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861B1 -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861B1
KR100194861B1 KR1019960052531A KR19960052531A KR100194861B1 KR 100194861 B1 KR100194861 B1 KR 100194861B1 KR 1019960052531 A KR1019960052531 A KR 1019960052531A KR 19960052531 A KR19960052531 A KR 19960052531A KR 100194861 B1 KR100194861 B1 KR 100194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ccelerator pedal
relay
vehic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473A (ko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52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86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4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861B1/ko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젤 엔진이 탑재된 자동차의 액셀레이터 페달 조작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감을 덜어 주고 안전운행을 도모해 주는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셀레이터 케이블(4)이 그 중간에 연결되고, 그 일단은 차체에 힌지 결합된 레버(1)와; 상기한 레버(1)의 타단과 중간 사이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된 로드(2)와; 상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무게가 소정의 중량을 갖는 블록(9)과; 상기한 로드(2)에 장착되는 탄성부재(3)와; 그 일단이 차체에 부착된 지지대(8)의 타단에 부착된 것으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스토퍼(7)와; 상기한 블록(9)을 자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켜 주는 마그네트(10)와; 상기한 마그네트(10)에 공급되는 자동차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해 주는 릴레이(26)와; 상기한 마그네트(1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한 릴레이(26)를 구동시켜 주는 자동차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 주는 것으로, 상기한 레버(1)의 타단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6)와, 브레이크가 작동하면 동작하는 브레이크 스위치(24)와, 액셀레이터 페달이 작동하면 동작하는 액셀레이터 스위치(25)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한 릴레이(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부와; 상기한 스위치부와 릴레이(26)사이에 연결되고 상기한 레버(1)의 일단에 부착되어 레버(1)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램프(6)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
본 발명은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젤 엔진이 탑재된 자동차의 액셀레이터 페달 조작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감을 덜어 주고 안전운행을 도모해 주는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은 실린더 안에 공기만을 흡입, 압축하여 공기의 온도가 높아졌을 때, 연료를 안개 모양의 입자로 고압 분사하여, 이 분사 연료가 공기의 압축 열에 의해 자기 착화되어 연소되게 하는 기관이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공기만을 흡입, 압축하여 고온(약 700℃)이 된 실린더 안에 경유를 분사하여 자기 착화시킨다. 이 때, 분사된 연료 입자의 크기는 대략 10∼35㎛이고, 착화 지연 기간이 지난 다음, 혼합비가 가장 적합한 위치에서 1개 또는 몇 개의 착화핵(着火核)이 형성되어 연소는 폭발적으로 진행된다(예혼합 연소).
한편, 연료의 분사는 계속되며, 뒤에 분사된 연료를 분무 제트를 형성하고, 여기에 주위의 공기가 도입되어 차례로 연소가 진행된다(확산형 연소). 즉, 디젤 기관에서는 화염 면이 전파하는 형태를 취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폭발시의 압력 상승 비율은 높으며, 크랭크 각도(crank angle, CA)가 가솔린 기관의 경우에는 1.5kgf/㎠/℃A 정도인데 대해, 디젤 기관의 경우에는 3∼7kgf/㎠/℃A이며, 이것이 디젤 기관 특유의 연소 음을 내는 원인이 된다. 최대 압력도 60∼90kgf/㎠로, 이는 가솔린 기관의 50kgf/㎠에 비하여 크고, 연소 기간은 최고 출력일 때 약 3∼5ms로 가솔린 기관과 큰 차이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고 있는 디젤기관은 그 특성 상 연료의 분사량을 제어해 주어야 하는데, 분사량을 제어하는 것은 액셀레이터 페달이나 조속기이고, 그 작동을 플런저에 전달하는 것은 분사량 제어 기구이다.
상기한 조속기는 운전자가 액셀레이터 페달을 조작하여 연료 분사량을 증감해서 기관의 회전 속도나 출력을 조정할 수 있으나, 특히 공회전 등을 할 때에는 부하에 약간의 변동이 있어도 회전 속도는 크게 변동한다. 그리고, 기관의 오버런(over-run)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회전 속도 이상으로 되지 않도록 항상 조정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부하에 따라 분사량의 증감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제어 랙에 전달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것이 조속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고 있는 디젤 기관을 탑재한 자동차를 운전하는데 있어서, 장시간 동안 운전할 때에 운전자는 액셀레이터 페달을 계속 밟고 있어야만 지속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운전자가 액셀레이터 페달을 오랫동안 밟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오른발이 쉬 피로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다수의 운전자는 오른발의 피로를 덜기 위하여 스스로 제작한 레버 등을 이용하여 액셀레이터 페달을 누르면서 운행을 하였다. 심지어는 무거운 블록 등을 액셀레이터 페달에 올려놓음으로써 액셀레이터 페달을 눌러 주는 운전자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차량이 흔들려서 블록이 브레이크 페달 밑으로 들어가면 브레이크 페달을 순간적으로 조작할 수 없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젤 엔진이 탑재된 자동차의 액셀레이터 페달 조작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감을 덜어 주고 안전 운행을 도모해 주는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조작하기 쉽게 운전석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료 분사 펌프에 연결된 액셀레이터 케이블이 그 중간에 연결되고, 그 일단은 차체에 힌지 결합된 레버와; 상기한 레버의 타단과 중간 사이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된 로드와; 상기한 로드의 타단에 부착된 것으로 상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무게가 소정의 중량을 갖는 블록과; 상기한 레버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한 로드에 장착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한 레버가 급격하게 하강할 경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일단이 차체에 부착된 지지대의 타단에 부착된 것으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스토퍼와; 상기한 블록을 자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블록이 그 중공부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한 로드가 레버에 힌지 결합되어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기 때문에 중공부 내에서 블록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그 일단이 차체에 힌지 결합된 마그네트와; 상기한 마그네트에 공급되는 자동차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해 주는 릴레이와; 상기한 마그네트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한 릴레이를 구동시켜 주는 자동차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 주는 것으로, 상기한 레버의 타단에 설치된 버튼스위치와, 브레이크가 작동하면 동작하는 브레이크 스위치와, 액셀레이터 페달이 작동하면 동작하는 액셀레이터 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한 릴레이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부와; 상기한 스위치부와 릴레이사이에 연결되고 상기한 레버의 일단에 부착되어 액셀레이터 페달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는 디젤 자동차의 액셀레이터 페달을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를 덜어 주는 것은 물론 안전 운행을 도모해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의 전기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버 2 : 로드
3 : 스프링 4 : 액셀레이터 케이블
5 : 버튼 스위치 6 : 인디케이터 램프
7 : 스토퍼 8 : 지지대
9 : 블록 10 : 마그네트
21 : 밧데리 22 : 메인 키
24 : 브레이크 스위치 25 : 액셀레이터 스위치
26 : 릴레이
본 발명에 따른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의 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의 전기 회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의 구성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조작하기 쉽게 운전석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료 분사 펌프에 연결된 액셀레이터 케이블(4)이 그 중간에 연결되고, 그 일단은 차체에 힌지 결합된 레버(1)와; 상기한 레버(1)의 타단과 중간 사이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된 로드(2)와; 상기한 로드(2)의 타단에 부착된 것으로 상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무게가 소정의 중량을 갖는 블록(9)과; 상기한 레버(1)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한 로드(2)에 장착되는 스프링(3)과; 상기한 레버(1)가 급격하게 하강할 경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일단이 차체에 부착된 지지대(8)의 타단에 부착된 것으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스토퍼(7)와; 상기한 블록(9)을 자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블록(9)이 그 중공부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한 로드(2)가 레버(1)에 힌지 결합되어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기 때문에 중공부 내에서 블록(9)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그 일단이 차체에 힌지 결합된 마그네트(10)와; 상기한 마그네트(1)에 공급되는 자동차의 전원 즉, 자동차의 메인 키(22)를 통하여 공급되는 밧데리(21)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해 주는 릴레이(26)와; 상기한 마그네트(1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한 릴레이(26)를 구동시켜 주는 자동차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 주는 것으로, 상기한 레버(1)의 타단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6)와, 브레이크가 작동하면 동작하는 브레이크 스위치(24)와, 액셀레이터 페달이 작동하면 동작하는 액셀레이터 스위치(25)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한 릴레이(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부와; 상기한 스위치부와 릴레이(26)사이에 연결되고 상기한 레버(1)의 일단에 부착되어 레버(1)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램프(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자동차를 운행하는 도중에 정속 주행을 원하면, 가능하면 기어를 최고단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액셀레이터 페달을 밟은 상태로 레버(1)의 일단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5)을 온시키고, 레버(1)를 위로 올린다.
이때, 액셀레이터 스위치(25) 및 브레이크 스위치(24)는 항상 온 상태이므로 액셀레이터 페달을 밟으면 액셀레이터 스위치(25)는 오프되어 릴레이(26)가 해지되어 마그네트(10)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블록(9)이 자력의 구속으로부터 해방되므로, 레버(1)를 위로 올리면 블록(9)이 스프링(3)의 탄력에 의하여 위로 올라간다.
그러면, 발로 밟고 있는 액셀레이터 페달에 의해 당겨진 액셀레이터 케이블보다 레버(1)에 의해 당겨진 액셀레이터 케이블(4)이 더 당겨지게 되므로 엔진의 회전수가 상승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액셀레이터 페달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액셀레이터 스위치(25)가 온되면서 직렬로 연결된 버튼 스위치(6)와 브레이크 스위치(24) 및 액셀레이터 스위치(25)가 모두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릴레이(26)를 작동시킴으로써, 마그네트(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마그네트(10)의 중공부 내에 장착된 블록(9)을 현재 위치에 고정시켜 주게 된다.
그러므로, 레버(1)가 현재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레버(1)에 연결된 액셀레이터 케이블(4)이 당겨진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엔진은 현재 상태의 회전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로 여건의 변화에 의해 가속이나 감속 또는 제동이 필요하여 운전자가 액셀레이터 페달이나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이와 같이 액셀레이터 스위치(25) 또는 브레이크 스위치(24)가 오프되므로 릴레이(26)의 동작을 해지시키게 되고 따라서, 마그네트(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블록(9)이 급속하게 하강하게 되어 레버(1)를 밑으로 내려 준다. 이때, 액셀레이터 케이블의 연료 분사 펌프 쪽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력이 상기한 로드(2)에 설치된 스프링(3)의 탄력보다 강하게 되어 있으므로, 액셀레이터 케이블(4)은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브레이크나 액셀레이터 페달을 조작하지 않고 레버(1)에 부착된 버튼 스위치(5)를 오프시켜도 마찬가지로 액셀레이터 케이블(4)이 복귀하게 된다.
또한, 버튼 스위치(5)가 온 상태로 있을 경우 레버(1)가 최하단에 있어도 자동차가 관성 상태로 운행하고 있으면 즉, 아무런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릴레이(26) 및 마그네트(10)와 인디케이터 램프(6)가 계속 작동하게 되어 마그네트(10)에서 작동 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럴 경우에는 버튼 스위치(5)를 오프시켜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는 디젤 자동차의 액셀레이터 페달을 자동으로 조작할 수있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를 덜어 주는 것은 물론 안전 운행을 도모해 주면서, 신뢰성 향상으로 제품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증대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디젤 엔진을 탑재한 자동차의 연료 분사 펌프의 액셀레이터 케이블을 조작하는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조작하기 쉽게 운전석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료 분사 펌프에 연결된 액셀레이터 케이블(4)이 그 중간에 연결되고, 그 일단은 차체에 힌지 결합된 레버(1)와; 상기한 레버(1)의 타단과 중간 사이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된 로드(2)와; 상기한 로드(2)의 타단에 부착된 것으로 상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무게가 소정의 중량을 갖는 블록(9)과; 상기한 레버(1)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한 로드(2)에 장착되는 탄성부재(3)와; 상기한 레버(1)가 급격하게 하강할 경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일단이 차체에 부착된 지지대(8)의 타단에 부착된 것으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스토퍼(7)와; 상기한 블록(9)을 자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블록(9)이 그 중공부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한 로드(2)가 레버(1)에 힌지 결합되어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기 때문에 중공부 내에서 블록(9)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그 일단이 차체에 힌지 결합된 마그네트(10)와; 상기한 마그네트(10)에 공급되는 자동차의 전원(21)을 공급 또는 차단해 주는 릴레이(26); 상기한 마그네트(1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한 릴레이(26)를 구동시켜 주는 자동차 전원(21)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 주는 것으로, 상기한 레버(1)의 타단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6)와, 브레이크가 작동하면 동작하는 브레이크 스위치(24)와, 액셀레이터 페달이 작동하면 동작하는 액셀레이터 스위치(25)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한 릴레이(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부와; 상기한 스위치부와 릴레이(26)사이에 연결되고 상기한 레버(1)의 일단에 부착되어 레버(1)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램프(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
KR1019960052531A 1996-11-07 1996-11-07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 KR100194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531A KR100194861B1 (ko) 1996-11-07 1996-11-07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531A KR100194861B1 (ko) 1996-11-07 1996-11-07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473A KR19980034473A (ko) 1998-08-05
KR100194861B1 true KR100194861B1 (ko) 1999-06-15

Family

ID=6651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531A KR100194861B1 (ko) 1996-11-07 1996-11-07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8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473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9360A3 (en) Start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194861B1 (ko) 디젤 자동차의 이중 구조를 갖는 액셀레이터 페달 장치
ES2192468B1 (es) Metodo de control para bomba electromagnetica de combustible.
JPS63124835A (ja) 自動車の出力制御装置
BR0107470A (pt) Processo para operação de um motor de combustão interna
US4166441A (en) Compressed air-actuated fluid injection apparatus
KR19990064742A (ko) 듀얼 디아이에스 점화 방식의 엘피지(씨엔지)/휘발유 겸용 엔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6474297B1 (en) Fuel breaking/saving device for cars during coasting
ES2177189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arrancar un vehiculo automovil.
JPH04246252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KR100293538B1 (ko) 디젤자동차의연료조절장치
KR20180045180A (ko) 관성을 이용한 자동차 연료 절약 장치
DE3867149D1 (de) Kraftstoffeinspritzpumpe zur versorgung der brennraeume von fuer fahrzeugantriebe vorgesehenen brennkraftmaschinen.
KR100361709B1 (ko) 디젤엔진의회전수보상장치
KR200246563Y1 (ko) 차량용예열플러그작동시엔진시동방지장치
JPH051592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US2151981A (en) Motor vehicle engine starting
KR100428203B1 (ko) 브레이크 오일량 부족시의 차량주행 방지장치
KR910003533Y1 (ko) 디젤엔진의 가변출력 장치
KR960003201Y1 (ko) 자동차의 이중 연소 발판
JPH0519031B2 (ko)
KR100303028B1 (ko) 디젤엔진의점화보조장치
KR950019093A (ko) 자동차의 가속장치
KR20060015661A (ko) 측면 실린더를 이용한 자동차 가속페달용 급조작 방지장치
FR2562952A1 (fr) Economiseur de carbura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