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682B1 -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682B1
KR100256682B1 KR1019970069697A KR19970069697A KR100256682B1 KR 100256682 B1 KR100256682 B1 KR 100256682B1 KR 1019970069697 A KR1019970069697 A KR 1019970069697A KR 19970069697 A KR19970069697 A KR 19970069697A KR 100256682 B1 KR100256682 B1 KR 100256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tm
internal
switching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565A (ko
Inventor
여환근
송광석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6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682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4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fabrics
    • H04L49/105ATM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모국의 ATM교환 시스템에서 원격제어가 가능한 원격 ATM 교환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초고속 통신망 등에서의 노드로 제공되며, 운용 및 유지보수가 모국의 운용보전 프로세서에 의해 집중제어되어, 무인운용이 가능한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입력되는 내부 셀신호에서 제어정보를 제거하여 표준 셀신호를 해당 가입자 단말로 출력하는 가입자선 정합수단; 프레임 신호를 내부 셀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 수단과 연결되는 각 내부 정합링크로 분배하는 모자국 연동수단; 및 상기 스위칭수단과 가입자선 정합수단 및 모자국 연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소규모의 원격가입자들에게 효율적인 ATM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됨.

Description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
본 발명은 모국으로 운용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 시스템과 표준 광중계선 전송링크에 의해 접속되는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로컬 ATM스위치 서브시스템의 형상을 원격지에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호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모국의 ATM 교환 시스템과 표준 STM-1(Synchronous Transfer Mode-1) 급의 중계선 광전송 링크를 통해 내부 제어 메시지를 상호 송수신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원격 ATM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대역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초고속통신망 구축에 있어 ATM 교환기는 가장 핵심적인 노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로 발전되어 왔다. 현재의 광대역 서비스의 수요가 아직은 불확실하고, 망구성 진화형태도 당분간은 기존의 저속망을 수용하는 형태에서 단계적으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ATM 교환기의 요구사항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시스템의 확장성이다. 따라서, ATM 교환기에서 서비스의 수요 규모에 따라 확장이 가능한 ATM 단위 스위치의 모듈성과 분산 제어방식은 필수적인 요구사항이 된다. 이를 위해, 다수개의 독립적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소규모의 ATM스위치 서브시스템을 분산 개념으로 확장해 나가는 한편, 시스템 측면에서 운용 및 유지보수 관련 기능들은 집중화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므로, 두 측면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단위 ATM 스위치 모듈은 처리용량을 대용량화 할수록 개발비용과 고도의 설계기술이 요구되므로 소규모 단위 ATM스위치 모듈을 병렬 다단구성으로 상호 연결하여 대용량의 ATM스위치를 구현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이때, 스위치 모듈들의 입출력 상호간에는 시스템에 따라 고유한 내부 고속링크를 통해 블로킹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전 연결형태로 접속된다. 내부 고속링크는 표준 ATM셀 정보(53 바이트)에 라우팅 정보와 내부제어 혹은 체크 비트를 부가하여 입출력 표준 STM-1(Synchronous Transfer Mode-1) 링크(155Mbps) 보다 일반적으로 높은 전송율을 갖는 시리얼 링크로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ATM 교환망의 개략적인 구성 예시도로서, 일반적인 HANbitACE(상표명임) ATM교환 시스템(모국)과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간의 망 구성을 나타낸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M 교환망은, 다양한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단말 및 기존의 저속 데이터망으로 구성되는 가입자 단말(110)과, 가입자 단말(110)과 직접 접속되어 관련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원격 ATM 교환기(120)와, 가입자들을 직접 수용하거나 또는 경제적인 망구성을 위해 상기 원격 ATM 교환기(120)도 수용하여 망의 코어노드 기능을 담당하는 모국 ATM 교환기(130)를 구비한다.
원격 ATM 교환 장치(120)는 모국 ATM 교환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원격지의 소규모 가입자들을 위해 다수의 원격 ATM 교환기(121 ∼12n)로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호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국 ATM 교환 시스템(130)은 소용량에서 대용량까지 확장이 용이한 교환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다시 로컬 ATM 교환 서브시스템과 이들 로컬 서브시스템들을 상호 접속시켜 주는 중앙집중 ATM 교환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되어 3단 형태의 분산 교환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서브시스템간에는 고유한 내부 정합링크를 통해 상호 접속되며, 이것은 각 서브시스템내에 구비되어 있는 ATM 단위 스위치 모듈과 기타 정합기능 모듈을 접속하는 시스템 내부에서만 공통으로 적용되는 고속 시리얼 통신 정합 기능을 제공한다. 로컬 ATM 교환서브시스템은 독립적인 교환기능을 가지며 원격 ATM 교환기(120)와는 복수개의 STM-1(155Mbps)급의 표준 광중계선 전송링크(1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로컬 ATM 교환 서브시스템(131-1 ∼ 131-n)과, 상기 다수의 로컬 ATM 교환 서브시스템(131-1 ∼ 131-n)들을 내부 정합 링크(132)를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중앙집중 ATM 교환 서브시스템(133)을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모국의 HANbitACE ATM교환 시스템과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의 망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 ATM 교환 장치(120)에 수용되는 가입자의 종류는 다양한 전송속도를 갖는 가입자 전송링크가 직접 접속될 수 도 있으며, 응용에 따라 다른 망의 게이트 장치에 의해 표준 셀의 형태로 정보가 송수신된다. 원격 ATM 교환기(120)는 가입자 데이터 셀과 가입자 신호정보 셀을 수신한 후, 필요한 내부 셀 형태로 변환하여 내부 셀 스위칭을 수행하고, 이를 다시 표준 셀 형태로 변화하여 해당 가입자 단말(110) 또는 모국 ATM 교환 시스템(130)으로 송신한다. 원격 ATM 교환 장치(120)에서 교환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크게 두가지 형태를 갖는다. 가입자 단말(110)이 해당 원격 ATM 교환 장치(120)내의 다른 가입자 전송링크와 내부적으로 정보 교환이 이루어 지는 경우와, 원격 ATM 교환 장치(121)내에 수용된 가입자 단말기와 다른 원격 ATM 교환 장치(122)에 수용된 가입자 단말기, 혹은 모국 ATM 교환 시스템(130)에 수용된 가입자 단말기와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경우로 구분된다. 전자의 경우, 모국 ATM 교환 시스템(130)의 제어를 받지않고 원격 ATM 교환기(120)내의 로컬 호처리 제어에 의해 자체적으로 교환서비스가 수행되는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원격 ATM 교환기(120)와 모국 ATM 교환 시스템(130)간의 중계선 광전송링크(140)를 경유하는 중계호처리에 의해 교환서비스가 수행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 원격 ATM 교환 장치(120)내의 호처리 프로세서와 모국 ATM 교환 시스템(130)내의 제어 프로세서간에 프로세서간 제어정보의 교환이 표준 셀 형태로 원거리에 걸친 광중계선 전송링크(140)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광중계선 정합링크(140)는 모국 ATM 교환 시스템(130)과 원격 ATM 교환 장치(120)간에 가입자 데이터 셀, 중계선 신호셀 정보 및 내부 제어정보 셀을 송수신하는 통신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상호간의 송수신 데이터 및 신호 정보 양이나, 중요한 내부 제어 정보 셀 전송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모국 ATM 교환 시스템(130)으로 작용하는 HANbitACE64 ATM 교환기는 다수의 로컬 ATM 교환 서브시스템(131)과 이들을 다시 스위칭시켜 주는 중앙집중 ATM 교환 서브시스템(133)이 내부 정합링크(132)에 의해 상호 접속된다. 내부 정합 링크(132)는 각 서브시스템내에 구비되어 있는 ATM 스위치의 입출력 포트들을 모두 연결하여야 하므로 비교적 가까운 범위 내에서 내부 셀 형태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선 케이블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국의 ATM 교환 시스템(130)은 최악의 경우 다단 형태의 스위치 경로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운용자 단말기(150)는 중앙집중 ATM 교환 서브시스템(133)내에 존재하는 시스템 운용 및 보전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서와 이더넷 버스로 연결되어 모국 ATM 교환 시스템(130)은 물론이고, 원격 ATM 교환기(120)의 모든 상태를 운용자에게 보여주며, 필요에 따라 운용자가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정 및 제어하는 정합수단을 제공해준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예컨대, 모국 ATM교환 시스템의 로컬 ATM스위치 서브시스템을 원격지에 설치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본체와 표준 입출력 링크를 사용해서 연동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므로, 별도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전용선 형태로 설치되어야 했으며, 이로인해 망구성면에 있어서도 매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모국 ATM 교환기능을 지원하는 교환시스템과 모자국 형태로 연동하므로서, 소규모 원격지의 가입자들에게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ATM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운용 및 유지보수가 모국의 운용보전 프로세서에 의해 집중 제어되어 무인 운용이 가능한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가 이용되는 ATM 교환망의 개략적인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의 일실시예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가입자 전송링크 220: 가입자선 정합부
230: 모자국 상호 연동부 240: 스위칭부
250: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는, 각 단말기로부터 해당 가입자 전송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프레임 신호를 데이터 속도에 따라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 내부 다중/역다중 처리 및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계층 처리 수행으로 추출되는 표준 ATM 실 신호에 내부 제어정보를 부가하여 내부 셀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 수단으로 출력하고, 역으로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내부 셀신호에서 제어정보를 제거하여 표준 셀신호를 해당 가입자 단말로 출력하는 가입자선 정합수단; 모자국 교환기 상호간의 연동을 위하여 상기 가입자선 정합수단과 같이 광중계선 전송링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중계선 신호 셀, 데이터 정보셀 및 내부 제어 정보 셀을 포함하는 프레임 신호를 내부 셀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 수단과 연결되는 각 내부 정합링크로 분배하는 모자국 연동수단; 상기 내부 셀 신호를 상기 가입자선 정합수단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내부 제어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를 상기 모자국 연동수단으로 스위칭하는 상기 스위칭수단; 및 상기 스위칭수단과 가입자선 정합수단 및 모자국 연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는, 가입자 단말로부터 다양한 속도로 가입자 전송링크를 통해 입력되는 표준 ATM 셀 프레임 신호를 물리계층 처리, 다중 처리 및 ATM 계층 처리를 수행한 후, 내부 제어정보를 부가, 내부 셀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부(240)로 출력하고, 역으로 스위칭부(240)로부터 내부정합링크(260)를 통해 수신되는 내부 셀신호를 역으로 ATM 계층 처리, 역다중 처리 및 가입자 단말에 대응하는 물리계층 처리를 통해 표준 ATM 셀 프레임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가입자선 정합부(220)와, 상기 가입자선 정합부와 같은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 ATM 계층 처리를 수행하므로써, 모국 ATM 교환시스 템과 원격 ATM 교환장치간에 연결되는 광중계선 전송링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표준 ATM-1 프레임 신호를 스위칭이 가능한 내부셀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중계선 신호셀, 데이터정보셀 및 내부 제어정보셀로 세분하여 스위칭부(240)와 연결해 주는 해당 내부 정합링크(270)로 분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자국 연동부(230)와, 상기 모자국연동부(230)와 가입자선 정합부(220) 및 제어부(25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내부 셀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240)와, 상기 스위칭부(240)와 가입자선 정합부(220) 및 모자국 연동부(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와, 가입자선 정합부(220)와 스위칭부(240)를 연결하는 내부 정합링크(260, 270)를 구비한다.
가입자선 정합부(220)는 다양한 대역폭을 갖는 외부가입자 단말과의 물리적 연결을 위해 고속 링크 정합모률(221), 중속 링크 정합 모듈(222) 및 저속 링크 정합 모듈(223)을 포함하여 고속으로 처리되는 스위칭부(240)와 입출력 연동수단을 제공한다.
모자국 연동부(230)는 다수의 중계선 정합모듈(231, 232, 233)로 구성된다.
제어부(250)는 각 중계선 정합모듈에서 추출되는 동기클럭과 모듈내에서 출력되는 기준 클럭을 입력받아 시스템 클럭을 제공하는 시스템 클럭 발생부(251)와, 내부의 각 기능 모듈의 장애 상태를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경보신호 수집부(252)와, 시스템 클럭 발생부(251)로부터 출력된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경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싱부(253)와, 프로세싱부(253)로부터 입출력된 신호를 다중 및 역다중화하여 스위칭부(240)로 제어정보 셀을 전송하는 제어실 다중/역다중화부(254)를 구비한다.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어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국으로부터 광중계선 전송링크(도 1의 140)를 통해 수신되는 STM-1 프레임 신호로부터 중계선 정합모듈(231, 232, 233)에서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며 추출되는 클럭을 입력하여 위상 동기 루프 로직을 거쳐 정확한 클럭으로 분배한 후, 이를 원격 ATM 교환 장치내의 모든 기능 모듈에 기준 클럭으로 공급한다. 만일, 중계선 정합 모듈(231, 232, 233)이나 중계선 링크상에 장애가 발생하여 기준 클럭을 발생하지 못한 경우에는 자체내의 정밀 클럭발진기(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클럭을 공급해 준다. 따라서, 시스템 클럭 발생부(251)는 항상 이중화로 구성되어 동작되며, 시스템 클럭내부의 상태나 정확한 기준 시간 정보를 저속 직렬 통신채널(256)를 통해 주기적으로 프로세싱부(253)로 보고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경보신호 수집부(252)는 원격 ATM 교환장치내의 각종 기능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중요한 경보신호들을 정기적으로 수집하여, 이 경보상태 정보들을 저속 직렬 통신채널(256)을 통해 원격 프로세싱부(253)로 보고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싱부(253)는 저속 직렬 통신채널(256)을 원격 ATM 교환 장치의 모든 자원관리와 상태정보를 해당 모듈로부터 수집하여 이를 일정시간 마다 모국의 ATM 교환기로 보고하는 수단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에 따라 가입자 호처리 및 중계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여 가입자 상호간의 호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지능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프로세싱부(253)는 과금이나 통계 데이터의 일시저장 및 프로그램의 저장을 위해 로컬 하드디스크유니트(255)를 제어하며, 필요에 따라 이동식 운용 단말기(260)를 통해 운용자와의 정합 역할도 수행한다.
제어셀 다중/역다중화부(254)는 프로세싱부(253)가 스위칭부(260)를 통해 고속으로 제어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스위칭부(240)와 연결되는 내부 정합 링크에 여러 개의 프로세서부(253)를 수용하기 위한 다중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이때에는, 표준화된 저속의 TAXI(Trsnsparent Asynchronous Xmitter-Receiver Interface) 링크(257)에 의해 프로세싱부(253)와 정합된다. 따라서, 모국 ATM 교환기와 통신되는 내부 제어정보는 패킷형태의 메시지가 내부 셀신호로 만들어져서 스위칭부(240)를 통과한 후, 미리 선택된 중계선 정합 모듈(231, 232, 233) 중 하나를 거쳐서 다시 표준 셀 프레임 신호로 광중계선 전송 링크를 통해 모국 ATM 교환기로 전송된다. 모국 ATM 교환기에서는 역순으로 정해진 도 1의 로컬 ATM 교환서브시스템(131)내에 구비되어 있는 중계선 정합 모듈 도시되지 않았음)로 입력된 후, 내부 셀 신호로 만들어져서 모국의 한 로컬 ATM 교환 서브 시스템(131)내의 ATM 스위치(도시되지 않았음)와 중앙집중 ATM 교환 서브시스템(133)내의 ATM 스위치(도시되지 않았음)를 통과하여 운용보전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았음)로 보내어진다. 이러한 여러단계의 전송경로는 모두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어 거의 지연이 없이 고속으로 내부 정보 교환이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입자선 정합부(220)는 가입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속도에 따라 해당 가입자 전송링크(210)를 통해 입출력되는 고속링크 신호(STM-1), 중속링크 신호(DS3) 및 저속 링크신호(DS1/E1)를 각각 고속 링크 정합 모듈(221), 중속 링크 정합 모듈(222) 및 저속 링크 정합 모듈(223)에서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 셀 다중화/역다중화 처리 및 ATM 계층 처리를 수행한 후, 스위칭에 필요한 내부 제어정보를 부가하여 내부 셀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내부 정합 링크(260)를 통해 스위칭부(240)로 출력한다.
스위칭부(240)는 제어부(250)에 의해 제어되어, 가입자선 정합부(220)로부터 출력된 내부 제어 정보가 부가된 내부 셀신호를 다시 가입자선 정합부(220)나, 모자국 연동부(230)로 스위칭한다.
모자국 연동부(230)는 수신시에는 모자국간의 광중계선 전송링크(140)로부터 STM-1 프레임신호를 입력받아 내부으 중계선 정합 모듈의 처리에 의해 내부 셀신호를 스위칭부(240)로 출력하고, 송신시에는 스위칭부(240)로부터 입력된 역으로 내부 셀 신호에서 제어정보를 제거하여 표준 셀 신호 프레임을 조립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모자국 연동부는 B국 ATM 교환기와 원격 ATM 교환 장치간의 각종 제어 정보, 중계선 신호 정보 및 중계선 데이터 정보를 복수개의 광중계선 전송 링크를 통해 경계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한 개에서 다수개의 중계선 정합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는, 모국으로 운용되는 ATM교환기와 표준 광중계선 정합링크에 의해 접속되어 소규모 혹은 특수한 원격지의 가입자에게 모국과 동일한 호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며, 운용 및 유지보수를 모국의 운용보전 프로세서로부터 집중 제어하여 무인 운용이 가능하므로써, 경제적인 공중 ATM망의 구축시 매우 효과적이고, 연동되는 중계선 링크의 집속비에 비례해서 원격 ATM 교환기를 수용할 경우 모국의 전체 스위치 수용규모를 대폭 확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또한 소규모 원격 ATM교환기를 독립적으로 운용할 경우 사설 ATM교환기로의 활용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각 단말기로부터 해당 가입자 전송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프레임 신호를 데이터 속도에 따라 일련의 물리계층 처리, 내부 다중/역다중 처리 및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계층 처리 수행으로 추출되는 표준 ATM 실 신호에 내부 제어정보를 부가하여 내부 셀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 수단으로 출력하고, 역으로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내부 셀신호에서 제어정보를 제거하여 표준 셀신호를 해당 가입자 단말로 출력하는 가입자선 정합수단;
    모자국 교환기 상호간의 연동을 위하여 상기 가입자선 정합수단과 같이 광중계선 전송링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중계선 신호 셀, 데이터 정보셀 및 내부 제어 정보 셀을 포함하는 프레임 신호를 내부 셀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 수단과 연결되는 각 내부 정합링크로 분배하는 모자국 연동수단;
    상기 내부 셀 신호를 상기 가입자선 정합수단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내부 제어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를 상기 모자국 연동수단으로 스위칭하는 상기 스위칭수단; 및
    상기 스위칭수단과 가입자선 정합수단 및 모자국 연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각 중계선 정합모듈에서 추출되는 동기클럭과 모듈내에서 출력되는 기준 클럭을 입력받아 시스템 클럭을 제공하는 시스템 클럭 발생수단;
    내부의 각 기능 모듈의 장애 상태를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경보신호 수집수단;
    상기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경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싱수단; 및
    상기 프로세싱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다중 및 역다중화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다중 및 역다중화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
KR1019970069697A 1997-12-17 1997-12-17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 KR100256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697A KR100256682B1 (ko) 1997-12-17 1997-12-17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697A KR100256682B1 (ko) 1997-12-17 1997-12-17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65A KR19990050565A (ko) 1999-07-05
KR100256682B1 true KR100256682B1 (ko) 2000-05-15

Family

ID=1952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697A KR100256682B1 (ko) 1997-12-17 1997-12-17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6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6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2678B1 (en) High-speed synchronous transmission line access terminal
CN102656900B (zh) 高容量交换系统
EP0653132B1 (en) Local or/and transit exchange for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CN100373884C (zh) 电信网络的交换设备、其中使用的部件和交换数据流的方法
JP5258976B2 (ja) 時分割多重信号を交換するために分割および再組み立て(sar)機能を用いるスケーラブルなネットワーク要素
KR101573195B1 (ko) 시분할 다중화 신호들을 교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요소
NZ245918A (en) Network cross-connect and multiserver element
US5787085A (en) Data transmission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KR0126848B1 (ko) 다중화기와 역다중화기를 이용한 고정길이 패킷 스위칭 장치
KR100256682B1 (ko) 원격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장치
AU659743B2 (en) Switching element
KR100198955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망 연동장치
KR100284004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
CN209787178U (zh) 一种基于sdh与pon技术的网络系统
JP3301565B2 (ja) リング伝送装置
KR100233939B1 (ko) 멀티미디어형 다중화 장치 및 그 실장 장치
KR0157151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기에서 고속 중계선 정합 장치
KR970011840B1 (ko) 분산형 엑세스 네트워크 시스템
Fox et al. RACE BLNT: a technology solution for the broadband local network
KR0153933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고정속도 서비스 연동을 위한 셀 조립/분해 장치
Takiyasu et al. High-speed multimedia backbone LAN architecture based on ATM technology
KR0150034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링 노드 장치
Nche et al. A new architecture for surveillance video networks
KR100314355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의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에 있어서 비동기 전송모드 셀 송수신 방법
JP2834030B2 (ja) Atmセルインタフェースおよび該インタフェースを用いたatmセル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