히드로퀴논 제제는 매우 불안정하며 피부 자극을 일으킨다. 또한 히드로퀴논 조성물은 고농도로 장기간 동안 사용되는 경우 영구적인 피부백화(whitening)를 일으킨다. 흑색종의 치료에 대해서는 공지된 어떤 형태의 비외과적 흑색종 치료도 불만족스러운 바, 현재 외과적 방법이 수반되고 있다.
흑색종 및 피부색소침착의 화학요법적 치료의 기본물질로서 사용되는 페놀성 및 디페놀성 화합분 분야에 대한 연구작업이 행하여져 왔다. 특히, 4-S-시스테이닐페놀(4-S-CP) 및 4-S-시스테아미닐페놀(4-S-CAP)이 합성되어 이들의 색소탈실제및 항흑색종제로서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정상적 표피 멜라닌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에 대해 평가되어 왔다. Mirua etal, Synthesis of Cysteinylphenol, Cysteaminylpheno, and Related Compounds, and In Vivo Evaluation of Antimelanoma Effect, ArcH, Dermatol Res. (1987)279:219-225는 기능성 멜라닌세포의 손실로 증명된 흑색 모발의 색소탈실에서의 4-S-CAP 및 4-S-CP의 효과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화합물의 효과를 색소탈실을 달성하기 위해 히드로퀴논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4-S-CAP는 흑색종이 있는 마우스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유용한 제제이며 흑색종의 성장을 저해함이 입증되었다. 4-S-CP 및 4-CP의 메틸에스테르도 4-S-CAP만큼 활성은 아니지만 흑색종의 성장을 어느 정도 저해하였다.
동 화하불 4-S-CP 및 4-S-CAP는 또한 국부적 사용에 의한 흑색 기니아피그 피부의 색소탈실 성질에 대해 연구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토(Ito) 등에 의해시스테아미닐페놀, 시스테이닐페놀 및 관련 화합물의 국부적 사용에 의한 흑색 기니아피그 피부의 색소탈실,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Vol. 88 No. 1, January 1987에 보고 되어있다. 4-S-CAP가 색소탈실의 성질이 있음은 증명되었으나, 기니아피그의 피부는 현저히 염증성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4-S-CAP는
1. 기능성 멜라닌세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2. 표피의 멜라닌색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3. 메라닌세포를 퇴화 및 파괴시킬 수 있다.
4-S-CP 및 4-S-CAP는 또한 소포성 멜라닌세포에 대한 선택적 세포독성에 대해 연구되었다. 이것은 이토(Ito) 등에 의해 흑색 마우스의 소포성 멜라닌세포에 대한 4-S-시스테아미닐페놀의 선택적 세포독성 : 흑색종의 화학요법에의 사용을 위한 이론적 기초, Cancer Research, June 15, 1987 47: 3278-3284에 보고되었다. 4-S-CAP는 흑색 모발 소포의 색소탈실에서는 세포독성을 보이는 반면에, 백색 소포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 때문에, 4-S-CAP는 멜라닌세포의 멜라닌합성에 활발히 관여한다. 그러나.4-S-CAP 화합물은 실제 임상적 사용입장에서 보면 몇가지 한계가 있다. 그 한계로는
a. 저혈압 효과 : 및
b. 4-S-CAP가, 혈장에서 4-S-CAP를 비특이적 세포독성을 낳는 알데히드 형태로 전환시키는 모노아미네옥시다제(MAO)에 대한 기질이 됨으로써 갖게 되는 높은 독성이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르며, 다음 식(Ⅰ)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C1-C8알킬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C 1 -C8알킬이고;
R3은 수소원자, C1-C8알킬 또는 C1-C8알카노일이고;
X는 1 내지 5이다.
단, X가 1일 때 R1, R2또는 R3중의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약학적 조성물은 한가지 이상의 상기 화합물과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조성물은 사람 또는동물 멜라닌세포의 멜라닌합성을 차단하는 데 유용하며, 이러한 조성물은 MAO경로에 대한 기질이 아니다.
이 조성물은
i) 다음 식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3은 수소원자,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카노일이고;
X는 1 내지 5이다.
단, X가 1일 때 R1, R2또는 R3중의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다.)
으로 표시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화합물의 생물학적 유효량, 및
ii) 선택된 활성 화합물에 대한 적당한 생물학적 상용성 담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이 조성물은 일광차광로션에서의 색소탈실 조성물로서 특히 유용하다. 또한 이 조성물은 항흑색종제로서도 유용하고 흑피증 치료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람 또는 동물 피부의 메라닌세포의 멜라닌합성을 차단하는 방법은
i) 다음 식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3은 수소원자,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카노일이고;
X는 1 내지 5이다.
단, X가 1일 때 R1, R2또는 R3중의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다.)
으로 표시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화합물의 생물학적 유효량, 및
ii) 선택된 활성 화합물에 대한 적당한 생물학적 상용성 담체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를 치료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치료방법은 자외선 노출에 기인하는 피부의 색소침착 및 흑피증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흑색종의 치료에도 또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람 또는 동물 피부의 멜라닌세포의 멜라닌합성을 차단하는데 유용한 조성물의 조제방법은
i) 다음 식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3은 수소원자,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카노일이고;
X는 1 내지 5이다.
단, X가 1일 때 R1, R2또는 R3중의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다.)
으로 표시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화합물의 생물학적 유효량과
ii) 선택된 활성 화합물에 대한 적당한 생물학적 상용성 담체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은 멜라닌합성과 관련되 다양한 색소침착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예를 들면, 본 약학적 조성물은 흑피증, 흑색종 및 기타 피부암과 같은 색소참착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며, 흑색종 및 예를 들면 일광에의 노출에 기인하는 기타 색소침착성 질환의 예방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4-S-CP 및 4-S-CAP와 같은 공지된 형태의 페놀성 아민 화합물보다 상당히 적은 독성을 보여준다. 본 발병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다음 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3은 수소원자,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카노일이고;
X는 1 내지 5이다.
단, X가 1일 때 R1, R2또는 R3중의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다.
상기 식에서 저급알킬 및 저급알카노일은 각각 C1내지 C8특히 C1내지 C6을 갖는 알킬기 또는 알카노일기를 말한다. 바람직한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카노일기는 C1내지 C4를 갖는다.
식 (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의 화합물 매트릭스에 의해 나타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다양한 합성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히 4-S-CAP의 제제는 이토(Ito) 등에 의해 시스테이닐페놀, 시스테아밀 페놀 및 관련 화합물의 합성 및 항흑색종 효과의 생체내 평가(상기 참조)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여기에는 시스테아민과 페놀을 반응시켜 4-S-시스테아미닐페놀 또는 2-S시스테아미닐페놀을 얻는 것이 상술되어 있다. 그 후 4-S-시스테아미닐페놀을 융점분리에 의해 반응생성물로부터 분리한다. 황 사슬을 다양하게 라디칼 치환하거나 또는원하는 사슬로 티올을 치환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조방법안으로는 바이르마이스터(Weirmeister)반응을 통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이 방법은 Padgette) et al,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84 27:1354-1357에 기재되어 있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i) 식(Ⅲ)에서 R1이 수소원자이면 (Ⅰ')에서 N-Ac-S-CAP가 되고,
ii) 식(Ⅲ)에서 R1이 CH3이면 (Ⅰ'')에서 α-Me-4-S-CAP가 되고,
iii) 식(Ⅲ)에서 R1이 수소원자로, 식 (Ⅰ''')에서 N,N-디메탈-4-S-CAP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화합물은 상기 방법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1및 반응물(Ⅲ)을 치환하여 R1, R2, R3및 X를 선택적으로 치환시킨 본 발명의 범위내의 화합물을 합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수반하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흑색종 및 기타 피부암, 흑피증을 포함한 과색소침착 질환과 같은 다양한 색소침착성 질환의 치료 및 흑피증 및 기타 과색소침착 질환, 자외선복사에의 노출에 의해 보통 유발되는 피부암의 예방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본 조성물의 이러한 활성은 조성물의 선택된 활성 화합물이 티로시나제의 존재하에 멜라닌세포에서 독성을 갖게 됨으로써 얻어진다.
색소세포 대사경로는 티로신 및 도파(dopa)의 전환과 후속하는 색소중합체 멜라닌 형성에 관여하므로 특이하다. 이것은 티로시나제 효소의 존재하에 이루어진다. 이 경로는 멜라닌 세포 및 그것의 악성 대응물에서만 존재한다. 티로시나제 효소는 활성 색소세포에서 뿐만 아니라 악성 흑색종에서도 매우 높은 수준의 농도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로는 사람 또는 동물에서 어떤 다른 필수적인 역할을 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활성제는정상 세포와 악성 세포를 구별할 필요가 없다. 치료학적 기술로서 멜라닌 경로를 약화시키려는 이전의 시도는 제한된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는 이전에 사용된 히드로퀴논이 불안정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수준에 이 경로에 충분히 활성이지 않기 때문이었다. 멜라닌경로를 저해함으로써 흑색종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고 멜라닌세포를 파괴하는 데 4-S-CAP를 사용하여도 유사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4-S-CAP는 적은 투여량에서도 높은 독성을 갖고 혈압강하성이었다. 이미 논의한 바와 같이 4-S-CAP는 티로시나제에 대한 기질일 뿐만 아니라 혈장 모노아민옥시다제(MAO)에 대한 기질이기도 하다. 4-S-CAP는 혈장 MAO에 의해 알데히드 형태로 전화되어 이것이 숙주에 비특이적 세포독성을 산출함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른 약제는 혈자 MAO에 대한 기질은 제공하지 않지만, 티로시나제에 대한 기질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현저한 멜라닌세포독성 및 항흑색종 효를 갖는다. 이는 B16 F10 흑색종세포의 폐 전이(metastasis)의 실험적 성장을 현저히 저해할 뿐만 아니라, 흑색 실험동물의 모발이 현저히 색소탈실하는 것에 의해서도 인지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호크롬성 세포종(pheochromocytoma) 및 신경아세포종 (neuroblstoma) 세포와 같은 다른 신경성 관 종양에도 선택적인 독성을 갖는 것이 증명 되었다.
본 발명 조성물이 색소침착성 질환 및 흑색종의 치료 및 일광차단 조서물에 이와 같이 다양하게 사용되 때문에, 본 조성물은 치료에 사용되기 위해 용액 또는 크림 성질일 수 있음은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람 및 동물 멜라닌세포의 멜라닌합성을 차단하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Ⅰ)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화합물의 생물학적 유효량 및 선택된 활성 화합물에 대한 적당한 생물학적 상용성 담체로 이루어진다.
식 (Ⅰ)의 화합물에 대한 동물실험으로, 1회 투여량당의 독성수준이 N-아세틸-4-S-CAP 에 대해서는 체중 1kg당, 1,400mg의 범위이고 α-메틸-4-CAP에 대해서는 체중1kg당 500mg의 범위임을 알았다.
이러한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 화합물의 생물학적 유효량이나, 조성물중 화합물의 충분한 양이 예를 들면 보강내, 피하 또는 국부적 경로에 의해 사람 또는 동물에게 투여될 때 각 사용에 대해 충분한 활성제를 제공하여 색소침착성 질환, 흑색종, 흑피증의 치료와 일광차단로션에서의 자외선차단제 및/또는색소탈실제로서의 작용에 있어서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도록 조성물중에 활성 화합물의 충분량이 제공됨을 의한다는 것을 당해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활성 화합물 생물학적 유효량은 치료기간중 사람 또는 동물에 유독하지 않은 수준이다. 적당한 생물하적 상용성 담체는, 화합물이 복강내 또는 피하결로로 주사될 때는 용액일 수 있음을 당해 기술의 숙련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화합물이 국부적으로 사용될 때는 담체가 화장품 조성물, 약학적 보조제, 일광차단로션 등의 형태의 어떤 유형의 적당한 부형제 또는 담체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주사에 적당한 생물학적 상용성 담체는 생리학적 규정 염수 및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잘 라는 주사가 용이한 기타 형태의 용액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주사용 담체는 pH 7.0 내지 7.4 의 중성 완충액이다.
국부적 사용에 적당한 담체는 화장품 조성물 및 약학적 제제와 같은 종래의 피부치료조성물을 포함한다. 국부적 사용을 위한 그러한 성분들의 예로는 액체파라핀, 바셀린, 메틸폴리실록산, 피마자유, 스쿠알란 및 코코넛유 등의 오일 ;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졸, 부틸히드록시톨루엔, 에틸갈레이트 및 토코페롤과 같은 항산화제; 라우르산나트륨, 라우릴피리듐클로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 글리세릴 모노아라케이드, 소윰 N-스테아릴-N, N-디메틸글리신, 올레일 가수분해 동물단백질 및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포스페이트와 같은 계면활성제; 글리세롤, 2-피롤리돈-5-카르복실산나트륨 및 락트산나트륨과 같은 습윤제; 트라가칸트고무, 마르멜로종자(quince seed)고무, 잔탄(zanthan)곰, 카르복시비닐중합체 및 벤토나이트와 같은 증점제; 벤조산, 알릴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디히드로아세트산 및 트리클로로카르보닐리드와 같은 보존제 ; 애시드 레드 고다민B, 바올라민R, 오렌지SS, 나프톨, 옐로우-S, 타르트라진, 알리자린, 시아닌 그린 F, 브릴리먼트 블루 CFC, 애시드 바이올렛, 카르타민, β-카로텐, 레드, 적색, 청색 및 황색의 철산화물, 티타늄이산화물, 황색 철산화물, 코발트 블루, 울트라마린 블루, 로즈바이올렛, 삼철사산화물 및 카본블랙과 같은 착색제; 비스 왁스, 제펜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및 라놀린과 옥스 ; 니트로셀룰로오스 및 폭리비닐알코올과 같은 필름형성제; 물 및 알코올(예를 들면 에탄올)과 같은 용매 또는 분산 매체 ; 알루미늄 분말, 활석, 카올린, 아연산화물, 티타늄이산화물, 운모, 칼슘, 카보네이트 및 처리 분말과 같은 분말 ;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 및 디부틸프탈레이트와 같은 가소제; 레니놀, 팔미테이트 α-오리자놀, 피리독신디팔미테이트, 아스크로빌디팔미테이트, 에르고칼시페롤, 디-α-토코페롤아세테이트. 바이오틴, 에티닐에스트라도일에스트론, 히드로코르티손, 칼슘판토테네이트, 암모늄글시리지네이트, 알란토이드, 쿠아이아슐과 같은 약리학적 활성제; 그리고 사향, 영묘향(civet), 호박, 쟈스민 순액 및 장미오일과 같은 방향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치료조성물은 예를 들면 화장품 로션 등과 같은 가용화된 형태 및 액상 크림, 크림, 연고 및 분산물과 같은 유화된 형태의 어떠한 전형적인 형태로든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색소탈실에 특히 유용한 조성물로 더욱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조성물은 손상 부위에 국부적으로 사용되거나 복강내 또는 피하경로로 주사되어 원하는 정도의 피부색소탈실을 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조성물은 색소탈실 목적을 위한 피부치료방법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의 색소탈실에 유용한 조성물의 조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흑색종의 치료에도 유용하다. 본 조성물은 국부적으로 또는 복강내 또는 피하경로를 통한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흑색종을 완치 또는 경감시키기 위해 본 조성물을 사용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흑색종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의 조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색소탈실제에 대한 생물학적 상용성 담체와 함께, 본 조성물은 일광차단로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활성제는
1. 자외선복사가 멜라닌세포의 멜라닌합성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2. 모반이 일광에의 노출 후에 흑색종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3. 색소탈실제로서 작용하고 일광차단로션중의 자외선차단제로서도 작용하는 독성 성분을 제조하는 식 (Ⅰ)의 화합물의 활성제인, 티로시나제 효소에 대한 기질로서 작용한다.
매우 놀랍게도 본 발명의 N-Ac-4-S-CAP는 복강내 또는 피하경로의 투여에 의해 치료부위에서 90%의 색소탈실을 일으키는 대단히 강력한 색소탈실제임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N-Ac-4-S-CAP는 흑색종 폐 콜로니를 원래 부피의 25%로 감소시키는 보다 큰 항흑색종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4-S-CAP와 비교할 때 이것은 매우 놀라운 것이다. 항흑색종 특성과 관련하여 4-S-CAP는 흑색종 폐 콜로니를 콘트롤의 30%까지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색소탈실에 대해서는, 4-S-CAP 화합물은 복강내경로 투여로는 단지 87%의 색소탈실을 달성하였으며, 피하결로 투여로는 매우 낮은47%의 색소탈실을 달성하였다.
치료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여경로에 따라 생물학적 상용성 담체증의 활성제의 농도가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사용에서, 주사용액중 활성제의 농도는 체중 1kg당 200 내지 1200mg 범위이고 바람직한 투여량은 체중1kg당 300mg 내지 500mg이다. 국부용에서 화장품크림 등중의 활성제의 농도는, 크림 기준으로 4중량% 내지 6중량% 범위이고 바람직한 조성물은 크림 기준으로 4중량% 내지 10중량% 범위이다.
본 발명의 활성제와 함께 다양하 보완제가 포함될 수 있음은 알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조성물은 L-도파 및/또는 항디카르복실라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다양한 흑색종 치료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색소침착 질환 치료, 색소탈실 성질 및 항흑색종 성질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는 식(Ⅰ)의 화합물중 일부에 대해서만 본 분야에서의 유효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시(Ⅰ)의 화합물은 모두 예측가능한 식의 유사한 성질을 나타냄은 물론이다.
[실시예 1]
티로시나제 및 모노아민옥시다제의 효소반응속도
버섯 티로시나제(400단위/mg) 및 혈장 MAO(1000단위/mg)를 Sigma Chemical Co,(St. Louis, MO, USA)로부터 입수하였다. 7 내지 8가지의 다른 농도(버섯 티로시나제는 40 내지 500μM 이고, MAO는 20 내지 200μM)의 기질 및 각각 pH6.8 과 7.4의 0.05M 인산나트륨 완충액 1.0ml중의 버섯 티로시나제(2.5㎍) 또는 MAO(10㎍)로 반응혼합물을 구성하였다.
진탕 수욕중 37℃에서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혼합물 100μL를 취하여 0.4M HCLO4900μL에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중단시켰다. HPLS(high pressure liguid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기질이 없어지는 것을 추적하였다. Lineweaver-Burk 플롯으로부터 Km 및 Vmax값을 계산하였다.
4-S-CAP아 유사하게, N-아세틸-4-S-CAP도 표 2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역시 티로시나제의 기질이다.
a. 버섯니로시나제: 11단뒤/ml의 티로시나제를 사용하였다. 1효소단위는 L-티로신을 기질로서 사용하여 25℃, pH 6.8에서 1분당 0.001의 A 280 증가를 야기한다.
b. 혈장 모노아민 옥시다제: 0.005단위/ml의 MAO를 사용하였다. 1효소단위는 25℃, pH7.6에서 1분당 1.0μM의 벤질아민을 벤즈알데히드로 산화시킨다.
티로시나제의 최대반응속도는 4-S-CAP보다 N-Ac-S-CAP가 훨씬 더 빠르다. 그러나, 4-S-CAP는 혈장 MAO와 티로시나제 양자에 대한 기질인 데 반하여, N-Ac-S-CAP는 혈장MAO에 대한 기질이 아니다.
[실시예 2]
4-S-CAP와 비교하여 독성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본 발명 화합물의 투여
합성화합물에 의한 실험적 화학요법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Geran et al,Protocols for Screening Chemical Agents and Natural Products Against Animal Tumours and Other Biological Systems(3rd ed.), Cancer Chemother Rep. 3:1-85 1972에 개괄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프로토콜 따라서 10 내지 15마리의 마우스를 각 시험군에 사용하였다. B16 흑색종 세포를 피하 접종한지 하루 후에 이들의 체중을 재고 무작위화시켰다. 5일째부타, 페놀성 멜라닌 전구체를 9일간 매일 복강내투여하였다. 시럼 화합물을 규정 염수에 용해하고, 100℃에서 2분간 가열하여 멸균하였다. 그것들은 HPLC분석(Miura et al,Synthesis of Cysteinyphenol, Crysteaminyphenol, and Related Compounds, and In Vivo Evalution of Antimelanoma Effect(상기 참조))에 의해 판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처리하에서 안정하였다. 마우스에게 다음 투여량 복강내투여하였다. : 400ml/kg - 4-S-CAP; 200 내지 300mg/kg -4-S-CAP; 및 200 내지 1200mg/kg -N-Ac-4-S-CAP. 또한 촉매량의 L-도파, 25mg/kg의 안티디카르복실라제, 카르비도파 400mg/kg도 투여하였다. 카르비도파는L-도파투여 1시간 전에 투여하였다. DTIC(NSC 4538)60mg/kg의 투여량으로 콘트롤 약제로서 사용하였다. 4-S-CP 및 4-S-CAP의 급성독성은 100 내지 1600mg/kg으로 평가되었다. 치사량은 4-S-CP 및 4-S-CAP에서 각각 600mg/kg 및 400mg/kg임을 발견하였다(Miura et al, Synthesis of Cysteinylphenol, Cysteaminylphenol, and Related Compounds, and In Vivo Evaluation of Antimelanoma Effect(상기 참조)). 동족체인 N-Ac-4-S-CAP의 치사량은 1400mg/kg이었다.
[실시예 3]
4-S-CAP 및 N-Ac-CAP간의 B16 흑색종의 생체내 저해 평가
실시예 2에 따라서, 복강내 1회 주사에 의한 4-S-CAP 및 N-Ac-4-S-CAP각각의 최대 허용 가능 투여량은 체중1kg당 200 내지 300mg 1200mg의 범위이다. C57BL7J마우스(5 내지 6주, 암컷)의 등에 종양세포를 피하접종시켜 B16 마우스 흑색종을 유지하였다. 종양제제 및 성장 특징은 Miura et al, Synthesis of Cysteinylphenol, Cysteaminylphenol, and Related Compounds, and In Vivo Evaluation of Antimelanoma Effect(상기 참조)에 이전에 보고된 바 있다. 요약컨데, 절단된 종양을 규정 염수에 균질화시켰다. 그 다음, 균질화된 종양세포를 멸균된 80메시 스테인레스강 스크린을 통과시키고, 규정 염수로 세척하고, 원심분리(500g에 대해 10분 동안)한 후 , 규정 염수에 재현탁시켰다. 0.1ml 당 1×10 농도의 생존 흑색종세포의 현탁액을 C57BL/6J 마우스(암컷, 5 내지 6주의 나이, 18 내지 29그램)의 서혜부 좌우 양쪽에 피하 접종하였다.
화합물의 생체내 항흑색종 효과를 접종시킨 종양 성장 저해 퍼센트(%g.i.)로 평가하였다.
실험 12 또는 13일째의 종양 평균부피로부터 퍼센트g.i., 즉 100×(1-처리군/콘트롤군)을 계산하였다. 종양 부피는 하기 식에 의해 계산된다..
종양 부피=장축×(단축) ×1/2
N-Ac-4-S-CAP는 투여량 의존적인 선령의 성장 저해를 나타내었다.(표 3). 한 실험(실험Ⅰ)에서 4-S-CAP는 200mg/kg에서 N-Ac-4-S-CAP보다 큰 항흑색종 효과를 나타내었다.
N-Ac-4-S-CAP의 최소 투여량인 200mg/kg이 항흑색종 효과를 갖는지 더 실험하기 위하여, 3군의 마우스를N-Ac-4-CAP롤 처치하였다. 시험군 모두가 피하 접종된 흑색종의 크기가 규정 염수로 처치된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됨이 밝혀졌다. 4-S-CAP를 능가하는 N-Ac-4-CAP의 장점중의 하나는 훨씬 더 높은 LD을 갖는다는 것이다.(체중 1 kg당 1400mg만큼 높으므로, 안전도의 범위가 더 넓다).
[실시예 4]
4-S-CAP 및 N-아세틸-4-S-CAP를 투여한 폐에서의 흑색종-콜로니 형성의 분석
폐에서 종양 콜로니를 형성하는 강한 전이 성질이 있는 마우스의 B16F10 흑색종 세포주를 Dr.Lognenecker, Department of Immunology, University of Alberta로부터 얻었다. 이러한 세포는 미우라 등 (상기 참조)에 의해 보고된 바와 같이 잘 알려져 있고 입수가 용이하다. 이 세포를 Gipco Lab Inc.(Grand Island,New York)로부터 입수한 10% 송아지 태아혈청 및 페닐실린 (100μ/ml), 스트렙토마이신(100μg/ml)으로 보충한, 역시 Gipco로부터 입수가능한 둘베코의 MEM 중의 T-75 플라스크에서 성장시켰다. 이 세포를 5% CO를 포함한 공기의 습윤한 뷴위기중 37℃에 배양하였다. 세포를 EDTA중의 0.25% 트립신용액의 박충을 사용하겨 수거한 후, 세척하고 차가운 규정 염수용액에 재혀탁시켰다. 트립판 블루염색 배재에 의해 생존 세포를 확인하고 그 수를 세었다. 세포 현탁물을 바라는 농도로 희석하였다. 치료의 활성제로서 콘트롤 4-S-CAP 및 N-Ac-4-S-CAP를 사용하여 3군의 마우스를 연구하였다. 0일째에 마우스에, 꼬리 측면정맥을 통해 0.2ml규정 염수중의 5×10 세포를 접종하였다. 시험약제를 규정 염수에 용해하고, 막여과로 멸균한 후, 300mg/kg (4-S-CAP) 또는 900mg/kg (N-AC-4-S-CAP)의 양으로 투여하였다. 시작 5일째되는 날, 콘트롤 용액 또는 약제를 14일 동안 매일 복강내 주사하였다. 26일째에 마우스의 머리를 절단하여 죽인 후, 그들의 폐를 꺼내고 해부현미경하에 흑색종 콜로니의 수를 세었다. 그 결과를 콜로니수의 감소 백분율, 즉[a-b/a]×100(여기에서a-콘트롤군의 콜로니이고, b=실험군의 콜로니이다.)으로 나타낸다.
B16F10 흑색종 콜로니의 수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c-4-S-CAP 및 4-S-CAP으로 치료한 후에 현저히 감소하였다.
해부현미경으로 실험한 결과, 잔존 종양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고(콘트롤에서는 직경 1.5-1.7mm vs. 2.5-3.1mm), 일부 종양의 흑피증 또는 색소탈실이 현저함이 밝혀졌다. 주지 된 바와 같이 이 투여에서의 유일한 부작용은 간단히 말하여 복강내 주사 직후의 무감감 및 약간의 과온증이다. 0일째 및 사망시의 평균 체중은 동일하였다.
[실시예 5]
N-Ac-4-S-CAP 및 4-S-CAP의 대사경로분석
15마리의 마우스를 5마리씩 3군으로 임으로 나누어 규정 염수용액에 용해한 시험약제(300mg/kg)를 복강내 주사하였다. 제1군에는-4-S-CAP를, 제2군에는 N-Ac-4-S-CAP를, 제3군에는 콘트롤을 주사하였다. 마우스를 대사 우리에 가두고 주사 후3, 8 및 24시간 후에 뇨를 모으고, Waters 600E 액체 크래마토그래피, Bondapakc18 칼럼(3.0×300mm; 입자크기, 10μm) 및 Waters 460 전기화학적 검출기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HPLC에 의해 4-S-CAP 및 N-Ac-4-S-CAP 함량을 측정한다. 이동상 : 0.1mM Na2EDTA 메탄올을 함유하는 pH 2.1의 0.1M 인산칼륨 완충액, 80:20(v/v); 칼럼온도 60℃, 이동속도 1.0ml/min. 분석 전에 0.1M HCl로 뇨 샘플을 가수분해시키고, Ag/AgCl 기준 전극에 대해 850mV에서 페놀을 검출하였다.
전환 또는 분해하지 않는 변하지 않는 화합물의 뇨배출은 복강내 주사(5.2mg/마우스) 3시간 후에 최대였는데, 4-S-CAP의 경우에는 7.7%(0.399±0.018mg)이고, N-Ac-4-S-CAP의 경우에는 13.9%(0.723±0.027mg)이었다. 이들 2가지 화합물의 뇨배출은 각각 다음과 같았다.
즉, 8시간 후에는 8.5%(0.443±0.023mg) 및 19.8%(1.034±0.033mg)이고, 24시간 후에는 8.8%(0.458±0.021mg) 및20.4%(1.089±0.028mg)이다. 가장 주목되는 것은 복강내 투여한 N-Ac-4-S-CAP의 1.3%(0.066±0.003mg)가 4-S-CAP로 배출되었다는 것인데, 이로써 이 경로로 투여된 동족체의 일부는 모화합물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색소탈실 및 흑색종 세포독성 특성
번식하는 C57BL/6J 흑색 마우스 한쌍을 Jackson Laboratory(Bar Harbor, Maine)로부터 구입하였다. 약 8주 된 제중17그램의 암컷 후손을 이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우스의 등에서 흑색 털을 손으로 뽑아서 새로운 조직성장을 개시하여 티로시나제활성이 증가한 소포성 멜라닌세포를 활성화시켰다. 30마리 마우스를 5마리씩 6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콘트롤 1 및 각 화합물에 대해 1). 1일부터 시작하여 날마다 14일 동안 털이 뽑힌 부위에 약제를 복강내 주사하거나 피하 침윤시켰다. 투여량은 체중 1kg당 300mg이었다.
이와 같은 30마리 마우스에 22일째(초기 텔로겐(telogen) 단계)에 소포 털을 수거하고, 그들의 진정멜라닌 함량을 분석하였다. 멜라닌의 화학적 분해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포함한 분석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Ito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Eumelanin and Pheomelanin in Hair and Melanosomes J. Invest. Dermatol 80:268-272,1983에 기재되어 있다. 요약컨데, 10mg 모발 샘플을 10mg/ml의 농도로 물에 균질화하고; 200μl의 균질물을 스크류 캡 시험관에 옮겨 1M HSO(800μL)와 혼합하고 3% KMnO롤 산화시켰다. 생성물인 피롤로-2,3,5-크리카르복실산(PTCA)를 UVL 검출기가 있는 HPLC로 분석한다. 샘플은 두 번씩 측정한다. 진정멜라닌 함량은 콘트롤(≤10ng/mg: 본 발명자 방법의 배경치, 여기에서 1ng는 대략 진정멜라닌 함량 50ng에 대응한다.)로서의 BALB/C 백색종 마우스의 PTCA 함량에 대한 PTCA(ng/mg)로 나타내고, 색소탈실정도는 퍼센트, 즉(콘트롤 샘플의 PTCA 함량 실험 샘플의 PTCA 함량)/(콘트롤 샘플의 PCTA함량)×100으로 나타낸다.
새로이 성장한 흑색 모발 소포의 색소탈실은 복강내 또는 피하경로에 따른 N-Ac-4-S-CAP주사 후에 가장 두드러졌다. 새로운 모발은 백색종 마우스에서와 같이 거의 순백색이었다. 나머지 시험화합물에 있어서는, 다른 페놀성 아민 화합물에 의한 색소탈실정도가 α-메틸-4-S-CAP〉4-S-CAP4-S-호모-CAP의 순서이었고, N,N-디메틸-4-S-CAP가 가장 낮았다. N-Ac-4-S-CAP 피하주사 후의 색소탈실은 600 및 300mg/kg의 투여량일 때 유사하였다.
4-S-호모-CAP는 피하경로로 투여되었을 때가 복강내투여보다 훨씬 더 많은 색소탈실을 일으키는데 비하여, 4-S-CAP 및 α-메틸-4-S-CAP는 피하경로보다 복강내투여에서 더 많은 색소 탈실을 일으켰다. N,N-디메틸-4-CAP는 새로운 소포중에서 색소침착의 가시적 변화를 일으키지는 않았다.
본 화합물의 부작용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가장 강력한 색소탈실제는 N-Ac-4-S-CAP이며, 이는 표 5에 타나낸 바와 같이 복강내와 피하 양자의 투여에 의해 새로 성정하는 소포에서 98%의 색소탈실을 일으키며, 투여량과 관련된 정도의 차이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N-Ac-4-S-CAP에 의한 모발 소포와 콘트롤 백색종 마우스의 멜라닌 함량에 통계적으로 중요한 차이는 없었다. α-메틸-4S-CAP는 복강내 주사 후 89%의 색소탈실을 일으켰고, 피하투여후 58%의 색소탈실을 일으켰으며, 피하 투여후 뽑혀진 부위의 피부에서 어떤 자극을 일으켰다. 4-S-CAP의 색소탈실 효력은 α-메틸-4-S-CAP와 비슷하며, 복강내 투여 후 87% 이고 피하 투여후 47%이다. 흥미롭게도, 4-S-호모-CAP는 피하 투여(63.5%)보다 복강내 투여(12.1%)의 경우에 더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고, 이는 4-S-CAP, α-메틸-4-S-CAP 및 N,N-디메틸-4-S-CAP가 피하 투여된 때보다 더 높다. N,N-디메틸-4-S-CAP를 복강내 투여 또는 피하 투여된 경우 현저한 색소탈실을 일으키지 않았다(각각 7.3% 및 6.1%).
[실시예 7]
멜라닌세포의 광 및 전자현미경사진
4마리 마우스(1콘트롤 및 각 화합물을 위한1)의 6군을 콘트롤 처리하거나 또는 화합물을 복강내 투여하여 매일 처리하였다. 시험화합물은 4-S-CAP, N-Ac-4-S-CAP 및 α-메틸-4-S-CAP이었다. 10일째 되는 날 간단한 전신마취하에서 피부샘플 및 재성장하는 모발 소포들을 절단하고, Karnovsky 용액(2.5% 글루타르알데히드 및 0.1M 카코딜레이트(cacodylate)완충액중의 2.5% 파라포름알데히드)중에 고정시킨 후, 카코딜에리트 완충액중의 1% 사산화오스뮴 중에 재고정시켰다. 조직을 0.1M베로날 완충액중의 1.5% 아세트산우라닐로 30분 동안 일괄하여 염색하고, 등급이 매겨진 에탄올 용액중에서 탈수하고, 에폭시 수지에 매립한 후, 포터-블럼초박절편 MT Ⅱ (Potter-Blum ultramicrotome MT Ⅱ)로 절단하였다. 1.0μm 두께의 절단체들을 광현미경으로 보기 위해 메틸렌블루로 염색하고, 전자 현미경으로 보기 위해 얇은 절단체들을 시트르산납으로 염색하였다.
콘트롤 샘플에는 모발의 유듀위의 멜라닌세포들과 2개의 멜라닌세포가 있었으며, 주위의 케라틴 세포는 흑색 색소로 채워져 있었다. n-AC-4-S-CAP를 복강내 투여한 10일째 날에, 소포에는 작용하는 멜라닌세포 및 멜라닌색소는 남아 있지 않았으나, 모발 세포에는 어떤 공포적(Vacular)변화도 없었으며, α-메틸-4-S-CAP을 복강내 투여한 후에도 작용하는 멜라닌세포 및 멜라닌 색소의 유사한 손실이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4-S-CAP의 복강내 투여후에 모발 소포는 작용하는 멜라닌세포를 하유하고 있었으 콘트롤에서 보다 훨씬 희박함에도 불구하고 멜라닌 색소가 케라틴 세포로 전이되었다.
복강내 투여 10일 후, 전자현미경으로 검사해 보니, 다른 화합물의 주사후 다양한 수의 작용하는 멜라닌세포 및 멜라노좀이 소포에 함유되어 있는 반면, N-Ac-4-S-CAP 처리후에는 멜라닌세포 또는 멜라노좀은 보이지 않았다. α-메틸-4-S-CAP 및 4-S-CAP로 처리한 마우스의 멜라닌세포는 단계 Ⅱ 및 Ⅲ에서 성숙한 멜라노좀을 함유하는 반면, 콘트롤에서의 완전히 성숙한 메라닌세포는 단계Ⅳ의 성숙한 멜라노좀으로 채워져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N-Ac-4-S-CAP 및 a-메틸-4-S-CAP 의 소포 색소탈실에 가장 큰 세포독성을 갖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는 멜라닌합성 및 모발이 뜯어 뽑겨졌을 때 그 값이 최대인 티로시나제 활성과 관련되어 있는 이들 화합물의 멜라닌 세포에 대한 서택적 독성을 가리킨다. 이들 화합물은 혈장 MAO활성에 관련되어 있지 않은 바, 낮은 독성을 나타낸다.
더욱이 이 화합물들은 강력한 항흑색종 효과가 있다. 이들 화합물의 낮은 독성 및 색소탈실 및 항 흑색종 성질을 고려할 때, 이들은 색종과 같은 색소성 질환의 치료 및 흑피증의 치료, 일광차단 조성물 용도를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탁월히 우수하게 선택된다.
[실시예 8]
N-Ac-4-S-CAP의 합성
2-메틸-2-옥사졸린(13.9ml, 0.197mol) 및 4-메르캅토페놀(24.85g, 0.197mol)을 Ar하에서 약 130℃, 2시간 동안 환류(neat)하며 가열하였다.(혼합하자 자발적인 가열이 발생하였다).
반응혼합물을 0℃로 냉각하니 백색 고체가 침전되었고, 이를 모아 묽은 EtOH로 재결정하여 백색의 생성물을 얻었다.(36.2g, 87%); m.p. 123-125℃;H NMR[(CD)-0]δ6.99(d,d,4H), 3.50-2.60(m,5H), 1.87(s,3H);질량스펙트럼(EI), m/e 211(M ), (CI)m/e 212(M+1).분석치 (CHNOS)C, H, N.
[실시예 9]
4-S-호모-CAP의 합성
3-티오프로필아민 유도체를 베조하는 일반적 방법[Kawase, M. et alMode of Action of 3-Substituted Propylamine Cytotoxicity in Culture Cells Biochem Pharmacol, 31: 2983-2988, 1982]을 하기와 같이 적용하였다. 에탄올(2ml)중의 4-메르캅토페놀(1.0g, 7.9mmol) 및 아크릴로니트릴(0.69ml, 10.3mmol)의 혼합물을 25% 수산화트리메틸페닐암모늄(0.2ml)이 존재하는 아르곤 대기하에서 6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냉각 후, 혼합물은 물로 희석하고, 클로로포름(2×5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추출물을 건조하여(NaSO) 농축시켜 고체를 얻었다. 실리카겔(클로로포름:에틸아세테이트=30:1)상에서 컬럼크래마토그래피하여 무색 결정의 니트릴 1.25g을 얻었다. (88%) : m.p 72-73℃(벤젠으로부터)
에테르(5ml)중의 니트릴(1.0g, 5.6mmol)용액을 아르곤 대기하 0℃에서 에테르 (7ml)중의 격렬히 교반된 수산화알루미늄리튬 현탁액(0.45g, 12.6mmol)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3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빙냉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와 주석산나트륨칼륨의 포화용액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침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척한후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액을 농축하여 유서 잔여물을 얻고, 이것을 6M HCL(20ml)에 용해하고 에테르(30ml)로 추출하였다. 액상을 증발시켜 건조하고, 잔여물을 Dowex 50W-X2 (2.0×16cm)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3M HCL(15mL/fraction)으로 용출하였다. 분액 68, 120을 증발하여, 4-S-호모-CAP 의 CHI 여미 남았으며, 이를 물에 용해하고 농암모니아로서 pH9로 조정하여 4-S-호모-CAP의 무색 결정을 얻었다(0.31g, 30%);m.p.139-141℃. CHNOS에 대한 계산치: C, 58.98; H, 7.15; N, 7.64; S, 17.49%.실측치:C, 58.87; H, 7.10;N, 7.66; S, 17.38%.
[실시예 10]
α-메틸-4-S-CAP의 합성
파젯트 등의 방법 Antihypertensive Activites of Phenol Aminoethyl Sulfides, a Class of Synthetic Substrates for Dopamineβ-hydroxylase, J. Med. Chem.27:1354-1367, 1984를 하기와 같이 수정하였다. 에틸오르토아세테이트(3.57g, 47.5mmol) 와 1,2-디클로로에탄(20ml)의 혼합물을 2-아미노-1-프로판올(7.7g, 47.5mmol)에 가하였다.
결과 용액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9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냉각 후 4-메르캅토페놀(5.0g, 39.5mmol)을 반응혼합물에 가하고, 아르곤 대기하에서 130℃에서 16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였다. 결과 혼합물을 증발기중에서 증발시켰다. 벤젠을 아미드의 뜨거운 클로로포름용액에 가하여 잔존고체를 결정화하여 α-메틸-N-아세틸-4-S-CAP(6.25g,70%)결정을 얻었다. 이 아미드(6.25g, 27.8 mmol)를 아르곤 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6M HCL(110ml)중에 환류하였다. 냉각 후, 에테르(2×50ml)로 용액을 추출하고, 액상을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잔여물을 물(100ml)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을 농암모니아로서 pH9로 조절하여 α-메틸-4-S-CAP의 무색 결정을 얻었다.(4.0g, 78%); m.p.105-106℃. CHNOS에 대한 계산치:C, 58.98; H, 7.15; N, 7.64; S, 1749%. 실측치: C, 58.75; H, 7.16; N, 7.56; S, 17.04%.
[실시예 11]
N, N-디메틸-4-S-CAP의 합성
1차 아민의 N,N-디메틸화의 전형적 방법[Icke, R,N et al Preparation of β-phenylethyldimethylamine Ong, Syn, cColl.3:723-725, 1955]을 적용하였다.
4-S-CAP(6.67g, 40mmol) 및 98%(포름산 15.2ml, 400mmol), 37% 포름알데히드(18.0ml,240mmol)를 1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냉각후 , 6M HCL(10ml)을 가하고 혼합물을 회전식 증발기 안에서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물(200ml)에 용해하고, 그 용액을 농암모니아로서 pH8로 조정하였다. 침전된 갈색 오일을 따라내고, 상청액을 pH9롤 조절하여 N,N-디메틸-4-S-CAP의 담황색 결정을 얻었다(4.3g, 55%);m.p.115-116℃. CHNOS에 대한 계산치 :C, 60.88; H, 7.66; N, 7.10; S, 16.25%. 실측치: C, 60.61; H, 7.71; N, 7.05; S, 16.3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여기에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원리 및 첨부한 청구범위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다양한 변화가 행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0)

  1. 다음 식(Ⅰ)의 화합물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또는 동물 멜라닌세포의 멜라닌합성 차단용 국부 조성물.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C1-C8알킬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C 1 -C8알킬이고;
    R3은 수소원자, C1-C8알킬 또는 C1-C8알카노일이고;
    X는 1 내지 5이다.
    단, X가 1일 때 R1, R2또는 R3중의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아세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N,N-디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4-S-호모-시스테아미닐페놀 및
    α-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아세틸-4-S-시스테아미닐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가 일광차단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다음 식(Ⅰ)의 화합물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로시나제를 포함하는 대사경로 저해용 국부 조성물.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C1-C8알킬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C 1 -C8알킬이고;
    R3은 수소원자, C1-C8알킬 또는 C1-C8알카노일이고;
    X는 1 내지 5이다.
    단, X가 1일 때 R1, R2또는 R3중의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다.
  6. 다음 식(Ⅰ)의 화합물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종세포 치료용 국부 조성물.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C1-C8알킬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C 1 -C8알킬이고;
    R3은 수소원자, C1-C8알킬 또는 C1-C8알카노일이고;
    X는 1 내지 5이다.
    단, X가 1일 때 R1, R2또는 R3중의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다.
  7. 다음 식(Ⅰ)의 화합물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색소침착 치료용 국부 조성물.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C1-C8알킬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C 1 -C8알킬이고;
    R3은 수소원자, C1-C8알킬 또는 C1-C8알카노일이고;
    X는 1 내지 5이다.
    단, X가 1일 때 R1, R2또는 R3중의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다.
  8. 다음 식(Ⅰ)의 화합물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색소침착치료용 국부 조성물.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C1-C8알킬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C 1 -C8알킬이고;
    R3은 수소원자, C1-C8알킬 또는 C1-C8알카노일이고;
    X는 1 내지 5이다.
    단, X가 1일 때 R1, R2또는 R3중의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아세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N,N-디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4-S-호모-시스테아미닐페놀 및
    α-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아세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5항,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가 일광차단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아세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N,N-디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4-S호모-시스테아미닐페놀 및
    α-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아세틸-4-S-시스테아미닐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6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가 일광차단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아세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N,N-디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4-S-호모-시스테아미닐페놀 및
    α-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아세틸-4-S-시스테아미닐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7항,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가 일광차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아세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N,N-디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 4-S-호모-시스테아미닐페놀 및 α-메틸-4-S-시스테아미닐페놀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N-아세틸-4-S-시스테아미닐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8항,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가 일광차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20702629A 1990-04-23 1991-04-23 페놀성 아민 색소탈실 및 항흑색종제 KR100204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015197 1990-04-23
CA002015197A CA2015197C (en) 1990-04-23 1990-04-23 Phenolic amine depigmenting and antimelanoma agents
PCT/CA1991/000134 WO1991016302A1 (en) 1990-04-23 1991-04-23 Phenolic amine depigmenting and antimelanoma ag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4254B1 true KR100204254B1 (ko) 1999-06-15

Family

ID=414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2629A KR100204254B1 (ko) 1990-04-23 1991-04-23 페놀성 아민 색소탈실 및 항흑색종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526502B1 (ko)
JP (1) JP3178834B2 (ko)
KR (1) KR100204254B1 (ko)
AT (1) ATE118763T1 (ko)
AU (1) AU651823B2 (ko)
CA (1) CA2015197C (ko)
DE (1) DE69107616T2 (ko)
HK (1) HK1000730A1 (ko)
IE (1) IE65995B1 (ko)
WO (1) WO1991016302A1 (ko)
ZA (1) ZA9130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650473T3 (da) * 1992-07-15 1997-08-25 Univ Alberta Radioafbildende og radiokemoterapeutiske ethanoliske thiotheraminer og acylderivater deraf ved diagnosticering og behandling af pigmenteringssygdomme
DE4228455A1 (de) * 1992-08-26 1994-09-15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mit einem Gehalt an Thiolen und/oder Thiolderivaten
US7691905B2 (en) * 2002-12-24 2010-04-06 New York University Inhibition of melanogenesis and melanoma metastasis with p-aminobenzoic acid (PABA)
ES2661169T3 (es) * 2005-07-28 2018-03-27 Academisch Ziekenhuis Bij De Universiteit Van Amsterdam Compuestos de monofenol, bencenodiol, o sulfhidrilo para uso en el tratamiento de melanomas
US9616065B2 (en) * 2013-04-16 2017-04-11 Drexel University Compositions useful in treating brain-related diseases or disorders and methods using same
EP3785696A1 (en) 2019-08-28 2021-03-03 B.R.A.I.N. Biotechnology Research And Information Network AG Cosmetic use of aromatic formamidine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927A (en) * 1976-08-16 1980-01-15 The Dow Chemical Company Substituted phenylthioalkylamines and compositions thereof
US4155907A (en) * 1976-08-16 1979-05-22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inhibiting ADP-induced platelet aggregation using phenylthioalkylamines
IT1080455B (it) * 1977-06-17 1985-05-16 Alfa Farmaceutici Spa N 3 feniltiopropil 3.3 difenil propilammine sostituite dotate di attivita farmacologia
US4246201A (en) * 1979-06-11 1981-01-20 Alfa Farmaceutici, S.P.A. Substituted N-(3-phenylthiopropyl)-3,3-diphenyl-propylamines possessing pharmacological activity
DE3410070A1 (de) * 1984-03-20 1985-10-03 Hoechst Ag, 6230 Frankfurt 1-(2-aryl-1,3-dioxolan-2-ylmethyl)-azole, ihre salz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ie enthaltende zubereitungen und ihre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07616D1 (de) 1995-03-30
HK1000730A1 (en) 1998-04-24
AU651823B2 (en) 1994-08-04
CA2015197C (en) 1999-08-24
DE69107616T2 (de) 1995-07-06
JPH05509291A (ja) 1993-12-22
WO1991016302A1 (en) 1991-10-31
JP3178834B2 (ja) 2001-06-25
ATE118763T1 (de) 1995-03-15
CA2015197A1 (en) 1991-10-23
EP0526502B1 (en) 1995-02-22
EP0526502A1 (en) 1993-02-10
ZA913054B (en) 1992-06-24
IE65995B1 (en) 1995-11-29
AU7690391A (en) 1991-11-11
IE911361A1 (en) 199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16034A (ja) 4位、4位および5位、または4位および6位がモノ‐もしくはジ‐置換されたレゾルシノール誘導体を、色素脱失作用を有する化粧品組成物もしくは皮膚薬剤組成物に使用する方法
US5468472A (en) Topical process for lightening the skin or treating pigmental blemishes using a composition containing 4-thioresorcin derivatives
KR100204254B1 (ko) 페놀성 아민 색소탈실 및 항흑색종제
JPH05320039A (ja) 美白化粧料
US5395611A (en) Phenolic amine depigmenting and antimelanoma agents
AU675902B2 (en) Photocleavable metal-chelating agent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925332A (en) Radioimaging and radiochemotherapy phenolic thioether amines and acyl derivatives thereof for use in diagnosing and treating pigmentation disorders
EP3097904B1 (en) Depigmenting agents to lighten the skin
JPH05345713A (ja) 皮膚外用剤
JPH05105621A (ja) 桂皮酸エステル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美白化粧料
JPS6256459A (ja) N,N−ジアルキル−p−ヒドロキシシンナムアミド及びこれを含有するメラニン抑制剤
JP3113407B2 (ja) 化粧料
JPH11335256A (ja) 皮膚化粧料
JPS6339847A (ja) p−ヒドロキシシンナムアミド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メラニン抑制剤
JPH05139946A (ja) メラニン抑制剤
JPH05221834A (ja) 白髪の防止及び白髪黒色化用毛髪化粧料
JP3192499B2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JP3195834B2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JPH0967225A (ja) 皮膚外用剤
JPH08333230A (ja) 美白剤
JPH06321763A (ja) 美白剤
JPH08333235A (ja) 美白剤
CA2082252A1 (en) Diacyl derivatives of phenolic thioether amines useful in treating pigmentation disorders
JPH05213857A (ja) メラニン抑制剤
JPH06128203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