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175B1 - 회전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175B1
KR100197175B1 KR1019940012715A KR19940012715A KR100197175B1 KR 100197175 B1 KR100197175 B1 KR 100197175B1 KR 1019940012715 A KR1019940012715 A KR 1019940012715A KR 19940012715 A KR19940012715 A KR 19940012715A KR 100197175 B1 KR100197175 B1 KR 100197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play
drive member
outer ring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130A (ko
Inventor
겐이치로 이토
마코토 야스이
Original Assignee
이토오 도요아키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오 도요아키,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토오 도요아키
Publication of KR95000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5/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combined with automatic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f type of freewheel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8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 F16D41/1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with self-actuated rever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스프래그를 유지하기 위한 소경 리테이너와 대경 리테이너가 구동부재로서의 내부부재와 피구동부재로서의 외부링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대경 리테이너는 회전방향으로의 플레이로 내부부재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 스프링은 양리테이너의 한 끝에 부착되어 있다. 다른 한 끝에, 선회작용력 전달 부재가 한방향클러치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외부링은 위에서 언급한 플레이보다 크게 설정된 회전방향으로의 플레이로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내부부재가 회전할 때, 대경 리테이너는 먼저회전하여 스프래그를 경사지게 한다.
회전방향으로의 플레이가 사라진후 외부링과 출력축사이의 커플링부재는 회전할 것이다. 그러므로 스프래그는 항상 정확한 결합준비 위치에 있게 된다.

Description

회전전달장치
제1도는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II-II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Ⅲ-Ⅲ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IV-IV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동일한 한방향 클러치의 단면도.
제6도는 결합가능한 위치에서 동일한 스프래그의 단면도.
제7도는 대향한 결합가능한 위치에서 동일한 스프래그의단면도.
제8도는 외부링과 커프링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그들이 대향한 방향에서 결합될 때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제2실시예의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XI-XI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도는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선XIII-XIII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선XIV-XIV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5도는 결합가능한 위치에서 롤러가 있을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6도는 대향한 결합가능한 위치에서 롤러가 있을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7도는 제4실시에의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선XVIII-XVIII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9도는 내지 22도는 차량의 다른 구동열을 도시한 개략도.
제23도는 종래장치의 단면도.
제24도는 스프래그가 작동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4륜구동차량에 사용되고 브레이크가 작용할 때 트랜스미션을 단절하고 가속을 위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회전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23도는 4륜구동차량의 구동열에 장착된 기계적 클러치를 채용한 그리고 피구동 휄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단절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종래의 회전 전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5-118358호).
이 장치는 피구동 부재로서 외부링(10), 외부링(1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부재로서의 내부부재(102), 외부링(101)과 내부부재(102)사이에 장착된 소경 리테이너(104)와 대경 리테이너(103) 그리고 리테이너(103,104)에 형성된 포켓에 수용되고 외부링(101)과 내부부재(102)를 함께 결합하도록 채택된 결합요소로서의 스프래그(105)로 구성되어 있다.
대경 리테이너(103)는 핀(106)을 통해 내부부재(102)와 연결되고 소경 리테이너(104)는 회전방향으로 그들사이에 남겨진 갭을 갖추고 있다. 핀(106)에 연결된 관형부재(110)에 한방향으로부터 리테이너(103)로 선회력을 부여하기 위해 연결된 관형부재(110)에 한방향으로부터 리테이너(103)로 선회력을 부여하기 위해 탄성부재(107)가 연결되어 있다.
탄성부재(107)에 의해 적용된 선회작용력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부터 리테이너(103)로 선회작용력을 부여하기 위한 선회작용력 전달부재(109)가 관형 부재(110)의 끝에 연결되어 있다. 내부부재(102)의 회전방향이 역전될때, 한방향 클러치(108)는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채택되어 대경 리테이너(103)에 적용된 선회작용력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이러한 장치(B)는 제19 및 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방 휠 또는 전방 휠을 구동 하기 위한 추진축상에 독자적으로 장착되어 있거나 또는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디퍼렌셜 또는 제한된 슬립 디퍼렌셜장치(H)와 함께 장착될 수 있다.
제19도에 도시된 구동기구에서, 차량이 경사를 오르는 동안, 2개의 리테이너(103,104)는 제24도에 도시된 위치로 서로 상대운동하며, 스프래그가 결합되는 위치까지 스프래그를 움직인다. 그리고 차량이 경사를 오르는 한편 멈추려하고 그리고 트랜스 미션은 중립위치에 있고 자중으로 경사를 후진하는 것을 생각하자, 전방휠→전방 디퍼렌셜(E)→회전전달장치(B) 사이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가 후방휠→후방치퍼렌셜(F)→트랜스퍼(C)→회전전달장치(B) 사이의 최전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 보다 작으면 전방휠에 연결된 회전전달장치(B)의 외부링(101) 은 내부부재(102)가 하기 이전에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경우에, 스프래그(105)는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 결합준비 위치로 대경리테이너(103)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링(101)이 후진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스프래그(105)는 외부링(101)과 내부부재(102) 양자에 결합하게 될 것이다. 이들 부재가 서로 결합되면, 내부부재(102)가 그후 회전할지라도 대경 리테이너(103)의 위치를 전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전방휠과 후방휠은 그러므로 직접연결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이 급코너를 선회하면, 브레이크 현상은 급코너에서 발생할 것이다.
제20도에 도시된 구동기구는 유사한 문제를 갖고 있다. 말하자면, 후방휠과 트랜스미션장치 사이의 회전방향 프레이가 전방휠과 트랜스미션장치 사이의 플레이 보다 작으면, 대경 리테이너의 위치를 부드럽게 전환하는 것이 어렵다. 그리고 스프래그는 원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있다. 이렇게 되면 내부부재(102)와 외부링(101)은 함께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회전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서, 입력축에 연결된 구동부재와 출력축에 연결된 피구동부재, 서로 상대회전하도록 구동부재 주위에 장착된 개구동부재와 구동부재중의 하나, 구동부재와 피구동부재 사이에 장착되고, 구동부재와 피구동부재가 서로 어느방향으로 상대회전할 때 구동부재와 피구동부재 양자를 함께 결합하여 잠그도록 채택된 복수의 결합요소,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결합요소를 유지하고, 서로 상대회전하도록 구동부재와 리테이너부재의 일부 또는 전체적인부분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의 플레이로 구동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부재에 연결된 리테이너부재, 대향한 방향으로부터 리테이너부재에 선회작용력을 부여하기 위한 2개의 선회작용력 전달부재, 그리고 구동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리테이너부재에 적용된 선회작용력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구동 부재는 회전방향으로 그들사이의 플레이로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고 피구동부재와 출력축사이의 플레이는 리테이너부재와 구동부재사이의 플레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구동부재가 어떤 방향으로 회전할 때, 리테이너는 구동부재와 함께 회전하지 않지만, 선회작용력 전달부재에 의해 적용된 선회작용력으로 인해 어떤시간 지연직후에 회전하기 시작한다. 결합요소는 그러므로 결합준비 위치로 움직인다. 구동부재가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할 때, 먼저 결합요소가 구동요소 및 미구동 요소와 결합된다. 구동부재가 더 회전할 때, 피구동부재와 출력축 사이의 회전방향으로의 플레이는 사라질 것이며 출력축에 토오크의 전달을 허용한다.
회전방향으로의 플레이가 피구동부재와 출력축 사이에 구비되므로 회전방향이 변할 때, 먼저 결합요소가 정확한 결합준비 위치로 움직인다. 그리고 토오크는 출력축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결합요소가 입력쪽에서 회전방향에 대하여 정확한 결합 준비 위치로 움직인다. 말하자면, 그들은 틀린 결합위치로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구동력의 전달은 용이하고 안전하게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목적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아래 설명으로부터 명확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링(1)은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추에 연결된 내부부재(2)는 베어링(3)을 통해서 외부링(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입력링(4)은 스프라인을 통해 내부부재(2)의 한 끝에 연결되어 있다.
커플링부재(6)는 베어링(5)을 통해서 외부링(1)의 외부 끝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부(7,8)는 각각 외부링(1)의 외주와 커플링부재(6)의 내주에 구비되어 있다(제2도). 인접 돌출부(7,8)는 플레이(Y:Y=Y1+Y2)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부링(1)와 커플링부재(6)는 그들 사이의 플레이(Y)로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제3 및 제6도는 도시된 바와같이 동심의 원통형 표면(10,11)은 각각 외부링91)의 내주와 내부부재(2)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대경 리테이너(12)와 소경 리테이너(13)는 원통형표면(10,11)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대경 리테이너(12)는 후방 끝에 일체적으로 연장된 아암(14)으로 구비되어 있다. 연장아암(14)은 베어링을 통해서 외부링(1)과 내부부재(2)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소경 리테이너(13)는 내부부재(2)의 끝면(2a)의 끝면(2a)과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되는 안쪽으로 구부러진 부분(15)으로 전방 끝에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16)이 내부부재(2)의 끝면(2a)에 대하여 구부러진 부분(15)을 가압하도록 베어링(3: 왼쪽것) 용지지링(17)과 구부러진부분(15)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16)의 가압력은 그들사이에 마찰력을 산출하는데, 이것은 소경 리테이너(13)가 내부부재(2)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한다.
제3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포켓(18,19)이 각각 대경 리테이너(12)와 소경 리테이너(13)에 형성되어 있다. 각쌍의 포켓(18,19)은 결합요소로서 스프래그(20)와 스프래그(20)를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21)을 수용하고 있다.
스프래그(20)는 스프래그의 중앙축선에 위치한 곡율중심을 갖춘 내외부측 대칭 아치형표면(22)을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이 소정의 각도로 어떤방향으로 경사질 때, 이들은 양 원통형표면(10,11) 과 결합하여 외부링(1)과 내부부재(2)를 함께 연결한다. 스프링(21)은 대경 리테이너(12)에 지지된 한끝을 갖추어 양쪽으로부터 스프래그(20)를 가압하여 이들을 유지하고 리테이너(12,13)가 서로 상대회전하면 원통형표면(10,11)과 결합할 것이다.
제1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경 리테이너(13)는 회전방향으로 핀(23)과 4각형구멍(24)의 벽사이에 형성된 갭(X)으로 대경 리테이너(12)에 형성된4각형 구멍(24)에 수용된 스토퍼핀(23)을 전방 끝에 갖추고 있다. 갭(X)은 외부링(1)과 커플링 부재(6)사이의 회전방향 플레이 (Y)보다 작다 (XY).
대경 리테이너(12)와 소경 리테이너(13)는 직경방향으로 뻗은 슬릿(25,26)을 각각 갖추고 있다 (제4도). C자형 링형태의 수위치 스프링(27)은 슬릿(25,26)에 결합된 그끝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다. 이것은 대경 리테이너(12)에 대하여 가압된 한끝과 소경 리테이너(13)에 대항한 다른 한끝을 갖추어 리테이너(12,13)를 대향원주 방향으로 가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경 리테이너(12)는 한방향클러치(28)(이하 설명함)가 결합될 때 선회력이 부여되는 반대방향으로 선회력을 부여하고, 그리고 소경 리테이너(13)에 억지 끼움된 스토퍼핀(23)에 4각형 구멍(24)의 벽이 접합할때까지 이러한 방향으로 선회한다.
스토퍼핀(23)과 4각형 구멍(24)사이에 구비된 회전방향 갭(X)은 제6 및 제7도에 도시된 방향, 즉 원통형 표면(10,11)의 양자와 결합하는 위치로 경사가능하도록 스프래그(20)를 위해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다.
리테이너(12,13)는 스위치 스프링(27)에 의해 서로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스프래그(20)는 차량이 전진하는 동안 내부부재가 회전할 때 결합되도록 하는 위치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스프링(27)은 선회작용력을 산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작용한다.
한편, 한방향클러치(28)는 대경 리테이너(12)의 연장아암(14)의 추방 끝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은 대경 리테이너(12)를 서회작용력 발생부재(이하설명)로부터 그리고 그쪽으로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도록 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방향클러치(28)는 연장아암(14)의 후방 끝에 억지끼움된 그리고 동일간격으로 내주에 복수의 경사진 캠표면(30)으로 형성된 클러치 외부링(29)을 갖추고 있다. 환형 리테이너(32)는 클러치 외부링(29)과 내부링(31)사이에 구비된다. 리테이너(32)는 경사진 캠표면(30)과 내부링(31)에 대하여 롤러(33)를 가압하기 위해 스프링(34)과 결합요소로서의 롤러(33)를 수용하는 포켓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방향 클러치(28)는 대경 리테이너(12)가 제5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할 때 롤러(33)는 캠표면(30)과 연장아암(14)사이에 끼이게 되도록 설계되어 선회작용력 전달부재(9)의 내부링(31)에 대경 리테이너(12)를 잠근다.
반대로, 대경 리테이너(12)가 제5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할 때, 롤러(33)는 내부링(31)으로부터 대경 리테이너(12)를 해제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회작용력 전달부재(9)는 내부링(31)의 플랜지(35), 더스트커버(36)를 통해 차몸체에 부착되는 하우징(37)의 플랜지(38), 마찰접촉부(39)에서 서로 마찰접촉되는 플랜지(35,38), 그리고 마찰접촉부(39)를 가압하도록 지지링(40)과 플랜지(38)사이에 장착된 디스크 스프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디스크 스프링(34)의 가압력이 설정되어 소정의 마찰력이 마찰접촉부(39)에서 산출될 것이다. 이것은 내부링(31)의 회전을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는 드래그토오크로서 작용하며, 그렇지 않으면 대경 리테이너(12)와 함께 회전하는 경항이 있다.
마찰접촉부(39)에서 산출된 선회작용력은 스위치스프링(27)의가압력에 의해 대경 리테이너(12)에 적용된 선회작용력 보다 크게 설정된다. 한방향클러치(28)가 잠기고 대경 리테이너(12)가 내부링(31)과 함께 회전할 때, 마찰접촉부(39)에서 산출된 선회작용력은 스위치스프링(27)에 의해 적용된 선회작용력을 극복할 것이다. 대경 리테이너(12)와 소경 리테이너(13)사이의 위상관계는 그러므로 역전된다.
본 실시예의 장치(A)를 제19도에 도시된 차량의 구동열에 장착할 때, 내부부재(2)의 입력링(4)은 트랜스퍼(C)로부터 뻗어있는 전방 휠 프로펠러축(D)에 연결되고 커플링부재(6)를 전방 디퍼렌셜(E) 에 연결한다.
이렇게 장치되어 차량이 전진하는 동안, 내부부재(2)는 한방향클러치928)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고 그리고 후진하는 동안 한방향클러치(28)가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차량이 이러한 상태에서 전진할 때 내부부재(2)는 트랜스퍼(C)에 의해 회전하기 시작한다. 내부부재(2)에 고정된 소경 리테이너(13)는 그것과 함께 회전할 것이다. 스위치 스프링(27)에 의해 가압된 대경 리테이너(12)는 소경 리테이너(13)가 4각형 구멍(24)과 스토퍼핀(23)사이의 회전방향 갭(X)과 동일한 간격을 선회한다. 스프래그(20)는 제6도에 도시된 전진 결합준비 위치로 기운다. 이상태 에서 한방향클러치(28)가 잠기지 않으므로, 선회작용력 전달부재(9)는 대경 리테이너(12)에 대하여 고전한다.
한편, 차량이 후진할 때, 내부링(2)과 소경 리테이너(13)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스위치스프링(27)에 의해 가압된 대경 리테이너(12)는 동시에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리테이너(12)가 이러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순간, 한방향클러치(28)는 잠겨서 선회작용력 전달부재(9)에서 산출된 선회작용력은 대경 리테이너(12)에 적용된다.
리테이너(12)는 그러므로 리테이너(13)에 대하여 지연된다. 리테이너(12,113)사이의 위상관계가 역전되는 한편 차량이 후진하므로, 스프래그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진결합 준비위치로 기운다.
실제 구동상황에서,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고 직진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안, 커플링 부재(6), 외부링(1) 그리고 내부부재(2)는 동일속도로 회전하여 스프래그(20)는 2개의 대향한 결합준비 위치중 하나에 유지된다. 또한 소정의 플레이가 커플링 부재(6)와 외부링(1)사이에서 존재한다.
그리고 구동력은 내부부재(2)로부터 외부링(1)과 커플링부재(6)로 전달되지 않는다. 차량은 단지 후방 2개의 휠에 의해 피구동된다.
차량이 선회하는 동안 전방휠과 여기에 연결된 어댑터는 후방휠 보다 빨리 회전할 것이다.
그러므로 커플링부재(6)는 회전방향으로의 플레이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라질 때까지 외부링(1)보다 빨리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그후 외부링(1)은 커플링부재(6)와 함께 회전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외부링(1)은 내부부재(2)보다 빨리 회전하여 스프래그는 결합되지 않아 전방휠이 후방휠로부터 분리되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리고 급코너를 선회할 때 브레이크 작용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후방휠중의 하나가 운행하는 동안 미끄럼이 발생하면 트랜스퍼에 연결된 내부부재(2)는 전방휠 보다 빨리 회전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것은 스프래그(20)가 원통형 표면(10,11)양자에 즉각 결합하여 내부부재(2)와 외부링(1)을 함께 상호감는다.
또한, 커플링부재(6)와 외부링(1)사이의 플레이가 사라지고, 즉 돌출부(7,8)가 접합하고 그래서 구동력은 전방휠이 전달된다. 다시 말해서, 구동모드는 4륜구동으로 전환된다. 차량이 이상태에서 멈출 때, 전방휠에 구동력의 전달은 단절되어 커플링부재(6)와 외부링(1)은 서로 상대 회전하여 회전방향 플레이는 그들 사이에 다시 나타난다.
차량이 멈추고 반대방향으로 재시동될 때, 전방휠(커플링부재)은 후방휠의 회전 바로 전에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되어도 외부링(1)은 커플링부재(6)와 외부링(1)사이의 회전방향 플레이가 사라질 때까지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때까지 외부링(1)은 회전하기 시작하고, 내부부재(2)는 벌써 회전할 것이며, 그래서 대경 리테이너(12)와 소경 리테이너(13)사이의 위상 관계는 역전된다.
그리고 스프래그(20)는 외부링(1)이 회전하기 시작하기 전에 반대방향으로 벌써 경사져 있다.
스프래그(20)가 내부부재(2)의 회전에 의해 어떤 방향으로 경사지는 이러한 타입의 회전전달장치에서, 내부부재(2)는 차량의 운행방향이 역전될 때마다 외부링(1)이 회전하기전에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출력측에 연결된 커플링부재(6)와 커플링부재에 연결된 외부링(1)사이의 회전 방향 프레이의 적절한 양을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이러한 장치로, 대경 리테이너(12)와 스프래그(20)의 위치전환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장치(A)를 제20도에 도시된 차량의 구동열상에 장착할 때, 내부부재(2)의 입력링(4)은 후방휠 추진축(G)에 연결되는데, 이것은 트랜스퍼(C)와 커플링부재(6)로부터 후방디퍼렌셜(F)로 뻗어 있다.
이경우에 차량의 작동은 제19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장착될때와 약간 다르다. 주 피구동휠(전방휠)이 미끄러지면, 외부링(1)과 커플링부재(6)사이의 회전방향 플레이는 사라질 것이고 그래서 피구동력은 내부부재(2)로부터 외부링(1)으로 전달되고 그리고 커플링부재(6)로 전달된다. 지금 차량은 4륜구동모드로 피구동된다.
차량이 멈추는 동안, 회전방향 플레이는 외부링(1)과 커플링부재(6) 사이에서 다시 나타날 것이다.
제10도 및 제11도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커플링부재(52)는 베어링(51)을 통해서 외부링(1)의 외부 끝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커플링부재(52)에 억지끼움된 핀(53)은 외부링(1)의 끝면에 형성된 아치형 그루우브(54)에 수용되도록 축선방향으로 뻗어 있다. 플레이(Y1,Y2)는 회전방향으로 그루우브(54)의 벽과 각각의 핀(53)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외부링(1)과 커플링부재(52)는 회전방향으로 구비된 플레이(Y:=Y1+Y2)를 통해 함께 회전 가능하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일요소는 동일번호를 부여하였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2도 내지 제16도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롤러는 스프래그 대신에 결합 요소로서 사용된다.
외부링(61)은 내주면에 원통형표면(66)으로 형성된다. 내부부재(62)는 원통형표면(66)에 대향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평편한 캠표면(67)으로 그 외주에 형성된다.
외부링(61)의 원통형표면(66)과 각각의 캠표면(67)사이에 양끝쪽으로 점차좁아지는 쐐기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부재(63)는 외부링(61)의 외부 끝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방향으로 구비된 플레이(Y:=Y1+Y2)를 통해 외부링(61)에 형성된 돌출부(65)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돌출부(65)가 구비되어 있다.
환형 리테이너(68)는 베어링을 통해 외부링(61)과 내부부재(62)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리테이너(68)는 내부부재(62)의 외주에 형성된 핀구멍(69)에 끼워진 스토퍼핀(70)을 갖추고 있다.
리테이너(68)는 캠표면(67)으로서 다수의 포켓(71)으로 형성되고, 이것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포켓(71)은 스프링(73)과 결합요소로서 롤러(72)를 수용하고 있다. 말하자면 하나의 롤러(72)는 내부부재(62)상에 각각의 캠표면(67)을 위해 구비되어 있다. 리테어너(68)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움직일 때 롤러는 캠표면(67)과 원통형표면(66)양자와 결합하도록 하며, 그리고 외부링(61)과 내부부재(62)를 함께 잠근다. 스프링(73)은 포켓(71)의 측벽과 롤러(72)사이에 장착되어 양쪽에서부터 원통형표면(66)또는 캠표면(67)에 결합되지 않는 중립위치까지 롤러(72)를 가압한다. 리테이너(68)가 이 상태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움직일 때 롤러(72)의 한쪽에서 스프링의 단지 힘만이 롤러상에 작용하여 결합표면에 대하여 이들을 민다.
컷아웃(76)이 리테어너(68)의 끝에 형성된다(제12도). 토션코일스프링(77)이 리테이너(68)와 내부부재(62)사이에 장착되고 대부부재(62)에 형성된 스프링시트(759)와 컷아웃(76)에 결합되는 양끝을 갖추고 있다.
리테이너(68)는 코일스프링(77)에 의해 가압되어 차량이 전진하는 동안 내부부재(62)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회된다.
한방향클러치(78)는 리테이너(68)의 한 끝에 억지끼움되어 있다. 전달부재는 한방향클러치(78)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은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한방향클러치(28)와 선회작용력 전달부재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동일요소는 동일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테이너(68)는 회전방향으로 구비된 갭(X)으로 내부부재(62)의 주변표면에 형성된 핀구멍(69)에 헐렁하게 끼워진 스토퍼핀(70)을 갖추고 있다.
갭(X)은 롤러(72)가 중립위치로부터 이들이 캡표면(67)과 원통형 표면(66)양자와 결합되는 결합준비 위치까지 움직이는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3 실시예의 회전전달장치는 내부부재(62)를 전방휠 추진축(D)에 그리고 커플링부재(63)를 전방디퍼렌셜(E)에 연결하므로서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상에 장착된다. 차량이 전지하기 시작할 때, 내부부재(62)는 트랜스퍼(C)에 의해 피구동 되어 회전하기 시작할 것이다. 토션코일스프링(77)에 의해 가압된 리테이너(68)는 내부부재가 핀구멍(69)과 스토퍼핀(70)사이의 회전방향 갭(X)의 크기와 동일한 간격 회전한후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롤러(72)는 제15도에 도시된 위치, 즉 전진결합준비 위치로 움직인다.
한편, 차량이 후진하기 시작할 때, 내부부재(62)는 먼저 회전한다. 토션코일스프링(77)에 의해 가압된 리테이너(68)는 내부부재(62)와 함께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리테이너(68)가 이러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순간, 한방향클러치(78)는 결합하여 선회작용력 전달부재(79)에서 산출된 선회작용력은 리테이너(68)에 적용된다. 그러므로 리테이너(68)는 내부부재(62)에 대하여 지연된다. 내부부재(62)와 리테이너(68)사이의 위상관계가 역전되는 한편 차량이 후진하므로, 지금 롤러는 제16도에 도시된 후진결합준비 위치로 움직인다.
차량이 멈추고 반대방향으로 재시동될 때, 전방휠(커플링부재:63)은 후방휠이 회전하기 직전에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될지라도, 외부링(11)은 커플링부재(63)와 외부링(61)사이의 회전방향 플레이(Y)가 사라질때까지 회전을 시작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외부링(61)이 회전하기 시작할때에, 내부부재(62)는 벌써 회전하기 시작하여, 리테이너(68)와 내부부재(62)사이의 위상관계 그리고 롤러(72)의 위치는 역전된다.
제17도 및 제18도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실시예들과 달리 외부링은 입력부재이고 내부부재가 출력부재이다.
그러므로 외부링(81)은 한끝에서 입력플랜지(83)를 갖추는 한편 내부부재(82)는 한끝에서 출력링(84)을 갖추고 있다.
커플링부재(89)는 베어링(88)을 통해서 출력링(84)의 끝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커플링부재(89)와 출력링(84)은 서로접속을 위해 움직이도록 회전방향으로 구비된 플레이(Y=Y1+Y2)로 각각 돌출부(90,91)로 형성되어 있다(제18도).
외부링(81)은 그 내주에 복수의 캠표면(85)을 갖추고 있는데, 이것은 전체적으로 다각형 섹션을 갖추고 있다(제14도에 도시된바와 동일한 구조). 원통형표면(86)은 캠표면(85)에 대향하도록 내부부재(82)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환형 리테이너(87)는 외부링(81)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원통형표면(86)과 캠표면(85)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롤러(72)가 수용된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데, 어떤방향으로 움직일 때 원통형표면(86)과 캠표면(85)을 결합하도록 하며 롤러(72)지지용 스프링은 중립 위치에 유지된다.
선회작용력을 산출하기 위한 토션코일스프링(92)이 리테이너(87)의 한 끝에 장착되어 있다.
한방향클러치(93)를 통해서 선회작용력 전달부재(94)가 다른 한 끝에 연결되어 있다. 제4 실시예의 회전 트랜스미션장치(A')는 회부링(81)의 입력플랜지(83)를 후방휠 추진축(G)에 연결하고 내부부재(82)의 출력링(84)을 커플링부재(89)를 통해 후방디퍼렌션(F)에 연결하여 제22도에 도시된 차량의 기어열상에 장착된다(이경우에, 트랜스미션장치(A')는 제20도에 도시된 장치(A')의 장착위치에 대향한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실시예중 어느하나에서, 리테이너와 내부부재 사이에 또는 리테이너와 외부링 사이에 회전차이를 만들도록하는 선회작용력 전달부재는 상기한 바와같이 마찰패드 및 디스크스프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감속기어열 형태로도 가능하다.

Claims (3)

  1. 입력축에 연결된 구동부재와 출력축에 연결된 피구동부재, 서로상대 회전되도록 다른 하나 주위에 장착된 상기 구동부재 및 피구동부재중의 하나,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피구동부재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재와 피구동부재가 어느 한 방향으로 서로 상대회전할 때 상기 구동 및 피구동부재 양자를 함께 결합하고 잠그는 복수의 결합요소, 서로 소정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결합요소를 유지하고,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리테이너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상대회전하도록 그들사이의 원주방향 플레이로 상기구동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된 리테이너부재, 반대방향으로부터 상기 리테이너부재에 선회작용력을 전달하기 위한 2개의 선회작용력전달부재,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부재에 적용된 선회 박용력의 방향으로 전환하는 전환부재, 로 구성된 회전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부재는 회전방향으로 피구동부재와 출력축사이의 플레이로 출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피구동부재와 출력축 사이의 상기 플레이는 상기 리테이너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사이의 플레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는 양끝에서 아치형결합 표면을 갖춘 스프래그이고,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피구동부재는 대향한 표면에서 동심의 원통형 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회전방향으로 플레이를 갖추고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된 제1리테이너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유지된 제2리테이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리테이너와 상기 제2리테이너는 상기 스프래그의 양끝이 수용된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포켓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는 롤러이며, 여기에서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회전방향으로 구비된 플레이를 갖추고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된 환형부재이며, 상기 리테이너 부재는 상기 롤러가 수용된 포켓으로 형성되고, 원통형표면은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피구동부재의 대향 표면의 하나에 형성되고, 한편 다각형 표면은 대향표면의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대향표면사이에 복수의 쐐기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각각의 쐐기형 공간에서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KR1019940012715A 1993-06-08 1994-06-07 회전전달장치 KR100197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758193A JP3464015B2 (ja) 1993-06-08 1993-06-08 回転伝達装置
JP93-137581 1993-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130A KR950001130A (ko) 1995-01-03
KR100197175B1 true KR100197175B1 (ko) 1999-06-15

Family

ID=1520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715A KR100197175B1 (ko) 1993-06-08 1994-06-07 회전전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29219A (ko)
JP (1) JP3464015B2 (ko)
KR (1) KR100197175B1 (ko)
DE (1) DE4420055C2 (ko)
FR (1) FR2706189B1 (ko)
GB (1) GB22788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78B1 (ko) * 1996-05-17 2005-04-0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JP3711511B2 (ja) * 1998-03-03 2005-11-02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2方向差動クラッチ
DE102007051244A1 (de) * 2007-10-26 2009-04-30 Deere & Company, Moline Getriebeanordnung
ES2672131T3 (es) * 2012-10-08 2018-06-12 Stieber Gmbh Embrague de respaldo con transmisión de la fuerza de torsión a través de una superficie radial de pista externa
JP7315880B1 (ja) * 2022-07-21 2023-07-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カムクラッ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222B2 (ja) * 1987-01-28 1995-11-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DE3834198A1 (de) * 1987-10-09 1989-04-27 Ntn Toyo Bearing Co Ltd Kupplung
GB2220714B (en) * 1988-07-14 1992-07-08 Ntn Toyo Bearing Co Ltd Clutch
US5025902A (en) * 1990-01-04 1991-06-25 Aichi Kikai Kogyo Kabushiki Kaisha Bidirectional differential clutch
US5203232A (en) * 1991-02-18 1993-04-20 Ntn Corporation Rotation transmitting device
US5355748A (en) * 1991-05-31 1994-10-18 Ntn Corporation Rotation transmitting device for an interaxle gearless differential
JP3095482B2 (ja) * 1991-10-23 2000-10-03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回転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06189A1 (fr) 1994-12-16
FR2706189B1 (fr) 1997-01-24
GB2278897B (en) 1996-08-14
GB2278897A (en) 1994-12-14
JPH06344793A (ja) 1994-12-20
GB9411543D0 (en) 1994-08-03
DE4420055C2 (de) 1999-04-22
KR950001130A (ko) 1995-01-03
JP3464015B2 (ja) 2003-11-05
US5429219A (en) 1995-07-04
DE4420055A1 (de) 199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242B1 (ko) 회전전동장치
US4124085A (en) Automatic four-wheel drive transfer case
US5269399A (en) Devic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KR100215261B1 (ko) 허브클러치 장치
KR950005755B1 (ko) 회전전달장치
US4711332A (en) Drive connection with a freewheel mechanism
KR100197175B1 (ko) 회전전달장치
KR100394396B1 (ko) 2방향차동클러치
US5477951A (en)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JPH0617853A (ja) 回転伝達装置
GB2278899A (en)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JP3095482B2 (ja) 回転伝達装置
JP2807499B2 (ja) 2方向クラッチ
JP2994779B2 (ja) 回転伝達装置
JP3049130B2 (ja) 車両の駆動力伝達装置
JP2895550B2 (ja) 回転伝達装置
JP3207450B2 (ja) 4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ー
JP2997094B2 (ja) 回転伝達装置
JPH04211731A (ja) 回転伝達装置
JP2573289Y2 (ja) 被操舵軸のジョイント装置
SU647480A1 (ru) Обгонна реверсивна муфта
JPH08258586A (ja) 動力伝達装置
JPH08175213A (ja) 回転伝達装置
JPH0968239A (ja) 動力伝達装置
JPH04262157A (ja) 回転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