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588B1 -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588B1
KR100203588B1 KR1019960080841A KR19960080841A KR100203588B1 KR 100203588 B1 KR100203588 B1 KR 100203588B1 KR 1019960080841 A KR1019960080841 A KR 1019960080841A KR 19960080841 A KR19960080841 A KR 19960080841A KR 100203588 B1 KR100203588 B1 KR 100203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ixel correction
address
output
corre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471A (ko
Inventor
유병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8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58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상신호의 화소보정을 위한 어드레스/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과, 상기 화소보정을 위한 데이터가 기억된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의 제어하에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로부터 인가되는 화소보정데이터를 저장/출력하는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 상기 화상신호의 디지탈데이터를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소보정처리하여 광변조수단을 구동하는 화소구동부(22)에 인가하는 화소보정부(18)를 갖춘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은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을 위한 어드레스선택신호를 소정의 수직동기신호의 기간에 걸쳐 교번적으로 선택하는 어드레스선택부(60)와, 수직주사신호와 클럭신호를 AND처리하여 수평주사기간의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 1AND회로(62), 상기 어드레스선택신호에 대해 상기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와 상기 화상신호의 수직주사신호에 대해 상기 제 1AND회로(62)의 수평주사신호를 제 2출력으로 제공하는 D-플립플롭(66), 상기 제 1AND회로(62)의 수평주사신호와 상기 수직주사신호를 AND처리하여 화상감시기간신호(DSPCLK)수직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제 2AND회로(64), 상기 어드레스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컬러방송파신호와 상기 화상표시기간신호를 선택하는 제 1멀티플렉서(68), 상기 어드레스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D-플립플롭(66)의 제 1 및 제 2출력을 선택하는 제 2멀티플렉서(70), 그 제 2멀티플렉서의 선택적인 출력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제 1멀티플렉서(68)의 선택적인 출력을 카운트하여 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생성부(7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식(NTSC,PAL-M,PAL-N,SECAM 등)의 화상신호가 비월주사방식 또는 순차주사방식으로 인가되어도 적응적으로 화소의 보정이 행해지도록 하기 위한 화소보정데이터로딩 어드레스신호와 화소보정데이터출력 어드레스신호를 최적의 상태로 발생하여 화소보정이 가능하도록 된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화상신호를 재생하여 화면표시하는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상표시장치는 CRT장치로 대표되는 직시형 표시장치와 LCD(Liquid crystal display)소자로 대표되는 투사형 표시장치로 구비되고, 그 중 직시형 표시장치의 CRT장치는 R/G/B전자총에서 화상신호의 컬러성분에 따라 방사되는 R/G/B컬러비임이 편향되는 상태로 형광패널상의 화소에 충돌함으로써 컬러화상을 구현하게 되지만, 그 CRT장치는 R/G/B컬러비임의 유동거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대형화면의 구현이 제한받게 된다.
그리고, 투사형 표시장치의 LCD소자는 비교적 대화면의 구현이 가능함과 더불어 경량 및 박형화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편광판에 의한 광손실이 증대되어 광효율이 상당히 낮은 편이다.
그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AMA(Actuated mirro array)패널을 이용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가 제안된 상태인 바, 그 AMA패널에 갖추어지는 AMA소자는 화소구동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팅작용을 하는 액츄에이터와 그 액츄에이터의 작용에 의해 틸팅(기울기)각도가 결정되어 광반사각을 변조하는 반사미러를 갖추어 구성된다. 즉, AMA소자는 액티브 매트릭스기판에 내설된 화소구동소자에 인가되는 화소구동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액츄에이팅작용을 행하게 되면 그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반사미러가 광원으로부터 광을 반사하게 되고, 그러한 광에 대해 R/G/B컬러성분을 대비시켜 투사렌즈를 통해 스크린상에 투사되도록 함으로써 컬러화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그러한 AMA패널을 채용한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에 따르면 그 AMA패널상에 화소의 수량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AMA소자는 광반사 또는 광변조를 위한 반사미러가 초기적으로 평탄도가 일정하게 확보되어야만 스크린상에 투사되는 화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게 되지만, 예컨대 그 AMA소자의 제조공정상의 오차 등에 의해 액츄에이터 또는 반사미러가 초기적으로 기울진 상태이면 정확한 광변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AMA패널을 채용하는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에서는 그 AMA패널의 초기적인 기울기를 판별해서 화소단위의 선보정처리가 행해져야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에 적용되는 화소보정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참조부호 10은 화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Vsync)와 상기 화상신호의 수평/수직주사기간을 지정하는 `HDSP'신호와 `VDSP' 및 그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LCLK)를 기초로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을 위한 어드레스신호(AD)와 그 화소보정데이터의 기록제어신호(WE) 및 독출제어신호(RE)를 생성하는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을 나타내고, 12는 AMA패널에 형성된 각 AMA소자에 대한 화소보정데이터가 선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으로부터의 독출제어신호(RE)와 어드레스신호(AD)에 대응하여 화소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독출되는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ROM)를 나타낸다.
또, 14는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으로부터의 기록제어신호(WE)와 어드레스신호(AD)에 응답하여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에서 독출되는 화소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일시격납되고나서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으로부터 인가되는 독출제어신호(RE)에 의해 그 일시격납된 화소보정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를 나타낸다.
16은 화상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의 화상신호(R/G/B)를 디지탈데이터로 변환하는 예컨대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ADC)로 이루어진 데이터변환부를 나타내고, 18은 그 디지탈변환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에서 인가되는 화소보정데이터에 화소단위로 정합시켜 화소보정을 실행하는 화소보정부를 나타낸다.
또, 20은 그 화소보정부(18)에서 보정된 화상데이터를 아날로그데이터로 역변환처리하는 예컨대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DAC)로 이루어진 데이터역변환부를 나타내고, 22는 상기 데이터역변환부(20)에서 아날로그변환된 화상신호를 기초로 광변조를 수행하는 AMA패널에 인가하여 스크린상에 투사될 화상을 형성하게 되는 AMA화소구동부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의 내부적인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30은 리세트신호(/RST)에 의해 초기화가 수행되고나서 수직동기신호(/Vsync)의 기간에 클럭신호(CLK)를 카운트하여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로부터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측으로 화소보정데이터가 로딩되도록 하기 위한 독출/기록제어신호(RE/WE)에 대한 'ADD-SEL'신호와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로부터 화소데이터가 상기 화소보정부(18)로 출력되도록 하는 독출제어신호(RE)에 대한 '/ADD-SEL'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어드레스선택부를 나타내고, 32는 화상신호의 수평표시기간을 설정하는 수평주사신호(HDSP)와 그 화상신호의 수직표시기간을 설정하는 수직주사신호(VDSP) 및 클럭신호(CLK)를 AND처리하여 화상표시기간에 대한 클럭신호(DSPCLK)를 발생하는 AND회로를 나타내며, 34는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독출제어신호(RE)에 대한 상기 어드레스선택부(30)의 'ADD-SEL'신호에 의해 인에이블상태로 되어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LCLK)를 카운트하여 화소보정데이터로딩어드레스를 생성하는 화소보정데이터로딩어드레스생성부를 나타내며, 36은 상기 화소보정데이터로딩을 위한 독출/기록제어신호(RE/WE)에 대한 상기 어드레스선택부(10)의 '/ADD-SEL'신호에 의해 인에이블상태로 되어 상기 AND회로(32)의 'DSPCLK'출력을 카운트하여 화소보정데이터출력어드레스를 생성하는 화소보정데이터출력어드레스생성부를 나타낸다.
또, 38은 상기 화소보정데이터로딩어드레스생성부(34)의 출력(ADDR)을 제 1입력단(ADD-1)에서 수취하고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출력어드레스생성부(36)의 출력(ADDR)을 제 2입력단(ADD-2)에서 수취하여 상기 어드레스선택부(30)의 'ADD-SEL'신호에 의해 인에이블상태로 되어 상기 제 1입력단(ADD-1) 또는 제 2입력단(ADD-2)의 입력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와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에 대한 어드레스신호(ADD;A0 - A18)로서 제공하는 멀티플렉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화소보정데이터로딩어드레스생성부(34)와 상기 어드레스보정데이터출력어드레스생성부(36)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각 화소보정데이터로딩어드레스생성부(34)와 화소보정데이터출력어드레스생성부(36)는 각 클리어단(CLR')에는 상기 어드레스선택부(30)의 'ADD-SEL'신호 또는 '/ADD-SEL'신호가 인에이블신호(ENABLE)로서 인가됨과 더불어 각 클럭단(CLK)에는 상기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LCLK) 또는 상기 AND회로(32)의 'DSPCLK'가 입력되는 4비트출력의 제 1 - 제 5카운터(40,42,44,46,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제 1카운터(40)의 'ENP'단은 전원(VCC)에 상시적으로 접속됨과 더불어 그 캐리출력단(TC)은 제 2 카운터(42)의 'ENP'단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제 3카운터(44)에 대한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제 2AND회로(50)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 2카운터(42)의 캐리출력단(TC)는 상기 제 2AND회로(50)의 타단에 접속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 2AND회로(50)는 그 양단의 입력레벨에 기초해서 상기 제 3카운터(44)에 대한 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하여 그 제 3카운터(44)의 'ENP'단에 제공하게 된다.
또, 상기 제 2AND회로(50)의 출력과 상기 제 3카운터(44)의 캐리출력단(TC)은 상기 제 4카운터(46)에 대한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여 그 제 4카운터(46)의 'ENP'단에 인가하는 제 3AND회로(52)의 양측 입력단에 접속되고, 그 제 3AND회로(52)의 출력과 상기 제 4카운터(46)의 캐리출력단(TC)이 제 5카운터(48)에 대한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여 그 제 5카운터(48)의 'ENP'단에 인가하는 제 4AND회로(54)의 양측 입력단에 접속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에 화상신호로부터 얻어진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Vsync; 도 4의 (a) 참조)가 입력됨과 더불어 리세트신호(/RST 도 4의 (b)참조) 및 클럭신호(CLK)가 입력되면, 그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의 어드레스선택부(30)는 상기 리세트신호(/RST)에 의해 초기화가 수행되고나서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의 기간에 상기 클럭신호(CLK)를 카운트하여 도 4의 (c)에 도시된 형태로 'ADD-SEL'신호와 '/ADD-SEL'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ADD-SEL'신호는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와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에 대한 독출/기록제어신호(RE/WE)로서 작용하는 반면, 상기 'ADD-SEL'신호는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에 대한 독출제어신호(RE)로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드레스선택부(10)에서 도 4의 (c)에 도시된 화소보정데이터로딩구간에 출력되는 상기 'ADD-SEL'신호는 상기 화소보정데이터로딩어드레스생성부(34)의 'ENABLE'단에 인가되어 그 화소보정데이터로딩어드레스생성부(34)를 활성화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그 화소보정데이터로딩 어드레스생성부(34)는 상기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LCLK)를 카운트하여 그 'ADDR'출력단에서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로부터 화소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측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멀티플렉서(38)측으로 인가하게 된다. 즉, 상기 화소보정데이터로딩 어드레스생성부(34)는 도 3의 제 1 - 제 5카운터(40,42,44,46,48)가 상기 어드레스선택부(10)의 'ADD-SEL'신호에 의해 인에이블상태로 되고나서 그 클럭단(CLK)에 인가되는 클럭신호(CLK)를 카운트한 결과(A0 - A18)를 발생하여 상기 멀티플렉서(38)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멀티플렉서(38)는 상기 어드레스선택부(30)의 'ADD-SEL'신호에 의해 'SEL'단이 제어되어 상기 화소보정데이터로딩 어드레스생성부(34)로부터의 어드레스신호(ADDR; A0 - A18)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와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에서는 상기 어드레스선택부(10)의 'ADD-SEL'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플렉서(38)로부터의 어드레스신호(A0 - A18)의 순서로 화소보정데이터를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로 독출하게 되고, 그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는 상기 어드레스선택부(10)의 'ADD-SEL'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플렉서(38)로부터의 어드레스신호(A0 - A18)에 대응하는 주소에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로부터의 화소보정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이어, 상기 어드레스선택부(30)는 도 4의 (c)에 도시된 화소보정데이터출력구간에 상기 '/ADD-SEL'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바, 그 '/ADD-SEL'신호는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에 독출제어신호(RE)로서 작용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출력 어드레스생성부(36)의 'ENABLE'단에 인에이블신호로서 인가되고, 그에 따라 그 화소보정데이터출력 어드레스생성부(36)가 활성화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출력 어드레스생성부(36)의 클럭단(CLK)에는 상기 제 1AND회로(32)로부터 수평주사기간(HDSP)과 수직주사기간(VDSP) 및 클럭신호(CLK)의 AND처리결과가 'DSPCLK'로서 인가되고, 그에 따라 그 화소보정데이터출력 어드레스생성부(38)를 구성하는 도 3의 제 1 - 제 5카운터가 그 'DSPCLK'를 클럭신호(CLK)로서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결과(A0 - A18)를 상기 멀티플렉서(38)의 'ADDR-2'단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그 멀티플렉서(38)는 그 'ADDR-2'에 인가되는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출력 어드레스생성부(36)로부터의 어드레스신호(A0 - A18)를 선택적으로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에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그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는 저장된 화소보정데이터를 상기 화소보정부(18)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소보정부(18)는 상기 데이터변환부(16)에서 디지탈변환되어 인가되는 화상데이터에 대해 그 화소보정데이터를 가산/감산처리하여 화소마다의 보정을 실행하고나서 상기 데이터역변환부(20)에 인가하게 되고, 그 데이터역변환부(20)에서 아날로그변환된 화소보정된 화상신호가 AMA화소구동부(22)에 인가되어 AMA소자가 최적으로 구동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일에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장치에 의하면,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부(10)를 구성하는 화소보정데이터로딩 어드레스생성부(34)와 화소보정데이터출력 어드레스생성부(36)가 도 4의 (c)에 도시된 형태로 상호 교번적인 작용을 수행하면서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을 위한 어드레스신호(A0 - A18)와 화소보정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어드레스신호(A0 - A18)를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개별적인 구성을 갖게 되고, 더구나 각 화소보정데이터로딩 어드레스생성부(34)와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출력 어드레스생성부(36)의 구성예가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다수의 카운터(40,42,44,46,48) 및 AND회로(50,52,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을 고려하면 그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장치에서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에 대응적으로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과 출력을 위한 어드레스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성되면서 화상신호의 동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신호의 화소보정을 위한 어드레스/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과, 상기 화소보정을 위한 데이터가 기억된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로부터 인가되는 화소보정데이터를 저장/출력하는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 상기 화상신호의 디지탈데이터를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소보정처리하여 광변조수단을 구동하는 화소구동부에 인가하는 화소보정부를 갖춘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은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을 위한 어드레스선택신호를 소정의 수직동기신호의 기간에 걸쳐 교번적으로 선택하는 어드레스선택부와, 수직주사신호와 클럭신호를 AND처리하여 수평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제 1AND회로, 상기 어드레스선택신호에 대해 상기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와 상기 화상신호의 수직주사신호에 대해 상기 제 1AND회로의 수평주사신호를 제 1 및 제 2출력으로 제공하는 D-플립플롭, 상기 제 1AND회로의 수평주사신호와 상기 수직주사신호를 AND처리하여 수직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제 2AND회로, 상기 어드레스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컬러방송파신호와 상기 수직주사신호를 선택하는 제 1멀티플렉서, 상기 어드레스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D-플립플롭의 제 1 및 제 2출력을 선택하는 제 2멀티플렉서, 그 제 2멀티플렉서의 선택적인 출력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제 1멀티플렉서의 선택적인 출력을 카운트하여 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생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에 의하면,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와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에 대한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을 위한 어드레스신호가 단일의 어드레스발생부에 의해 생성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에 적용되는 화소보정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보정 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의 내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에 갖추어진 화소보정데이터로딩 어드레스생성부와 화소보정데이터 출력어드레스생성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보정 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을 위한 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선택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에 갖추어지는 동기안정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발생수단, 12: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
14: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 18: 화소보정부,
60: 어드레스선택부, 62,64: AND회로,
66: D-플립플롭, 68,70: 제 1, 제 2멀티플렉서,
72: 어드레스생성부, 74: 동기안정화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에 갖추어진 화소보정 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된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에서 60은 일정한 주기의 화소보정데이터로딩시간을 갖고서 화소보정데이터로딩 어드레스선택신호(ADD-SEL)와 화소보정데이터출력 어드레스선택신호(/ADD-SEL)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어드레스선택부를 나타내고, 62는 상기 화상신호의 수평주사신호(HDSP)와 클럭신호(CLK)를 AND처리하여 수평주사기간의 클럭신호(HCLK)를 생성하는 제 5AND회로를 나타내며, 64는 그 제 5AND회로(62)의 'HCLK'신호와 수직주사신호(VDSP)를 AND처리하여 화소보정데이터출력기간에 대한 클럭신호(DSPCLK)를 생성하는 제 6AND회로를 나타낸다.
또, 66은 상기 어드레스선택부(60)에서 인가되는 화소보정데이터로딩 어드레스선택신호(ADD-SEL)의 주기에 걸쳐 상기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LCLK)를 출력함과 더불어 수직주사신호(HDSP)의 주기에 걸쳐 상기 제 5AND회로(62)의 수평주사기간의 클럭신호(HCLK)를 출력하는 D-플립플롭을 나타내고, 68은 제 1클럭단(CLK1)에 상기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LCLK)가 입력되고 제 2클럭단(CLK2)에 상기 제 6AND회로(64)의 수직주사신호(VDSP)가 인가되면 상기 어드레스선택부(10)의 'ADD-SEL'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1멀티플렉서를 나타낸다.
또, 70은 상기 D-플립플롭(66)의 제 1출력(Q1)과 제 2출력(Q2)을 제 1인에이블단(ENABLE1)과 제 2인에이블단(ENABLE2)에서 수취하여 상기 어드레스선택부(60)의 'ADD-SEL'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2멀티플렉서를 나타내고, 72는 상기 제 2멀티플렉서(70)의 인에이블(ENABLE)출력이 그 인에이블단(ENBALE)단에 인가되면 활성화되어 상기 제 1멀티플렉서(68)로부터의 출력을 카운트하여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을 위한 어드레스신호(A0 - A18)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신호생성부를 나타낸다.
도 6은 상기 어드레스선택부(60)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어드레스선택부(60)는 수직동기신호(/Vsync)와 후술하는 D-플립플롭의 제 2반전출력의 상태를 AND처리하여 카운트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 7AND회로(80)와, 제 1 - 제 3입력단(A,B,C)이 접지전위로 설정됨과 더불어 제 4입력단(D)이 전원(VCC)에 접속되어 그 클럭단(CLK)에 인가되는 상기 제 7AND회로(80)의 카운트클럭신호에 의해 그 출력단(QD)에서 소정수(본 발명에서는 8)의 수직동기신호의 카운트결과를 화소보정데이터로딩 어드레스선택신호(ADD-SEL)로서 출력하는 카운터(82), 그 카운터(82)의 'ADD-SEL'신호를 반전처리하여 화소보정데이터출력 어드레스선택신호(/ADD-SEL)를 제공하는 제 1인버터(8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그 어드레스선택부(60)는 상기 카운터(82)의 리플캐리출력단(RCO)의 출력을 반전처리하는 제 2인버터(86)와, 제 1 및 제 2클리어단(CLR1,CLR2) 및 제 1클럭단(CLK1)이 리세트신호(/RST)에 접속되고 그 제 1 및 제 2입력단(D1,D2)이 전원(VCC)에 접속되며 그 제 2클럭단(CLK2)이 상기 제 2인버터(86)에 접속되어 그 제 2반전출력단(2QN)으로부터 상기 제 2카운터(82)의 어드레스선택신호의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상태신호가 상기 제 7AND회로(80)에 인가되는 제 3D-플립플롭(88)을 구비해서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60)의 어드레스선택부(60)에 리세트신호(/RST)와 수직동기신호(/Vsync)가 제공되면 그 어드레스선택부(60)의 카운터(82)와 D-플립플롭(88)이 초기화되고, 그 상태에서 카운터(82)의 리플캐리출력단(RCO)에서는 로우레벨이 출력되어 제 2인버터(86)에서 하이레벨로 반전된 상태로 상기 D-플립플롭(88)의 제 2클럭단(CLK2)에 인가되므로 그 D-플립플롭(88)의 제 2반전출력단(2QN)으로부터는 하이레벨이 출력되어 상기 제 7AND회로(80)에 인가된다.
따라서, 그 제 7AND회로(80)에서는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에 대응하는 AND처리결과를 상기 카운터(82)의 클럭단(CLK)에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카운터(82)는 그 클럭단(CLK)에 인가되는 신호에 대한 카운트를 실행하게 되는 바, 여기서 그 카운터(82)의 입력단(A - D)은 '1000'의 형태로 전위가 설정된 상태이므로 결국 그 카운터(82)에서는 8-수직동기신호(즉, 상기 제 7AND회로(80)의 출력)의 카운트시마다 그 출력단(QD)에서 하이레벨/로우레벨이 출력되어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을 위한 구간을 설정하는 어드레스선택신호(ADD-SEL)로서 인가되고, 그 어드레스선택신호(ADD-SEL)가 하이레벨로 설정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인버터(84)에 의해 '/ADD-SEL'신호가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선택부(60)로부터 'ADD-SEL'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D-플립플롭(66)의 제 1출력단(Q1)에서는 그 'ADD-SEL'신호의 구간에 걸쳐 상기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LCLK)가 출력됨과 더불어 그 D-플립플롭(66)의 제 2출력단(Q2)에서는 수직주사신호(VDSP)에 걸쳐 상기 제 4AND회로(62)로부터의 수평주사기간의 클럭신호(HCLK)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멀티플렉서(68)는 제 1클럭단(CLK1)에 입력되는 상기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LCLK) 또는 제 2클럭단(CLK2)에 입력되는 상기 제 4AND회로(62)의 출력과 수직주사신호(VDSP)를 AND처리한 상기 제 5AND회로(64)의 출력을 상기 어드레스선택부(60)의 'ADD-SEL'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즉, 그 제 1멀티플렉서(68)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로부터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로 화소보정데이터를 로딩하는 경우에는 제 1클럭단(CLK1)에 입력되는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LCLK)를 선택하여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에 출력하는 반면,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로부터 화소보정부(18)에 화소보정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그 제 2클럭단(CLK2)에 입력되는 상기 제 5AND회로(64)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에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멀티플렉서(70)는 그 제 1인에이블단(ENABLE1)에 입력되는 상기 D-플립플롭(66)의 제 1출력단(Q1)의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LCLK)와 그 제 2인에이블단(ENABLE2)에 입력되는 상기 D-플립플롭(66)의 제 2출력단(Q2)의 수평주사기간의 클럭신호(HCLK)를 상기 어드레스선택부(60)의 'ADD-SEL'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에 인가하게 된다. 즉, 그 제 2멀티플렉서(70)는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시에는 상기 D-플립플롭(66)의 제 1출력단(Q1)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에 인가하는 반면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의 출력시에는 상기 D-플립플롭(66)의 제 2출력단(Q2)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에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구성이 적용가능하게 되는 바, 그에 따라 그 어드레스생성부(72)에서는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시 적용되는 어드레스신호(A0 - A18)를 생성하여 도 1의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와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선택부(60)에서 어드레스선택신호(ADD-SEL)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에 대한 화소보정데이터 독출제어신호(RE)로서 작용함과 더불어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에 대한 기록제어신호(WE)로 작용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로부터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로 화소보정데이터가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의 어드레스신호(A0 - A18)에 따라 로딩되게 된다. 그 경우, 제 2멀티플렉서(70)에서는 화상신호의 형식(NTSC, PAL-M, PAL-N, SECAM 등)에 의해 결정되는 컬러방송파신호(LCLK)를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에 제공하게 되므로 결국 화소데이터의 로딩은 그 화상신호의 형식에 적응적으로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드레스선택부(60)에서 '/ADD-SEL'신호가 하이레벨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에 로딩된 화소데이터가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로부터의 어드레스신호(A0 - A18)에 따라 상기 화소보정부(18)에 출력되고, 그에 따라 그 화소보정부(18)는 데이터변환부(16)에서 디지탈변환되어 인가되는 화상신호에 대한 화소마다의 보정을 수행하여 데이터역변환부(20)를 통해 AMA화소구동부(22)에 인가하게 되므로, 그 AMA화소구동부(22)에 의해 구동되는 AMA소자는 그 초기적인 기울기에 대한 보정이 행해진 상태에서 광변조를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에 갖추어지는 동기안정화부를 나타내는 바, AMA패널에 의해 구현되는 화상이 640 x 480인 경우에는 대략 '307,200'화소가 존재하게 되는 바, 그 점에서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에서 생성되는 어드레스신호가 'A0 - A18'로 결정되지만, 예컨대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의 구성(도 3참조)에서 생성되는 화소보정데이터로딩을 위한 어드레스생성시간이 8-수직동기신호의 기간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19비트 이상의 어드레스를 카운트하는 경우에는 카운트가 '0'으로부터 진행되는 상황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기안정화부(74)에서는 예컨대 '327,680'이상의 카운트를 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멀티플렉서(68)와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의 클럭단(CLK)의 사이에 개재되어, 그 어드레스생성부(7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16, A18)를 NAND처리하는 NAND회로(76)와 그 NAND회로(72)의 출력과 상기 제 1멀티플렉서(68)의 선택적인 출력(CLK)를 AND처리하여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의 클럭단(CLK)에 인가하는 제 8AND회로(7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그 동기안정화부(74)에 의해서는 예컨대 퍼스널컴퓨터와 같이 고속의 동기신호를 채용하여 화상신호를 처리/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동기의 안정화가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에 의하면, 화상신호의 형식에 대응하여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을 위한 어드레스신호와 화소보정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어드레스신호가 단일의 구성에 의해 소정의 기간에 걸쳐 교번적으로 생성될 수 있게 되고, 또한 동기신호의 변화에 대해서도 안정화가 달성되게 되므로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작용이 일층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화상신호의 화소보정을 위한 어드레스/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과, 상기 화소보정을 위한 데이터가 기억된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의 제어하에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기억부(12)로부터 인가되는 화소보정데이터를 저장/출력하는 화소보정데이터저장/출력부(14), 상기 화상신호의 디지탈데이터를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소보정처리하여 광변조수단을 구동하는 화소구동부(22)에 인가하는 화소보정부(18)를 갖춘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소보정주소/제어신호생성수단(10)은 상기 화소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을 위한 어드레스선택신호를 소정의 수직동기신호의 기간에 걸쳐 교번적으로 선택하는 어드레스선택부(60)와, 수직주사신호와 클럭신호를 AND처리하여 수평주사기간의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 1AND회로(62), 상기 어드레스선택신호에 대해 상기 화상신호의 컬러방송파신호와 상기 화상신호의 수직주사신호에 대해 상기 제 1AND회로(62)의 수평주사신호를 제 2출력으로 제공하는 D-플립플롭(66), 상기 제 1AND회로(62)의 수평주사신호와 상기 수직주사신호를 AND처리하여 화상감시기간신호(DSPCLK)수직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제 2AND회로(64), 상기 어드레스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컬러방송파신호와 상기 화상표시기간신호를 선택하는 제 1멀티플렉서(68), 상기 어드레스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D-플립플롭(66)의 제 1 및 제 2출력을 선택하는 제 2멀티플렉서(70), 그 제 2멀티플렉서의 선택적인 출력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제 1멀티플렉서(68)의 선택적인 출력을 카운트하여 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생성부(7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선택부(60)는 수직동기신호(/Vsync)와 소정수의 수직동기신호의 기간에 대한 상태반전신호를 AND처리하여 카운트클럭신호를 생성하는 AND회로(80)와, 소정수의 수직동기신호의 카운트결과를 화소보정데이터로딩 어드레스선택신호(ADD-SEL)로서 출력하는 카운터(82), 그 카운터(82)의 'ADD-SEL'신호를 반전처리하여 화소보정데이터출력 어드레스선택신호(/ADD-SEL)를 제공하는 제 1인버터(84), 상기 카운터(82)의 리플캐리출력단(RCO)의 출력을 반전처리하는 제 2인버터(86), 그 제 2인버터(86)의 출력에 기초해서 상기 제 2카운터(82)의 어드레스선택신호의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상태신호를 상기 AND회로(80)에 인가하는 D-플립플롭(88)을 구비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82)의 제 1 - 제 3입력단은 접지전위로 설정되고 그 제 4입력단은 전원전위로 설정되어 8-수직동기신호의 카운트시마다 상기 어드레스선택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멀티플렉서의 출력단과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의 사이에는 동기안정화수단(74)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안정화수단(74)은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16, A18)를 NAND처리하는 NAND회로(76)와 그 NAND회로(72)의 출력과 상기 제 1멀티플렉서(68)의 선택적인 출력(CLK)를 AND처리하여 상기 어드레스생성부(72)의 클럭단(CLK)에 인가하는 제 8AND회로(78)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KR1019960080841A 1996-12-31 1996-12-31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KR10020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841A KR100203588B1 (ko) 1996-12-31 1996-12-31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841A KR100203588B1 (ko) 1996-12-31 1996-12-31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471A KR19980061471A (ko) 1998-10-07
KR100203588B1 true KR100203588B1 (ko) 1999-06-15

Family

ID=1949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841A KR100203588B1 (ko) 1996-12-31 1996-12-31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5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471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8396A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circuit for correcting luminance nonuniformity
US5442411A (en) Displaying video data on a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line doubling
US86147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compensation sequence storage density in a projection visual display system
RU2155386C2 (ru) Схема возбуждения матрицы приводного зеркала, имеющая цифроаналогов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US6057816A (en)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ry and method
CN102104761B (zh) 投影仪及其控制方法和投影系统
KR100203588B1 (ko)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JP4820025B2 (ja) 光走査型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画像表示方法
US7916381B2 (en) Spatial light modulator including drive lines
WO200107841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s in displays
JP2006146860A (ja) データ転置装置および方法
JPH1026959A (ja) Led表示装置
KR0174918B1 (ko)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픽셀 보정 데이타 로딩 장치
KR0145914B1 (ko) 화상표시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KR100203582B1 (ko) 플라이백펄스 생성회로를 갖춘 프로젝터
US200800492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display distortion using scanner and display system adopting the method and apparatus
KR100239071B1 (ko) 와이드화면 프로젝터의 4:3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KR0182451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소보정방법
KR0150535B1 (ko) 화상표시 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JPH07501626A (ja) マトリクス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4751545B2 (ja) 光走査型画像表示装置
KR100188206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용 화상보정데이터 생성제어장치
KR0145910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출력 제어회로
KR100203586B1 (ko)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KR980013370A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프레임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출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