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337B1 -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 - Google Patents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337B1
KR100203337B1 KR1019960047627A KR19960047627A KR100203337B1 KR 100203337 B1 KR100203337 B1 KR 100203337B1 KR 1019960047627 A KR1019960047627 A KR 1019960047627A KR 19960047627 A KR19960047627 A KR 19960047627A KR 100203337 B1 KR100203337 B1 KR 100203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terminal
circuit
hand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535A (ko
Inventor
권순영
Original Assignee
권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영 filed Critical 권순영
Priority to KR101996004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33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목적)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의 제공.
(구성)
정전압회로에 의해 정전압을 얻고, 본체에는 FM회로 유니트 U2로 FM송신회가 구성되어 커넥터 Con의 단자 1을 통해 핸드폰에 송신토록됨과 동시에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LED3의 적외선이 무선 마이크측의 수광용 포토 트랜지스터 Q8에 수광되어 전원을 ON-OFF토록 되고, 커넥터 Con의 단자 6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프리암프 U4와 메인암프 U5를 통해 증폭하여 스피커 SP 또는 이어폰잭 J1으로 들을 수 있도록 되고, 상기 무선 마이크에는 인덕턴스코일 L4와 콘덴서 C47, C48로 되는 발진 동조회로를 구성하여 마이크의 음성신호를 상기 FM수신회로에 무선으로 연결하여서 됨으로 스피커와 마이크와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한 것임.

Description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hands-frr kit)
본 발명은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핸드-프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 무선 전화기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에 있어서는 핸드-프리 본체와 마이크가 유선으로 연결되고 이와 같은 무선 전화기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는 일반형 핸드-프리 키트와 씨가형 핸드-프리 키트등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반형 핸드-프리 키트는 설치할 때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고, 또 씨가형 핸드-프리 키트는 설치하기는 간편하지만 제품 구조상 마이크와 스피커가 가까이 있어서 음질이 떨어지는 불편과 하울링 때문에 음량을 크게 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무선 마이크는 사용할 때마다 손으로 무선마이크의 전원을 꺼야 하는 불편과 끄는 것을 잊었을 때는 밧데리의 전원이 불필요하게 소모되어 자주 교환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과 필요외의 전원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드-프리 키트의 본체와 마이크를 무선으로 분리하여 마이크와 스피커의 간격을 충분히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질과 음량을 충분히 보완하고 설치시의 불편을 감소시키고자 하는데 있으며, 핸드폰을 핸드-프리 키트에 착탈시 무선 마이크의 전원을 원격 조정으로 자동 ON-OFF 하도록 한 것이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 실시예의 회로도로
제1도는 핸드-프리 키트 본체 회로도이며,
제2도는 무선 마이크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1-C50 : 콘덴서 R1-R48 : 저항
B+ : 전원 B : 밧데리
U1 : 적류-직류 변환기 U2 : FM회로 유니트
U3, U4 : 프리암프 U5 : 메인암프
D1-D5 : 다이오드 Q1-Q7 : 트랜지스터
Q8 : 포토 트랜지스터 L1 : 저주파 쵸크코일
L2-L4 : 인덕턴트 코일 LED1, LED2, LED4 : 발광 다이오드
LED3 :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SP : 스피커
J1 : 이어폰잭 Con : 커넥터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의 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체의 회로도로 전원 B+은 콘덴서 C1,C2 및 다이오드 D1을 통해 적류-직류 변환기 U1에 인가되어 제어된 전압으로 출력되는 전원은 저항 R2, R3과 트랜지스터 Q1로 되는 스위칭회로와 저주파 쵸코코일 L1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차내의 스위치, 예를 들어 시동 또는 전조등이나 미등등을 ON-OFF시 역기 전압에 의해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도록 하고, 콘덴서 C5,C6로 평활화되어 이하 설명하는 회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또 발광 다이오드 LED1에 의해 전원 공급을 표시하도록 되며, 도시하지 않은 핸드폰과 결합하는 커넥터 Con의 단자 2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핸드폰용 전원 및 핸드폰 충전용 전원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안테나 ANT1와 인덕턴스코일 L2와 콘덴서 C10와 인덕턴스코일 L3 및 콘덴서 L16, L17로 FM 주파수가 동조되고, FM회로 유니트 U2로 FM수신회로가 구성되고 그 출력은 콘덴서 C21, C23 및 저항 R15을 통해 프리암프(1/2U3)에 의해 증폭되어 그 출력이 상기한 도시하지 않은 핸드폰에 연결되는 커넥터 Con의 단자 1을 통해 송신토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 Con의 단자 6은 핸드폰으로 수신되어 통화되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단자로서 프래암프 1/2 U4로 1차 증폭하여 다시 메인증폭기 U5로 2차 증폭하여 스피커 SP 또는 이어폰잭 J1단자를 통해 원하는 음성신호를 얻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전압이 인가되면 트랜지스터 Q2가 ON되어 발광 다이오드 LED2가 점등되어 동작중임을 표시케되고 동시에 트랜지스터 Q3도 ON되어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LED3이 적외선을 발생시켜 후술하는 제2도의 무선마이크 회로의 에미터 접지된 포토 트랜지스터 Q8에 수광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1도에서 미설명 부호 R1, R4-7, R9-18, R21-38은 저항, C3, C4, C7-9, C11-15, C18-43은 콘덴서, D2-5는 다이오드를 의미한다.
제2도는 무선마이크의 회로도로 상기 제1도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LED3이 ON되어 적외선 발생을 유지시킴으로서 수광소자인 제2도의 포토 트랜지스터 Q8에 수광되어 ON됨으로서 트랜지스터 Q6, Q7, Q5로 구성되는 스위칭 회로를 ON하도록 트랜지스터 Q6의 베이스에 저항 R47을 통해 인가 전압이 되도록 밧데리 B의 전압을 저항 R48로 바이어스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인덕턴스코일 L4 및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 Q4오 콘덴서 C46, C47로 되는 발진 동조 회로를 구동시키고 콘덴서 마이크 MIC를 통해 상기한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안테나 ANT2를 통해 제1도의 안테나 ANT1에 FM 송신할 수 있도록 되고 또 발광 다이오드 LED4로 하여금 제2도의 무선 마이크회로의 동작을 표시토록된 것이다.
에서 미설명 부호 R39-R46은 저항, C44-C50은 콘덴서를 의미한다.
또 커넥터 Con의 단자 4 및 7은 도시하지 않은 핸드폰과 결합시 서로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하도록 함으로서 FM회로 유니트 U2와 프리암프 U3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저항 R19에 의해 트랜지스터 Q2, Q3을 ON하여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 LED2로 하여금 도시하지 않은 핸드폰과 결합되었음을 표시토록 하고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LED3으로 하여금 적외선이 발생을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시하지 않은 핸드폰과 연결되는 상기 커넥터 Con을 분리함으로서 단자 4와 7을 결합으로 부터 해제하면, FM회로 유니트 U2와 프리암프 U3에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제1도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LED3로 부터의 적외선 발생을 중지하여 제2도의 포토 트랜지스터 Q8이 OFF됨으로서 트랜지스터 Q4의 구동전압을 차단하여 전원의 소모가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에 의해 동작하도록 되는 것이므로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는 스피커 SP와 무선으로 되는 마이크 MIC를 최대한 멀리 떨어지게 설치할 수가 있어서 하울링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핸드폰을 핸드-프리 키트와 착탈시 무선마이크의 전원을 원격으로 자동 ON-OFF가 되도록 제1도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LED3에 의해 제2도의 무선 마이크회로의 포토 트랜지스터 Q8을 ON-OFF가 자유로우므로 사용할 때마다 무선 마이크의 전원을 켜고 끄는 불편과 끄는 것을 잊었을때 무선마이크 내에 수장된 밧데리 B가 불필요하게 소모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적류-직류변환기 U1에 의해 얻어지는 제어 전압을 회로의 공급전원로 하고, 상기 전원은 커넥터 Con의 단자 2를 통해 핸드폰용 전원으로 공급하는 것과, 안테나 ANT1과 인덕턴스코일 L2와 콘덴서 C10과 인덕턴스코일 L3 및 콘덴서 C16, C17로 FM주파수가 동조되고 FM회로 유니트 U2로 FM수신회로가 구성되어 출력을 프리암프 U3에 의해 증폭되어 커넥터 Con의 단자 1을 통해 핸드폰에 송신토록되는 것과, 상기 커넥터 Con의 단자 6은 핸드폰으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프리암프 U5로 1차 증폭하고 메인암프 U5로 2차 증폭하여 스피커 또는 이어폰잭 J1단자를 통해 음성신호를 얻도록 되고, 상기 전압으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LED3으로 적외선 발생을 유지토록 되는 것과,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LED3의 적외선을 포토 트랜지스터 Q8로 수광하여 트랜지스터 Q5, Q6, Q7로 구성되는 스위칭회로를 ON -OFF토록 되고, 인덕턴스 코일 L4 및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 Q4와 콘덴서 C46, C47로 되는 발진 동조회로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FM송신 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
  2. 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커넥터 Con의 단자 4 및 핸드폰과 결합시 서로 연결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
  3. 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커넥터 Con의 단자 6은 핸드폰으로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프리암프로 증폭하도록 되고, FM송신은 무선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
  4. 핸드폰을 상기 핸드-프리 키트와 착탈시 무선마이크의 전원을 ON- OFF 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
KR1019960047627A 1996-10-23 1996-10-23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 KR100203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627A KR100203337B1 (ko) 1996-10-23 1996-10-23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627A KR100203337B1 (ko) 1996-10-23 1996-10-23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535A KR19980028535A (ko) 1998-07-15
KR100203337B1 true KR100203337B1 (ko) 1999-06-15

Family

ID=1947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627A KR100203337B1 (ko) 1996-10-23 1996-10-23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3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535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18510B2 (ja) 携帯用無線電話機
JP3586071B2 (ja) カラーテレビドアホン装置
KR100212686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
KR100203337B1 (ko) 이동 가입 무선전화를 위한 핸드-프리 키트
KR100359647B1 (ko)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시스템
JPH10224449A (ja) 携帯電話ハンズフリー装置
US200301487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 external audio system with a communication device
KR10028162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핸즈프리
JP3022876U (ja) 携帯電話機用のフリーハンド通話システム
KR200153636Y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
CN203243412U (zh) 一种车载免提附属设备及配置有所述附属设备的移动终端
JP3050447U (ja) ハンドフリー機能付きカーオーディオ
JPH0456505B2 (ko)
KR10032949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자동차용 핸즈프리장치
US20030153367A1 (en) Earphone/car audio system dual receiving mode type cellular telephone hand-free handset
KR0134694B1 (ko) 보조 송수화기를 가진 휴대용 전화기
KR100367283B1 (ko) 휴대전화기의 전자식 다이얼 톤 음으로 접속되는 전화기
KR100432916B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KR100260756B1 (ko) 무전기 기능 겸용 무선전화기
KR200226768Y1 (ko) 차량용 휴대전화 핸즈프리 장치
KR20000055480A (ko) 라디오신호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KR890003426Y1 (ko) 무선전화기로 사용 가능한 무선인터폰 회로
KR200252867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가지는 라디오
KR200253130Y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KR200218274Y1 (ko) 클립형 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