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955B1 -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955B1
KR100198955B1 KR1019960065452A KR19960065452A KR100198955B1 KR 100198955 B1 KR100198955 B1 KR 100198955B1 KR 1019960065452 A KR1019960065452 A KR 1019960065452A KR 19960065452 A KR19960065452 A KR 19960065452A KR 100198955 B1 KR100198955 B1 KR 100198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tching
cell
atm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015A (ko
Inventor
이성재
김정식
강석열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6006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955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4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fabrics
    • H04L49/105ATM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04L49/256Routing or path finding in ATM switching fab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45Arrangements for providing or supporting expansion
    • H04L49/455Provisions for supporting expansion in ATM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04L2012/566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단위 트렁크 회선별로 트렁크 정합 및 신호서비스 기능을 통합하여 기존 망을 ATM 교환 시스템에 수용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단위 회선별로 중계선 정합 및 해당 회선에 대한 신호 서비스 기능, 그리고 항등비트율 데이타를 프레임화하여 ATM 셀로 조립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며, 프로세서간 통신(IPC)을 통해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회선 정합수단; 상기 다수의 회선 정합수단으로 부터 입력된 ATM 셀의 라우팅 정보를 읽어 출력을 원하는 목적지인 상기 타 회선 정합수단 또는 ATM 로칼 스위치로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셀 스위칭수단; 및 망동기부로 부터 시스템 클럭을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회선 정합수단 및 셀 스위칭수단으로 동기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 공급수단을 구비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ATM 교환 시스템의 망 연동장치에 이용됨.

Description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성서비스를 근간으로 하였던 기존의 공중전기통신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은 전기 통신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등으로 음성 뿐만 아니라 데이타 전송등의 비음성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으로 발전하였으며, 현재 이러한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의 상용 서비스가 진행중에 있다.
그러나,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은 종래의 음성 및 데이타를 위한 64 Kbps 이하의 협대역 통신 서비스에 국한되어 있어 최근의 컴퓨터 및 반도체, 광통신 등의 기술 발전으로 여러 분야, 특히 영상 및 동화상 데이타 전송에서 요구되는 고속의 데이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하며, 또한 멀티미디어를 포함한 미래의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요구에 따른 적응성 및 융통성이 부족하다.
전송 및 교환 기법으로서 비동기전달모드(ATM)를 이용하는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roadband-ISDN)은 미래의 통신망에 존재 가능한 모든 서비스들을 수용하는 것을 목표로 전화, 데이타 단말, 팩시밀리, 텔레텍스 등의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 서비스들은 물론 화상 전화 및 화상 회의, 고속 데이타 전송, 케이블 TV, 고화질 TV 분배등의 광대역 서비스들을 추가로 제공한다.
따라서,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은 기존의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을 모체로하여 각종 광대역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확장시킨 개념의 통신망이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공중전기통신망들이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으로 통합, 발전되어 가는 과정에서는 경제성 및 효율성 등의 이유로 인해 필연적으로 기존의 망과 새로 구축되는 망사이에 연동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ATM 교환 시스템에서는 기존 망과의 접속을 위한 연동장치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고려할 수 있는 연동장치 구현 방법으로서 기존 망의 교환 시스템에 이미 구성된 망정합장치를 활용하는 방법을 우선 생각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동기식전달모드(STM: 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 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적용된 망정합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망정합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1), 타임슬롯 교환을 위한 타임스위치 모듈(2), 국간 신호서비스를 위한 신호서비스 모듈(3), 그리고, 호처리를 위한 프로세서 모듈(4)로 구성된다.
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1)은 T1/E1 라인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타임스위치 모듈(2)은 타임슬롯 교환 및 코딩방식 변환기능을 수행한다.
신호서비스모듈(3)은 국간 호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신호방식을 지원하며, 하드웨어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트렁크 회선별이 아닌 공통 풀 형태로 구성된다. 특정 트렁크 회선의 채널을 공통 기능모듈인 신호서비스 모듈(3)에 연결하기 위한 경로 설정은 프로세서 모듈(4)의 제어에 의해 타임스위치 모듈(2)에서 수행된다.
도 1 과 같이 종래 교환 시스템의 망정합장치는 기본적으로 시분할방식을 고려하여 구성되었기 때문에 타임슬롯 교환을 위한 타임스위치가 중앙집중형으로 구성되고, 국간 신호장치 구성에 있어서도 트렁크 회선별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공통 풀 형태로 중앙집중화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타임스위치 및 신호장치의 고장 발생은 심각한 서비스 중단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대부분의 망정합장치는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중앙 집중화된 장치에 대해서는 장치 하드웨어를 이중화하여 구성하고 있다. 하드웨어의 이중화는 신뢰도를 증진시키는 반면에 장치의 이중화로 인해 시스템이 대형화되고, 이중화 장치의 제어 및 관리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최근 소자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고려한다면 중앙 집중형이 아닌 단위 트렁크 회선별로 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내에 트렁크 인터페이스 및 신호서비스 기능을 통합하여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기술적, 경제적 측면을 고려할 때 충분히 가능하고, 또한 회선단위로 기능을 분산시킴에 따라 중앙집중형일 때의 이중화 구성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시스템 구성이 단순화되어 경제성은 물론 시스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TM 교환 시스템에서 기존 망과의 연동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위 트렁크 회선별로 트렁크 정합 및 신호서비스 기능을 통합하여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에서 신호서비스 기능을 중앙집중식으로 구성할 때 요구되는 이중화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시스템 하드웨어를 단순화시킴은 물론, ATM 스위치와의 셀 인터페이스 정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속의 셀 스위치를 이용하여 단위 하드웨어당 스위칭 용량을 확장시켜 경제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킨 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STM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정합장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망연동장치를 포함하는 ATM 교환시스템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망 연동장치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망 연동장치에서의 셀 스위칭 동작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선정합부의 세부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스위치부의 세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회선 정합부 32 : 셀 스위치부
33 : 클럭 공급부 51 : 라인 인터페이스
52 : 프레임 처리기 53 : 타임 슬롯 스위치
54 : AAL-1 셀조립/분해기 55 : 데이타버스 인터페이스
56 : 신호 서비스 처리기 57 : 중앙 제어기
58 : 제어버스 인터페이스 61 : 데이타버스 인터페이스
62 : 데이타버스 제어기 63 : 데이타 입력 큐
64 : 데이타 출력 큐 65 : 룩업 테이블
66 : 버스중재/스케쥴러 67 : IMI 입력 큐
68 : IMI 출력 큐 69 : IMI 제어기
70 : 스위치 링크 인터페이스 71 : IPC 입력 큐
72 : IPC 출력 큐 73 : 주 프로세서 유닛(MPU)
74 : 제어버스 인터페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기존 망과 연동하기 위한 망 연동장치에 있어서, 단위 회선별로 중계선 정합 및 해당 회선에 대한 신호 서비스 기능, 그리고 항등비트율 데이타를 프레임화하여 ATM 셀로 조립하고, 역으로 ATM 셀을 항등비트율 데이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프로세서간 통신(IPC: Inter-Processor Communication)을 통해 조립한 ATM 셀에 부가할 라우팅 정보의 수신 및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회선 정합수단; 상기 다수의 회선 정합수단으로 부터 입력된 ATM 셀의 라우팅 정보를 읽어 출력을 원하는 목적지인 상기 타 회선 정합수단 또는 ATM 로칼 스위치로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고, IPC 제어 정보를 상기 ATM 로칼 스위치와 송수신하는 셀 스위칭수단; 및 망동기부로 부터 시스템 클럭을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회선 정합수단 및 셀 스위칭수단으로 동기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 공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망연동장치를 포함하는 ATM 교환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21은 ATM 중계선 정합모듈, 22는 ATM 스위치 장치, 23은 본 발명인 망 연동장치, 24는 ATM 중계선 인터페이스부, 25는 ATM 로칼 스위치, 26은 ATM 제어부, 27은 ATM 스위치, 28은 시스템 제어부, 29는 망동기부를 각각 나타낸다.
ATM 스위치장치(22)는 ATM 중계선 정합장치(21)간 셀 교환기능을 제공하는 ATM 스위치(27)와 시스템 전체의 운용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시스템 제어부(28)로 구성된다.
망동기부(29)는 망동기 클럭을 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공급한다. 시스템내의 각 인터페이스 장치와 ATM 로칼스위치(25), 그리고 ATM 로칼스위치(25)와 ATM 스위치(27)는 내부 스위치 링크 인터페이스인 모듈간 인터페이스(IMI: Inter Module Interface)로 접속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망 연동장치의 구성도로서, 다수개의 회선 정합부(31)와 셀 스위치부(32), 및 클럭 공급부(33)로 구성된다.
회선정합부(31)는 T1/E1 트렁크 인터페이스 및 해당 회선에 대한 신호서비스 기능, 그리고 항등 비트율 데이타를 ATM 셀로 조립하고, 역으로 ATM셀을 항등 비트율 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ATM 적응계층(AAL: ATM Adaptation Layer) 형태 1 기능을 제공한다.
셀 스위치부(32)는 입출력 포트간 셀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클럭 공급부(33)는 도 2 의 망동기부(29)로부터 기준 클럭을 수신하여 다수개의 회선 정합부(31) 및 셀 스위치부(32)에 필요한 클럭을 공급한다.
데이타 버스(34)는 회선 정합부(31)와 셀 스위치부(32) 사이에 데이타 전달을 위한 버스로서 주고 받는 데이타 포맷은 53 옥텟의 ATM 셀에 도 2 의 ATM 스위치(25,27)를 통한 셀프라우팅용 라우팅택과 트렁크 회선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버스(35)는 회선 정합부(31)내의 제어부와 셀 스위치부(32)내의 제어부 사이에 프로세서간 통신(IPC: Inetr Processor Communication) 제어정보 교환을 위한 버스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망 연동장치에서의 셀 스위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회선 정합부(31)의 트렁크 인터페이스(41)로 입력되는 64Kbps 채널 데이타는 ATM 적응계층(AAL) 형태 1 처리기(43)에서 ATM 셀로 조립되고, 셀 라우팅을 위한 정보가 추가된 후, 셀 스위치부(32)로 전송된다.
셀 스위치부(32)는 수신되는 셀의 라우팅 정보에 따라 동일 망 연동장치내의 다른 회선 정합부로 셀을 전송할 것인지(내부 셀 스위칭), 또는 모듈간 인터페이스(IMI) 출력 링크로 셀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채널별 셀 라우팅 정보는 도 2 의 ATM 제어부(26)에서 생성되어 IMI 링크를 통해 셀 스위치 제어부(45)로 전달된 후, 다시 제어버스를 통해 해당 회선 정합부의 회선 제어부(44)로 전달된다.
회선 제어부(44)는 AAL 1 처리기(43)로 라우팅 정보를 제공한다. 역으로 IMI 링크로부터 수신된 셀은 라우팅 정보에 따라 IPC 셀은 셀 스위치 제어부(45)로 보내고, 사용자셀은 회선 정합부(31)와 출력 트렁크 라인를 결정한 후 셀을 전송한다.
셀을 수신한 회선정합부(31)는 AAL 1 처리기(43)에서 셀을 분해하고, 64Kbps 채널 타이밍에 맞춰 데이타를 전송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선 정합부(31)의 상세 블럭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51은 라인 인터페이스, 52는 프레임 처리기, 53은 타임 슬롯 스위치, 54는 AAL-1 셀조립/분해기, 55는 데이타버스 인터페이스, 56은 신호 서비스 처리기, 57은 중앙 제어기, 58은 제어버스 인터페이스를 각각 나타낸다.
회선 정합부는 기존 망과 연결되어 데이타 재생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라인인터페이스(51)와 상기 라인인터페이스(51)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프레임으로 형성하고, 신호 데이타 및 경보 데이타를 삽입 및 추출하는 프레임처리기(52), 상기 프레임처리기(52)와 접속되며, 타임 슬롯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타임슬롯 스위치(53), 상기 타임슬롯 스위치(53)와 연결되어 입력된 프레임을 ATM 셀로 조립하거나, 입력된 셀을 프레임으로 분해하는 AAL-1 셀조립 및 분해기(54), 상기 AAL-1 셀조립 및 분해기(54)에 연결되어 셀 스위치부로 ATM 셀을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타버스 인터페이스(55), 상기 타임슬롯 스위치(53)와 연결되어 신호음의 송출 및 검출 기능, 호의 접속과 진행상태를 상대국의 가입자에게 알리기 위한 가청 신호음 송출기능을 수행하는 신호서비스 처리기(56), 회선정합부의 전체적인 제어 및 셀 스위치부와의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하는 중앙제어기(31)와 상기 중앙 제어기(57)에 연결되고, 제어버스와 연결되어 프로세서간 통신 기능을 통해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어버스 인터페이스(58)를 구비한다.
라인인터페이스(51)는 기존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 스트림에서 2.048Mhz 클럭을 추출하여 데이타 재생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프레임 처리기(52)로 공급하며, 또한 망동기 기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 2 의 망동기부(29)로 송출한다. 이외에도 목적지 감시(Wander) 기능과 지터(Jitter) 처리 및 신호 손실을 검출하고, U/B 변환을 수행한다.
프레임처리기(26)는 라인인터페이스(5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 스트림을 프레임으로 형성하고, 타임슬롯 스위치(53)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에 대해서는 그 역기능을 수행하며, 감시, 신호 데이타 삽입 및 추출, 경보 삽입 및 추출, 슬립(slip) 제어기능 등을 수행한다.
타임슬롯 스위치(53)는 프레임 처리기(52) 또는 AAL-1 셀조립/분해기(54)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을 중앙제어기(57)의 제어를 받아 타임슬롯 교환기능을 수행한다.
AAL-1 셀조립/분해기(54)는 타임슬롯 스위치(53)로부터 125 us의 주기마다 한 옥텟씩 입력되는 프레임 데이타를 모아 각 채널별로 ATM 셀을 구성하여 데이타버스 인터페이스(55)를 통해 셀 스위치부(32)로 전송한다.
신호 서비스 처리기(56)는 신호음의 송출 및 검출 기능, 호의 접속과 진행상태를 상대국의 가입자에게 알리기 위한 가청 신호음 송출기능을 수행한다.
중앙 제어기(57)는 각 기능부의 디바이스 제어 및 제어버스 인터페이스(58)를 통해 셀 스위치부(32)와 프로세서간 통신(IPC)을 수행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셀스위치부(32)의 세부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다.
셀 스위치부(32)는 데이타 버스를 통해 다수의 회선 정합부와 정합하는 데이타버스 인터페이스(61), 상기 데이타 버스 인터페이스(61)를 통해 데이타 버스의 중재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타버스 제어기(62), 상기 데이타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수의 회선정합부와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입/출력 큐(63,64), ATM 로칼 스위치와 모듈간 인터페이스(IMI)를 통해 정합하는 스위치링크 인터페이스(70), 상기 스위치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ATM 로칼 스위치와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IMI 입/출력 큐(67,68), 상기 IMI 입/출력 큐(67,68)의 데이타 입출력을 제어하는 IMI 제어기(69), 상기 다수의 회선정합부와 제어버스를 통해 정합하는 제어버스 인터페이스(74), 상기 제어버스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상기 회선정합부와 송수신되는 IPC 정보를 저장하는 IPC 입/출력 큐(71,72), 라우팅 정보에 따른 출력될 포트 정보를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65), 셀 스위치부의 전체적인 제어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의 갱신을 요청하고, IPC 정보를 처리하는 주 프로세서 유닛(73), 및 상기 데이타 입력 큐와 IPC 출력 큐, 그리고 IMI 입력 큐에 저장된 라우팅 정보를 먼저, 순차적으로 읽어 상기 룩업 테이블(65)을 참조한 후, 입출력 큐를 결정하여 저장된 셀을 읽어 공통버스인 셀 데이타 버스를 통해 출력 포트 큐에 셀을 저장하는 버스중재/스케쥴러(66)를 구비한다.
데이타버스 인터페이스(61)는 다수의 회선정합부와 데이타 셀을 주고 받기 위한 공통버스이며, 다수의 회선정합부는 시분할방식에 의해 버스를 공유한다.
버스 중재(Arbitration)를 위한 제어 신호 및 타이밍 발생기능은 데이타버스 제어기(62)에 의해 수행된다.
셀 스위치부(32)내에는 각 입출력 포트별로 데이타 저장을 위한 큐(Queue)가 존재하는데, 즉, 데이타버스 인터페이스(61)를 통해 다수의 회선 정합부와의 송수신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입/출력 큐(63,64)와 스위치 링크 인터페이스(70)를 통해 ATM 로칼 스위치와의 송수신 데이타를 저장하는 IMI 입/출력 큐(67,68), 그리고 제어버스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중앙제어기(57)와의 IPC 송수신 정보를 저장하는 IPC 입/출력 큐(71,72)가 존재한다.
이 중 스위칭 서비스를 요하는 데이타 입력큐(63)와 IMI 입력큐(67), IPC 출력큐(72)에 저장된 셀은 라운드 로빈(round-robin) 방식의 스케쥴링 스킴에 따라 버스중재/스케쥴러(66)에 의해 순차적으로 서비스된다.
버스중재/스케쥴러(66)는 순차적으로 각 서비스 큐를 검사하여 큐내에 서비스 대기중인 셀의 라우팅 정보를 우선 읽고, 이를 토대로 셀스위칭을 위한 제어정보를 갖고 있는 룩업(Look-up) 테이블(65)을 참조한 후, 출력할 큐를 결정한다.
입출력 큐가 모두 결정되면 한 셀의 크기 만큼의 읽기, 쓰기 클럭을 제어버스를 통해 각각 입력 큐와 출력 큐에 발생시켜 내부의 공통 셀 데이타버스를 통해 직접 데이타 전송이 일어나게 한다.
스위치링크 인터페이스(70) 및 IMI 제어기(69)는 도 2 의 ATM 로칼 스위치(25)와의 링크 접속기능을 수행한다.
회선 정합부(31)와의 IPC 교환은 제어버스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일어나며, 주 프로세서 유닛(MPU: Main Processor Unit)(73)은 셀스위치부내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주 프로세서 유닛(MPU)은 도 2 의 ATM 제어부(26)와 IMI 링크를 통해 IPC 메세지를 교환하며, 라우팅 테이블의 갱신을 위해 룩업(Look-up) 테이블(65)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MPU 버스를 통해 버스중재/스케쥴러(66)에게 이를 요구하여 실행시킴으로써, 룩업(Look-up) 테이블의 접근(access) 관리를 버스중재/스케쥴러(66)로 일원화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단위 트렁크 회선별로 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내에 트렁크 인터페이스 및 신호서비스 기능을 통합, 구성하여 회선단위로 기능을 분산시켜 이중화 구성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고, ATM 스위치와의 셀 인터페이스 정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존 STM 교환시스템에 적용된 시분할교환용 타임스위치 대신에 고속의 셀 스위치를 이용하여 단위 하드웨어당 스위칭 용량을 확장시켜 경제성있는 장치 구성을 가능하게 하여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으로의 망진화 과정에서 필수적인 기존 망과의 연동기능을 ATM 교환시스템에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을 고려한 기존 STM 교환 시스템의 망정합장치 신규 개발에도 적극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비동기전달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시스템에서 기존 망과 연동하기 위한 망 연동장치에 있어서,
    단위 회선별로 중계선 정합 및 해당 회선에 대한 신호 서비스 기능, 그리고 항등비트율 데이타를 프레임화하여 ATM 셀로 조립하고, 역으로 ATM 셀을 항등비트율 데이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프로세서간 통신(IPC: Inter-Processor Communication)을 통해 조립한 ATM 셀에 부가할 라우팅 정보의 수신 및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회선 정합수단;
    상기 다수의 회선 정합수단으로 부터 입력된 ATM 셀의 라우팅 정보를 읽어 출력을 원하는 목적지인 상기 타 회선 정합수단 또는 ATM 로칼 스위치로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고, IPC 제어 정보를 상기 ATM 로칼 스위치와 송수신하는 셀 스위칭수단; 및
    망동기부로 부터 시스템 클럭을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회선 정합수단 및 셀 스위칭수단으로 동기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 공급수단을 구비한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정합수단은,
    기존 망과 중계선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타 스트림을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타의 재생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라인정합수단;
    상기 라인정합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프레임으로 형성하고, 신호 데이타 및 경보 데이타를 삽입 및 추출하는 프레임처리수단;
    상기 프레임처리수단과 접속되며, 입력된 프레임을 채널별로 타임 슬롯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타임슬롯 스위칭수단;
    상기 타임슬롯 스위칭수단과 연결되어 입력된 프레임을 ATM 셀로 조립하거나, 입력된 셀을 프레임으로 분해하고, 조립된 셀에 입력된 라우팅 정보를 부가하는 셀 조립 및 분해수단;
    상기 셀 조립 및 분해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셀 스위칭수단과 데이타버스를 통해 ATM 셀을 송수신하는 데이타버스 정합수단;
    상기 타임슬롯 스위칭수단과 연결되어 신호음의 송출 및 검출 기능, 호의 접속과 진행상태를 상대국의 가입자에게 알리기 위한 가청 신호음 송출기능을 수행하는 신호서비스 처리수단;
    상기 회선 정합수단의 전체적인 제어 및 상기 셀 스위치칭수단과 프로세서간 통신을 통해 제어정보를 송수신하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중앙제어수단; 및
    상기 중앙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제어버스와 연결되어 프로세서간 통신 기능을 통해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어버스 정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스위칭수단은,
    데이타 버스를 통해 상기 다수의 회선 정합수단과 정합하는 데이타버스 정합수단;
    상기 데이타버스 정합수단을 통해 데이타 버스의 중재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타버스 제어수단;
    상기 데이타버스 정합수단을 통해 상기 다수의 회선정합수단과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입/출력 데이타 저장수단;
    ATM 로칼 스위치와 모듈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합하는 스위치링크 정합수단;
    상기 스위치링크 정합수단을 통해 상기 ATM 로칼 스위치와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IMI 입/출력 데이타 저장수단;
    상기 IMI 입/출력 저장수단의 데이타 입출력을 제어하는 IMI 제어수단;
    상기 다수의 회선정합수단과 제어버스를 통해 정합하는 제어버스 정합수단;
    상기 제어버스 정합수단을 통해 상기 회선정합수단과 송수신되는 IPC 정보를 저장하는 IPC 입/출력 데이타 저장수단;
    라우팅 정보에 따른 출력될 포트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셀 스위치수단의 전체적인 제어 및 상기 출력포트정보 저장수단의 데이타 갱신을 요청하고, IPC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싱수단; 및
    상기 입력 데이타 저장수단과 IPC 출력 데이타 저장수단, 그리고 IMI 입력 데이타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타의 라우팅 정보를 순차적으로 읽어 상기 출력포트정보 저장수단을 참조한 후, 입출력 포트를 결정하여 저장된 셀을 읽어 공통버스를 통해 출력하는 버스중재 및 스케쥴링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중재 및 스케쥴링수단은,
    상기 입력 데이타 저장수단과 IPC 출력 데이타 저장수단, 그리고 IMI 입력 데이타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스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KR1019960065452A 1996-12-13 1996-12-13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KR100198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452A KR100198955B1 (ko) 1996-12-13 1996-12-13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452A KR100198955B1 (ko) 1996-12-13 1996-12-13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015A KR19980047015A (ko) 1998-09-15
KR100198955B1 true KR100198955B1 (ko) 1999-06-15

Family

ID=1948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452A KR100198955B1 (ko) 1996-12-13 1996-12-13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180A (ko) * 2000-12-29 2002-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및 데이터의 통합 관리 시스템
US10063945B2 (en) 2016-09-21 2018-08-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photonic fr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146B1 (ko) * 1997-12-29 2000-10-16 윤종용 Atm 기반의 엑세스망에서의 기존망과의 연동장치
KR100307495B1 (ko) * 1999-07-30 2001-09-29 김진찬 No.7 신호방식을 수용하는 비동기전송모드 교환기
KR100790171B1 (ko) * 2001-09-0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위 및 하위 장치간 초기화 방법
KR100483547B1 (ko) * 2001-12-03 2005-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동기식 시스템과 원격 시스템간의 연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180A (ko) * 2000-12-29 2002-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및 데이터의 통합 관리 시스템
US10063945B2 (en) 2016-09-21 2018-08-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photonic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015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7497A (en) Local area voice/data communications and switching system
US20030091059A1 (en) Master-slav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a network element
JPH0427244A (ja) 広帯域交換ネットワーク
US7209477B2 (en) Multi-subshelf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network element
JP3516490B2 (ja) 回線インタフェース装置
EP0943222A1 (en) Telecommunications switch for providing telephony traffic integrated with video information services
US6577623B1 (en) Fixed-length cell data and time-division data hybrid multiplexing apparatus
JPH11331191A (ja) 加入者アクセス装置
KR100198955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US6735211B1 (en) Packet communications customer-station apparatus
JPH0686341A (ja) 通信方法
US5590129A (en) Single stage telecommunications switch with partitioned processors
KR100260035B1 (ko) 음성 및 광대역 데이터를 서비스하기 위한 통신시스템의인터페이스 장치
US6778538B2 (en) Virtual junctors
JPH07221764A (ja) オーダワイヤ中継方式
KR0175466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기통신망 가입자정합장치 및 호처리 방법
KR100233939B1 (ko) 멀티미디어형 다중화 장치 및 그 실장 장치
KR0153933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고정속도 서비스 연동을 위한 셀 조립/분해 장치
KR100284004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
JP3101861B2 (ja) 共通付加遅延制御装置
JP2864749B2 (ja) Atm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加入者集線方式
KR100237883B1 (ko) 비동기 전송방식(atm)의 효율적인 셀라우팅 방법 및 이를 위한 가상경로(vp) 크로스커넥터
KR0179585B1 (ko) Atm-mss의 가입자 정합 모듈내 셀버스 이중화 장치
JPH066386A (ja) 音声データ統合スイッチシステム
KR100256682B1 (ko)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