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809B1 -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809B1
KR100196809B1 KR1019940027472A KR19940027472A KR100196809B1 KR 100196809 B1 KR100196809 B1 KR 100196809B1 KR 1019940027472 A KR1019940027472 A KR 1019940027472A KR 19940027472 A KR19940027472 A KR 19940027472A KR 100196809 B1 KR100196809 B1 KR 100196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etection sensor
sensors
subseque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771A (ko
Inventor
홍재희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40027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809B1/ko
Publication of KR96001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100)의 전면 도어(1) 내측에 설치된 노브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에 탑승자 손이 닿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도어개폐 검지센서(3,4)와; 적재함(2)의 후방 양측부에서 각각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정차시 후속차량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한쌍의 후속차 검지센서(5-8)와; 상기 후속차 검지센서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된 후 도어개폐 검지센서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C1)를 통해 부져(10)를 구동시켜 주는 마이컴(9)으로 구성하여 적재함 후방부에 설치된 센서들에 의해 후방에서 진입하고 있는 자동차가 검출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자동차로부터 하차하기 위해 도어노브에 손을 데면 즉시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하므로써, 탑승자들의 후방주시 태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인명피해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실시상태를 보인 자동차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된 후속차량 검지센서의 구동 파형도.
제4도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적재함
3,4 : 도어개폐 검지센서 5-8 : 후속차 검지센서
9 : 마이컴 10 : 부져
본 발명은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장소에 정차한 자동차의 적재함 후방부에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후방에서 진입하고 있는 자동차가 있는지를 검출하여 만약 후방에서 진입하고 있는 차량이 있는데 탑승자가 자동차에서 내리기 위해 도어 노브에 손을 데면 경보음을 방생시켜 후방주시 태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중 그 일부에 정차시 자동차의 도어 부근에 장애물이나 후속차가 있는지를 검출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것이 있으나, 이 경우 도어 부근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장애물등을 감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와 무관하게 경보장치가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차자가 주변에 장애물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미쳐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도어를 열게 될 경우 후속차량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가 정차하면 적재함 후방부에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후방에서 자동차가 진입하고 있는지를 검출하여 마약 후방에서 차량이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었는데 탑승자가 자동차로부터 하차하기 위해 도어 노브에 손을 데면 즉시 경보음을 발생시켜 탑승자들의 후방주시 태만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말명 장치가 실시된 화물차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자동차(100)의 전면 도어(1) 내측에 설치된 노브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에 탑승자 손이 닿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도어개폐 검지센서(3,4)와; 적재함(2)의 후방 양측부에서 각각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정차시 후속차량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한쌍의 후속차 검지센서(5-8)와; 상기 후속차 검지센서(5-8)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된 후 도어개폐 검지센서(3,4)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1)을 통해 부저(10)를 구동시켜 주는 마이컴(9)을 상호 연결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어개폐 검지센서(3,4)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정전기센서를 이용하고, 후속차 검지센서(5-8)는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초음파센서를 사용한다.
또, 상기 후속차 검지센서(5-8) 중 적재함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속차 검출센서(5,6)와, 그 센서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내측에 설치된 후속차 검출센서(7,8)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구동되도록 하여 양센서들의 구동상태에 혼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제4도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마이컴(9)은 자동차의 적재함(2) 최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후속차 검지센서(5,6)로부터 소정신호가 입력되고 이어 그 내측으로 설치된 또 다른 후속차 검지센서(7,8)로부터 소정신호가 입력되면 이 센서들의 검지신호들에 대한 시간차(Δt)를 산출한 다음, 이 시간차(Δt)로 전,후방의 후속차 검지센서(5,6)(7,8)들의 거리를 나누어 후속차의 속도를 계산하여 소정속 도(NKm/h) 이상인 상태에서 차동차내의 도어개폐 검지센서(3,4)에서 사람의 손이 감지되면 부져(10)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100)의 두 전면 도어(1) 내측에 설치된 노브의 주변에는 정전기센서로 이루어진 도어개폐 검지센서(3,4)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던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등이 자동차에서 내리기 위해 도어(1)의 노브를 손으로 잡게 되면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상기 도어개폐 검지센서(3,4)가 작동된다.
즉, 상기 도어개폐 검지센서(3,4)에서 소정의 전기신호가 발생되면 마이컴(9)에서는 이를 입력받아 탑승자가 도어(1)을 열려고 하거나 열고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재함(2)의 후방 양측부에는 각각 소정거리를 두고 두 개가 한조를 이루는 한쌍의 후속차 검지센서(5-8)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자신의 자동차를 후방부로부터 추월하고 있는 후방차가 있는지 또는 그 자동차의 속도는 어느 정도인지등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후속차 검지센서(5-8)는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초음파센서를 사용하므로써, 공중으로 발사된 초음파가 정차중인 자동차의 측면부를 주행하고 있는 자동차 및 장애물등에 의해 반사되어오면 이를 수신하여 마이컴(9)에 입력시켜 주므로 상기 마이컴(9)에서 후방차가 있음을 감지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후속차 검지센서(5-8) 중 적재함의 최후단부에 설치된 후속차 검출센서(5,6)와, 그 센서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후속차 검출센서(7,8)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구동되므로 양센서들의 검지상태에 혼선을 일으킬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후방부로부터 진입되는 자동차를 검출하는 상기 후속차 검지센서(5-8) 중 적재함의 최후단부에 설치된 후속차 검출센서(5,6)의 검지신호는, 내측의 후속차 검출센서(7,8)로부터 출력되는 검지신호 보다 적은 시간이나마 그 차를 나타내기 마련이므로 이 두 센서들의 출력신호를 이용하면 후방부로부터 주행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이컴(9)은 자동차의 적재함(2) 최후방부에 설치된 후속차 검지센서(5,6)로부터 소정신호가 입력되고, 이어서 내측의 후속차 검지센서(7,8)로부터 소정신호가 입력되면 이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검지신호의 시간차(Δt)를 산출하여, 이 시간차(Δt)로 전,후방 후속차 검지센서(5-8)들의 거리를 나우어 주므로써 후속차이 주행속도를 산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후속차의 주행속도가 산출되면 이 속도가 소정속도(NKm/h) 이상인지를 검출하게 되는데, 만약 후방차의 주행속도가 탑승자가 도어를 열고 하차하여도 사고날 우려가 전혀 없을 정도로 저속상태이면 도어가 열리더라도 부저(10)가 구도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후방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한 결과 소정속도(NKm/h) 이상이면, 자동차내의 도어 노브에 탑승자의 손이 닿는지를 도어개폐 검지센서(3,4)를 통해 검출하여 만약, 손이 닿아지지 않으면 상기의 상태를 유지하고, 정전기센서로 이루어진 도어개폐 검지센서(3,4)에서 사람의 소이 노브에 닿았음이 감지되면 즉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9)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는 트랜지스터(Q1)가 온되므로 부져(10)가 구동되어 소정의 경보음이 발생되므로, 하차하고자 하던 사람은 이 경보음을 듣고 위험상태임을 빠른시간내에 인식하고 도어를 여는 동작을 멈출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도에서 사선으로 표기된 부분은 상기 후속차 검지센서(5-8)들의 센싱범의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살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적재함 후방부에 설치된 센서들에 의해 후방에서 진입하고 잇는 자동차가 검출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자동차로부터 하차하기 위해 도어 노브에 손을 데면 즉시 경보음이 발생되므로, 탑승자들의 후방주시 태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인명피해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자동차의 적재함 취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후속차 검지센서로부터 소정신호가 입력되고 , 이어 그 내측으로 설치된 또 다른 후속차 검지센서로부터 소정신호가 입력되면 이 센서들의 검지신호들에 대한 시간차를 산출한 다음, 이 시간차로 전,후방 후속차 검지센서들의 거리를 나우어 후속차의 속도를 계산한 결과, 소정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명된 상태에서 자동차내의 도어개폐 검지센서에서 사람의 손이 감지되면 부져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2. 자동차의 전면 도어 내측에 설치된 노브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에 탑승자 손이 닿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도어개폐 검지센서와; 적재함의 후방 양측에서 각각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정차시 후속차량이 있느지를 검출하는 한쌍의 후속차 검지센서와; 상기 후속차 검지센서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순차적으로 발생된 후 도어개폐 검지센서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를 통해 부져를 구동시켜 주는 마이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3. 제2항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 검지센서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정전기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차 검지센서는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초음파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차 검지센서중 적재함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속차 검출센서와, 그 센서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내측부에 설치된 후속차 검출센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구동되도록 하여 양센서들의 구동에 혼선이 발생되지 않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19940027472A 1994-10-26 1994-10-26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100196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472A KR100196809B1 (ko) 1994-10-26 1994-10-26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472A KR100196809B1 (ko) 1994-10-26 1994-10-26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771A KR960013771A (ko) 1996-05-22
KR100196809B1 true KR100196809B1 (ko) 1999-06-15

Family

ID=1939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472A KR100196809B1 (ko) 1994-10-26 1994-10-26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7164A (zh) * 2019-05-05 2019-09-10 徐俊华 一种停车开门自动检测装置及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771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218B1 (ko)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0915B1 (ko)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698586B1 (ko) 하차시 위험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826377B1 (ko)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
KR100196809B1 (ko) 정차중인 자동차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100666360B1 (ko) 차량 동역학에 근거한 충돌예방 안전장치
KR0120192Y1 (ko) 차량의 하차시 위험 경보장치
KR0171342B1 (ko) 자동차 탑승객 소지품 분실방지 경보장치
KR20190000493U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KR960013290B1 (ko) 자동차 충돌 방지 방법
KR100405357B1 (ko) 차량간 및 장애물과의 추돌 방지장치
KR970037626A (ko) 도어오픈시 충돌경보장치
JPS6237251A (ja) サイドセンサ
EP3351441B1 (en) Device for increased safety during slow vehicle movement
KR0133976Y1 (ko) 자동차의 전후방 물체 경보장치
KR19980047796A (ko)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장치
JP2001048037A5 (ko)
KR100471796B1 (ko) 차량충돌방지장치및그제어방법
KR980002583A (ko) 자동차 도어 자동 로크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02092A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KR0123272Y1 (ko) 자동차의 도어개방시 후방물체감지장치
KR20210035474A (ko)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KR19980045371A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의 자동 접이 및 경보장치
KR19990026680U (ko) 도어 개방시 측후방 접근 물체에 대한 경보장치
KR19980039450U (ko) 자동차 도어의 충돌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