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577B1 - 다수의 핑거 접속밴드를 갖는 베이어닛형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다수의 핑거 접속밴드를 갖는 베이어닛형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577B1
KR880002577B1 KR8201334A KR820001334A KR880002577B1 KR 880002577 B1 KR880002577 B1 KR 880002577B1 KR 8201334 A KR8201334 A KR 8201334A KR 820001334 A KR820001334 A KR 820001334A KR 880002577 B1 KR880002577 B1 KR 880002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ircuit breaker
bayonet
connection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619A (ko
Inventor
브이. 마쥬스키 죤
에이치. 로렌첸 죤
Original Assignee
엠.더블유.그레그
알 티 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더블유.그레그, 알 티 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엠.더블유.그레그
Publication of KR83000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38Plug-and-socket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54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 H01H85/542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the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being provided with bayonet-type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01F2027/404Protective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filled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수의 핑거 접속밴드를 갖는 베이어닛형 회로 차단기
제1도는 변압기의 1차회로를 완성하도록 기준 레벨 변압기 탱크에 장치된 베이어닛형 회로차단기의 부분적인 단면도.
제2도는 베이어닛 어셈블리가 지지 어셈블리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의 베이어닛형 회로차단기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회로차단기나 퓨우즈 접속부재와 통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밴드와 함께 지지 어셈블리에 수용된 베이어닛 어셈블리의 단면도(제2도의 유사도).
제3a도는 접속밴드가 장치될 하우징의 투시도.
제4도는 전기접속밴드의 전개 투시도.
제5도는 사각형 구조로 구부려진 전기 접속밴드의 투시도.
제6도는 제3도의 라인6-6을 취한 지지 어셈블리에 장치된 1접속밴드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밴드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 투시도.
제8도는 사각형 구조로 구부린 다른 밴드의 투시도.
제9도는 지지 어셈블리로 장치된 다른 밴드를 보여주는 지지 어셈블리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어닛형 회로차단기나 오일 퓨우즈 16 : 유전체(절연유)
18 : 고전압 부싱(bushing) 22, 26 : 선
24, 25 : 전기접속밴드 32 : 베이어닛 어셈블리
34 : 지지 어셈블리 36 : 절연 로드
38 : 회로 연결 부재 40, 42 : 전기 접속부재
43, 46 : 관형 부재 65 : 호울
66, 68 : 위치설정 로울
본 발명은 베이어닛형(bayonet-type)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회로 차단기의 전기 접속부와의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전도성 접속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베이어닛형 회로차단기, 즉 퓨우즈의 일반적인 기술에 대해서는 1959년 12월 22일자로 공고된 미합중국 특허 제2,918,557호를 통해 개시되어 있다. 이 유형의 장치에서는, 회로 연결 소자를 갖는 베이어닛 어셈블리가 탱크상에 장착된 지지 어셈블리내로 삽입되어, 전기 장치가 탱크내의 절연유속에 담겨져 있는 변압기와 1차 회로를 완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회로차단기, 즉 퓨우즈와 전기 회로 사이의 통전은 지지 어셈블리상에 장착된 다편(multiple piece)의 접속 어셈블리에 의해서 제공된다. 각 접속어셈블리는 다수의 접속부재와, 바이어스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바이어스 스피링은 지지 어셈블리를 에워싸고 상기 접속부재 속으로 나사식으로 삽입된다. 이 접속 부재들은 변압기 로딩을 처리하고 절환동작중 아아크 효과를 억제하기에 충분한 전류를 흘려야만 한다. 이 기능들은 가끔 30년을 초과하게 되는 장치의 수명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어닛형 회로차단기나 퓨우즈는 단편(single piece)의 전도성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지지 어셈블리 상에서 단일 유닛으로 조립된 개선된 전기 접속밴드를 가지고 있다. 이 밴드는 자유단부측에 접속버튼을 가지는 다수의 일체 핑거를 가지고 있고, 회로차단기나 퓨우즈의 전기 접속부와 접속하여 전도성 버튼들을 붙잡고 있도록 하기 위해 전도성 구리 재료의 고유 바이어스를 이용한다. 접속밴드는 사각형으로 구부려져서 오직 4점에서 지지 어셈블리와 접촉되므로 변압기 탱크내에 제공된 절연유의 냉각작용에 대해 밴드의 노출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간단한 단순 연동장치가 밴드를 지지 어셈블리 위에 걸수 있도록 밴드의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부하 운반능력의 증대 효과는 접촉 핑거의 길이 방향측의 방위를 다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이 실시예는 밴드의 중앙에 제공된 줄어든 단면 영역에 걸쳐 지지 어셈블리에 장착하기 위한 밴드의 힌지 운동을 개선한다. 지지 어셈블리는 각 접속밴드가 접속밴드를 사이의 전기적 크리이페이지(creepage)거리를 증가시키는 위치설정 스커어트를 갖는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베이어닛형 회로차단기나 오일 퓨우즈(10)는 변압기 형태의 전기 장치(14)가 가진 유전체나 절연유(16)를 탱크(12)에 장착된다. 고전압 부싱(18)은 변압기 탱크의 벽(20)에 장치되며, 선(26)를 통해 베이어닛 회로차단기나 오일 퓨우즈(10)에 제공된 제1전기 접속밴드(25)에 연결된다. 제2접속밴드(24)는 선(22)에 의하여 전기장치(14)에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어닛형 회로차단기나 오일 퓨우즈(10)는 변압기(14)에 대한 연결선(26)을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도록 부싱(18)과 전기장치(14)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이제, 제2도, 제3도 및 제3a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베이어닛형 회로 차단기나 오일 퓨우즈(10)는 베이어닛 어셈블리(32)와 지지 어셈블리(34)를 포함한다. 베이어닛 어셈블리(32)는 절연 로드(36)와, 이 절연 로드(36)내측 단부에 걸려있는 회로 차단기나 퓨우즈 형태의 회로 연결부재(33)를 포함한다. 회로 연결부재(38)는 한쌍의 접속부재(40,42)를 포함하는데, 이 부재들은 접속밴드(24,25)를 통해 회로를 폐쇄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어셈블리(34)는 탱크(12)에 제공된 개구부(44)에 장치될 수 있는 상측 관형부재(43), 개구(48)를 가진 하측 관형부재(46)를 포함하고 있다. 2세트의 경사진 접속 리셉터클(receptacle)이나 개구부(50,52)가 개구(48)와 통하도록 관형부재(46)의 하측 단부에 제공된다.
베이어닛 어셉블리(32)는 1차회로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지지 어셈블리의 개구(48)안에서 미끄럼가능하다. 전도성 접속밴드(24,25)에 의해서 선(22,26)과 접속부재(40,423)사이에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접속밴드(24,25)는 밴드(60)의 길이 방향축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절단되거나 스탬프된 다수의 외팔보형 접속핑거(62)를 가지는 구리와 같은 전도성 굼속 스프링 재료로된 신장밴드(60)로 형성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핑거(62)들은 밴드의 면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U자형 커트부(64)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밴드(60)의 길이방향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호울(65)은 각 핑거(62)의 자유단부에 제공된다. 위치 설정 호울(66,68)은 호울(68)의 내부 테두리에 제공된 플랜지 관형 테두리 나 리이지(69)와 함께 밴드의 각 단부에 존재한다. 이 밴드는 사각형의 각 변에 1개의 핑거(62)가 위치되도록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4각형으로 형성된다. 핑거들의 자유단부는 대략 사각형의 각변 중앙에 위치된다는 사실을 주의해야 한다.
이 핑거(62)와 베이어닛 어셈블리상의 접속부재(40 또는 42)간의 전기접속은 전도성 버튼(70)을 핑거(62)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진다. 각 버튼 (70)은 일단부에 돌출부(72)를 갖고 타단부에 경사진 접속부(74)를 갖는다. 이 돌출부(72)는 핑거(62)의 자유단부에 제공된 호울(65)내로 삽입되어 각 버튼(70)이 핑거(62)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접속밴드들을 접속 리셉터클(50,52)위의 정위치에 존재시키기 위한 수단이 지지 어셈블리의 관형부재(46)위에 제공된다. 제2도, 제3도 및 제3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수단은 두쌍의 스커어트(71,73)가 각 접속 리셉터클(50,52)의 각 변에 제공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스커어트(71,73)에는 접속밴드(24,25) 들 간의 절연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하측 관형부재측에 존재하는 스커어트(73)는 개스흐름 차폐장치로서 작용하여 하우징의 하측에 존재하는 개스가 지지 어셈블리(34)의 외면위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접속 어셈블리(60)의 토오크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 바 있다. 이런 장치는 접속밴드 종단부(68)에 그리고 관형부재(46)의 맞은편에 제공된 3각형의 융기부(75)의 형태를 취하고 잇다.
접속밴드(24, 25)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 어셈블리(34)의 관형부재(46)위에 장착되는데, 즉 밴드(24)는 접속 리셉터클(50)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버튼(70)과 함께 스커트(71)간의 융기부(75)위에 배치되고, 밴드(25)는 접속 리셉터클(52)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버튼(70)과 함께 스커트(73)간의 융기부(75)위에 배치된다. 각 밴드 호울(66,68)은 호울(66)을 통하여 돌출하여 있는 플랜지(69)와 서로 일직선상에 놓인다. 각 밴드의 단부들은 바깥에서 밴드(60)의 외부를 결합시키도록 어떤 적당한 수단으로 플랜지(69)를 변형하는것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버튼(70)의 일단부에 존재허는 경사진 접속부(74)는 경사진 리셉터클(50,52)을 통해 관형부재(46)의 개구(48)안으로 돌출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부재(40,42)는 관형부재의 내경보다 약간 작거나 대략 같은 외경을 가지고 있다. 베이어닛 어셈블리가 관형부재(46)에 삽입될때, 베이어닛 어셈블리의 경사진 단부(55)는 버튼(70)들과 핑거(62)들을 바깥으로 캠운동시키는 경사진 접속부(74)를 구속하게 된다. 전도성 밴드(60)재료의 고유 바이어스는 접속부재(40,42)와 직접 접속되도록 버튼(70)들을 바이어스 할 것이다. 이로인해, 상기 밴드와 접속부재(40 또는 42)간의 전기접속이 이루어진다.
제2도에서, 접속부재(40)와 접속밴드(24)의 결합에 앞서 접속부재(42)와 접속밴드(25)간의 전기접속이 먼저 이루엊니다. 베이어닛 어셈블리가 지지 어셈블리에 완전히 지지될때 이 회로는 제3도와 같이 완성된다.
제7도,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또 다른 접속밴드(80)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접속밴드(80)는 힌지능력 뿐만 아니라 부하 운반능력도 증가시키고 있다. 이 접속밴드(80)는 두쌍의 접속핑거들(84,86)을 가지는 신장밴드(82)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전도성 금속 스프링재료로 형성된다. 장착 호울(88,90)들은 전술한 바와같이 호울(90)둘레의 플랜지(92)와 함께 각 밴드 단부에 제공된다. 호울(94)들은 각 접속핑거의 단부에 제공된다. 접속버튼(70)들은 전술한 바와같이 각 접속핑거에 장착되어 있다.
밴드의 전류운반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들도 제공된다. 이것은 각 핑거쌍의 자유단부가 밴드의 중앙에 위치하고 힌지 단부는 장치 호울(88)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1쌍의 접속핑거(86)들의 힌지 단부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각 핑거에서 밴드 단부까지의 전류 운반경로는 훨씬 짧아지게 된다.
전술한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밴드의 중심부는 부하만큼 연장하지 않아도 되므로 밴드의 단면영역은 줄어들게 된다. 상기 밴드의 중앙에 제공된 호울(96)은 상기 밴드가 지지 어셈블리 위에 장착되도록 확장되거나 개방되었을때 이 밴드의 측부에 존재하는 어떤 변형을 제거하므로써, 상기 밴드를 쉽게 힌지하거나 구부릴 수 있다.

Claims (12)

  1. 전기장치(14)를 위한 탱크(12)내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지지 어셈블리(34)와 이 지지 어셈블리(3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어닛 어셉블리(32)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어닛 어셈블리(32)는 절연로드(36)와 이 절연로드(36)의 내측 단부에 위치한 전도성 회로 연결부재(38)를 포함하며, 이 전도성 회로 연결부재(38)는 한쌍의 접속부재(40, 42)를 갖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34)는 탱크(12)로 뻗어 있는 관형부재(46)와 전도성 회로 연결부재(38)의 접속부재(40, 42)에 접근하도록 다수의 접속 개구부(50,52)를 포함하고, 다수의 접속 버튼(70)이 상기 개구부(50,52)를 관통하여 관형부재(46)의 축을 향해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되고, 상기 바이어스에 대해 외부로 상기 접속 버튼(70)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베이어닛형 부하 회로 차단기(10)에 있어서, 상기 접속 버튼(70)은 지지 어셈블리의 관형부재(46)위에 장착된 전도성 금속 스프링 재료의 밴드(60 ; 82)로 형성된 신장 접속밴드(24.25 ; 80)에 부착되고, 상기 접속밴드(60 ; 82)는 상기 밴드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이 밴드에는 접속밴드(70)가 놓이는 자유단부를 가진 핑거들(62 ; 84,86)이 존재하며, 상기 밴드(60 ; 82)는 상기 관형부재(46)주변에서 한변에 접속버튼(70)이 하나씩 배치되도록 사각형 모양으로 구부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어닛형 부하회로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접속 핑거들(62 ; 84, 86)은 상기 밴드의 길이 방향축을 따라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어닛형 부하 회로 차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들(62)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어닛형 부하 회로 차단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82)는 두쌍의 접속핑거(84,86)를 포함하는데, 그 각 쌍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어닛형 부하 회로 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82)는 중앙에 밴드(80)의 단면영역을 줄이는 호울(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어닛형 부하 회로 차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34)는 이 지지 어셈블리(34)상에서 밴드(24, 25 ; 80)의 축방향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스커으트 수단(71,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어닛형 부하 회로 차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융기부쌍(75)이 상기 밴드(24, 25 ; 8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관형부재(46)에 대향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어닛형 부하 회로 차단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호결합수단(66, 68, 69 ; 88, 90, 92)이 상기 밴드(60 ; 82)의 단부를 관형부재(46)위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밴드의 일단부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어닛형 부하 회로 차단기.
  9. 베이어닛 회로 차단기에서 전기 접점과의 전기적 통신을 유지하는 전도성 접속 밴드에 있어서, 전도성 밴드(24, 25 ; 80)는 전도성 금속 스프링 재질의 신장밴드(60 ; 82)와, 이 밴드(60 ; 82)축을 따라 형성된 일체의 다수 핑거(62 ; 84, 86) 와, 상기 각 핑거(62 ; 84, 86)의 단부에 장착된 전도성 버튼(70)을 구비하는데, 상기 밴드(60 ; 82)는 한변에 한개의 핑거(62 ; 84, 86)와 안쪽으로 돌출되는 상기 버튼(70)을 갖도록 사각형 구조로 구불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접촉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62)는 상기 밴드(60)에 매달려 있으며 동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각 핑거(62)는 각 핑거(62)의 자유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접촉밴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들( 84, 86)은 밴드(82)에 매달려 있으며, 그중 핑거 절반(84)은 나머지 핑거(86)의 단부와 반대방향으로 놓여진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접속밴드.
  12. 제9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밴드(60, 82)의 단부에는 이 밴드(60, 82)의 단부들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상호 결합수단(66, 68, 69 ;88, 90, 9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접속밴드.
KR8201334A 1981-03-27 1982-03-27 다수의 핑거 접속밴드를 갖는 베이어닛형 회로 차단기 KR880002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8,564 1981-03-27
US06/248,564 US4373772A (en) 1981-03-27 1981-03-27 Bayonet-type circuit breaker having a multiple finger integrated contact band
US248564 1981-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619A KR830009619A (ko) 1983-12-22
KR880002577B1 true KR880002577B1 (ko) 1988-11-30

Family

ID=2293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334A KR880002577B1 (ko) 1981-03-27 1982-03-27 다수의 핑거 접속밴드를 갖는 베이어닛형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373772A (ko)
EP (1) EP0074404B1 (ko)
JP (1) JPS58500678A (ko)
KR (1) KR880002577B1 (ko)
AU (1) AU551365B2 (ko)
BE (1) BE892656A (ko)
BR (1) BR8207241A (ko)
CA (1) CA1167494A (ko)
DE (1) DE3277478D1 (ko)
IT (1) IT1151373B (ko)
WO (1) WO1982003492A1 (ko)
ZA (1) ZA8220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05272U1 (de) * 1988-04-21 1988-06-09 Hofsäss, Peter, 7530 Pforzheim Spulenträger mit Sicherheitsschalter
DE4445172C2 (de) * 1994-12-17 1998-07-16 Abb Patent Gmbh Schaltfeld
US6624736B1 (en) * 2000-05-19 2003-09-23 Abb Inc. Fuse housing with rate release control plug
US7477129B2 (en) * 2004-12-06 2009-01-1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urrent limiting fuse
US20120032772A1 (en) * 2010-08-04 2012-02-09 Cooper Technologies Company Joining a current limiting device and a fuse
DE102013114397A1 (de) * 2013-12-18 2015-06-18 Eaton Industries Austria Gmbh Schaltgerä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9031B (de) * 1955-07-15 1960-09-15 Cie Generale Electro Ceramique Kontaktring fuer rohrfoermige Leiter
GB893055A (en) * 1957-08-21 1962-04-04 Plessey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tacts
US2918557A (en) * 1958-05-15 1959-12-22 R T & E Corp Circuit breaker
DE1128500B (de) * 1960-04-11 1962-04-26 Harting Elektro W Steckerbuchse
US3628092A (en) * 1970-12-03 1971-12-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 inductive apparatus with removable protective f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82003492A1 (en) 1982-10-14
DE3277478D1 (en) 1987-11-19
IT1151373B (it) 1986-12-17
BE892656A (fr) 1982-07-16
AU8395882A (en) 1982-10-19
EP0074404B1 (en) 1987-10-14
BR8207241A (pt) 1983-03-01
EP0074404A4 (en) 1985-04-25
JPH0237653B2 (ko) 1990-08-27
EP0074404A1 (en) 1983-03-23
JPS58500678A (ja) 1983-04-28
KR830009619A (ko) 1983-12-22
IT8220421A0 (it) 1982-03-26
CA1167494A (en) 1984-05-15
ZA822097B (en) 1983-02-23
US4373772A (en) 1983-02-15
AU551365B2 (en) 1986-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2052A (en) Latching and release system for ground fault receptacle
US4939615A (en) Latching and release system for ground fault receptacle
US3849750A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 circuit
CA2102392C (en) Push-button switches
US4502088A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US4503413A (en) Spool for transformer in power supply device
ES2096997T3 (es) Conectador electrico para terminales de bateria.
FI82787B (fi) Elektrisk omkopplingsanordning.
KR880002577B1 (ko) 다수의 핑거 접속밴드를 갖는 베이어닛형 회로 차단기
CA1142218A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US4649456A (en) Three element gas tube protector module
US4074337A (en) Protector for telecommunication lines
EP0640998A1 (en) Load break disconnecting device with solid arc suppression means
US3383486A (en) Electric circuit breaker with combined plug-in terminal and contact support
US4480245A (en) Electric cutout
US4535311A (en) Contact support means for an electromagnetic relay
US4496929A (en) Low current indicating fuse
KR930024227A (ko) 수직 설치식 콘넥터
US2723383A (en) franz
US5898148A (en) Coil shaped terminal for an electrodynamically operated circuit breaker
JPH0119773Y2 (ko)
US2230426A (en) Fused switch
US2409042A (en) Insulating guard
US2295343A (en) Electric cutout
WO1994018721A1 (en) Electric plu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