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966B1 - 기록 신호 작성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신호 작성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966B1
KR100203966B1 KR1019960039471A KR19960039471A KR100203966B1 KR 100203966 B1 KR100203966 B1 KR 100203966B1 KR 1019960039471 A KR1019960039471 A KR 1019960039471A KR 19960039471 A KR19960039471 A KR 19960039471A KR 100203966 B1 KR100203966 B1 KR 100203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signal
mod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111A (ko
Inventor
겐지 시모다
요시히사 사카자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70019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전송 레이트에 따른 기록 모드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기록 효율을 향상시킨다.
전송 신호는 전송 레이트 정보 추출 회로(2)에 부여되어 전송 레이트의 정보가 추출된다. 모드 검출 회로(6)는 모드 설정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지정한 모드를 검출하여 기록 모드 설정 회로(4)에 출력한다.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전송 레이트 및 사용자가 지정한 모드에 기초하여 기록 모드를 설정한다. 부가 테이타 변경회로(7)는 기록모드에 따라서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를 설정한다. 이렇게 하여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경 회로(3)는 장시간 모드시에는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의 일부 또는 전부를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에 할당하여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시간을 길게 한다. 이것에 의해 기록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기록 신호 작성 장치
본 발명은 고능률 부호화된 전송 신호를 기록 신호로 변환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화상의 고능률 부호화 기술의 확립에 따라서, 화상의 디지털 처리가 보급되고 있다. 고능률 부호화 기술은 디지털 전송 및 기록 등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행서, 적은 비트 레이트로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것이다. 고능률 부호화 규격의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1(ISO/IEC 11172)은 이미 비디오 CD, CD-1 등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현행 방송 등의 화질에 대응시킨 규격인 MPEG 2는 규격화가 거의 종료하고 있다. 이들 규격에 기초하는 고능률 부호화를 이용한 디지탈 방송도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미국에서는 고능률 부호화를 채용한 차세대 고해상도 텔레비전 방송인 ATV(Advanced TV)가 이미 실험 단계에 들어가 있다. 또한, 현행 방송 방식이지만, DirecTV. PrimeStar 등에 있어서도, 고능률 부호화를 이용하여 위성으로 부터의 전파를 직접 수신하는 상용 디지털 방송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유럽에서는 고능률 부호화를 채용한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가 연구되고 있다. DVB는 현행 방송 방식 뿐만 아니라, 고해상도 텔레비전 방송 위성, 지상파 및 케이블 시스템을 이용한 각종 방송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1995년 말경부터 실험 방송이 행해질 예정이다.
그런데, 디지털 방송에 의해서 전송되는 고능률 부호화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하는 기록 장치도 검토되고 있다. 이미 MPEG와는 약간 다른 고능률 부호화 방법으로 압축 신장하여 기록 재생하는 디지털 VTR에 관해서는 디지털 VTR의 기록 포맷 등의 규격을 심의하고 있는 임의 단체 HD-DVCR 협의회에 있어서, 현행 방송 신호 SD(Standard Definition) 및 고해상도 신호 HD(High Definition : ATV도 동일한 종류)에 대응한 SD, HD 규격이 존재한다.
한편, 디지털 방송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SD, HD 규격에 의한 압축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전송되는 영상 및 음성 등의 정보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예컨대, 미국 ATV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디지털 VCR의 규격으로서, ATV 3 대응 VCR 규격이 1995년 4월에 제정되었다. 또한, 유럽의 DVB에 대응하는 디지털 VCR의 규격인 DVB 대응 VCR 규격도 심의중에 있다.
MPEG 2는 복수의 화상, 음성 및 데이터 등의 시분할 다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패킷 단위로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1 패킷은 동일 종류의 데이터에 의해서 구성되고, 각 패킷에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를 부가한다. MPEG 2 디코더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패킷으로부터 식별 신호(PID)를 참조하여, 동일 PID의 패킷을 추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전송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프로그램만을 복호화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화상 A, B, C, …의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 채널 데이터 스트림이 입력된 경우에도 MPEG 2규격에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에서는 원하는 1 화상만을 영상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멀티 채널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송 레이트에 대응하는 일반적인 VTR에 의해서 전송 데이터 중의 예컨대, 1 종류의 데이터만을 기록하면, 모든 전송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와 동일한 기록 시간밖에 수득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본건 출원인은 이전에 출원한 특허 출원 평성 6-278097호 명세서(이하, 문헌 1이라고도 함)에 있어서, 상이한 신호 레이트의 정보를 기록하는 동시에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제안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의 반송 속도를 기록 레이트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동시에, 기록 레이트에 따라서 자기 헤드를 간헐적으로 추적시킴으로써, 기록 레이트를 가변으로 하고 있다.
문헌 1에 나타내는 기록 레이트 가변 VCR을 이용하면, 전송 데이터로부터 선택한 1또는 복수 종류의 데이터만을 각 데이터의 신호 레이트에 기초하는 레이트로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전송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비하여 긴 기록 시간을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한 1 종류의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가 전송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의 1/3인 경우에는, 통상 재생 시간에 지정하는 테이프 속도를 표준 속도의 1/3로 설정하여 기록 및 재생을 햄함으로써, 3 배의 기록 시간을 수득할 수 있다.
미국의 ATV의 경우에는 전송 신호의 전송 레이트 19.4 Mbps로 고정되어 있고, VCR의 기록 레이트를 변경할 필요는 없다. 이것에 대하여, 유럽의 DVB의 경우에는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 레이트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프로그램 또는 전송 채녈마다 다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기록하고자 하는 정보 신호의 전송 레이트에 따라서 VCR의 기록 모드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점을 고려하여 DVB 대응 VCR의 심의회에서는, 기록 레이트를 25 Mbps(표준 레이트)로 하는 표준 모드(이하, SD 모드라고도 함) 외에 기록 레이트를 표준 레이트의 2배로 하는 모드(이하, 2 SD 모드라고 함), 기록 레이트를 표준 레이트의 1/2로 하는 모드(이하, 1/2 SD 모드라고 함) 및 기록 레이트를 표준 레이트의 1/4로 하는 모드(이하, 1/4 SD 모드라고 함) 등을 구비하는 것이 검토되었다.
도 11은 HD-DVCR 협의회에 있어서 규격화된 자기 테이프의 기록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자기 테이프에 형성된 기록 트랙은 테이프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향하여 음성 기록 영역 및 영상 기록 영역을 갖는다. 음성 기록 영역과 영상 기록 영역을 설치한 것은 SD 및 HD 규격과 같이 VCR 측에서 고능률 부호화를 행하는 경우에 대응하였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하여, ATV 또는 DVB 대응 VCR에서는 이미 고능률 부호화된 정보 신호가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된 정보 신호는 영상 기록 영역에만 기록된다. ATB 대응 VCR 규격에서는 영상 기록 영역에는 적(積 )부호인 ECC1, ECC2를 기록하는 영역이 포함된다. 또, ATV 대응 VCR 규격에서는 더 큰 정정 능력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각 트랙마다 에러 정정 부호인 ECC3 부호를 기록하는 에러 정정용 패리티 영역(이하, ECC3 영역이라고 함)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는 도 11 중의 전송 데이터 영역의 상세한 기록 포맷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상부의 숫자는 트랙 번호를 나타내고, 하부의 부호는 트래킹용 파일롯 신호의 종류를 나타낸다.
디지털 VCR에서는 기록 변조 신호의 DSV(전하 축적치)를 고의로 변동시키는 것으로 파일롯 신호가 되는 저역 성분(이하, 디지털 파일롯 톤이라고 함)을 발생 시키는 변조 방법을 채용한다. 이 변조 방법에서는 주신호 자체의 스펙트럼이 특정 저역에 집중할 뿐이고 특별히 다른 신호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주신호에 대한 방해파를 다중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유효하다.
예컨대, 주파수가 f0, f1, f2인 3종류의 파일롯 신호 F0, F1, F2를 자기 테이프의 기록 트랙에 순회적으로 기록한다. 즉, 각 기록 트랙에는 파일롯 신호 F1, F0, F2, F0, F1, F0, F2,…를 기록한다. 또, 통상, 파일롯 신호 F0은 무신호로 한다. 재생시에는 재생 신호에 포함되는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파일롯 신호 F1, F2의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레벨이 일치하도록, 즉, 파일롯 신호 F0이 중첩되어 있는 트랙에 트랙 위상을 맞추도록 제어한다.
그런데, MPEG 방식으로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한 경우에는 프레임내 압축 프레임과 프레임간 압축 프레임에서는 부호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의 화면상의 수직 위치와 기록 매체상의 수직 기록 위치와는 대응하지 않고, 고속 재생시의 재생 데이터에 의해서 1 프레임을 재현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또 프레임간 압축 프레임은 단독 프레임에서는 복호할 수 없기 때문에 고속 재생시와 같이 복호되지 않은 프레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재생 불능이 되어버린다.
그래서, 본건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한 특허 출원 평성 6-065298호 명세서 (이하, 문헌 2라고 함)에 있어서는, 고속 재생시에 헤드가 통과하는 각 트랙의 위치에 단속적으로 고속 재생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재생시에는 고속 재생용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을 정확하게 추적하는 것으로 고속 재생 화상을 수득한다.
즉,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트래킹 위상을 제어하면 고속 재생시에 있어서 반드시 추적되는 자기 테이프상의 영역(이하,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이라고 함)이 존재한다. 고속 재생시의 헤드 추적에 의해서,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을 추적하여 이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즉, 이 제안에 있어서는 기록시에는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통상 재생용 데이터로서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 이외의 영역에 기록한다. 한편, 부호화 데이터 중 예컨대,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내 압축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패킷화하여 특수 재생 패킷을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것이다.
도 12의 도궤(途潰)부 및 사선부는 이러한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궤부는 18 배속 재생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하, ×18 영역이라고 함)이고, 사선부는 4 배속 재생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하, ×4 영역이라고 함) 이다. 다른 부분이 통상 재생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다.
파일롯 신호 F0이 기록되어 있는 트랙(이하, F0 트랙이라고 함)은 6개의 ×18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파일롯 신호 F1이 기록되어 있는 트랙(이하, F1 트랙이라고 함)은 1개의 ×4 영역을 가지고 있다. 또, 특수 재생용 테이터로서는 MPEG 2 규격의 프레임간 부호화 신호에 포함되는 프레임내 압축 신호(I 프레임 데이터) 중의 예컨대, 직류 데이터가 이용된다. 또한, 데이터 용량에 의해서는 직류 데이터 뿐만 아니라, 교류 데이터 중의 저역 신호가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 이들 데이터는 다시 MPEG 규격에 따르는 신호열로 변환되어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에 기록된다.
이러한 기록 포맷을 채용하여 전송 신호의 레이트에 따른 모드로 기록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의 반송 속도를 기록 레이트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동시에, 기록 레이트에 따라서 자기 헤드를 간헐적으로 추적시킴으로써 기록 레이트를 가변으로 하고 있다. 예컨대, 1/2 SD 모드시에는 테이프 속도를 표준 모드의 1/2로 하는 동시에, 1 트랙 걸러 기록을 행한다. 또한, 1/4 SD 모드시에는 데이프 속도를 표준 모드의 1/4로 하는 동시에, 4 트랙마다 1 트랙 기록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트랙 피치를 변화시키는 일없이 가변 레이트의 기록이 가능하다. 또, 동시에 2 채널을 기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데이터 기록 영역에는 재생시에 있어서 재생 데이터가 통상 재생 데이터인지, 특수 재생용 데이터인지 또는 그 외의 데이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프래그도 기록되어 있다. 이 플래그를 식별함으로써,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통상 재생시에는, 통상 재생용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부가된 데이터만을 복호화해 이용함으로써 통상 재생 화상을 복원할 수 있다.
그런데, 기록 모드는 전송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에 따라서 결정된다. 요즘, 표준 모드에 있어서의 모든 기록 레이트가 25 Mbps인 것으로 하고, 이중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가 19.4 Mbps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ECC3, 18 배속 재생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및 4 배속 재생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로 할당되는 기록 레이트는 5.6 Mbps이다. 여기에서, 20 Mbps의 데이터 레이트의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기록 레이트가 19.4 × 2 = 38.8Mbps가 되는 2 SD 모드로 기록할 필요가 있다. 즉, 이 경우에는 기록 가능한 시간이 표준 모드의 1/2로 되어버리는 동시에 용장도가 극히 크다.
또한, 1/2 SD 모드를 채용하면, 통상 재생용 데이터로서 기록 가능한 레이트는 9.7 Mbps이기 때문에, 예컨대, 데이터 레이트가 10 Mbps인 정보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있어서도 표준 모드의 기록밖에 할 수 없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불과 03 Mbps의 초과분에 의해서, 기록 시간을 길게 할 수 없으며 또한, 극히 용장도가 큰 기록이 행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전송 레이트에 따라서 기록 모드가 일의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기록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송 레이트에 따른 복수의 기록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록신호 작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신호 작성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도 1 중의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3)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특수 재생용 데이타의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도는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5도는 특수 재생용 데이타 기록 영역의 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6도는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의 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10도는 제9도중의 기록 모드 설정 회로(3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1도는 HD-DVCR 협의회에 있어서 규격화된 자기 테이프의 기록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2도는 제11도중의 전송 데이터 영역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송 레이트 정보 추출 회로 3 :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
4 : 기록 모드 설정 회로 6 : 모드 검출 회로
7 :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 8 : 기록 모드 정보 표시 장치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신호 작성 장치는 고능률 부호화된 전송 신호가 입력되어 통상 재생용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신호를 작성하여 출력하는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수단과, 상기 전송 신호의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는 레이트 정보 추출 수단과,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검출 수단과, 상기 레이트 정보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모드를 설정하는 기록 모드 설정 수단과, 상기 기록 모드 설정 수단이 설정한 기록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를 변경시키기 위한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수단에 부여하는 부가 데이터 변경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송 신호는 레이트 정보 추출 수단에 부여되어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추출된다.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 신호는 모드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다. 기록 모드 설정 수단은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와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모드를 설정한다. 부가 데이터 변경 수단은 기록 모드에 기초하여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를 변경한다. 부가 데이터 변경 수단에 제어되는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수단은 통상 재생용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신호를 작성한다.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는 전송 레이트 및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 신호에 의해서 변겨되어 기록 효율이 향상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신호 작성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통상 재생용 데이터 뿐만 아니라 특수 재생용 데이터 등의 부가 데이터를 작성하여 기록하는 VCR 등에 적용한 것이며, 전송 레이트에 따라서 부가 데이터량을 가변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의 기록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즉, 본실시 형테에 있어서는, 전송 신호의 레이트 정보로부터 수득한 부가 데이터의 정보량과 기록 시간과의 우선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부가 데이터를 작성하고, 통상 재생용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기록 신호를 작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작성된 기록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기록계에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또, 부가 데이터로서는 고속 재생용등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및 에어 정정 데이터 등이 있다.
도 1에 있어서, 입력 단자(1)에는 전송 신호가 입력된다. 이 전송 신호는 고능률 부호화 처리되고 패킷화되어 소정의 전송 레이트로 전송된 것이며,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삽입되어 있다. 전송 신호는 전송 레이트 정보추출 회로(2) 및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3)에 부여된다. 전송 레이트 정보 추출 회로(2)는 전송 신호에 포함되는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여 기록 모드 설정 회로(4)에 출력한다.
한편, 입력 단자(5)에는 사용자가 조작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 신호가 입력된다. 모드 설정 신호는 사용자의 기록 방법에 관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것이며, 특수 재생용 데이터 및 에러 정정 데이터 등의 부가 데이터에 허용되는 최대 기록 레이트로 부가 데이터를 작성하는 통상 모드와,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를 작게 하여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시간을 길게 하는 장시간 모드를 지정할 수 있다. 모드 검출 회로(6)는 모드 설정 신호가 입력되고, 통상 모드인지 장시간 모드인지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기록 모드 설정 회로(4)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용자가 지정한 모드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로부터 기록 모드를 설정한다. 요즘, 전송 레이트의 정보로부터 수득한 전송 신호의 전송 레이트를 1r로 한다. 도시하지 않은 기록계에 있어서는, 가변 레이트의 기록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예컨대, SD 모드, 2 SD 모드, 1/2 SD 모드, 1/4 SD 모드에 의한 기록 재생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표준 모드에 있어서의 기록 레이트(표준 레이트)를 SDr로 하면, 2 SD 모드, 1/2 SD 모드, 1/4 SD 모드에 있어서의 기록 레이트는 각각 2 SDr, 1/2 SDr, 1/4 SDr이다.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통상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레이트 1r과 각 기록 모드에 있어서의 기록 레이트와의 관계가 하기 식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에 기초하여 기록 모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Ir SDr … (1)
1/2 SDRr IrSDr … (2)
1/4 SDr Ir1/2 SDr … (3)
Ir1/4 SDr … (4)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통상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식 (1)의 조건이 성립하면 2SD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기록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동일하게, 기록모드 설정 회로(4)는 통상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 있어서, 식 (2)의 조건이 성립하면 SD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기록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식 (3)의 조건이 성립하면 1/2 SD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기록 모드 신호를 출력하며, 식(4)의 조건이 성립하며 1/4 SD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기록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는 각 기록 모드의 모든 기록 레이트 중 본래 부가 데이터에 할당된 기록 레이트의 일부 또는 전부를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통상 모드에 있어서는 부가 데이터에 할당된 모든 기록 레이트는 그대로 부가 데이터용으로 이용된다. 이것에 대하여, 장시간 모드에 있어서는 부가 데이터에 할당된 기록 레이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된다. 즉, 통상 모드를 지정하면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고기능의 재생이 가능하고, 장시간 모드를 지정하면 기능은 제한되지만 통상 재생용 데이터를 장시간 기록할 수 있다.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장시간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부가 데이터에 할당하여 가능한 최대 기록 레이트 중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되어 있는 데이터 레이트를 A로 하여, 하기 식 (5)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에 기초하여 기록 모드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Ir SDr + A … (5)
SDr IrSDr + A … (6)
(SDr + A)/2 IrSDr … (7)
1/2 SDr Ir(SDr +A)/2 … (8)
(SDr + A)/4 Ir1/2 SDr … (9)
1/4 SDr Ir(SDr +A)/4 … (10)
Ir1/4 SDr … (11)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장시간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식 (5) , 식 (7), 식 (9) 또는 식 (11)의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각각 2 SD 모드, SD 모드, 1/2 SD 모드 또는 1/4 SD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기록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장시간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식(6), 식 (8) 또는 식 (10)의 조건이 성립하면, 각각 SD' 모드, 1/2 SD' 모드 또는 1/4 SD'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기록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SD' 모드, 1/2 SD' 및 1/4 SD' 모드는 본래 부가 데이터에 할당된 레이트 중의 A 만을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는 모드이다.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를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7)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7)는 기록 모드에 따라서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를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3)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7)는 통상 모드에 의해 기록이 지정된 경우에는, 본래 부가 데이터에 할당되어 있는 모든 기록 레이트로 부가 데이터를 기록시키기 위한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장시간 모드에 의해 기록이 지정된 경우에는 데이터 레이트 A 만큼 적은 기록 레이트로 부가 데이터를 기록시키기 위한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를 출력한다. 또,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7)는 통상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본래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되어 있는 기록 레이트 중 부가데이터용으로서 할당하여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를 가산한 레이트로 부가 데이터를 기록 시키기 위한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를 출력하여도 좋다. 또,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부가 데이터로서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다.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로부터의 기록 모드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기록계로서의 VCR에도 공급되고, 테이프 주행 속도 등의 시스템 제어에 이용되도록 되어 었다.
도 2는 도 1중의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3)의 구체적인 구성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부가 데이터 중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로서 4 배속 및 18배속용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작성하는 예이다.
입력 단자(1)를 통행 입력된 전송 신호는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 (3)의 동기 검출 회로(11), 클록 생성 회로(12) 및 패킷 식별 회로(13)에 공급된다. 동기 검출 회로(11)는 전송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패킷 식별 회로(13) 및 ID 검출 회로(!4)에 출력한다. ID 검출 회로(14)는 전송 신호에 포함되는 패킷의 데이터의 종별을 나타내는 ID를 검출하여 패킷 식별 회로에 출력한다. 예컨대, 전송 신호가 MPEG 2 규격에 따라서 부호화된 것인 경우에는, 패킷은 전송 스트림 중의 188 바이트 단위의 전송 패킷이다. ID에 의해서 패킷이 비디오 패킷인지 오디오 패킷인지, 서브 코드인지 또는 콘디쇼날(conditional) 엑세스 코드인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패킷 식별 회로(13)는 패킷의 선두에 배열되어 있는 동기 신호에 의해서 패킷을 분할하는 동시에, ID에 의해서 패킷의 데이터 종별을 식별한다. 패킷 식별 회로(13)는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패킷 변환 회로(15)에 출력하는 동시에, 식별한 비디오 패킷을 4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 및 18배 특수 재새용 데이터 생성 회로(22)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추출 회로(23)에 출력한다. 패킷 변환회로(15)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록 매체의 기록 포맷에 적합한 패킷으로 변환하여 통상 재생용 데이터로서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클록 생성 회로(12)에는 도시하지 않은 자주(自走) 클록 회로로부터의 자주 클록도 입력되고 있다. 클록 생성 회로(12)는 전송 신호로부터 클록을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자주 클록이나 또는 재생한 클록을 선택하여 타이밍 신호 발생회로(20)에 출력한다. 예컨대, 클록 생성 회로(12)는 재생시와 같이 전송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주 클록을 출력하고, 기록시와 같이 전송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송 신호로부터 재생한 클록을 출력한다.
입력 단자(17, 18)에는 각각 기록 모드 신호 및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가 입력된다. 기록 모드 신호 및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는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회로(19)에 공급된다.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회로(19)는 기록 모드 신호 및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하는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 즉 4 배속 및 18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작성량을 구하여, 4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회로(21), 18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2)에 출력한다. 또한,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회로(19)는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20)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4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는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회로(19)에 지시되어, 비디오 패킷의 비디오 신호로부터 4배속 재생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작성하여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에 출력한다. 18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2)는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회로(19)에 지시되어, 비디오 패킷의 비디오 신호로부터 18배속 재생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작성하여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즉, 4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추출 회로(23)는 입력된 비디오 패킷으로부터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추출한다. MPEG 2 규격에 있어서, 전송 신호를 예컨대, 8×8 화소의 블록 단위로 2 차원 DCT(이산코사인 변환) 처리하여 예측 부호화된다. 도 3의 (a)는 8×8 화소 단위의 블록화를 나타내고 있다. 각 블록을 2 차원 DCT 처리하면, DCT 계수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의 저역으로부터 고역으로 향하여 8×8의 64개의 주파수 성분으로 된다(도 3의 (b)). 이 경우에는 특수 재생용 데이터 추출 회로(23)는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의 DCT 계수의 저역 성분을 4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로서 추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특수 재생용 데이터 추출 회로(23)는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의 DCT 계수의 직류 데이터로부터 교류 성분의 5번째의 계수까지를 추출한다. 특수 재생용 데이터 추출 회로(23)는 추출한 데이터를 보정하여 데이터열의 규격을 통일하여 특수 재생용 데이터량 계측 회로(24) 및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에 출력한다. 또, MPEG 2 규격에서는 가변 길이 부호화가 채용되고 있으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추출 회로(23)는 입력된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변 길이 복호화한 후에,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되어 있다. 특수 재생용 데이터 추출 회로(23)는 추출한 가변 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의 정보를 특수 재생용 데이터량 계측 회로(24)에 출력한다. 또, 특수 재생용 데이터 처리에 관해서는 특허 공개 공보 평성 5-276480호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는 입력된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기억한다. 특수 재생용 데이터량 계측 회로(24)는 입력된 정보로부터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계측하고,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회로(19)로부터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작성량의 지시에 기초하여,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에 특수 재생 데이터를 보존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특수 재생용 데이터량 계측 회로(24)는 기록 신호를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에 출력함으로써,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의 기억을 지시한다. 특수 재생용 데이터량 계측회로 (24)는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을 종료한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계측 신호를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20)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메모리 독출 제어 회로(27)는 후술하는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20)로부터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독출 타이밍이 부여되고,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TEP 패킷화 회로(26)에 출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패킷화 회로(26)는 입력된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기록 포맷에 기초하여 패킷화하여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에 출력한다. 예컨대, 패킷화 회로(16)에 출력한다. 예컨대, 패킷화 회로(26)는 MPEG 2 규격의 전송 패킷을 작성한다.
18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2)의 구성은 4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와 동일 구성이고, 18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생성하여 패킷화하고,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 데이터 발생 회로(28)는 기록 신호의 포맷을 소정의 기록 포맷에 일치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고정 데이터를 더미 데이터로서 발생하여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에 출력 하도록 되어 있다.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20)는 클록 생성 회로(12)로부터의 클록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기록 모드의 정보에 따른 기록 트랙 포맷을 구성하는 동시에, 데이터 계측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배열을 결정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여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에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20)는 4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 18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2) 및 고정 데이터 발생 회로(28)를 제어하여, 기록 포맷에 따라서 4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18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또는 고정 데이터를 독출시켜서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에 출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는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20)로 제어되어 통상 재생용 데이터, 4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18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또는 고정 데이터를 전환하여 기록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기록 모드 설정 회로(4)의 출력은 기록 모드 정보 표시 장치(8)에도 부여된다. 기록 모드 정보 표시 장치(8)는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를 도시하지 않은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의 동작에 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있어서, 단계 S2, S5의 경우 (1) 내지 (11)과 단계 S3, S6의 경우 (1) 내지 (11)과는 각각 대응하는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고능률 부호화된 전송 신호는 입력 단자(1)를 통해 전송 레이트 정보 추출회로(2)에 공급된다. 전송 레이트 정보 추출 회로(2)는 전송 신호로부터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여 기록 모드 설정 회로(4)에 출력한다.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전송 신호의 전송 레이트 1r과 기록계에 있어서의 각 기록 모드의 기록 레이트를 비교한다. 현대,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설정의 지시가 없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I에서 단계 S2로 이행하여, 통상 모드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기록계에 있어서의 SD 모드는 모든 기록 레이트가 25 Mbps이고,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가 19.4 Mbps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1/2 SD 모드에 있어서의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는 9.7 Mbps가 된다. 현재, 전송 레이트 Ir이 10 Mbps인 것으로 하면, 기록 모드 설정 회로 (4)는 단계 S2의 경우 (2)로 나타내는 상기 식 (2)가 성립하는 것을 검출한다. 그렇게 하면,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단계 S3의 경우 (2)로 표시하는 SD 모드를 설정한다.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SD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기록 모드 신호를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3) 및 기록 모드 정보 표시 장치(8)에 출력하는 동시에, 기록 모드 정보를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7)에 출력한다.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7)는 본래 부가 데이터에 할당되어 있는 모든 기록 레이트(5.6 Mbp)로 부가 데이터를 기록시키기 위한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를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3)에 출력한다. 또,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7)는 본래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되어 있는 기록 레이트 중 남은 9.4 Mbps를 특수 재생용 데이터 이외의 부가 데이터, 예컨대 에러 정정 코드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입력 단자(1)를 통해 입력된 전송 신호는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3)의 동기 검출 회로(11)에 의해서 동기 신호가 검출된 후, 패킷 식별 회로(!3)에 부여된다. 패킷 식별 회로(!3)눈 ID 검출 회로(14)가 검출한 ID에 의해서 패킷의 데이터 종별을 식별하고, 비디오 패킷을 4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 및 18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2)에 부여한다. 패킷 변환 회로(15)는 패킷 식별 회로(13)의 출력을 기록 포맷에 적합한 패킷으로 변환하여, 통상 재생용 데이터로서 트랙 포맷 신호 작서 회로(16)에 출력한다.
한편,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회로(19)에는 SD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부가 데이터에 5.6 Mbps를 할당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는 부가 데이터에 할당된 5.6 Mbps 중 4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된 데이터량의 정보와 18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된 데이터량의 정보를 각각 4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 18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2)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량 계측 회로(24)에 출력한다.
특수 재생용 데이터 추출 회로(23)는 비디오 패킷의 가변 길이 부호를 일부 또는 전부 가변 길이 복호화하고,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중의 DCT 계수의 저역 성분을 추출하여, 기록 포맷에 따라서 패킷화하여 특수 재생용 데이터로서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에 출력한다. 또한, 특수 재생용 데이터 추출 회로(23)는 출력한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의 정보를 특수 재생용 데이터량 계측 회로(24)에 출력한다. 특수 재생용 데이터량 계측 회로(24)는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에 기록된 데이터량이 할당된 부호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록 신호를 발생하여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에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록을 금지한다. 이렇게 하여,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에는 할당하여 부호량의 범위내에서 특수 재생용 데이터가 기억된다.
또한,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회로(19)로부터는 기록 모드의 정보가 타이밍신호 발생 회로(20)에 부여되고 있다.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20)는 기록 모드에 따른 기록 포맷을 구성하고, 4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 및 18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2)로부터의 데이터 계측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배열시키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여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에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20)의 제어에 의해서,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 (25)에 격납되어 있는 특수 재생용 데이터가 독출되어 패킷화 회로(26)에 의해서 패킷화되어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에 부여된다.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는 타이밍 신호에 의해서 패킷 변환 회로(15)로부터의 통상 재생용 데이터, 4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로부터의 4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18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2)로부터의 18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고정 데이터 발생 회로(28)로부터의 고정 데이터를 전환하여 선택해서 기록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이 경우에는 기록 신호를 VCR에 공급하여 SD 모드로 자기 테이프에 기록함으써 예컨대, 도 12에 도시하는 기록 트랙이 형성된다. 또한, 기록 모드 정보 표시 장치(8)는 표시 화면상에 SD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표시한다.
4 배속용과 18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상 재생 외에 이들 특수 재생 화상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특수 재생용 데이터 이외의 부가 데이터를 본래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에 기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에러 정정 능력의 향상 및 각종 기능의 향상을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 모드에 있어서의 기록 시간은 종래 예와 같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 신호가 단자(5)를 통해 입력되면, 모드 검출 회로(6)는 단계 SI에서 모드 설정 신호가 입력된 것을 검출하여 처리를 단계 S4로 이행한다. 모드 검출 회로(6)는 모드 설정 신호에 의해서 통상 모드가 지정되었는지 또는 장시간 모드가 지정되었는지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기록 모드 설정 회로(4)에 출력한다.
사용자가 통상 모드를 지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3으로 이행하고, 모드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즉, 이 경우에는 SD 모드가 지정되어 부가 데이터에 할당된 5.6 Mbps의 모든 레이트가 부가 데이터의 작성에 이용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장시간 모드를 지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 모드 설정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 신호는 모드 검출 회로(6)에서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기록 모드 설정 회로(4)에 부여된다. 현재, 본래 부가 데이터에 할당된 데이터 레이트 중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에 이용되는 데이터 레이트, 즉, 상기 식 (5) 내지 식 (11)의 데이터 레이트 A가 0.6 Mbps 보다도 큰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단계 S5의 경우 (8)로 표시하는 상기 식 (8)이 성립한다.
즉, 기록 모드 설정 회로(4)는 단계 S6에 있어서, 1/2 SD' 모드를 설정한다. 1/2 SD'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신호는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 (3) 및 기록 모드 정보 표시 장치(8)에 부여되고, 기록 모드 정보가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7)에 부여된다.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7)는 부가 데이터에 할당하는 데이터 레이트를(5.6/2) - A/2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를 출력한다.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3)의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회로(19)는 1/2 SD'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20)에 출력한다. 또한,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회로(19)는 부가 데이터에 할당한 데이터 레이트 중 4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 및 18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2)에 할당하는 데이터 레이트를 구하여 작성하는 데이터량의 정보를 특수 재생용 데이터량 계측 회로(24)에 출력한다.
4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 및 18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회로(22)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량 계측 회로(24)는 할당하여 부호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의 기록을 제어하는 동시에, 특수 재생용 데이터 메모리(25)에 기록한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계측 신호를 타이밍 발생 회로(20)에 출력한다. 타이밍 발생 회로(20)는 1/2 SD' 모드에 대응한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여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에 출력하는 동시에, 메모리 독출 제어회로(27)를 제어하여 4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1) 및 18 배 특수 재생용 데이터 생성 회로(22)로부터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독출하고, 또한, 더미 데이터용의 고정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즉 이 경우에는, 1/2 SD 모드와 같은 기록 포맷으로서, 1/2 SD모드에 있어서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배열 위치에 데이터 레이트 A/2만 통상 재생용 데이터를 배열하도록 타이밍 신호가 발생한다.
트랙 포맷 신호 작성 회로(16)는 타이밍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어, 통상 재생용 데이터, 4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18 배속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및 고정 데이터를 전환하여 기록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기록 모드 정보 표시 장치 (8)는 1/2 SD' 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와같이, 이 경우에는 장시간 모드를 지정하면,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 예컨대,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가 작아지기 때문에,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이용한 특수 재생 화상의 화질은 열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통상 재생 화상의 기록 시간을 약 2 배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를 가변으로 하고, 본래 부가 데이터에 할당되어 있는 데이터 레이트를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장 적합한 기록 모드를 설정하여 장시간 기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모드의 설정을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기록 신호를 작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 중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여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를 A로 한예를 설명하였지만, 할당하여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의 종류를 복수 종류로 하여 설정하는 기록 모드를 세분화함으로써 더 한층 기록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도 5 및 도 6은 부가 데이터 기록 영역에 할당하여 기록한 통상 재생용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통상 모드에 있어서 4 배속 재생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4 영역을 사선부에 의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b) 및 도 5의 (c)는 장시간 모드에 있어서의 ×4영역을 사선부에 의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토상 모드에 있어서 18 배속 재생용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18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모드에 있어서의 ×4 영역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트랙마다 트랙 상단의 일부의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문헌 2의 제안에 있어서는, 4 트랙 주기의 파일롯 신호를 기록하고, 2 트랙 주기의 F0 트랙에 트래킹 위상을 일치 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2 트랙분만큼 벗어난 2개의 트래킹 위상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이유로부터 문헌 2의 제안에서는 4 트랙마다 동일 데이터를 2 회 반복하여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내지 제 4 트랙내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에 기록되는 특수 재생용 데이터는 제5 내지 제8 트럭내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에도 기록된다. 도 5 중의 부호 1A, 1A' , 부호 2B, 2B' 및 부호 3C, 3C'는 동일 데이터가 기록되는 트랙의 조(組 )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b)는 통상 모드에 있어서의 각 ×4 영역의 1/2 영역을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할당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부호 1A, 1A' 부호 2B, 2B' 및 부호 3C, 3C' 로 나타내는 조의 트랙에는 동일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특수 재생용 데이터 b1, b1' 끼리, 특수 재생용 데이터 b2, b2' 끼리, …는 동일한 데이터이고, 통상 재생용 데이터 a1, a1' 끼리, 통상 재생용 데이터 b1, b1' 끼리, …는 동일한 데이터이다.
도 5의 (c)는 특수 재생 데이터를 소정의 트랙 수 주기로 합쳐서 기록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수 재생용 데이터로서 이용될 가능성이 높은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는 소정 프레임수로 주기적으로 작성된다. 따라서, 이 주기로 특수 재생 데이터를 합쳐서 기록함으로써, 메모리 용량을 삭감할 수 있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5의 (c)는 이 경우를 고려한 것이고, 부호 1A, 1A'로 나타내는 트랙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의 전역에 특수 재생 데이터를 합쳐서 기록하여, 부호 2B, 2B' 로 나타내는 트랙에는 특수 재생용 데이터 b2, b2'와 통상 재생용 데이터 a2, a2'를 기록하고 있다.
본래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이었던 부분에 있어서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용량과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용량과의 비율은 트랙마다 상이하다. 또, SD 규격에 있어서는, 동기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고, 도 2의 패킷 변환 회로(15)에 있어서는, MPEG 2 규격의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와 동기 블록 길이의 상이로부터 2 패킷을 5 동기 블록에 할당하여 패킷 변환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5 동기 블록 단위로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용량과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용량과의 비율이 변화하게 된다.
통상 모드에 있어서의 ×18 영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트랙 걸러 1트랙의 6개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18 배속 재생이기 때문에, 파일롯 신호의 주기인 4 트랙 기간이 9 회 경과하는 동안에는 동일 데이터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즉, 4 트랙 중에 동일 데이터를 2 회 기록하기 때문에, 18 트랙 기간에 걸쳐서 동일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또, 도 5에서는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에 통상 재생용 데이터를 할당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도 11에 나타내는 ECC3 영역 및 오디오 영역 등도 사용 가능하면, 이들 영역에 통상 재생용 데이터를 할당하여 기록시켜도 좋은 것은 명백하다. 이 경우에는,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20)가 이들 영역에 기록이 행해지도록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여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 A는 고정이지만, 전송 신호의 데이터 레이트에 따라서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여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를 가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프로우차트이고,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1의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7)에 있어서는,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중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는 데이터 레이트를 A(SD 모드시)로 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도 7에서는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 중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 하는 데이터 레이트를 가변으로 하여, 부가 데이터에 할당하여 가능한 최대 기록 레이트 At와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는 데이터 레이트와의 비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는 도 7의 단계 S10에 있어서, 하기 식 (12) 내지 식 (14)에 나타내는 비율의 계산을 행한다.
(Ir - SDr)/At … (12)
(Ir - SDr/2)/At/2 …(13)
(Ir - SDr/4)/At./4 …(14)
상기 식 (12)는 SD 모드에 있어서, 부가 데이터에 할당된 최대 기록 레이트 At 중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는 데이터 레이트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동일하게, 식 (13), 식 (14)는 각각 1/2 SD 모드 및 1/4 SD 모드에 관해서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는 데이터 레이트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식 (12) 내지 식(14)의 연산 결과는 1 보다도 작아야 한다. 즉, 단계 S10에 있어서, 경우 (!4)의 연산 결과가 1 보다도 큰 경우에는 경우 (13)을 검토하고, 경우 (13)의 연산 결과가 1 보다도 큰 경우에는 경우 (12)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SD 규칙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2 패킷을 5 동기 블록에 할당하여 패킷 변환을 행하고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는 단계 S11에서 단계 S10으로 구한 비율을 5 동기 블록을 단위로 할당하여 기록 레이트를 산출한다.
또한, 도 5의 (c)와 같이, 소정의 주기 단위로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는 기록 영역을 합치는 경우를 고려하여,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는 단계 S11에서 통상 재생용 데이터를 합쳐서 기록하는 트랙 수(예정 기록 트랙 수)를 산출한다.
부가 데이터 변경 회로 (7)는 단계 S11에서 산출한 정보를 부가 데이터 작성 지시 신호로서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회로(3)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 중 통상 재생용 데이터에 할당하는 데이터 레이트를 가변하고 있으며, 기록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기록 모드 설정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1의 기록 모드 설정 회로(4)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통상 모드를 지정하였는지 또는 장시간 모드를 지정하였는지를 검출한 후, 기록 모드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록 모드 설정 회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5에서 장시간 모드에 대응하는 기록 모드의 경우 나눔을 행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장시간 모드를 지정하면, 기록 모드 설정 회로는 단계 S4로부터 단계 S6으로 처리를 이행하여 기록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통상 모드를 지정하면, 처리는 단계 S4에서 단계 S21로 이행한다. 단계 S21에서는, 단계 S5 경우 나눔 중 (5), (7), (9), (11)의 경우밖에 선택할 수 없다. 즉, 이 경우에는, (6), (8), (10)의 경우는 선택되지 않고, 통상 모드에 있어서 선택 가능한 기록 모드만이 선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는 도 4의 단계 S2, S3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작용 및 효과는 도 1의 실시 형태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카세트 식별 회로(31)를 부가하는 동시에, 기록 모드 설정회로(4)를 대신하여 기록 모드 설정 회로(32)를 채용한 점이 도 1의 실이 형태와 다르다. 기록계의 기록 매체로서 카세트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카세트 테이프의 기록 시간은 카세트 테이프의 종별마다 다르다. 카세트 식별 회로(31)는 단자(30)를 통해 카세트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카세트 테이프의 종별을 식별하여 기록 가능 시간 등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기록 모드 설정 회로(32)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카세트 식별 회로(31)는 케세트에 설치된 구멍의 위치 등에 의해서 카세트 테이프의 종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 식별 회로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카세트 테이프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도록 해도 좋으며, 카세트에 메모리가 부가된 메모리 인 카세트를 이용하여 식별 정보를 독출하도록 해도 좋다.
기록 모드 설정 회로(32)는 전송 신호의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 및 식별 정보로부터 기록 모드를 설정하여 기록 모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록 모드 설정 회로(32)는 각 모드에 있어서의 기록 가능 시간을 산출한다.
도 10은 기록 모드 설정 회로(32)에 있어서의 각 모드마다 기록 가능 시간의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모드 설정 회로(32)는 카세트 테이프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는 기록 가능 시간 Tcas와 모드 정보에 따른 모드 계수를 승산한다. 모드 계수는 2 SD모드에서는 1/2이고, 1/2 SD, 1/2 SD' 모드에서는 2이며 1/4 SD, 1/4 SD' 모드에서는 4이다. 예컨대, SD 모드에 있어서의 기록 가능 시간 Tcas가 4.5 시간인 것으로 하면, 1/4 SD' 모드의 경우에는 기록 가능 시간은 18 시간이 된다.
기록 모드 설정 회로(32)는 설정한 기록 모드 신호와 함께 카세트 테이프의 기록 가능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기록 모드 정보 표시 장치(8)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기록 모드 정보 표시 장치(8)의 표시 화면상에는 기록 모드의 외부에 설정한 모드에 있어서의 기록 가능 시간의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세트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카세트 식별 회로(31)는 카세트 테이프의 종별을 판단하여 기록 가능 시간을 산출하다. 카세트 식별 회로(31)튼 기록 가능 시간의 정보 등을 식별 정보로서 기록 모드 설정 회로(32)에 출력한다.
기록 모드 설정 회로(32)는 전송 신호의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용자의 모드 설정 조작에 기초하는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 모드를 설정한다. 또, 기록 모드 설정 회로(32)는 카세트 테이프의 식별 정보에 의해서도 기록 모드를 설정한다. 예컨대, 기록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시간보다도 테이프의 기록 가능 시간 쪽이 짧은 경우에는, 기록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통상 재생용 데이터가 모두 기록되도록 기록 모드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세트 테이프의 종별에 따른 가장 적합한 기록 모드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 레이트에 따른 복수의 기록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5)

  1. 고능률 부호화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이 전송 신호를 통상 재생용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로서의 기록 신호로 변환하는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수단(3)과, 상기 전송 신호로부터 그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는 전송 레이트 정보 추출 수단(2)과, 상기 전송 신호로부터 그 전송 레이트를 나타낸는 정보를 추출하는 전송 레이트 정보 추출 수단(2)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시된 모드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모드 검출 수단(6)과, 상기 전송 레이트 정보 추출 수단(2)에서 추출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모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로서의 기록 모드를 설정하는 기록 모드 설정 수단(4)과, 상기 기록 모드 설정 수단(4)에서 설정된 기록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를 변경시키기 위한 부가 데이터 기록 레이트 지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수단(3)에 부여하는 부가 데이터 변경 수단 (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모드 설정 수단(4)은 상시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부가 데이터의 용량의 비율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기록 신호의 기록 레이트를 변경하는 통상 모드의 복수의 기록 모드와, 상기 기록 신호의 기록 레이트를 변경하는 동시에 상기 통상 재새용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부가 데이터의 용량의 비율도 변경하는 복수의 장시간 기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기록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변경 수단(7)은 상기 장시간 기록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의 비율을 작게 하여 상기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의 비율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작성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변경 수단(7)은 상기 통상 기록 모드와 장시간 기록 모드에서 상기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와 상기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의 비율을 특정의 고정된 비율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변경 수단(7)은 상기 통상 기록 모드와 장기간 기록 모드에서 상기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와 상기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의 비율을 상기 전송 레이트 기초하는 비율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모드 설정 수단(4)은 상기 전송 신호의 전송 레이트가 상기 통상 기록 모드에서의 소정의 기록 레이트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기록 모드의 기록 레이트와 상기 부가 데이터의 최대 기록 레이트의 합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장시간 기록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모드는 자기 테이프를 기록 매체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 모드로서, 상기 부가 데이터에는 특수 재새용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환 수단(3)은 상기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특수 재생 시에 추적되는 상기 자기 테이프의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에 상기 특수 재새용 데이터를 기록시키도록 상기 기록 신호를 작성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 수단(7)은 상기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 통상 재생용 데이터를 기록시키도록 상기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와 상기 부가 데이트의 기록 레이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기록 신호 작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변경 수단(7)은 상기 각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상기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데이터량과 상기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고정 비율로 되도록 상기 통상 재새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와 상기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작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변경 수단(7)은 상기 각 특수 재생용 데이터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상기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데이터량과 상기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비율이 소정의 주기로 변화하도록 상기 통상 재새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와 상기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변경 수단(7)에 의해 상기 특수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가 지정되어 상기 기록 레이트 이내에서 상기 전송 신호/기록 신호 변경 수단(3)은 상기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자기 테이프의 기록 포맷에 따라서 상기 통상 재생용 데이터와 상기 특수 재생용 데이터를 배열하여 상기 기록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는 에러 정정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 변경 수단(7)은 상기 자기 테이프 상의 상기 에러 정정 코드의 기록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 통상 재생용 데이터를 기록시키도록 상기 통상 재생용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와 상기 부가 데이터의 기록 레이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모드 설정 수단(4)에서 설정된 기록 모드에 관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기록 모드 정보 표시 수단(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모드 정보 표시 수단(8)은 상기 복수의 기록모드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록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작성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의 종별을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식별 수단(31)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 모드 설정 수단(4)은 상기 전송 레이트 정보 추출 수단(2)에서 추출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검출 신호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신호 작성 장치.
KR1019960039471A 1995-09-13 1996-09-12 기록 신호 작성 장치 KR100203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572095A JP3147729B2 (ja) 1995-09-13 1995-09-13 記録信号作成装置
JP95-235720 1995-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111A KR970019111A (ko) 1997-04-30
KR100203966B1 true KR100203966B1 (ko) 1999-06-15

Family

ID=1699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471A KR100203966B1 (ko) 1995-09-13 1996-09-12 기록 신호 작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12734A (ko)
EP (1) EP0763947A3 (ko)
JP (1) JP3147729B2 (ko)
KR (1) KR100203966B1 (ko)
CN (1) CN11765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2621B1 (en) * 1996-02-05 2001-09-18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for newly recording a second encoded data train 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n encoded data train is recorded
TW405110B (en) 1997-04-15 2000-09-11 Hitachi Ltd Method of digital image signal recording and/or regeneration and its device
CN1131519C (zh) * 1997-09-25 2003-12-17 日本胜利株式会社 信息记录装置及其控制方法、和相应的外部电子装置
JP2002515218A (ja) * 1998-03-31 2002-05-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コード化データの修正
WO2000000974A2 (en) * 1998-06-30 2000-01-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ing device having detection means for the detect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in reception data
US6675357B1 (en) * 1999-01-29 2004-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system and device fonts
JP4501187B2 (ja) * 1999-10-22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7298959B1 (en) 1999-12-16 2007-11-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MPEG-2 transport streams using a conventional digital video recorder
US20030179861A1 (en) * 2001-04-25 2003-09-25 Ryuta Miyoshi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tream data
JP3485108B2 (ja) * 2001-05-29 2004-01-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および再生方法
JP4176084B2 (ja) * 2005-02-09 2008-11-05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0377B2 (ja) * 1988-04-07 1997-01-08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JP2776005B2 (ja) * 1990-07-06 1998-07-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3428033B2 (ja) * 1992-02-19 2003-07-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vtr
CA2078961A1 (en) * 1992-04-21 1993-10-22 John Wick Two-hand pouch patch application
US5448369A (en) * 1993-02-13 1995-09-05 Goldstar Co., Ltd. Apparatus for a high definition VCR which selects a video signal characteristic to be transmitted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tap and channel
JPH06278097A (ja) * 1993-03-30 1994-10-04 Hitachi Chem Co Ltd プリント配線板の穴あけ方法
JPH07320413A (ja) * 1994-04-01 1995-12-08 Toshiba Corp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US5579183A (en) * 1994-04-08 1996-11-26 U.S. Philips Corpor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n MPEG information signal on/from a record carrier
JP3446372B2 (ja) * 1994-11-14 2003-09-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63947A3 (en) 1998-01-28
CN1176533A (zh) 1998-03-18
KR970019111A (ko) 1997-04-30
EP0763947A2 (en) 1997-03-19
JP3147729B2 (ja) 2001-03-19
US5812734A (en) 1998-09-22
JPH0983949A (ja) 199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1844B2 (ja) デジタルビデオ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KR100821949B1 (ko) 수신 데이터 스트림 처리 방법, 기록장치, 기록매체 및 신호 전송방법
KR100243209B1 (ko) 오류정정 능력을 개선한 디지털 기록/재생 장치와 그 방법
US7035337B2 (en) Stream processing apparatus
JPH089319A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US7536080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100676093B1 (ko) 비디오 데이터 기록 장치, 비디오 데이터 기록 방법,비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비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비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비디오 데이터 기록및 재생 방법
JP2002518898A (ja) ディジタルビデオレコーダのトリックプレイ信号生成
KR20000035332A (ko)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및재생 장치, 데이터 기록 및 재생 방법, 데이터 재생 장치,데이터 재생 방법, 데이터 기록 매체, 디지털 데이터 재생장치, 디지털 데이터 재생 방법, 동기 검출 장치, 및 동기검출 방법
JP3277713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KR100203966B1 (ko) 기록 신호 작성 장치
KR100642532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기록 장치
US6741793B1 (en)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721267B1 (ko)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데이터 기록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RU2154354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цифровых данны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681992B1 (ko) 기록 장치 및 방법
JP2004120799A (ja) ディジタルデータ伝送装置及びその伝送方法
JP2000149455A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JP4051782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ータ再生装置
JP3105046B2 (ja) 記録再生装置
JP2000132914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装置
JP3978903B2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2000173188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ならびに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
JP2000152174A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画像データ記録装置
JPH089323A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記録装置、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