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070B1 -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070B1
KR100202070B1 KR1019960018331A KR19960018331A KR100202070B1 KR 100202070 B1 KR100202070 B1 KR 100202070B1 KR 1019960018331 A KR1019960018331 A KR 1019960018331A KR 19960018331 A KR19960018331 A KR 19960018331A KR 100202070 B1 KR100202070 B1 KR 10020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sted wire
arc
running plate
circuit breaker
arc ru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324A (ko
Inventor
도오루 구로노
마사까즈 사이다
히데아끼 하야시
다쓰야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핫또리 쓰요시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1589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18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0084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91664B2/ja
Application filed by 핫또리 쓰요시,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핫또리 쓰요시
Publication of KR97000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전로를 구성하는 연선이 기구부에 끼워지는 일이 없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한다.
접촉자 (1) 와 바이메탈 (2) 등을 접속하는 연선 (3) 을, 아크 주행판 (7) 에 의해 눌러서, 연선 (3) 이 기구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 연선 누름부를 아크 주행판 (7) 에 설치하여도 좋고, 전로를 구성하는 연선을 케이스와 연선 누름부와의 사이에 수납시켜도 좋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
제1도는 제 1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제 1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 1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제 2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제 2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제4도와 직교방향의 단면도.
제6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제6도와 직교방향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동 접촉자 2 : 바이메탈
3 : 연선 4 : 아크 러너
5 : 고정접점 6 : 케이스
7 : 아크 주행판 8 : 가동접점
9 : 누름부 10 : 전선 접속용 단자
12 : 순시 (瞬時) 요크 13, 14, 15 : 연선 누름부
16 : 연선 수납 부재 17 : 크레이들 (cradle)
18 : 중앙의 격벽 19 : 측면판
본 발명은 접촉자와 바이메탈 등을 접속하는 연선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에는 전로 (電路) 의 일부로서 연선이 사용되고 있으며, 제4도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 (1) 와 바이메탈 (2) 등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가요성이 있는 연선 (3) 이 여유공간을 갖고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 연선 (3) 은,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동작 등에 의해서 가동 접촉자 (1) 가 바이메탈 (2) 측으로 움직였을 때에 상방으로 밀려 올려지고, 기구부를 구성하는 크레이들 (17) 등에 끼이게 되는 일이 있었다. 이와같은 끼이는 일이 생기면, 그 부분의 연선 (3) 이 손상되어, 개폐동작을 반복하는 동안에 연선 (3) 이 절단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로를 구성하는 연선이 기구부에 끼워지는 일이 없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는, 접촉자와 바이메탈 등을 접속하는 연선을, 연선 누름부에 의해 눌러서, 연선이 기구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연선 누름부를, 케이스 내에 고정된 아크 주행판에 설치하여도 좋고, 전로를 구성하는 연선을 케이스와 연선 누름부와의 사이에 수납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선을 연선 부름부에 의해 누르므로, 전로를 구성하는 연선이 기구부에 끼이는 일이 없게 되어, 연선이 절단될 염려를 제거할 수가 있다. 또, 연선 누름부를, 케이스내에 고정된 아크 주행판에 설치한 것은, 전체의 구조를 간소화 시킬 수가 있는 이점도 있고, 전로를 구성하는 연선을, 케이스와 연선 누름부와의 사이에 수납시킨 것은, 연선의 수납이 용이하고, 배선용 차단기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잇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부호 (1) 은 가동 접촉자, 부호 (2) 는 바이메탈, 부호 (3) 은, 이들 가동 접촉자 (1) 와 바이메탈 (2) 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가요성이 있는 연선이다. 이 연선 (3) 은, 가동 접촉자 (1) 의 개폐동작을 지장없이 실시할 수 있도록, 여유를 갖고 설치되어 있다.
부호 (4) 는 고정접점 (5) 측으로부터 케이스 (6) 의 저면을 따라 연장하는 아크 러너이며, 부호 (7) 는 아크 러너 (4) 의 상방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아크 주행판이다. 이들 부재는, 가동 접촉자 (1) 의 선단의 가동접점 (8) 이 고정 접점 (5) 으로부터 분리되는 순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아크 주행판 (7) 에 형성된 누르무 (9)에서 연선 (3) 의 대략 중앙부가 걸려서 눌러지고, 가동접촉자 (1) 가 개폐동작을 하였을 때에도 연선 (3) 이 기구부를 구성하는 크레이들 (17) 등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로인해, 종래와 같은 연선 (3) 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아크 주행판 (7)은 전선 접속용 단자 (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종래는 아크 주행판 (7) 의 단부를 제4도와 같이 상방으로 신장시켜, 고정용 나사 등에 의해서 고정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선 (3)을 통하여 아크 주행판 (7) 과 전선 접속용 단자 (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단지 아크 주행판 (7)을 케이스 (6) 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복잡한 부착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잇점이 있다.
아크 주행판 (7) 의 누름부 (9) 는 아크전류의 방향이 제1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 러너 (4) 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아크 주행판 (7) 의 가동 접촉자 (1) 에 근접한 단부에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하면, 아크가 보다 신장하여 아크전압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아크 주행판 (7)을 니크롬 등의 고저항 재료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더욱 아크전압을 향상하고, 한류 (限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선 (3) 의 누름부 (9) 가진 아크 주행판 (7)을 순시요크 (12) 와 일체화시키면, 부품개수를 감소시켜 구성을 보다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립성이 향상되고, 공정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는, 바이메탈 (2) 의 하방에 케이스 저면과 평행하게 설치된 아크 주행판 (7) 의 선단을, 가로방향으로 편위 시킨 후, 상방으로 세워 올려서, 대략 평판상의 연선 누름부가 되도록 연선 수납부재 (16)를 구성하고 있다.
제5도에 나타낸 좌측의 극에 있어서는, 연선 (3) 의 바이메탈 (2) 측의 부분을 연선 수납부재 (16) 와 케이스 (6) 의 중앙의 격벽 (18) 과의 간극에 수납하고, 연선 (3) 이 기구부의 크레이들 (17) 등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제5도에 나타낸 우측의 극에 있어서는, 연선 (3) 의 바이메탈 (2) 측의 부분을 연선 수납부재 (16) 와 케이스 (6) 의 측면판 (19) 과의 간극에 수납하고, 연선 (3) 이 기구부의 크레이들 (17) 등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동일 형상의 연선 수납부재 (16)를 양측의 극에 사용하고 있으나, 연선 수납부재 (16) 의 형상을 좌우에서 반전시키도록 하면, 양쪽의 극의 연선 (3)을 함께 케이스 (6) 의 중앙의 격벽 (18) 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연선 수납부재 (16) 로서 아크 주행판 (7) 의 일부를 이용하였으나, 연선 수납부재 (16) 는 케이스 (6) 와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로를 구성하는 연선이 기구부에 끼이는 일이 없고, 연선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아크 주행판에 의해서 연선을 누르는 구조로 하면, 전체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가 있는 이점도 있고, 또한 케이스를 이용하여 연선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구조로 하면, 연선의 수납이 용이하고, 배선용 차단기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잇점도 있다.

Claims (5)

  1. 케이스, 아크흡수용 아크 주행판과 아크러너, 가동접촉자, 및 바이메탈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 접촉자와 바이메탈간을 연선으로 전기 접속시켜 전로를 구성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연선이 구성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선 누름부를 상기 아크주행판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로를 구성하는 연선을, 아크주행판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구성한 연선 누름부가 되는 연선 수납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수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주행판의 가동접촉자에 가까운 단부에 연선 누름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주행판을 니크롬 등의 고저항 재료로 형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주행판을 수시요크와 일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KR1019960018331A 1995-06-26 1996-05-28 배선용 차단기 KR100202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58903A JP2721818B2 (ja) 1995-06-26 1995-06-26 配線用遮断器
JP95-158903 1995-06-26
JP96-84303 1996-01-22
JP96-008430 1996-01-22
JP8008430A JP2891664B2 (ja) 1996-01-22 1996-01-22 配線用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324A KR970003324A (ko) 1997-01-28
KR100202070B1 true KR100202070B1 (ko) 1999-06-15

Family

ID=2634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331A KR100202070B1 (ko) 1995-06-26 1996-05-28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02070B1 (ko)
CN (1) CN1044051C (ko)
TW (1) TW340949B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347U (ko) * 1990-05-28 1992-02-05
US5250918A (en) * 1992-05-05 1993-10-05 Square D Company Automatic miniature circuit breaker with Z-axis assemblage current respons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324A (ko) 1997-01-28
CN1044051C (zh) 1999-07-07
CN1144970A (zh) 1997-03-12
TW340949B (en) 199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0385A (en) Low voltage circuit breaker with multiple contacts for high currents
KR100963738B1 (ko) 회로 차단기
KR100944173B1 (ko) 회로 차단기
JP4164723B2 (ja) スタータおよび接触器アセンブリ
JPH0628940A (ja) 複数の接点を有する遮断装置
US5548258A (en) Circuit breaker with insulation device
KR840003137A (ko) 전력 개폐 장치
KR900007273B1 (ko) 회로 차단기
US4766273A (en) High current double-break electrical contactor
JP3099690B2 (ja) 回路遮断器
KR100202070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0520928B1 (ko) 기중차단기
JPH0917319A (ja) 消弧装置
JP2721818B2 (ja) 配線用遮断器
KR880002577B1 (ko) 다수의 핑거 접속밴드를 갖는 베이어닛형 회로 차단기
US4521655A (en) Electric power switch with slotted commutation end plate
EP1367681A1 (en) Vacuum switch unit and switch gear
US6255608B1 (en) Terminal structure of switch
US4331375A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US4612427A (en) Switch
JP3239978B2 (ja) 回路遮断器
EP0206249A2 (en) Circuit breaker
US4926018A (en) Moving mains arc movement loop
CN1052335C (zh) 配电断路器
JP2891664B2 (ja) 配線用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