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341B1 - 이형 태신선기용 신선 다이스 각도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이형 태신선기용 신선 다이스 각도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341B1
KR100195341B1 KR1019960022325A KR19960022325A KR100195341B1 KR 100195341 B1 KR100195341 B1 KR 100195341B1 KR 1019960022325 A KR1019960022325 A KR 1019960022325A KR 19960022325 A KR19960022325 A KR 19960022325A KR 100195341 B1 KR100195341 B1 KR 100195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dice
fresh
holder
worm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673A (ko
Inventor
김원배
최린
김봉섭
김윤기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1019960022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341B1/ko
Publication of KR980000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00Profiling tools for metal drawing; Combinations of dies and mandrels
    • B21C3/02Dies; Selection of material therefor; Cleaning thereof
    • B21C3/06Dies; Selection of material therefor; Cleaning thereof with adjustable s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 선재를 다단으로 신선하는데 필수적인 선재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신선 다이스 홀더의 각도를 변환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으로, 이형 태신선기에 사용되는 신선 다이스 홀더(5) 중앙에 신선 다이스(6)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스 홀더(5)에는 다이스(6)를 지지하는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다이스 홀더(5)는 워엄과 워엄기어로 형성된 워엄기어 장치(1)에 의해서 다이스 지지부에 착설되며 상기 다이스 지지부는 신선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스(6)의 상하운동을 위해 다이스(6)가 위치하는 부분 벽면과 외부 측면이 미끄럼 접촉을 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이스(6)가 위치하는 부분에 상부는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며 다이스 지지부 상단에 워엄을 돌리는 워엄 기어 조작핸들(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이스(6)가 다이스 지지부와 미끄럼 접촉되어 회전운동을 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신선 다이스(6)는 상하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은 고정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형 태신선기용 신선 다이스 각도 변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윔 기어장치 2 : 윔 기어 조작핸들
3 : 샤프트 4 : 윔 샤프트
5 : 다이스 홀더 6 : 다이스
본 발명은 이형(異形) 태신선기(太伸線機)에 사용되는 신선(伸線) 다이스의 각도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형 선재를 다단으로 신선작업을 할 때 다이스의 각도를 변환하여 선재와 다이스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형 태신선기용 신선 다이스의 각도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선기의 다이스 홀더는 다이스의 외부 규격에 맞추어 흠이나 커버,볼트 등을 이용하여 단지 다이스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역할만을 함으로서 선재의 규격이나 형상에 따라 작업자가 각 단계별로 다이스를 교체하고 다이스와 선재의 정렬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이슬 홀더는 선재의 직경이 작고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작업에 별 어려움이 없으나 선재의 직경이 커지고 단면이 이형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선재 및 다이스의 정렬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형선재의 경우 각 신선 단계에서의 단면형상 및 선재의 상대적인 위치가 상호 연관을 갖고 작업이 이루어져야만 양호한 제품 품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선재와 다이스의 상대적인 위치 및 정렬이 매우 중요하며 현재의 단순한 형태의 다이스 구조에서는 이러한 정렬에 많은 시간과 정렬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신선 선재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신선 단계가 여러 단계를 거치는 공정이라 할지라도 선재의 정확한 위치정렬은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다이스의 형상이 원형이므로 선재와 신선 다이스의 중심 정렬외에 특별한 위치정렬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일단 작업 조건이 선정되면 각 작업 단계별로 다이스의 위치 및 각도의 미세조정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선재의 단면이 이형이고 단면적이 큰 경우, 특히 선재 단면의 상하 혹은 좌우가 대칭이 아닌 경우에는 신선공정에서의 선재의 정렬이 작업성 및 제품의 품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여러번 신선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신선 단계별로 여러번에 걸쳐 신선작업을 각 단계별로 수행하는 등 작업 효율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1회의 작업으로 최종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다단으로 신선을 하는 공정이 도입되고 있으나, 이 경우 각각의 신선 단계별로 선재의 정렬 및 다이스의 세팅이 작업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으며, 선재와 다이스의 상대위치 및 각도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선재의 일부가 과도하게 변형되거나 혹은 깍여나가는 경우가 발생하여 제품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선재와 다이스의 중심선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이스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목적은 이형 선재를 다단으로 신선하는데 필수적인 선재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신선 다이스 홀더의 각도를 변환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신선 다이스 홀더중앙에 신선다이스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스 홀더에는 신선 다이스를 지지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스 홀더는 웜과 웜기어로 형성된 웜기어 장치에 의해서 다이스 지지부에 착설되며, 상기 다이스 지지부는 신선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신선 다이스의 상하 운동을 위해 다이스가 위치하는 부분 벽면과 외부 측면이 미끄럼 접촉을 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이스 지지부 상단에 웜을 돌리는 웜기어 조작핸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이스는 다이스 지지부와 미끄럼 접촉되어 선재를 회전축으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이스가 위치하는 부분에 상부는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며 다이스의 임의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다이스는 상하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운동이 모두 벽면 및 측면커버러로 제한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선 다이스 홀더(5) 중앙에 신선 다이스(6)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스 홀더(5)는 웜과 웜기어로 형성된 웜기어장치(1)에 의해서 다이스 지지부에 착설되며 상기 다이스 지지부는 신선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신선 다이스(6)의 상하운동을 위해 다이스(6)가 위치하는 부분 벽면과 외부 측면이 미끄럼 접촉을 하도록 형성되며, 다이스 지지부 상단에 웜을 돌리는 웜기어 조작핸들(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이스(6)는 다이스 지지부와 미끄럼 접촉되어 작업중인 선재를 회전축으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이스(6)가 위치하는 부분의 상부는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며 다이스(6)의 임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운동이 모두 벽면 및 측면 커버로 제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선재는 이형 선재로서 상하 혹은 좌우가 비대칭이므로 선재가 신선 다이스(6) 입구에 접근할 때에는 일정한 방향과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다이스 지지부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웜기어 조작핸들(2)을 좌우로 돌리면 핸들(2)에 연결되어 있는 웜과 웜기어로 형성된 웜기어장치(1)의 동작에 따라 신선 다이스 홀더(5)를 회전시켜 둔 상태에서 선재의 세팅과 초기작업을 한 후, 낮은 속도로 서서히 신선작업을 진행하면서 원래방향 혹은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서서히 상기 핸들(2)을 회전시키면서 작업을 진행하면 원하는 제품을 얻을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이형 태신선기에 사용되는 신선 다이스의 각도변환장치는 선재의 비틀림에 따른 미소 변형 등을 쉽게 교정할 수 있으며, 작업초기시 다이스와 선재의 위치 차이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도 있는 각종 문제점을 쉽게 해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신선 선재의 형상이 상하 혹은 좌우가 대칭이 아닌 이형재를 다단으로 신선하는 신선기에 있어서, 신선 다이스 홀더(5)에 연결되는 윔기어장치(1)를 사용하여 신선 다이스 홀더(5)의 각도를 신선 선재를 회전축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태신선기용 신선 다이스 각도 변환장치.
KR1019960022325A 1996-06-19 1996-06-19 이형 태신선기용 신선 다이스 각도 변환장치 KR100195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325A KR100195341B1 (ko) 1996-06-19 1996-06-19 이형 태신선기용 신선 다이스 각도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325A KR100195341B1 (ko) 1996-06-19 1996-06-19 이형 태신선기용 신선 다이스 각도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673A KR980000673A (ko) 1998-03-30
KR100195341B1 true KR100195341B1 (ko) 1999-06-15

Family

ID=1946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2325A KR100195341B1 (ko) 1996-06-19 1996-06-19 이형 태신선기용 신선 다이스 각도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3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114B1 (ko) 2012-06-25 2014-02-06 주식회사 포스코 고탄소 강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4084437A (zh) * 2014-06-17 2014-10-08 北京交通大学长三角研究院 大孔径金刚石拉丝模测丝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596B1 (ko) * 2010-02-18 2012-04-27 동부제철 주식회사 봉강 인발용 다이스 각도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114B1 (ko) 2012-06-25 2014-02-06 주식회사 포스코 고탄소 강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4084437A (zh) * 2014-06-17 2014-10-08 北京交通大学长三角研究院 大孔径金刚石拉丝模测丝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673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5463C (en) A bending machine for bending threadlike material such as tubes, rods, profiles or metal wire
KR100550098B1 (ko) 굽힘가공 장치 및 굽힘가공 방법
US4604885A (en) Machine for the bending of stranded material
US7104100B2 (en) Bending device for tube
JPS6322894B2 (ko)
JP2000280029A (ja) ベンディングロール
JPS61245928A (ja) 曲げ加工装置
US4660753A (en) Automatic welding apparatus
KR100195341B1 (ko) 이형 태신선기용 신선 다이스 각도 변환장치
KR920009859B1 (ko) 와이어 성형장치
JP2000280027A (ja) 円錐パイプの製造装置
JPH0635016B2 (ja) 曲げ加工装置
DE3232842A1 (de) Programmiervorrichtung fuer eine automatische naehmaschine
JPH0347063B2 (ko)
US4984443A (en) Plastic working method and apparatus
JP3912885B2 (ja) 曲げ加工装置
DD231758A1 (de) Vorrichtung zum entgraten ungebrannter keramischer formlinge
US5007281A (en) Plastic working method and apparatus
JPH04266426A (ja) 曲げ加工装置
JPH04338530A (ja) 自動スピュー・トリミング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H0615146B2 (ja) カムの線織面を作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3129476B2 (ja) 細径金属管の曲げ加工法と曲げ加工装置
KR0160083B1 (ko) 안경렌즈 가공장치
JP4101576B2 (ja) タイヤモールドの製作方法及び製作装置
JPH07241919A (ja) リニアフレネルレンズ切削用刃物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