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447B1 -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4447B1 KR100194447B1 KR1019920022232A KR920022232A KR100194447B1 KR 100194447 B1 KR100194447 B1 KR 100194447B1 KR 1019920022232 A KR1019920022232 A KR 1019920022232A KR 920022232 A KR920022232 A KR 920022232A KR 100194447 B1 KR100194447 B1 KR 1001944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direction switching
- rotation
- tape
- transmission ge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를 작은 공간에서 테이프 주행방향의 전환을 확실히 실시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하는 주행방향전환판(10)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전환을 슬라이딩 회전전달기구를 통하여 회전전달되는 결치기어(12)에 맞물려서 반회전하는 전달기어(22)로 실시함과 동시에 주행방향전환판의 좌우방향의 이동중단에서 주행방향전환판에 작용하는 반력으로 전달기어를 회전계속방향으로 회전가세시켜서 주행방향전환판을 이동종단위치에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레코더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제1실시예의 이면도.
제5도는 제2실시예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로 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1b,1d : 지지부
2 : 모터 3 : 캡스틴
4 : 핀치롤러 8 : 릴축
10 : 주행방향 전환부재 18 : 걸어맞춤부
20 : 구동기어 21 : 결치기어
21a : 제1결치부 21b :제2결치부
21d : 유치부 22 : 전달기어
22a : 피걸어맞춤부 23 : 기동기어
본 발명은 작은 공간에서 모터의 회전방향의 전환으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확실히 전환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것으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하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는 실공평 3-41295호 공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핀치롤러 전환기구와, 주행방향 전환기구와, 핀치롤로 전환기구를 작동시키는 주행방향 전환판을 한쪽 또는 다른쪽의 이동종단위치에 유지하는 유지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핀치롤러 전환기구는 주행방향 전환판이 한쪽 또는 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주행방향 전환판에 형성된 캠이 핀치롤러를 지지하는 지지암을 택일적으로 회전운동시키고, 핀치롤러를 대응하는 캡스턴에 대한 압접상태의 전환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주행방향 전환기구는 주행방향 전환판에 연결하는 Y자형의 요동레버와, 이 요동레버의 양단에 설치된 캠기어와, 모터의 회전방향이 전환되는 것으로 회전운동하는 진동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동기어가 모터의 회전방향의 전환으로 회전운동하고, 진동기어가 캠기어에 택일적으로 맞물려서 캠기어를 회전시키고, 캠기어의 회전으로 캠이 요동레버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이 요동레버의 회전운동으로 주행방향전환판을 한쪽 또는 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진동기어는 모터에서 회전전달되는 중간기어에 항상 맞물려 있고, 모터의 회전방향의 전환으로 중간기어의 회전방향이 전환되면 진동기어를 지지하는 회전운동판과 함께 중간기어의 외주를 중간기어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진동기어의 회전운동력은 진동기어 자신의 회전부하에 의해 생기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운동판은 진동기어와 중간기어를 항상 맞물리게 하기 위해 회전운동지점을 중간기어의 회전축과 동축에 지지되어 있다.
유지기구는 주행방향전환판과 기판과, 이들 사이에 걸쳐진 반전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반전스프링은 요동레버의 회전운동으로 주행방향 전환판이 반전스프링의 지점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반전스프링의 탄발력이 주행방향전환판을 다시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반전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주행방향 전환판을 이동종단위치에 유지시키도록 되어있다.
상기의 오토리버스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진동기어를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주행방향전환판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진동기어를 회전운동시키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기판상의 부품의 배치가 제약을 받는 결함이 있다.
또, 회전운동판은 진동기어 자신의 회전부하로 회전운동시키므로 그 회전운동력은 매우 약한 힘이 된다. 이 때문에 회전운동판의 회전운동의 지지는 회전부하를 주지않도록 고안할 필요가 있지만 회전운동판의 회전부하를 적게하는 경우, 테이프 레코더에 바깥쪽에서의 충격이 가해지면 회전운동판이 회전운동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해버릴 우려가 있고,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되게 된다.
그리고, 회전운동판의 회전부하를 감소시키고자하여 회전운동판에 윤활유를 칠하면 윤활유는 먼지를 흡착시키므로 이 먼지의 양이 증가하면 윤활유를 칠한 것으로 회전운동 부하를 증대시키게 된다. 따라서, 윤활유는 극히 한정된 양을 한정된 장소에 칠할 수 밖에 없었다.
더구나, 주행방향 전환판을 한쪽 또는 다른쪽으로 이동한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기구는, 반전스프링을 사용하면 반전스프링의 회전운동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기판상의 부품배치가 제약을 받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신뢰성이 뛰어나고, 작은 공간에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판상에 모터의 회전력을 받아서 정역회정하는 구동기어와 제1, 제2결치부를 갖고, 이 제1,제2결치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치부를 구동기어에 맞물리게하는 것으로 정역회전함과 동시에, 이 제1, 제2결치부가 구동기어에 대치했을 때, 회전방향의 회전이 금지되는 결치기어와, 모터에서 슬라이딩 전달기어를 통하여 회전력이 전달되고, 결치기어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는 기동기어와, 주행방향 전환판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피걸어맞춤부를 갖고, 결치기어의 유치부에 맞물리는 것으로 반회전 혹은 반회전보다 약간 많이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방향에 따라 주행방향 전환부재를 한쪽 또는 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전달기어와, 이 전달기어의 회전종단에서 전달기어의 회전계속방향으로의 회전을 금지한다.
상기 주행방향전환부재는 그 이동종단에서 핀치롤러와 캡스턴과의 누름접속에 의해 생기는 핀치롤러에서의 반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고, 이 힘으로 전달기어를 회전계속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모터의 회전을 슬라이딩 회전전달기구를 통하여 회전하는 기동기어의 회전방향의 전환으로 결치기어와 구동기어와의 맞물림을 제어하고, 이 결치기어의 회전으로 주행방향전환판을 이동시키는 전달기어를 구동한다. 각 기어는 회전운동하지 않으므로 동작의 안정이 도모됨과 동시에 기판에 축지되므로 공간의 소형화가 꾀해진다.
또, 주행방향 전환판을 이동시키는 전달기어는 반회전 혹은 반회전보다 약간 많이 회전시킨 위치에서, 주행방향전환판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전달기어에 가해지는 것으로 주행방향전환판을 한쪽 또는 다른쪽으로 이동한 위치에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에서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의 테이프 레코더는 기판(1)상에 모터(2)에 의해 동 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캡스턴(3a,3b)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있다. 이들 캡스턴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핀치롤러(4a,4b)가 지지암(5a,5b)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1쌍의 캡스턴(3a,3b)사이에는 자기헤드(6)를 탑재한 헤드설치판(7)이 기판(1)에 진퇴자유롭게 설치되고, 헤드설치판(7)이 전진하여 테이프의 재생위치로 이동하면 자기헤드(6)가 도시하지 않는 카세트의 테이프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신호를 재생하도록 되어있다.
기판(1)상에는 주행방향전환판(10)이 헤드설치판(7)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좌우이동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주행방향전환판(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판(1)의 하면에 설치된 주행방향전환기구로 좌우로 이동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또, 주행방향전환판(10)은 좌우로 이동하는 것으로, 기판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1쌍의 릴축(8a,8b)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는 회전전달기구를 택일적으로 작동시킨다. 이 회전전달기구는 주행방향전환판(10)이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핀치롤러(4a,4b)와 캡스턴(3a,3b)이 눌러접속된 쪽의 릴축(8a,8b)에 모터에서의 회전을 택일적으로 전달하도록 되어있다.
핀치롤러(4a,4b)를 대응하는 캡스턴(3a,3b)에 택일적으로 눌러접속시키는 핀치롤러 전환기구(12)는 헤드설치판(7)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운동판(13)과, 이 회전운동판(13)과 함께 회전운동하도록 회전운동판(13)에 지지된 봉스프링(14)과 회전운동판(13)에 연결하는 연결부(15)를 갖고, 헤드설치판(7)상에 이동자유롭게 지지된 이동판(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이동판(16)은 주행방향전환판(10)에 일단을 연결하고, 주행방향전환판(10)이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이동판(16)의 연결부(15)가 이것에 대응하여 회전운동판(13)을 봉스프링(14)과 함께 좌 또는 우로 회전운동시킨다. 봉스프링의 선단은 이 봉스프링(14)의 회전운동으로 일단측이 한쪽의 캡스턴에 근접하면 타단측의 다른쪽의 캡스턴으로부터 이반한다.
헤드설치판(7)이 재생위치에 있을 때, 주행방향전환판(10)의 이동으로 캡스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된 봉스프링(14)의 선단은 지지암(5a,8b)을 회전운동시켜서 핀치롤러를 대응하는 캡스턴에 눌러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는 우측의 캡스턴(3b)에 우측의 핀치롤러(4b)가 눌러접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1도의 상태에서 주행방향전환판(10)이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이것과 연결하는 이동판(16)도 좌로 이동하여 이 이동판(16)의 이동으로 이동판에 연결하는 회전운동판(13)은 헤드설치판(7)상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러면 봉스프링(14)도 회전운동판(13)과 함께 회전운동하여 좌측의 회전운동선단(14e)이 지지암(5a)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좌측의 핀치롤러(4a)를 캡스턴(3a)에 눌러 접속한다.
한편, 우측의 봉스프링의 선단(14b)은 우측의 지지암(5b)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것으로 우측의 핀치롤러(4b)를 캡스턴(3b)으로부터 이반시킨다.
한편, 이 본스프링(14)이 핀치롤러를 대응하는 캡스턴에 눌러접속시키면 그 누르는 힘의 반력은 회전운동판(13), 이동판(16)을 거쳐서 주행방향전환판(10)에 전달되고, 주행방향전환판(10)을 주행방향전환판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제1도에서는 반력이 주행방향전환판(10)을 좌측으로 이동가세하도록 되어 있다.
주행방향전환판(1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주행방향전환기구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우측의 캡스턴(3b) 주변을 확대한 것으로 기판(1)과 주행방향전환판(10)을 가상선으로 도시한다.
주행방향전환판(10)에는 후술하는 전달기어(22)의 각주(피걸어맞춤부)(22a)가 끼워맞추어지는 가이드구멍(18)(걸어맞춤부)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구멍(18)에 끼워맞추는 각주(22a)는 전달기어(22)가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각주(22a)가 가이드구멍(18)의 측면(18a)을 누르고, 주행방향전환판(10)을 상기 반력에 저항하여 좌 또는 우로 이동시킨다.
또, 가이드구멍(18)에는 각주(22a)가 주행방향전환판(10)을 이동시킨 종단에서 각주(22a)의 각을 누르고, 각주(22a)를 제3도에 도시하는 기판(1)의 원호구멍(1a)의 종단(1b,1d)(저지부)에 밀어붙이는 경사면(18b)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1)의 하면에는 캡스터(3a)에 설치된 플라이휠(19)과, 이 플라이휠(19)과 일체의 소기어(20)(구동기어)와, 이 소기어(20)에 제1의 결치부(21a)를 대치하는 결치기어(21)와, 결치기어(21)의 제2결치부(21b)에 대치하는 위치에 전달기어(22)가 기판(1)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플라이휠(19)의 외주에는 모터(2)의 회전을 전달하는 무단벨트가 걸려있고, 모터(2)의 회전방향이 전환되면 플라이휠(19)의 회전은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캡스턴(3b)에는 소기어(20)보다 더욱 소경의 기동기어(23)가 소기어(20)의 상방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기동기어(23)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구멍(23a)이 2개로 분할되어 있고, 이 축구멍(23a)은 캡스턴(3b)의 직경으로 넓히어져 캡스턴(3b)에 밀어넣도록 되어 있다. 이 밀어넣음은 매우 약한 힘으로 밀어넣을 수 있고, 축구멍(23a)과 캡스턴(3b)과의 끼워맞추는 힘은 매우 약한 것으로 되어 있다.
기동기어(23)는 이 끼워맞추는 힘이나 축구멍(23a)에 칠해진 윤활제의 점성으로 캡스턴(3b)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기동기어(23)에 과잉 부하가 가해지면, 축구멍(23a)이 캡스턴(3b)의 외주를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기동기어(23)의 회전이 정지한다.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치기어(21)는 기동기어(23)에 항상 맞물리는 대경기어(21c)와 이 대경기어(21c)보다 소경인 제1,제2결치부(21a,21b)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치부(21d)와, 기판(1)의 하면에 돌출설치된 스토퍼(1c)가 끼워지는 원호홈(21e)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3도에서는 결치기어(21)의 대경기어(21c)와 유치부(21d)를 다른 기어와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위해 절단하여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원호홈(21e)의 원호각도는 제1,제2결치부(21a,21b)가 소기어(20)에 대치했을 때, 스토퍼(1c)가 원호홈의 종단(21k,21m)에 맞닿는 크기로 되어 있다.
결치기어(21)의 축구멍(21f)은 기판(1)에 설치된 지지축(1e)에 장착할 때, 지지축(1e)으로 넓혀져서 지지축(1e)의 홈(1f)에 끼워지도록 2개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구멍(21f)을 형성하는 축받이부(21g)의 외벽과 결치기어(21)와의 사이는 결치부(21a,21b)에 평행으로 대치하는 탄성변위가능한 암(21h)으로 연결되어있다. 또, 측받이부(21g) 및 암(21h)과 결치기어(21)와의 사이에는 공간부(21j)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21h)은 유치부(21d)가 소기어(20)와의 맞물림을 시작할 때, 유치부(21d)의 기어끝과 소기어(20)의 기어끝이 맞닿은 경우, 소기어(20)의 회전력으로 이 암(21h)을 탄성변위시킨다. 이 암(21h)의 변위로 결치기어(21)는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양 기어의 기어끝이 맞닿은 상태를 회피시킬 수 있다.
전달기어(22)에는 전달기어(22)가 기판(1)에 설치되었을 때, 기판(1)에 열려진 원호구멍(1a)을 삽입통과하여 기판(1)의 상면측에 돌출되어 주행방향전환판(10)의 가이드구멍(18)에 끼워맞추어지는 각주(22a)가 편심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판(1)의 원호구멍(1a)의 원호각도는 전달기어(22)가 결치기어(21)의 유치부(21d)와의 맞물림으로 결치기어(21)의 회전을 받아서 반회전보다 약간 많이 회전했을 때, 각주(22a)가 원호구멍(1a)의 종단(1b,1d)에 맞닿는 크기로 되어 있다.
더구나, 제2도를 반대방향에서 본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의 하면에는 전달기어(22)가 회전하여 주행방향전환판(10)을 좌 또는 우로 이동했을 때, 전달기어(22)의 회전종단에서 전달기어(22)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텐션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다.
텐션스프링(24)의 탄력은 텐션스프링(24)이 전달기어(22)의 편심위치에 설치된 돌기(22b)를 누르는 것으로, 전달기어(22)를 양방향의 회전방향종단방향으로 누른다. 이 텐션스프링(24)의 탄력은 전달기어(22)를 회전종단위치에 다시 확실히 유지하기 위한 보조력을 주는 것으로 되어 있다.
주행방향전환판(10)이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각주(22a)는 전달기어(22)의 회전축심상을 지나는 주행방향전환판(10)의 이동을 도시하는 궤적선(25)을 약간 넘어 회전한 위치에 있다. 그리고 각주(22a)는 이 위치에서 기판(1)의 원호구멍(1a)의 종단(1b)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달기어(22)는 주행방향전환판(10)에 작용하는 봉스프링(14)의 반력이 가이드구멍(18)의 경사면(18b)을 통하여 작용하는 분력과, 텐션스프링(24)의 스프링력으로 각주(22a)를 원호구멍(1a)의 종단(1b)에 밀어붙이므로 확실히 회전방향 종단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전달기어(22)가 회전방향 종단위치에 유지되는 것으로 주행방향전환판(10)도 우측으로 이동한 위치에 유지된다.
제1실시예의 오토리버스장치의 동작의 설명을 한다.
제1도의 상태에서는 우측의 핀치롤러(4b)가 캡스턴(3b)에 눌러 접속되고, 캡스턴(3b)이 모터(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테이프가 좌에서 우방향으로 보내지고 있다. 그리고 보내진 테이프는 우측의 릴축(8b)에 의해 감겨있다.
이때, 결치기어(21)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동기어(23)의 회전력을 대경기어(21c)에서 받아서 시계방향으로 회전가세된다. 결치기어(21)는 이 회전가세력으로 원 호홈(21e)의 일단(21k)을 스토퍼(21c)에 맞닿게 하고, 제1결치부(21a)를 소기어(20)에 대치시키고 있다. 이 회전가세력은 기동기어(23)의 측받이(23a)와 캡스틴(3a)과의 접촉마찰력에 의한다.
결치기어(21)의 제2결치부(21b)에 대치하는 전달기어(22)는 주행방향전환판(10)을 우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봉스프링(14)의 반력은 주행방향전환판(10)을 좌방향으로 이동가세하고, 이 가세력이 가이드구멍(18)의 경사면(18b)을 통하여 각주(22a)를 반시계방향으로 누른다.
전달기어(22)는 기판(1)의 원호구멍(1a)의 종단(1b)에 각주(22a)가 이 회전가세력으로 밀어붙여지고 있는 동시에, 텐션스프링(24)의 스프링력으로 회전종단방향으로 회전가세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달기어(22)는 결치기어(21)의 제2결치부(21b)에 대치한 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주행방향전환판(10)을 우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주행방향전환의 조작이 실시되면 곧 모터(2)의 회전방향이 전환된다. 그러면 플라이휠(19), 캡스턴(36), 소기어(20), 기동기어(23)의 회전방향이 전환되고, 기동기어(23)는 제2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기동기어(23)에 의한 결치기어(21)의 회전가세방향이 전환되고, 결치기어(21)는 방시계방향으로 회전가세되어 회전하고, 유치부(21d)가 소기어(20)에 맞물린다. 결치기어(21)가 소기어(20)의 회전력으로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시작하면 제2결치부(21d)에 대치하고 있는 전달기어(22)도 유치부(21d)에 맞물려서 시계방향의 회전이 시작된다.
전달기어(22)가 시계방향의 회전을 시작하면 각주(22a)는 가이드구멍(18)내를 이동하면서 가이드구멍(18)의 측면(18a)을 밀어서 주행방향전환판(10)을 좌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결치기어(21)는 전달기어(22)를 반회전보다 약간 많이 회전시킨 위치에서 제1결치부(21a)가 전달기어(22)d 대치한다.
한편, 이때 제2결치부(21b)는 소기어(20)에 대치하고, 결치기어(21)의 원호홈(21e)의 타단측종단(21m)이 스토퍼(1c)에 맞닿아 결치기어(21)의 소기어(20)에 의한 회전이 정지한다. 결치기어는 기동기어(23)가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계속하는 것으로, 대경기어(21c)는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주어지고, 제2결치부(21b)는 소기어(20)에 대치한 상태로 기동기어(23)의 회전력으로 유지된다.
전달기어(22)의 시계방향의 회전으로 좌방향으로 이송된 주행방향전환판(10)은 이동판(16)을 좌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연결부(15)가 회전운동판(1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 회전운동판(13)의 회전운동으로 봉스프링(14)은 좌측의 지지암(5a)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좌측의 핀치롤러(4a)를 좌측의 캡스턴(3a)에 눌러접속시켜서 테이프를 좌방향으로 보낸다.
한편, 봉스프링(14)은 우측의 지지암(5b)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것으로, 우측의 핀치롤러(4b)를 우측의 캡스턴(3b)으로 이반시킨다.
더구나, 주행방향전환판(10)은 좌측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회전전달전환기구를 작동시킨다. 회전전달전환기구는 좌측의 릴축(8a)에 모터(2)의 회전을 전하고, 좌측의 핀치롤러(4a)와 캡스턴(3a)에서 보내어진 테이프의 감김이 실시된다. 또, 우측의 릴축(8b)으로의 모터(2)에서의 회전전달을 차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는 모터(2)의 회전방향의 전환으로, 결치기어(21), 전달기어(22)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므로서 주행방향전환판(10)을 한쪽 또는 다른쪽으로 이동시켜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우 또는 좌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의 좌측의 핀치롤러(4a)가 좌측의 캡스턴(3a)에 눌러접속하면 봉스프링(14)의 반력은 주행방향전환판(10)을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세한다. 이 이동가세력은 주행방향전환판(10)의 가이드구멍(18)에 형성된 경사면(18b)이 전달기어(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각주(22a)를 누른다. 전달기어(22)의 각주(22a)는 기판(1)의 원호구멍(1a)의 타단측(1d)에 맞닿는 것으로 전달기어(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가세된 위치에 유지된다.
이처럼 제1실시예에서는 모터(2)의 회전방향의 전환으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할 경우, 모터(2)의 회전방향의 전환을 기판(1)에 회전지지된 기어를 이용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하도록 했으므로 공간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주행방향전환판(10)을 한쪽 또는 다른쪽으로 이동한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기구는 가이드구멍(18)의 경사면(18b)과, 전달기어(22)의 회전을 반회전보다 약간 많이 회전한 위치에서 전달기어(22)의 회전계속을 금지하는 저지부(1b,1d)와, 전달기어(22)를 회전계속방향으로 회전가세하는 텐션스프링(24)으로 했으므로 유지기구의 공간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달기어(22)의 반회전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부(1b,1d)를 기판에 설치된 원호구멍(1a)의 양종단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방향전환판(30)의 가이드구멍(31)에 각주(22a)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가장자리부(31a)에 요부(凹部)(31b)를 형성하고, 이 요부의 한쪽면을 저지부(31c)로 하고, 다른쪽의 면(31b)을 전달기어를 회전방향으로 누르는 면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이 요부(31b)의 중심을 전달기어(22)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하면 전달기어(22)의 회전을 반회전으로 해도 주행방향전환판(10)은 각주(22a)가 요부(31b)에 걸어맞추는 것으로 이동종단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 피걸어맞춤부를 각주(角株)로 하여 설명했지만 원주(圓柱)여도 된다.
본 발명의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는 모터의 회전방향의 전환으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하는 주행방향전환기구를 모터에서의 회전이 전달되는 구동기어에 결치기어를 모터의 회전방향의 전환으로 회전방향이 전환되는 기동기어에 의해 맞물리게 하고, 이 결치기어의 회전을 받아서 전달기어를 적어도 반회전시키는 것으로, 전달기어에 연동하는 주행방향전환판을 한쪽 또는 다른쪽으로 이동시켜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하도록 했으므로, 주행방향전환장치의 공간소형화와 동작의 안정을 꾀할 수 있었다.
Claims (5)
- 왕복이동 자유롭고 그 이동시에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고, 이동종단위치에서는 핀치롤러(4a,4b)와 캡스턴(3a,3b)과의 누름접속에 의해 생기는 핀치롤러(4a,4b)에서의 반력을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주행방향전환부재(10)와, 약 180℃의 범위에서 왕복회전자유롭고, 그 회전시에 상기 주행방향전환부재(10)를 이동시키고, 이 주행방향전환부재(10)에서의 반력에 의해 회전종단위치에 유지되는 전달기어(22)와, 정역회전 자유로운 테이프 이송용 모터(2)와, 이 모터(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20)와, 일정각도범위에서 왕복회전 자유롭고 회전종단위치 부근에서는 그 결치부(21a,21b)를 상기 구동기어(20) 및 전달기어(22)에 동시에 대향시키고, 그 이외의 위치에서는 그 유치부(21d)를 상기 구동기어(20) 및 전달기어(22)에 동시에 맞물리게 하는 결치기어(21)와, 상기 구동기어(20)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 그 회전력을 슬라이딩 회전전달기구를 통하여 결치기어(21)에 전달하는 기동기어(2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20) 및 기동기어(23)를 동축에 배치하고 상기 결치기어(21)는 이 기동기어(23)과 항상 맞물리는 기어부(21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치기어(21)는 2개소에 결치부(21a,21b)를 갖고 상기 구동기어(20) 및 전달기어(22)를 각각 결치부에 대향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방향전환부재(10)는 한쌍의 경사면(18b,18b)을 갖고 상기 전달기어(22)는 이 한쌍의 경사면(18b,18b)사이의 위치하는 피걸어맞춤부(22a)를 갖고 주행방향전환부재(10)가 이동종단에 위치할 때 어느 경사면(18b,18b)이 피걸어맞춤부(22a)를 눌러서 전달기어(22)를 회전종단 위치에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어(22)와 테이프 레코더 기판(1)의 사이에 이 전달기어(22)를 그 회전종단위치에 유지하는 탄성부재(24)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22232A KR100194447B1 (ko) | 1992-11-24 | 1992-11-24 |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22232A KR100194447B1 (ko) | 1992-11-24 | 1992-11-24 |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2297A KR940012297A (ko) | 1994-06-23 |
KR100194447B1 true KR100194447B1 (ko) | 1999-06-15 |
Family
ID=5680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22232A KR100194447B1 (ko) | 1992-11-24 | 1992-11-24 |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19444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6474B1 (ko) | 2020-04-17 | 2020-12-29 | 오혜미 | 컬러 레이저 문양을 갖는 주방용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방용품 |
-
1992
- 1992-11-24 KR KR1019920022232A patent/KR1001944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6474B1 (ko) | 2020-04-17 | 2020-12-29 | 오혜미 | 컬러 레이저 문양을 갖는 주방용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방용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2297A (ko) | 1994-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194447B1 (ko) |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리버스장치 | |
JP2593376Y2 (ja) | テープレコーダのオートリバース装置 | |
KR0164229B1 (ko) | 테이프 구동기의 회전전달 전환장치 | |
KR0164230B1 (ko) | 테이프 레코더 | |
KR100256101B1 (ko) |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정지 검출기구 | |
KR900004612Y1 (ko) |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 역전장치 | |
US6081404A (en) | Cassette tape driving device with auto-reverse function | |
KR940001429Y1 (ko) |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전달 전환장치 | |
JP2535462Y2 (ja) | テープ駆動機の回転伝達切換装置 | |
KR930001012Y1 (ko) | 간헐회전 전달 장치 | |
KR900001495Y1 (ko) |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 역전장치 | |
CN2056203U (zh) | 间歇旋转传动装置 | |
KR930010891B1 (ko) | 회전 전달장치 | |
JPH0579542A (ja) | 移動体駆動装置 | |
KR900001491Y1 (ko) |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 역전장치 | |
KR0124203Y1 (ko) | 테이프 레코더 | |
KR100246521B1 (ko) |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 | |
KR920000296Y1 (ko) |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전달 경로 절환기구 | |
KR930004336B1 (ko) |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 제어기구 | |
KR0149004B1 (ko) | 자기 녹음 재생 장치 | |
KR930006206Y1 (ko) | 테이프 구동장치의 고속이송기구 | |
JP2548139B2 (ja) | テ−プレコ−ダ | |
KR900005074Y1 (ko) |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릴 구동장치 | |
JP3783392B2 (ja) | クラッチ機構 | |
CN1091222A (zh) | 磁带驱动机构的旋转传动转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21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