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971Y1 - 차량용 스피드 미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피드 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971Y1
KR200146971Y1 KR2019940038748U KR19940038748U KR200146971Y1 KR 200146971 Y1 KR200146971 Y1 KR 200146971Y1 KR 2019940038748 U KR2019940038748 U KR 2019940038748U KR 19940038748 U KR19940038748 U KR 19940038748U KR 200146971 Y1 KR200146971 Y1 KR 200146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gear
sleeve
gear
speed met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307U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38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971Y1/ko
Publication of KR960021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차량용 스피드 미터에 있어서, 드리븐 기어가 헬리컬 기어로 형성됨에 의해 발생되는 추력으로 드리븐 기어가 고정된 축이 이동함으로서 슬리브와 드리븐 기어가 충돌하여 나타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변속기의 출력측 회전수를 속도계에 표시하기 위한 스피드 미터에 있어서, 디프렌셜 어셈블리기어(G)와 치차물림되는 드리븐 기어(8)의 측면에 슬리브(16)의 종단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연장부(18)를 형성하고, 슬리브(16)의 홈에 형성된 홈(12)의 길이를 드리븐 기어(8)가 고정된 축(10)의 이동거리 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미터.

Description

차량용 스피드 미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드 미터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드 미터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의한 스피드 미터의 결합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변속기 케이스 6 : 스피드 미터
8 : 드리븐 기어 10 : 축
12 : 홈 14 : 핀
16 : 슬리브 18 : 연장부
본 고안은 차량용 스피드 미터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 구동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피드 미터에 관한 것이다.
챠량용 계기는 차량의 주행상태와 각 장치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운전석에 전달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서 무리한 운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계기중 속도계는 현재의 주행속도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갖는데, 이러한 속도계는 그 신호를 디프렌셜 기어 어셈블리로 부터 전다받는 구조를 이루어진다.
대개의 경우 이러한 속도계는 디프렌셜 어셈블리 기어와 치차결합되는 드리븐 기어를 갖고 있으며, 이 드리븐 기어는 축을 통하여 케이블과 연결됨으로서 차량의 출력측 회전을 통하여 속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피드 미터는 드리븐 기어 측면과, 이 드리븐 기어 축이 삽입되는 슬리브 측면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있는데, 이 드리븐 기어는 헬리컬 기어로 형성됨에 의해 회전시 추력발생으로 인하여 드리븐 기어가 슬리브 측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들 슬리브 측면과 드리븐 기어 측면이 충돌하여 소음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한 스피드 미터의 축은 슬리브 내에 회전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슬리브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걸려지게 되는데, 이 핀이 걸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홈이 형성하게 되므로 이 핀과 홈의 마찰로 또한 소음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피드 미터가 작동중에 구성요소들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드 미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변속기의 출력측 회전수를 속도계에 표시하기 위한 스피드 미터에 있어서, 디프렌셜 어셈블리 기어와 치차물림되는 드리븐 기어의 측면에 슬리브의 종단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연장부를 형성하고, 슬리브의 홈에 형성된 홈의 길이를 드리븐 기어가 고정된 축(10)의 이동거리 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미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스피드 미터가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부호(2)는 변속기 하우징을 나타낸다.
이 변속기 하우징(2)의 일측에는 디프렌셜 기어 어셈블리(미도시)를 내장할 수 있는 케이스(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케이스에 스피드 기어 어셈블리(6)가 내장되어 출력측 회전수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스피드 기어 어셈블리(6)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프렌셜 어셈블리의 기어(G)와 치차물림되는 드리븐 기어(8)을 갖고 있으며, 이 드리븐 기어는 축(10)과 연결되어 운전석에 마련된 속도계(미도시)와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축(10)는 이러한 구성을 이루기 위하여 원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축방향 이동이 일정한 범위내에서 제할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실질적으로 축(10)의 외주에 홈(12)을 형성하고, 이홈(12)에 선단부가 위치할 수 있는 핀(14)을 슬리브(16)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시키는 것으로 실현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슬리브(16)의 일측단이 드리븐 기어(8)과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한 핀(14)의 선단이 위치하는 홈(12)은 축(10)이 축방향으로 이동시 핀과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한 드리븐 기어(8)는 헬리컬 기어로 이루어져 디프렌셜 기어 어셈블리와 치차물림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슬리브(16)의 연장부(18)와 드리븐 기어(8)의 접촉면은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오일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은 슬리브(16)를 케이스(4)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트를 지칭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차량용 스피드 미터는, 디프렌셜 어셈블리 기어(G)와 치차결합되는 상태로 케이스(4)에 내장되고 브라켓트(20)에 볼트가 고정됨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을 하게 되면, 엔진의 구동력이 변속기를 통하여 적당한 속도로 변속된 후 디프렌셜 기어 어셈블리로 전달되면서 기어(G)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이 회전력은 드리븐 기어(8)로 전달된다.
이때 드리븐 기어(8)가 회전하면서 축(10)을 회전시켜 도시되지 않는 케이블을 통하여 운전석의 속도계로 전달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한 드리븐 기어(8)는 헬리컬 기어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추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출력은 슬리브(16)의 연장부(18)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연장부(18)와 드리븐 기어(8)의 측면이 접촉하고 있으므로 드리븐 기어(8)에 추력이 발생하여도 이동이 제한된다.
이 이동의 제한은 슬리브(16)를 고정하는 브라켓트(20)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그리고 반대로 축(10)이 드리븐 기어(8) 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드리븐 기어(8)는 연장부(18)로 부터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핀(14)는 슬리브에 고정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홈(12)과 접촉할 수 있는데, 본 고안은 이 홈의 길이를 축(10)의 이동거리보다 길게 하고 있으므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스피드 미터는, 슬리브에 연장부를 형성하여 드리븐 기어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핀이 위치하는 홈의 길이를 축의 이동거리 보다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드리븐 기어가 추력에 의해 이동시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Claims (1)

  1. 변속기의 출력측 회전수를 속도계에 표시하기 위한 스피드 미터에 있어서, 디프렌셜 어셈블리 기어(G)와 치차물림되는 드리븐 기어(8)의 측면에 슬리브(16)의 종단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연장부(18)를 형성하고, 슬리브(16)의 홈에 형성된 홈(12)의 길이를 드리븐 기어(8)가 고정된 축(10)의 이동거리 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미터.
KR2019940038748U 1994-12-30 1994-12-30 차량용 스피드 미터 KR200146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748U KR200146971Y1 (ko) 1994-12-30 1994-12-30 차량용 스피드 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748U KR200146971Y1 (ko) 1994-12-30 1994-12-30 차량용 스피드 미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307U KR960021307U (ko) 1996-07-18
KR200146971Y1 true KR200146971Y1 (ko) 1999-06-15

Family

ID=1940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748U KR200146971Y1 (ko) 1994-12-30 1994-12-30 차량용 스피드 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9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307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120B1 (ko) 유성 기어식 감속 시동기
KR890012079A (ko) 스타터장치
KR930002641Y1 (ko) 스타팅 모터의 피니온 스톱퍼 장치
KR900005062A (ko) 시동 전동기
KR200146971Y1 (ko) 차량용 스피드 미터
US4862989A (en) Two and four-wheel drive transfer device
KR20030087903A (ko) 스타터
KR900018525A (ko) 동축형 스타터
US7681473B2 (en) Rotational movement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a casing forming a winding path for a flexible shaft
KR910006611A (ko) 동축형 시동기 장치
US5018597A (en) Free wheel hub control system
KR900014736A (ko) 스타터 장치
US5287771A (en) Mounting for a drive shaft, in particular for a windshield wiper drive unit
JPH1159441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950009147Y1 (ko) 자동차의 스피드미터 어셈블리 구조
KR0131184Y1 (ko) 소음 방지용 스피도미터 케이블
BR0215543A (pt) Dispositivo para o acionamento de portas de veìculos
KR200280003Y1 (ko) 자동차용 스피드 미터 장치
KR200185467Y1 (ko) 스피드 미터 연결구조
RU18678U1 (ru)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автомобиля
US5161426A (en) Automotive speedometer assembly with integral anti-fouling grease seal
KR0138551B1 (ko) 전기 자동차의 메인 샤프트의 축방향 추력 이동방지를 위한 메인 샤프트 구조
KR960007065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리버스아이들기어 이탈방지구조
KR100405352B1 (ko) 수동변속기의스피드드라이브기어의체결구조
KR100250287B1 (ko) 자동차용 스피도 미터 기어 슬리이브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