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065B1 - 개선된 전기 자동차의 감속기에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개선된 전기 자동차의 감속기에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065B1
KR100200065B1 KR1019950062697A KR19950062697A KR100200065B1 KR 100200065 B1 KR100200065 B1 KR 100200065B1 KR 1019950062697 A KR1019950062697 A KR 1019950062697A KR 19950062697 A KR19950062697 A KR 19950062697A KR 100200065 B1 KR100200065 B1 KR 10020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ensor
housing
reducer
bol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338A (ko
Inventor
권영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5006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065B1/ko
Publication of KR97003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4Gearboxes combined or connected with 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기 하우징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속도센서의 위치를 요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자동차의 감속기에서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나선(12)이 형성된 하우징(10)의 장착구멍(11)에, 길이를 따라 연통하는 중공부(31) 및 외측 나선부(32)를 지니는 볼트(30)를 체결하되, 속도센서(20)가 상기 볼트(30)의 중공부(31)에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전기 자동차의 감속기에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
제1도는 전기 자동차의 감속기의 하우징에 대한 종래의 속도센서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속도센서의 장착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장착구멍
12 : 나선 20 : 속도센서
30 : 볼트 31 : 중공부
32 : 나선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감속기에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속기 하우징의 재료를 절약하고 하우징 자체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장착볼트를 이용한 속도센서의 장착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연료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엔젠부분에 해당하는 모터가 제공되어 자동차가 구동된다. 또한 상기 모터에는 감속기가 장착되어 있어 모터의 중공 샤프트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감속 및 차동시켜 구동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감속기 내에는 제1 기어세트, 제2기어세트 및 제3기어세트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어세트는 모터의 중공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기어세트는 제2기어세트에 연결되고, 제2기어세트는 차동기어 세트라 칭하는 제3기어세트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기어세트에는 메인 샤프트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기어세트에 의해 감속된 후 제3기어세트에 의해 차동되어 캐리어 및 메인 샤프트를 통해 각각의 구동 샤프트에 동일 회전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감속기에는 근접센서라 칭하는 속도센서(speed sensor)가 설치되어 있어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같은 일반적인 속도센서 장착구조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따르면, 속도센서(S)가 감속기의 하우징(H)의 상부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속도센서가 하우징(H)의 단면을 관통하여 제3기어 세트에 접하게 구성되어 감속기에서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회전 속도를 감지한다. 이같은 속도센서는 그 길이가 비교적 길어 하우징 또한 이에 비례하게 두꺼워야 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의 두께는 물론 그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된다. 이로써 차체 내의 모터의 설치공간이 넓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하우징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식에 대해 고심해 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속기의 하우징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일정크기로 센서를 적합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은 본발명에 의해 해결되는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감속기 하우징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속도센서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자동차의 감속기에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에 있어서, 나선이 형성된 하우징의 장착구멍에 길이를 따라 연통하는 중공부 및 외측 나선부를 지니는 볼트를 체결하되, 속도센서가 상기 볼트의 중공부에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속도센서의 장착구조가 단면도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따르면, 감속기의 하우징(10), 보다 상세하게는 제3기어세트의 상부의 하우징에는 속도센서(2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센서(20)는 볼트(30)에 취부된 상태로 하우징에 장착된다. 상기 볼트(30)는 그 길이를 따라 관통되는 중공부(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트(30)의 외측면에는 나선(32)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10)의 장착구멍(11)에는 상기 볼트(30)의 나선(32)에 대응하는 나선(12)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볼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속도센서(20)는 근접센서로서 그 형상은 원기둥형이다.
이같은 구조에 의한 본발명에 따른 센서 장착방식에 있어서, 먼저 볼트(30)의 중공부(31)에 속도센서(20)를 삽입한다. 이후 상기 볼트(30)를 하우징(10)에 결합하여 완성한다. 이 때 상기 볼트(30)의 외측면 나선(32)과 하우징(10)의 나선(12)이 상호 맞물려 교합한다. 물론 먼저 볼트(30)를 하우징(10)에 고정한 후 센서(20)를 볼트(30)의 중공부(31)에 삽입시켜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이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속도센서 장착구조에 의하면 하우징 (10)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도 비교적 긴 센서를 장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히려 하우징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속기전체가 콤팩트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더욱이, 볼트(30)를 이용하여 속도센서(2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어 속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센서를 설치하여 감속기의 하우징에 고정시킨 것에 있어서, 감속기의 하우징(10)에 장착구멍(11)을 형성하되, 내면에 나선(12)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구멍(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에 나선(32)이 형성된 볼트(30)의 중앙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중공부(31)를 형성한 후, 상기 중공부(31)에 속도센서(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전기자동차의 감속기에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
KR1019950062697A 1995-12-29 1995-12-29 개선된 전기 자동차의 감속기에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 KR10020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697A KR100200065B1 (ko) 1995-12-29 1995-12-29 개선된 전기 자동차의 감속기에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697A KR100200065B1 (ko) 1995-12-29 1995-12-29 개선된 전기 자동차의 감속기에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338A KR970036338A (ko) 1997-07-22
KR100200065B1 true KR100200065B1 (ko) 1999-06-15

Family

ID=1944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2697A KR100200065B1 (ko) 1995-12-29 1995-12-29 개선된 전기 자동차의 감속기에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0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338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42817D1 (de) Antriebseinheit für Fahrzeuge mit elektrischem Antrieb
US6210299B1 (en) Tubular beam motor vehicle differential axle assembly
JPH114306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200065B1 (ko) 개선된 전기 자동차의 감속기에 대한 속도센서 장착구조
JPH1111577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パワーアシスト装置
GB2192958A (en) Automatic transmission casing
KR900018525A (ko) 동축형 스타터
US5088338A (en) Planet gear type reduction gear device
US6413186B1 (en) Power train system for a vehicle
JPH059264Y2 (ko)
KR940007425Y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스피드 세트 장착구조
KR200280003Y1 (ko) 자동차용 스피드 미터 장치
KR200189152Y1 (ko) 자동차용 변속기 축수부 조립구조
JP3037125U (ja) 電動機用減速機
KR200146971Y1 (ko) 차량용 스피드 미터
KR0143919B1 (ko) 전기 자동차의 감속기의 캐리어와 구동 샤프트의 개선된 결합구조
KR920006225B1 (ko) 유성치차 감속장치가 부착된 시동전동기
KR100250287B1 (ko) 자동차용 스피도 미터 기어 슬리이브 어셈블리
FR2667374B1 (fr) Dispositif de transmission d'un couple d'entrainement d'une roue motrice de vehicule automobile avec un roulement et un reducteur de vitesse integres a la roue.
KR100435548B1 (ko) 전장 가변 추진축
KR200146973Y1 (ko) 자동 변속기용 아이들 기어 장착구조
ATE214129T1 (de) Wendegetriebe montiert zwischen einem wechselgetriebe und mindestens zwei angetriebenen rädern
KR970007450B1 (ko) 자동차용 스피드 미터계
KR0138551B1 (ko) 전기 자동차의 메인 샤프트의 축방향 추력 이동방지를 위한 메인 샤프트 구조
KR870004261A (ko) 두 구조물의 동시구동을 위한 모우터 감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