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521B1 -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521B1
KR100246521B1 KR1019940030070A KR19940030070A KR100246521B1 KR 100246521 B1 KR100246521 B1 KR 100246521B1 KR 1019940030070 A KR1019940030070 A KR 1019940030070A KR 19940030070 A KR19940030070 A KR 19940030070A KR 100246521 B1 KR100246521 B1 KR 100246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spring
pressing member
mod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153A (ko
Inventor
마사노리 시라이와
Original Assignee
다나까 신사꾸
다나신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까 신사꾸, 다나신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까 신사꾸
Publication of KR95003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9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driving condition of record carrier, e.g. travel, tape tension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부재의 이동방향 치수를 작게 할수 있는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조작레버부재(2)는 섀시(4)측에 일단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누름부재(16)는 그 일단이 조작레버부재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누름부재는 조작레버부재와의 사이에 놓여진 센터링스프링(26)에 의해 회전운동의 중립위치에 탄성지지되어 있고, 반전부재(27)는 섀시측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반전부재의 일단에는 한쌍의 걸어맞춤부(30a,30b)가 형성되고 있고, 반전부재의 타단은 테이프의 주행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재(34)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누름부재(16)의 누름부(20)는 반전부재의 각 걸어맞춤부와 선택적으로 걸어맞춤하고, 누름부(20)가 각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하는 것으로 반전부재는 2개의 회전운동위치를 취한다.

Description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
제1도는 모드전환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4도의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변형예의 모드전환장치의 개략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드전환장치 2 : 조작레버부재
4 : 섀시 16 : 누름부재
22a : 제1스프링걸림부 22b : 제2스프링걸림부
24a : 제1스프링받침부 24b : 제2스프링받침부
26 : 비틀림코일스프링 27 : 반전부재
34 : 전환부재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오토리버스기구를 구비한 테이프레코더의 재생모드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토리버스기구를 구비한 테이프레코더에서는 릴받침의 회전이 테이프엔드에서 정지했을 때, 또는 프로그램스위치(재생모드전환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테이프의 주행모드가 포워드모드와 리버스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모드가 전환되면 테이프의 주행방향 및 재생헤드의 상태가 그 모드에 따른 상태로 전환된다.
이 종류의 모드전환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특개평 1-154531호 공보(모드선택반전기구) 및 특공소 63-14416호 공보(자기테이프장치)에 개시된 것이 있다.
모드전환장치에서는 조작부재를 조작하는 것으로, 조작부재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누름부재를 반전부재의 일단측에 맞붙게 하여 반전부재를 반전회전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반전부재의 타단에 연결된 모드전환플레이트가 이동되고, 테이프의 주행모드가 포워드모드와 리버스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누름부재는 일정 자세로 반전부재에 맞붙도록 되어 있고, 누름부재는 조작부재에 대해서 스프링 등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통상 중립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그런데 테이프레코더는 특히 휴대용의 테이프레코더는 점점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되어 테이프카세트보다 조금 큰 정도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따라 모든 구성부품의 소형화, 박형화 및 레이아웃의 여러가지 고안을 생각할 수 있고, 모드전환장치도 그 대상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특개평 1-154531호 공보에 개시된 모드선택반전기구 및 특공소 63-14416호 공보에 개시된 자기테이프장치는 누름부재를 조작부재에 대해서 탄성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이 조작부재의 이동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하여 배설되어 있으므로, 조작부재 자체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구조가 간단하고, 또 조작레버부재의 이동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이고, 테이프레코더의 소형, 박형화를 꾀할 수 있는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테이프레코더의 섀시에 대해 왕복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위치에 있을 때에는 테이프의 주행모드를 포워드모드로 하고, 제2이동위치에 있을 때에는 테이프의 주행모드를 리버스모드로 하는 전환부재와, 상기 섀시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조작레버부재와, 상기 조작레버부재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며, 이 회전운동지점으로부터 상기 전환부재를 향하여 늘어나는 누름부재와, 상기 조작레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의 사이에 놓여지고, 상기 조작레버부재에 대해서 상기 누름부재를 중립위치에 탄성지지하는 센터링스프링과, 상기 전환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누름부재에 대향하는 일단에는 한쌍의 피누름부를 좌우대칭으로 갖고, 타단을 상기 전환부재에 접속한 반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부재가 상기 전환부재를 향하여 조작될 때마다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한쌍의 피누름부를 서로 눌러서 상기 전환부재를 서로 왕동 및 복동시키는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회전운동지점의 양측에 제1 및 제2스프링받침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누름부재의 양측에 제1 및 제2스프링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센터링스프링는 중앙부를 누름부재의 회전운동지점에 걸고, 일단측을 상기 제1스프링받침부 및 제1스프링걸림부에 걸리게 하고, 타단측을 상기 제2스프링받침부 및 제2스프링걸림부에 걸리게 한 비틀림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에 의하면 상기 조작레버부재가 조작되면 상기 누름부재는 한쪽의 피누름부를 누르고, 반전부재를 한쪽으로 회전운동시킨다. 그리고 누름부재는 상기 전환부재를 왕동시킨다.
조작레버부재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누름부재는 상기 센터링스프링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한다. 그 후 다시 조작레버부재를 조작하면 상기 누름부재는 다른쪽의 피누름부를 누르고, 전환부재를 복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오토리버스기구를 구비한 테이프레코더의 내부에 있는 모드전환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이 모드전환장치(1)는 테이프레코더의 주행모드를 포워드모드와 리버스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모드전환장치(1)는 조작레버부재(2)를 구비하고 있고, 이 조작레버부재(2)는 테이프레코더의 섀시(4)에 그 일단이 회전운동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조작레버부재(2)의 타단은 가로방향으로 늘어나있고, 레버부(3)로 되어 있다. 조작레버부재(2)의 회전운동축(6)에는 코일스프링(8)의 코일부가 장착되어 있고, 이 코일스프링(8)은 서브섀시(4)에 형성된 제1걸림부(10) 및 조작레버부재(2)에 형성된 제2걸림부(12)에 각각 놓여져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부재(2)는 통상 코일스프링(8)의 스프링력에 의해 섀시(4)에 형성된 스토퍼부(14)에 그 측부가 맞붙은 상태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부재(2)는 타단의 레버부(3)에 제1도중 하방향의 힘을 작용했을 때 회전운동축(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레버부재(2)의 레버부(3)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테이프레코더의 프로그램스위치, 즉 재생모드전환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모드전환스위치가 조작될 때마다 레버부(3)가 눌려지고, 조작레버부재(2)는 한번 왕복회전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레버부재(2)의 중앙부에는 누름부재(16)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누름부재(16)는 조작레버부재(2)의 이동방향을 향해 선단이 늘어나 있고, 그 선단은 누름부(20)로 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부(20)에는 제1도중 지면뒤쪽을 향해 늘어나는 핀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레버부재(2)에는 회전운동축(18)의 양측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스프링걸림부(26a,26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누름부재(16)에는 회전운동축(18)의 양측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스프링받침부(22a,2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스프링걸림부(24a)와 제1스프링받침부(22a) 및 제2스프링걸림부(24b)와 제2스프링받침부(22b)는 각각 옆으로 늘어서 있다. 그리고 회전운동축(18)에는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코일부가 장착되어 있고,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제1암부(16a)가 제1스프링걸림부(24a) 및 제1스프링받침부(22a)에, 제2암부(26b)가 제2스프링걸림부(24b) 및 제2스프링받침부(22b)에 각각 놓여져 있다.
다른 입장에서 생각하면,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제1암부(26a)는 제1스프링받침부(22a)와 제1스프링걸림부(24a)를 동일방향으로 맞붙인 상태에서 누르고 있고, 또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제2암부(26b)는 제2스프링받침부(22b)와 제2스프링걸림부(24b)를 동일방향으로 맞붙인 상태에서 누르고 있다.
누름부재(16)가 조작레버부재(2)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된 경우, 누름부재의 제1스프링받침부(22a)가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제1암부(26a)를 밀어올리고, 제1암부(26a)는 제1스프링걸림부(24a)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제1암부(26a)는 제1스프링받침부(22a)와 제1스프링걸림부(24a)를 동일방향으로 누르려고 작용하므로, 누름부재(16)에는 조작레버부재(2)에 대한 중립위치로 리턴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한편, 누름부재(16)가 조작레버부재(2)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된 경우 누름부재의 제2스프링받침부(22b)가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제2암부(26a)를 밀어올리고, 제2암부(26b)는 제2스프링걸림부(24a)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제2암부(26b)는 제2스프링받침부(22b)와 제2스프링걸림부(24b)를 동일방향으로 누르려고 작용하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해서 누름부재(16)에는 조작레버부재(2)에 대한 중립위치로 리턴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누름부재(16)의 누름부(20)에 힘이 작용하고, 누름부재(16)가 조작레버부재(2)에 대해 회전운동된 후, 누름부(20)에 작용한 힘이 해제되면 누름부재(16)는 조작레버부재(2)에 대해 중립위치가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누름부재(16)를 조작레버부재(2)에 대한 중립위치로 위치결정하는 센터링기구는 조작레버부재(2)에 제1 및 제2스프링걸림부(24a,24b)를 형성함과 동시에, 누름부재(16)에 제1 및 제2스프링받침부(22a,22b)를 형성하고, 각 스프링걸림부(24a,24b)와 각 스프링받침부(22a,22b) 사이에 각각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양암(26a,26b)을 놓도록 하는 정도의 간단한 구조이다. 따라서 누름부재(16)를 조작레버부재(2)에 대해 간단히 맞붙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조작레버부재(2)에 대한 누름부재(16)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또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양암부(26a,26b)는 조작레버부재(2)에 대한 누름부재의 회전운동축(18)의 양측으로 늘어나 있으므로, 조작레버부재(2)가 그 이동방향으로 길게 늘어나지 않고, 조작레버부재(2)의 이동방향 치수를 작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모드전환장치 자체를 소형화 할 수 있고, 테이프레코더의 소형, 박형화를 꾀할 수 있다.
누름부재(16)는 조작레버부재(2)와 함께 하방을 향해 선회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누름부재(16)의 이동방향에는 상기 섀시(4) 상에 반전부재(27)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반전부재(27)의 일단에는 누름부재(16)의 누름부(20)를 맞붙임 가능하게 한 한쌍의 분기걸어맞춤부(30)(한쌍의 피누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분기걸어맞춤부(30)는 포크엔드(fork end)로 분리된 제1 및 제2걸어맞춤부(30a,30b)를 갖고 있다.
반전부재(27)의 타단(32)에는 전환부재(3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반전부재(27)가 회전되는 것으로 전환부재(34)는 제1도중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환부재(34)의 이동은 재생모드전환기구(36)로 연동(連動)하고 있고, 전환부재(34)가 왼쪽의 제1이동위치에 있을 때 재생모드전환기구(36)는 테이프의 주행모드를 포워드모드로 전환하고, 전환부재(34)가 오른쪽의 제2이동위치에 있을 때 재생모드전환기구(36)는 테이프의 주행모드를 리버스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반전부재(27)는 전한부재(34)의 제1 및 제2이동위치에 대응한 2개의 회전운동위치를 취한다. 즉, 전환부재(34)의 제1이동위치에 대응한 반전부재(27)의 제1회전운동위치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전부재(2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된 상태이고, 전환부재(34)의 제2이동위치에 대응한 반전부재(27)의 제2회전운동위치는 반전부재(2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된 상태이다.
조작레버부재(2)의 이동방향에서 봐서 반전부재(27)가 제1회전운동위치에 있을 때 누름부재(16)의 누름부(20)는 제1걸어맞춤부(30a)와 대향한 위치에 있고, 또 반전부재(27)가 제2회전운동위치에 있을 때 누름부재(16)의 누름부(20)는 제2걸어맞춤부(30b)와 대향한 위치에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부재와 함께 누름부재(16)의 누름부(20)의 제1걸어맞춤부(30a)와 걸어맞춘 상태에서 강하(降下)되면 반전부재(27)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제2회전운동위치에 위치가 부여된다.
또 누름부(20)가 제2걸어맞춤부(30b)와 걸어맞춘 상태에서 선회하강되면 반전부재(2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제1회전운동위치에 위치가 부여된다.
다음에 제2도 내지 제6도를 추가하여 작용을 설명한다.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스위치가 조작되면 이것에 연동하여 조작레버부재(2)가 회전운동되고, 누름부재(16)가 하방을 향해 선회하강된다. 그리고 누름부재(16)의 누름부(20)가 반전부재(27)의 분기걸어맞춤부(30)의 제1걸어맞춤부(30a)와 걸어맞춤하고, 누름부(20)가 제1걸어맞춤부(30a)의 경사면에 슬라이딩하면서 누름부재(16)가 제3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누름부(20)가 제1걸어맞춤부(30a)의 종단부(30c)에 이르고, 종단부(30c)를 누르면 반전부재(27)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반전회전운동하고, 제2회전운동위치에 위치가 부여된다.
반전부재(27)가 제2회전운동위치에 위치가 부여되면 반전부재(27)의 타단에 연결된 전환부재(34)가 오른쪽의 제2이동위치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재생모드전환기구(36)는 테이프의 주행모드를 포워드모드에서 리버스모드로 전환한다.
제3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누름부재(16)는 조작레버부재(2)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있고, 비틀림코일스프링(26)에 제1암부(26a)는 누름부재(16)의 제1스프링받침부(22a)로 밀어올려지고, 제1스프링걸림부(24a)에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부재(2)가 회전운동된 상태에서 제4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리턴되려면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제1암부(16a)가 제1스프링받침부(22a)와 제1스프링걸림부(24a)를 동일방향으로 누르도록 작용하고, 누름부재(16)는 조작레버부재(2)에 대한 중립위치로 리턴된다.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스위치(재생모드전환스위치)가 다시 조작되면 조작레버부재(2)가 회전운동되고, 누름부재(16)가 선회하강된다.
반전부재(27)가 반회전운동되어 제2회전운동위치에 위치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선회하강된 누름부재(16)의 누름부(20)가 반전부재(27)의 분기걸어맞춤부(30)의 제2걸어맞춤부(30b)에 걸어맞춤하고, 누름부(20)가 제2걸어맞춤부(30b)의 경사면에 슬라이딩하면서 누름부재(16)가 제5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누름부(20)가 제2걸어맞춤부(30a)의 종단부(30d)에 이르고, 종단부(30d)를 누르면 반전부재(27)가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반전회전 운동하고, 반전부재(27)가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반전회전운동하고, 제1회전운동위치에 위치가 부여된다.
반전부재(27)가 제1회전우동위치에 위치가 부여되면 전환부재(27)가 왼쪽의 제1이동위치로 된다. 이것에 의해 재생모드전환기구(36)는 테이프의 주행모드를 리버스모드에서 포워드모르도 전환한다.
제6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누름부재(16)는 조작레버부재(2)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있고, 비틀림코일스프링(26)에 제2암부(26b)는 누름부재(16)의 제2스프링받침부(22b)로 밀어올려지고, 제1스프링걸림부(24b)에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부재(2)가 회전운동된 상태에서 제1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리턴되면 비틀림코일스프링(26)의 제2암부(16b)가 제2스프링받침부(22b)와 제2스프링걸림부(24b)를 동일방향으로 누르도록 작용하므로 누름부재(16)는 조작레버부재(2)에 대한 중립위치로 리턴된다.
이렇게 해서 재생모드전환스위치의 조작이 반복될 때마다 테이프의 주행모드가 포워드모드와 리버스모드 사이에서 상호 전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일실시예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7도를 참조하면 모드전환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의 모드전환장치는 일실시예의 모드전환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구조를 갖고 있고, 따라서 여기서는 일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나 부위에는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는 상이한 점만을 간단히 설명한다.
변형예의 모드전환장치에 있어서 누름부재(16)의 누름부(20)는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크엔드로 분리되어 있고, 오목부(40)를 갖고 있다. 한편, 반전부재(27)의 일단에는 한쌍의 돌기(42a,42b)가 회전운동축(28)의 양측에 위치하여 돌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누름부재(16)의 누름부(20)와 반전부재(27)의 일단과의 대우(對偶)관계를 바꾸어도 변형예의 모드전환장치도 또한 일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센터링수단은 상기 조작레버부재와 누름부재 사이에 센터링스프링을 놓는 정도이며, 구조가 간단하다. 또 센터링스프링을 누름부재와 조작레버부재의 회전운동축에 장착하고, 스프링의 양암을 측의 양측으로 늘어나도록 배치했기 때문에 조작레버부재의 이동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모드전환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는 것이고, 테이프레코더의 소형, 박형화를 꾀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효과를 얻는다.

Claims (1)

  1. 테이프레코더의 섀시(4)에 대해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이동위치에 있을 때에는 테이프의 주행모드를 포워드모드로 전환하고, 제2이동위치에 있을 때에는 테이프의 주행모드를 리버스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부재(34)와, 상기 섀시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조작레버부재(2)와, 상기 조작레버부재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며 이 회전운동지점으로부터 상기 전환부재를 향하여 늘어나는 누름부재(16)와, 상기 조작레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의 사이에 놓여지고, 상기 조작레버부재에 대해서 상기 누름부재를 중립위치에 탄성지지하는 센터링스피링(26)과, 상기 전환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섀시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누름부재에 대향하는 일단에는 한쌍의 피누름부(30)를 좌우대칭으로 갖고, 타단을 상기 전환부재에 접속한 반전부재(27)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부재가 상기 전환부재를 향하여 조작될 때마다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한쌍의 피누름부를 번갈아 눌러서 상기 전환부재를 번갈아 왕동 및 복동시키는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회전운동지점의 양측에 제1 및 제2스프링받침부(22a,22b)를 갖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누름부재의 양측에 제1 및 제2스프링걸림부(24a,24b)를 가지며, 상기 센터링스프링은 중앙부를 누름부재의 회전운동지점에 걸리고, 일단측을 상기 제1스프링받침부 및 제1스프링걸림부에 걸리게 하고, 타단측을 상기 제2스프링받침부 및 제2스프링걸림부에 걸리게 한 비틀림코일스프링(2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
KR1019940030070A 1994-05-23 1994-11-16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 KR100246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32640A JP2879193B2 (ja) 1994-05-23 1994-05-23 テープレコーダのモード切換え装置
JP94-132640 1994-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153A KR950034153A (ko) 1995-12-26
KR100246521B1 true KR100246521B1 (ko) 2000-03-15

Family

ID=1508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070A KR100246521B1 (ko) 1994-05-23 1994-11-16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879193B2 (ko)
KR (1) KR100246521B1 (ko)
CN (1) CN1081821C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288Y2 (ja) * 1988-04-15 1994-04-13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モード選択用反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20339A (ja) 1995-12-08
CN1115468A (zh) 1996-01-24
CN1081821C (zh) 2002-03-27
JP2879193B2 (ja) 1999-04-05
KR950034153A (ko) 199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521B1 (ko)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
US5475546A (en) Tape loading device
US20030075424A1 (en) Canceling structure of combination switch
JPS62170061A (ja) カセツト及びテ−プロ−デイング装置
KR100256101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정지 검출기구
JP2669048B2 (ja) テープレコーダ
JPH0614288Y2 (ja) モード選択用反転機構
KR970004643B1 (ko) 테이프 플레이어의 빨리 보내기 및 되감기 장치
JPH09132081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キャンセル装置
US5883753A (en) Pinch roller switching mechanism of an auto reverse car audio device for safely fixing a selected pinch roller
JPH0510244Y2 (ko)
KR0130225Y1 (ko) 카세트레코더의 헤드 및 핀치롤러 구동장치
JPH0337149Y2 (ko)
KR930007872Y1 (ko) 오토 리버스 카 데크의 센서
KR920000296Y1 (ko)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전달 경로 절환기구
KR910001558Y1 (ko) 자동 역전식 테이프 레코더
KR930004927Y1 (ko) Vtr의 테이프 로오딩장치
JPH0337157Y2 (ko)
KR910000953Y1 (ko)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JPH0532534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00007311Y1 (ko)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
JP304217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298049A (ja) テ−プレコ−ダ
KR10023029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 테이프 로딩장치
KR940007538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인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