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483B1 - 외관미를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외관미를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483B1
KR100195483B1 KR1019960071010A KR19960071010A KR100195483B1 KR 100195483 B1 KR100195483 B1 KR 100195483B1 KR 1019960071010 A KR1019960071010 A KR 1019960071010A KR 19960071010 A KR19960071010 A KR 19960071010A KR 100195483 B1 KR100195483 B1 KR 10019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ation lamp
rear combination
support bracket
hous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073A (ko
Inventor
권태석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7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483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5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with arrangement for sealing the devic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or for concealing gaps between the device and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인성을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브라켓 내측으로 플렌지부를 2단절곡형성하여 틈새를 커버링하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조립하여 지지브라켓의 전면과 렌즈의 전면사이의 높이 차를 발생시켜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이와 더불어 주행시 차량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는 시인성을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을 수용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의 내측단부를 2단절곡 연장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렌즈의 전면이 상기 지지브라켓으로 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위치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의 외주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수용홀 내주부에 조립하도록 수용홀에 위치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을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설정하여 주행시 차량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지지브라켓의 단부를 내측으로 2단절곡하여 틈새발생을 방지하며 이에 따른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외관미를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브라켓구조
본 발명은 시인성을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브라켓 내측으로 플렌지부를 2단절곡형성하여 틈새를 커버링하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조립하여 지지브라켓의 전면과 렌즈의 전면사이의 높이 차를 발생시켜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이와 더불어 주행시 차량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는 시인성을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등화장치(light system)는 그 기능면에서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것은 대상물을 잘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다른차나 기타도로 이용자에게 자기차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신호기능이다.
헤드램프나 포그램프 및 룸 램프나 트렁크 룸 램프등은 조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턴시그날 램프, 스톱 램프, 테일 램프등 따위는 신호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호기능을 가진 램프류는 일체로된 콤비네이션 램프가 많다.
이러한 신호 및 표시용 램프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구조와 기능은 다르나 공통된 요구성능을 종합하면 너무 어둡지 않고, 너무 밝아서 눈부시게 하지않고, 불빛의 색이 선명하고, 점멸하는 것은 점멸신호가 정확하게 전달 되어야 한다. 또한 트렁크 룸 램프와 같이 조명을 목적으로 한 램프는 주행중 장애물을 확인 하거나 물건등을 찾을 수 있게 적당한 조도를 유지해야 하며, 또한 이러한 등화장치는 각각의 형상과 각도에 적합하도록 차체의 지지브라켓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지브라켓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15)의 끝단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15a)에 렌즈(13)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단턱(13a)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5)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브라켓(11) 내측으로 형성된 플렌지형 지지부(11)에는 상기 하우징(15)의 상단 및 하단부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부(15c)가 각각 고정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지지브라켓의 구조는 하우징(15)의 후단과 렌즈(13)의 후단의 높이가 같게 됨에 따라 볼륨감이 감소되면,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11)의 플렌지부(11a)와 상기 하우징(15)의 외측 후단부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13)의 전면과 상기 지지브라켓(11)의 전면이 평형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외관미가 저하되며 또한 주행시 차량에 마찰되는 공기의 저항을 증가 시킬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지브라켓 내측으로 플렌지부를 2단절곡 형성하여 틈새를 커버링하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조립하여 지지브라켓의 전면과 렌즈의 전면사이의 높이 차를 발생시켜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이와 더불어 주행시 차량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는 시인성을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브라켓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외관미를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브라켓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지지브라켓 21a : 플렌지부
23 : 렌즈 23a : 단턱
25 : 하우징 25a : 결합홈
30 : 수용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을 수용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의 내측단부를 2단절곡 연장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렌즈의 전면이 상기 지지브라켓으로 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위치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의 외주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수용홀 내주부에 조립하도록 수용홀에 위치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설정하고, 지지브라켓의 단부를 내측으로 2단절곡하여 틈새발생을 방지하며 이에 따른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이와 더불어 주행시 차량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외관미를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브라켓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25)을 수용지지하는 지지브라켓(21)의 내측단부를 2단절곡 연장한 플렌지부(21a)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25)에 결합되는 렌즈(23)의 전면이 상기 지지브라켓(21)으로 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위치설정시킨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렌즈(23)의 외주부가 상기 지지브라켓(21)의 수용홀 내주부(30)에 조립하도록 상기 수용홀(30)에 위치설정 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25)의 끝단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25a)에 렌즈(13)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단턱(23a)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브라켓(21)의 단부를 내측으로 2단절곡 하여 틈새발생을 방지하며 이에 따른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25)을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설정하여 주행시 차량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을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설정하여 주행시 차량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지지브라켓의 단부를 내측으로 2단절곡하여 틈새발생을 방지하며 이에 따른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우징을 수용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의 내측단부를 2단절곡 연장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렌즈의 전면이 상기 지지브라켓으로 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위치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의 외주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수용홀 내주부에 조립하도록 수용홀에 위치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
KR1019960071010A 1996-12-24 1996-12-24 외관미를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브라켓 구조 KR10019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010A KR100195483B1 (ko) 1996-12-24 1996-12-24 외관미를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브라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010A KR100195483B1 (ko) 1996-12-24 1996-12-24 외관미를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073A KR19980052073A (ko) 1998-09-25
KR100195483B1 true KR100195483B1 (ko) 1999-06-15

Family

ID=1949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010A KR100195483B1 (ko) 1996-12-24 1996-12-24 외관미를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149B1 (ko) * 2002-11-07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체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073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179B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 구조
KR100195483B1 (ko) 외관미를 향상시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브라켓 구조
JPH0685281B2 (ja) ランプ一体型フロントグリル
US20020044450A1 (en) Fog lamp mounting structure of an automobile
KR970005195Y1 (ko) 차량의 안개등
CN219530640U (zh) 一种具有防干涉功能的车灯
CN214790887U (zh) 一种新型汽车前照灯
JP4168505B2 (ja) 自動車用灯具
KR0119410Y1 (ko) 자동차 ecm 룸미러 배선 커버 구조
KR970006465Y1 (ko) 자동차용 안개등의 커넥터 고정구조
JPS635955Y2 (ko)
KR0123034Y1 (ko) 자동차의 차폭등
JPS635954Y2 (ko)
KR19980048412U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취부구조
KR19980060213U (ko) 자동차 리어 콤비네이션의 장착구조
JPS60259540A (ja) 自動車のリアスポイラ−
JPH0410118Y2 (ko)
JPH0339847Y2 (ko)
KR200145748Y1 (ko) 차량용 프론트 콤비네이션 램프 조립체의 램프 하우징
KR19980034034U (ko) 자동차용 룸 램프
KR19980059669A (ko) 자동차용 룸 램프
KR19980048380U (ko) 자동차의 전조등 구조
JPH0891157A (ja) 自動車のグリルガード
KR19980036680U (ko) 해치 백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구조
KR19980048477U (ko)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