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138B1 - 제어용 패널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제어용 패널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138B1
KR100194138B1 KR1019960010559A KR19960010559A KR100194138B1 KR 100194138 B1 KR100194138 B1 KR 100194138B1 KR 1019960010559 A KR1019960010559 A KR 1019960010559A KR 19960010559 A KR19960010559 A KR 19960010559A KR 100194138 B1 KR100194138 B1 KR 100194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unit
fusion
mentioned
aforementi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495A (ko
Inventor
마사노리 나리도미
Original Assignee
마사노리 나리도미
다이세이 플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노리 나리도미, 다이세이 플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사노리 나리도미
Publication of KR97000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6Knobs or handles, push-buttons, grips
    • B29L2031/466Keypads, keyt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2009/0077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using recyclable materials, e.g. for easier recycling or minimising the pack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목적] 제어판넬의 버턴의 탄성적 동작을 행하는 면상체의 융합화.
[구성] 성형된 제어판넬본체 7과 조형 21, 25에 삽입하여 조형 21, 25와 제어판넬본체 7에 실질적으로 독립한 복수의 축대칭한 캐비티 32를 형성하고 복수의 32에 대칭축상의 게이트로부터 독립하여 탄성재료를 주입하여 캐비티 32내에서 유동하여 넓혀지는 탄성재료(에라스토머)로 넓은 면상체 11을 형성하여 동시에 면상체 11을 제어판넬본체 7에 열융합하여 게이트로부터 용융재료를 대칭 등방적으로 제어판넬본체 7의 벽면까지 확대 유동시켜 버턴의 탄성적 동작을 행하는 면상체 11의 판부의 융합의 안정화를 도모한다.

Description

제어용 패널의 조립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은 실시예 1이 적용되는 휴대용 전화기를 표시한 평면도.
제3도는 실시예 1의 조립방법에 의해 조립되는 제어패널의 부분단면도.
제4도는 버턴조작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표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표시한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표시한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공정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9도는 캐비티의 형상 설명도.
제10a,b,c도는 융합을 추상적으로 표시하는 각각의 가시도, 평면단면도, 정면단면도.
제11도는 탄성용융재료의 확대유동을 추상화하여 표시한 평면도.
제12도는 융착상태를 전자현미경 사진을 보아서 손으로 그려 재현한 사시도.
제13도는 비융착상태를 전자현미경 사진을 보아서 손으로 그려 재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변위가능부분 7 : 제어패널의 본체
11 : 면상체(위치변화부분) 12 : 융착부분
14 : 사면부분 33 : 게이트(주입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통칭 누름버턴이라고 칭하여지는 조작부분을 복수로 가지는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상세하게는, 각종민생기기, 산업기계, 자동차, 컴퓨터, 휴대용 전자기기 예로서 휴대용 전화등의 제어기기에의 입출력에 사용되는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 특히, 사출성형을 일부에 형성한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전자기기 등의 전술한 기기의 제어패널은, NC 공작기계 등의 생산기계로부터 휴대용 전화 등의 민생기기까지의 각종분야의 기기를 구성하며, 금후 더욱더 각분야에 침투되어진다고 예상되고 있다. 특히 퍼스날유스의 휴대용 퍼스콘, 휴대용 미디어 기기의 제어패널에는 방수, 방적(스며듬),방진, 전기절연성 등을 위한 필요한 본체 내에 대한 밀폐성, 조작용누름버턴의 복원성, 조작의 편리성 등의 기능 외에 양산성, 저렴성이 더욱더 요구되어진다.
각종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기의 각종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은, 전원을 ON, OFF하기 위한 ON, OFF 스위치, 동작시간 등을 셋트하기 위한 시간스위치, 동작지령을 위한 지령버턴, 통신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표기버턴 등 다수의 누름버턴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누름버턴의 가동성을 채워주며 밀폐성을 갖는 제어패널의 양산기술로서 많은 양산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로서, 탄성재료로 되어진 엷은 시트를 다수의 구멍이 파진 케이싱이라고 칭하는 제어패널본체의 표면 또는 이면에 접착하여, 복수의 구멍의 위치에 대응한 누름버턴 본체를 시트에 접합한 제어패널이 물이 사용되는 세탁기, 기름, 증기의 환경 하에서 사용되는 공작기계 등에 사용되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이와 같은 제어패널은, 플렛트패널이라고 칭하여 전세계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1개의 버턴마다에 제어패널 본체에 접합한 제어패널도 알려져 있다. 이 제어패널에서는, 각 접합부재가 각 지지부재로 되어진다. 각 지지부재에 의해 각 버턴이 제어패널본체에 지지되어 있다. 이 비지부재는, 탄성체인 에라스토머로 사출성형으로 형성되어, 사출성형시에 제어패널본체에 열융착한다. 이와 같은 사출성형에 의하면, 지지부재는 원추형상으로 성형된다.
원추형상의 지지부재에 지지된 버턴을 누르면, 원추부분의 원주부분이 겹쳐지듯이 꺾여 구부러지는 도중에서 응력의 시간에 관한 미분계수가 극대로 되어, 누를 때 및 복원할 때에 영어에서 말하는 크릭감이 있다.
이 크릭감은 소유자가 좋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돌아오는 힘을 내기 위한 재료로서는 실리콘고무가 적용되어 있다. (예로서, USP4,818.829호 명세서, YSP 4,636,593호 명세서 등). 이와 같은 돌아오는 힘을 내기 위한 재료로서는 실리콘고무 이외에도 각종의 열가소성 에라스토머가 알려지고 있다.
많은 버턴을 가지는 제어패널은 다수의 구멍을 주위에서 포위하는 격자상 본체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격자상 본체에는 통상, 경질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열가소성 에라스토머는 사용하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에 열융착하기 쉬운 재료가 쓰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재료는 이미 알려져 있다/
적당한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도 엔지니어링·플라스틱과 에라스토머는 보기 좋게 열융착하는 것이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여 판명되어졌다. 제10b도는 본 발명자가 작성한 샘플을 프랑스의 협력자가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본 발명자가 추상화한 추상도이다. 에라스토머는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이며,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폴리카포네이트 이다.
적절한 고압과 고온하에서 성형된 폴로카포네이트 성형체를 형내에 삽입하여 성형체에서 캐비티를 형성하여 이 캐비티에 적절한 고압과 고온의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를 주입하여, 그 용융열로서 폴리카포네이트를 용해하여, 양재료의 융착층을 형성한 샘플로부터 적당한 용제에 의간 폴리카포이트만을 용해하여 제거한 후 폴리에스텔에라스토머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하여 그 사진을 추상화한 도면이 제10b도이다. 이와 같은 도면이 얻어짐으로서, 에라스토머는 폴리카포이트 중에 제10b도에 표시한 것 같이 돌기하여 박힌 것으로 추정하여도 틀림이 없다.
단면으로 보면, 제10C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랙 피니언과 같이 박힌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凹凸의 형태는 종종 해도상(海島相)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우연히 부르는 이름이 닮고 있지만, 해도면(綿)의 단면과도 닮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에라스토머와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의 융착층을 형성하는 입체적인 凹凸 결합상태를 [해도상]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층은, 1 미크론∼10 미크론의 두께인 것이, 제12도로 판명되었다.
제12도는, 본 발명자의 의뢰를 받은 프랑스의 연구소에서 전자현미경에 의해 촬영한 사진을 특허전문의 도면사가 도면화한 사시도이다.
제12도는, 에라스토머의 돌기모양을 가리키고 있다. 비슷한 방향에 몇 줄의 산(또는 계곡)이 달리고 있다. 산과 산의 사이에 적은 봉우리가 무수히 돌기상으로 뻗어 있다. 적은 원주상의 모양도 원래의 사진에는 잘 촬영되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산으로부터 적은 산이 직교방향으로 돌출되어 다시 적은 산부터 더욱 적은 산이 나와, 몇 층으로, 즉 등지 상태로 돌기가 나와 있다. 이와 같은 상태모양은, 해도상이라고 일컬어지지만, 오히려 해도면에 가깝다. 제13도는, 똑같은 연구실에서 같은 조건에서 촬영된 것을 가리키고 있다. 이것은 압력이 낮은 경우 및 재질이 부적절한 경우의 접착구조이다. 융착구조를 가리키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융착이란, 2층 사이에서 양층의 크러스터가 등지상으로 물려지는 상태인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에라스토머에 의한 성형후의 박막은 강도가 있고 탄성이 탁월하여 반복 변형의 내구성도 양호하며, 누름버턴 시트를 위한 양질의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샘플작성 과정에서 캐비티 내에 있어서의 성형시의 유동성에 관하여 중대한 문제가 있음이 판명되어 왔다. 폴리우레탄 에라스토머, 올레핀 에라스토머 등의 에라스토머는 용융상태에서는 압력에 의해 체적이 대폭으로 변화한다. 이와 같은 체적변화는 기체와 같은 현상을 가리킨다. 그러나, 점도가 높고 용융액 중에서 압력은 균등히 전달되지 않으므로 파스칼의 원리가 성립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용융에라스토머는 기체와 같은 짓을 하지만 이상적인 유체는 결코 아니다. 이와 같이 특이한 물리적 성질이기 때문에 좁은 캐비티부분을 통과하기 어렵고 급격한 압력강하에 의한 기포, 공동이 쉽게 발생하여 박막상의 성형체에 결함이 생긴다. 무리하게 큰 압력을 가하면, 비대칭으로 흐르는 부분에서 난류가 발생하여 더욱더 결함이 생긴다. 명백한 결함이 생기지 않더라도 난류에 의한 압력분포가 균일치않고, 성형체의 밀도분포가 일정치 않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한 결함의 발생은 균일적이 아니다. (아이스트로픽이 아니다) 캐비티에 있어서 현저하다.
밀도를 어떤치 이상으로 하고싶은 성형체의 사출성형으로 사출압력을 일정 이상으로 올리고 싶은 경우에 특히, 이와 같은 물리적 현상이 해를 끼친다. 또한, 사출성형시에 에라스토머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융착시키는 다색성형, 다른 재질성형, 인서트성형을 행하기 위하여는 융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출압력을 일정치 이상으로 올리고 싶지만 전기한 물리현상이 해가되어 자기모순에 빠진다.
제11도는, 이와 같은 자기모순이 생기는 원인인 물리현상을 추상화한 추상도이다. 에라스토머의 용융액이 2개의 게이트로부터 토출되는 모양이 추상화되어 있다. 각 게이트의 근방에서는 토출된 용융액은 동심상에 확대 유동하여 점 A와 점 B에서 가리킨 위치에서는 난류는 대체로 생기지 않지만, 선 L에 관하여 같은 곳 아닌 2개의 원이 겹쳐지는 중합영역C에서는 난류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난류발생은, 원활한 유동을 저해하며 압력, 밀도의 균일성을 저해한다. 이와 같은 저해는 엷은 필림을 성형에 의해 생산하고 조립하는 양산공정에 있어서, 크나큰 트러블을 발생시킨다.
양산에 의한 저렴화와 동시에 당연히 품질의 향상이 요구된다. 고성능화된 최근의 전자기기에서는, 방적(스며듬)대책정도로는 되지 않으며, 전자 1개마다의 침압방지가 요구되어 왔다. 집합버턴과 같은 밀폐개소가 전자기기의 완전한 누름방지와 양산효과에 의한 저렴화를 동시에 달성하는 기술의 확립이 요청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을 확립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하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 조립공정수를 극히 적게하여 양산 저렴화되는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1개의 침입을 방지하는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시 다른 목적은, 에라스토머와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융합층을 사이에 두어 접합하는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시 다른 목적은, 탄성재료를 엷은 캐비티 내에서 원활하게 유동시키는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시 다른 목적은 캐비티의 말단부의 말단부까지 충분한 압력을 갖게 하여 탄성재료를 도달시키는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시 다른 목적은, 완전한 밀폐구조에 의한 버턴을 동작시키는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의 양산기술을 확립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을 취한다.
본 발명 1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은,
전자기기 본체에 짜여 붙여지는 제어패널 본체와,
전술한 제어패널 본체인 지지체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버턴 집합체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누름버턴 집합체를 구성하는 단위는 전술한 제어패널본체의 패널면에 대하여 법선(法線) 방향으로 독립하여 위치 변화하는 복수의 위치변화부분과,
전술한 제어패널본체에 접합하여 면상으로 엷게 형성되어 전술한 제어패널본체에 대하여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의 주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면상체로 형성되며, 전술한 면상체와 전술한 제어패널본체와의 접합하는 접합부분은 실질적으로 일주하여 닫혀지고,
전술한 면상체는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에 전술한 단위마다에 대응하여 독립한 게이트로부터 사출되는 탄성재료에 의하여 성형되며,
전술한 위치변화부분 및 전술한 면상체는 전술한 단위버턴마다에 대응한 단위 게이트로부터 사출되는 탄성재료에 의하여 형성되고 전술한 탄성변위부분 및 전술한 면상체를 성형하는 사출성형시에 전술한 면상체와 전술한 제어패널 본체와의 접합이 용융열에 의해 행하여진다.
본 발명 3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은,
복수의 단위버턴이 집합하여있는 버턴집합체와, 복수의 전술한 단위버턴이 집합하여 있는 집합면을 형성하여 전술한 버턴집합체를 지지체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지지체에 대하여 전술한 집합면의 법선방향으로 위치변화부분과,
전술한 지지체에 융합하는 융합부분과,
전술한 융합부분과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을 접속하여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스스로도 탄성적으로 변위하는 탄성변위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탄성변위부분 및 전술한 융합부분은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의 주위에 실질적으로 일주하여 닫혀지고,
전술한 탄성변위부분 및 전술한 융합부분은 전술한 단위버턴 마다에 대응한 단위게이트로부터 사출되는 탄성재료에 의하여 성형되며,
전술한 단위게이트에는 공통의 런너로부터 전술한 탄성재료가 공급되며,
전술한 탄성변위부분을 성형하는 사출성형시에 전술한 융합부분이 형성된다.
본 발명 2와 4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은,
전술한 발명청구범위 1 또는 3을 각기 분리하여 종속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법선 방향으로 향한 대칭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한 것이다.
본 발명 5와 6의 제어패널 조립방법은,
전술한 발명 1 또는 3을 각기 분리하여 종속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단위게이트는 실질적으로 대칭축상에 위치되어 있다본 발명 7의 제어패널 조립 방법은,
전술한 발명 3에 있어서,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법선방향으로 향한 대칭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전술한 면상체는 부분 원추상이다.
본 발명 8의 제어패널 조립 방법은,
전술한 발명 3에 있어서,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법선 방향으로 향한 대칭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전술한 면상체는 부분원추상이며,
전술한 접합은 융합이다.
본 발명 9의 제어패널 조립방법은,
전술한 발명 1 또는 3을 각기 분리하여 종속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탄성재료는 열가소성 에라스토머이며, 전술한 지지체의 재료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며, 전술한 융합은 전술한 탄성재료의 용융열로서 전술한 양재료가 녹아 합쳐져 해도상으로 섞여지는 물리적 상태이다.
본 발명 11의 제어패널 조립방법은,
복수의 단위버턴이 집합하여 있는 버턴 집합체와, 복수의 전술한 단위버턴이 집합하여 있는 집합면을 형성하여 전술한 버턴집합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지지체에 대하여 전술한 집합면의 법선 방향으로 위치 변화하는 위치 변화부분과,
전술한 지지체에 융합하는 융합부분과,
전술한 융합부분과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을 접속하여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탄성변위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탄성변위부분 및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의 주위에 실질적으로 일주하여 닫혀지며,
전술한 탄성변위부분 및 전술한 융합부분은 전술한 단위버턴마다에 대응한 단위게이트로부터 사출되는 탄성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전술한 단위게이트에는 공통의 런너로부터 전술한 탄성재료가 공급되어 전술한 탄성변위부분을 성형하는 사출성형시에 전술한 융합부분이 형성되어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법선 방향으로 향한 대칭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전술한 융합부분은 원환상이다.
본 발명 12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은,
전술한 발명 11에 있어서,
전술한 융합부분은 타원이며,
전술한 단위게이트는 단위버턴마다에 2위치에 설치되어,
전술한 2 위치는 전술한 타원의 2촛점 근방에 위치되어져 있다.
본 발명 13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은,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지지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전술한 지지체를 조형에 삽입하는 공정과,
전술한 조형과 전술한 지지체에 의해 실질적으로 독립한 단위캐비티로부터 이루어지며 집합캐비티를 형성하는 공정과,
전술한 단위캐비티에 단위마다에 탄성재료를 단위게이트로부터 주입하여 전술한 단위캐비티를 형성하는 전술한 지지체의 캐비티벽면까지 압송하는 공정과,
전술한 캐비티 내에서 유동하여 퍼지는 전술한 탄성재료로서 박막을 형성할 때에 전술한 탄성재료의 용융열로서 전술한 캐비티 벽면을 융해하여 전술한 탄성재료와 벽면재료가 융합한 실질적으로 일주하여 닫치는 융합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전술한 조형의 형열림을 행하여지고 숲모양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단위캐비티 1 단위마다에 대칭축에 대하여 기히 대칭이며, 점도가 높은 전술한 탄성재료는 전기 대칭축에 대하여 기히 대칭으로 전술한 단위캐비티 내에서 확대유동하여 전술한 벽면상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전술한 벽면에 도달하여,
전술한 단위게이트의 집합은 공통의 런너에 접속하고 있다.
본 발명 14의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은,
전술한 발명 13에 있어서,
전술한 탄성재료는 에라스토머이며, 전술한 벽면재료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며, 전술한 융합층은 전술한 탄성재료의 용융열로서 전술한 탄성재료와 전술한 벽면재료가 녹아 합쳐져 해도상으로 섞여지는 물리적상태이다.
본 발명 15의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은,
전술한 발명 13에 있어서, 전술한 단위캐비티에 접속하는 게이트는 실질적으로 전술한 대칭축상에 위치되어져 있다.
본 발명 16의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은,
전술한 발명 13에 있어서,
전술한 탄성재료는 전술한 단위게이트로부터 동심상으로 확대유동하고 또한 전술한 대칭축 방향으로도 유동한다.
본 발명 17의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은,
전술한 발명 13에 있어서, 이웃하는 단위캐비티는 주연부에서 약간의 공통부분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 18의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은,
전술한 발명 13에 있어서,
전술한 캐비티의 집합한 적어도 2개의 부분집합부터 이루어지며, 1개의 부분집합의 단위게이트는 공통의 서브런너에 접속하여 다른 부분집합의 단위게이트는 다른 공통의 서브런너에 접속하여 전술한 2개의 런너는 공통의 전술한 런너에 접속하고 있다.
본 발명 19의 제어 패널의 조립방법은 전술한 발명 18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게이트의 위치에서 전기탄성체의 압력이 균등화되도록 전술한 서브런너의 길이 및 단면적이 조절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은, 제어패널의 면의 법선 방향으로 미소하게 움직이는 변위부분의 주위의 각 탄성적 면상체 또는 각지지체를 형성하는 각 캐비티에 독립의 탄성재료가 적정한 압력과 온도조건 하에서 주입되어 유동하여 넓혀져 나간다. 변위방향 즉 면상체의 법선 방향으로 굽어진 캐비티 내에서도 원활히 유동한다. 이와 같이 유동은 대칭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확대한다.
대칭축상에 1개만을 설치된 게이트로부터는 동심상으로 확대한다. 2개의 게이트가 하나의 대칭축에 대하여 대칭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확대유동은 대칭이다.
이 대칭성 때문에 난류가 있기 힘들다.
이 때문에, 압력강하가 억제되므로 엷은 캐비티 부분 중에서도 원활히 유동한다. 이와 같은 유동하는 용융탄성재료는 캐비티의 말단까지 적정한 압력을 가지고 도달하여 캐비티를 형성하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용융한다. 적절한 온도를 가지는 탄성재료는 10미크론 정도의 크기의 크라스터의 열운동에 의한 용융시킨 상대측 재료 중 침입한다.
이 침입에 의해 형성되는 입체형상은, 전자현미경에 의하면 해도상이다. 하나의 돌기체부터는 다시 미세한 침상의 돌기가 생기어 등지처럼 양재료가 들어짜여져 있다. 이와 같이 1 미크론 ∼ 10 미크론의 두께의 혼합층이 일주하여 닫혀있기 때문에 1단위마다의 전자1개의 출입도 저지한다. 또한 1단위마다에 탄성체에 의해 변위부분이 지지되어 있으므로, 탄성변위에 우수한 크릭감을 생기게 한다.
성형 후의 단위게이트에 접속하는 숲모양체는 리사이클된다. 변위부분에 경질부분을 설치할 경우에는 탄성적 지지체를 패널본체 등의 지지체에 융합시키는 성형시에 동시에, 탄성적 지지체와 경질부분을 열융합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은 실시예 1을 표시하고, 1조립 공정을 표시하고 있다. 그림은 실시예 1이 적용되는 대상의 휴대용전화기 1을 가리키는 평면도이다. 전화기 본체 5에는 송수화기 2, 제어패널 3, 액정표시부 4의 각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패널 3은 제어패널 7과 제어패널 조작부 8로부터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에 의해 조립된 휴대용 전화기 1의 제어패널의 일부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제어패널 본체 7은 전화기 본체 5의 일부이며, 소위 케이싱의 일부이다. 제어패널 본체 7은 경질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예로서 ABS, PP, EVA, PC등 케치싱부재로서 관용의 수지재료가 쓰여져 있다. 제어패널 조작부 8은 복수의 누름버턴 6, 6---, 6을 함유한 누름버턴집합체이다. 각 누름버턴 6은 제3도에 표시한 것같이 제어패널 3의 면 S의 법선 방향에 미소하게 거리변위하는 변위가능부분 또는 위치변위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각 누름버턴 6은 케이싱을 함유한 전화기본체 5의 본체표면에 대하여 출몰자재 즉, 법선 방향으로 변위자재로 제어패널본체 7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누름버턴 6은 원주상, 타원주상, 4각주상이다. 소위 버턴의 형상으로 명확히 되어있지 않은 것이다. 각 누름버턴 7은, 제어패널본체 7의 격자간의 버턴 삽입공 23(제1도 참조)에 별개로 삽입되어 있다. 통상은 손가락이 닿는 부분으로서 명확히 돌기 부분이 설치되어, 또한 이와 같은 돌기부분은 딱딱한 재질로서 만들어져 있다. 이와 같이 명확한 버턴형상이 주어지지 않는 것도 있으므로, 이하 누름버턴 본체를 명세서에서 위치변화부분 6 또는 변위가능부분 6이라고 한다.
제3도에 표시한 것같이, 각 변위가능부분 6 또는 면상체 11에 제어패널본체 7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어패널 조작부 8은, 변위가능부분 6과 면상체 11의 조의 집합이다. 면상체 11은 면상체에 엷게 형성되어 제어패널본체 7에 대하여 변위가능부분 6의 주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일주하여 닫혀져 있다. 이 실시예 1에서는 면상체 11은 제어패널본체 7의 이면에 융착하고 있는 제 1 융착부와 변위가능부분 6의 이면에 융착하고 는 제2융착부 13과 양융착부 12, 13을 연속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경사부 1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제2융착부 13은 제1융착부 12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외측에 붙은데 있다.
외측이란 제어패널본체 7인 케이싱의 내외라고 하는 쪽이다. 변위가능부분 6은, 제2융착부 13에 대하여 외측이다. 사면부 14는 변위가능부분 6의 전체주위를 지지하는 원추상의 면상체이다. 제1융착부 12는 링상이다. 즉 제1융착부 12는 일주하여 닫혀져 있다. 제2융착부 13은 디스크 상이다. 제1융착부 12와 사면부 14와 제2융착부 13과는 일체 성형체이다. 이웃하는 제1융착부 12는 제어패널본체 7의 격자부의 일부 15에 의해 분단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것같이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변위가능부분 6을 내측으로 민 상태가 제4도에 표시되어 있다. 몇겹으로 겹치는 것과 같이 겹쳐 구부러지는 원추상 사면부 14는 미는 압력의 시간에 관한 미분 즉 미는 압력의 시간미분이 미는 순간에 돌연히 극대치로 된다. 이 극대치를 가지는 상태는 비안정성 상태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변위가능부분 6을 미는 압력을 없애면 큰응력이 발생하여 그림 3에 표시한 상태로 재빨리 돌아온다. 이와 같은 변위가능 부분 6의 출몰시에 손가락에 전해지는 감촉이 영어에서 크릭이라 칭하고 있다.
면상체 11은, 탄성재료로서 만들어져 있다. 탄성재료는 고무탄성에 뛰어난 열가소성 탄성체의 합성수지이다. 이 열가소성 탄성체는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 나이론 에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에라스토머, 올레핀계 에라스토머 수지 등에서 선택되지만 제어패널본체 7 때문에 ABS수지가 사용되고 있는 본 실시예에서는 ABS수지에 대한 용착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가 선택되어 있다. 단단한 것을 좋아하는 소유자 때문에, 경질의 열가소성 수지가 쓰여진다. 면상체 11의 막의 두께는 0.2mmm∼0.3mm이다. 사면부 14의 막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다. 제1융착부(12)에 이어지는 부분에서 사면부 14는, 그 중앙부보다도 약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 의해 제3도에서 가리킨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제1도는, 트리플레이트형의 사출성형 금형을 가리키고 있다. ABS수지재의 제어패널 본체 7은, 이미 별도 공정에서 성형되어 있다. 가동측형판 21(이하 가동축 성형틀 21이라고 함)에 격자상 돌기부 22가 설치되어 있다. 격자상 돌기부 22에, 외측으로부터 제어패널 본체 7의 버턴삽입공 23이 끼워진다. 버턴본체인 변위가능부분 6의 일부가 끼워지는 버턴본체 삽입공 34가 도상(島狀)으로 가동축 성형틀 21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패널본체에는 면상체 11의 제1융착부 12에 상당하는 링상의 페인곳 28이 설치되어 있다(제3도 참조). 가동측 성형틀 21과 같이 조형을 구성하는 고정측 형판 25(이하, 고정측 성형틀 25라고 함)의 하면측에는, 도상으로 복수의 원추체부 26이 설치되어 있다. 각 원추체부 26의 하면과 변위가능부분 6의 상면과의 사이에 면상체 11의 제2융착부 13에 상당하는 디스크상의 공간 27이 열려져 있다.
원추체부 26의 원추면과 가동축 성형틀 21의 원추면부의 사이에 원추면상공간 29가 열려져 있다.
고정측 성형틀 25의 하면과 제어패널 본체 7의 페인곳 28(제3도 참조)의 페인면과의 사이에 제1융착부 12에 상당하는 공간 31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 37과 공간 29와 공간 31에서 면상체 11에 상당하는 캐비티 32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캐비티 32가 하나 하나의 면상체 11에 대응하여 독립으로 설치되어 있다. 캐비티 32의 공간 27의 중앙에 접속하는 게이트 33,---33이 고정측 성형틀 25에 설치되어 있다.
가동측 성형틀 21과 고정측 성형틀 25와 누름버턴 본체 6과 제어패널본체 7로서 형성되는 캐비티 32 즉 면상체 11에 상당하는 캐비티 32는 각 캐비티에 고유의 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축대칭의 기준인 각축상에 게이트 33이 위치되어져 있다. 대칭축으로부터 약간 격리한 위치에 게이트를 설치하여도 좋다.
게이트 33은, 하나 하나의 캐비티 32에 대응하여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게이트 33이 하나의 면상체 11에 대응하여 독립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게이트에 접속하는 하나의 서브런너 34가 복수개, 고정측 성형틀 25안으로 통하여 있다. 1군의 서브런너 34의 상단은, 하나의 런너 37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런너 37이 복수로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런너 37은, 하나의 스풀 38을 사이에 두어 하나의 주입공(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서브런너 33,---34, 런너 37,---37은 상당히 굵은 유동용공이다. 주입공으로부터 주입되는 용융탄성재료는, 스풀 38, 복수런너 37, 복수의 서브런너 34에 분기하여 유입된다. 용융탄성재료는, 각 게이트 33의 출구에서 거의 동일한 온도와 압력을 가지고 동일압력, 동일온도의 조건하, 동일의 단위시간당 유량으로 각 캐비티 32로 유입한다.
1군의 서브런너와 타군의 서브런너는 길이 단면적이 다르며 용융탄성재료는 각 게이트 33의 출구에서 거의 동일의 온도와 압력을 가지고 동일압력, 동일온도의 조건화, 동일의 단위시간당 유량으로 각 캐비티 32에 유입되도록 조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입하는 용융탄성재료는 거의 동일의 속도로서 각 캐비티 32안을 유동한다. 용융탄성재료가 공간 27을 채우면서 같은 방향으로 확대유동하면, 공간 29에 같은 방향으로 유입하며, 똑같이 공간 29를 채우면서 같은 방향으로 확대 유동하고 공간 31에 같은 방향으로 유입한다. 이 흐름은, 단위게이트를 통하는 대칭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와 같은 등방향성에 의해 캐비티 32는, 완전히 용융탄성재료에 의해 충만된다. 제어패널본체 7의 수지가 형성하는 벽의 면 즉 단위캐비티의 말단부 근방에 도달한 용융탄성재료는, 이와 같은 말단부라도 적정한 압력을 가지고 있다. 적정한 압력이란, 양재료의 융합층이 충분히 형성되는 압력이다. 압력은, 특정의 온도 하에서 정의된다.
이와 같은 탄성재료의 주입시, 미세한 기포가 캐비티 32에 잠입한다. 가동측 성형틀 21은 하형(밑틀)이라고도 칭하여지며, 고정측 성형틀 25는 상형(윗틀)이라고도 칭하여진다. 제2융착부 13으로부터 사면부 14로 흘러들어가는 기포는, 사면부 14가 상향이므로, 사면부 14안을 빠르게 상승하여 제1융착부 12의 외주연 가깝게 모인다. 이 형틀은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제1융착부 12의 외주연의 상방부 가까이 모인다.
공간 27에 유입한 용융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 수지는 변위가능부분 5의 표층을 용융열로 녹여 표층의 용융 ABS수지와 1분자층 정도(또는 10미크론 정도)의 두께로 혼합층이 생기고, 냉각시에 양수지가 합하여 고용체로 되며 열융착하여 융합층을 형성한다. 동시에 같은 모양의 열융착층이 공간 36에 유입한 용융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 수지와 제어패널본체 7의 용융열로서 녹여 표층의 용융 ABS수지로서 형성된다.
고정측 성형틀 25은 상하로 2분할된 투피스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방부 25a를 그 위치에 유지하여 상방부 25b를 상승시키면 게이트 33, 서브런너 34, 런너 37 중에서 냉각하여 고체화한 그림 8에 가리키는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 수지의 숲모양체 41이 떠오른다. 이것의 부상시에 각 게이트의 끝이 날카로운 침상부분에 상당하는 각 수지부분이 각 제2융착부 13으로부터 간단히 찢어진다. 면상체 11로부터 놓아진 숲모양체 41이 상방부 25b와 같이 제외된 후에 하방부 25a를 상승시키면 가동측 성형틀 21에 의해 제3도에서 표시한 제어패널 3을 풀어낼 수가 있다.
면상체 11의 탄성 및 강인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재이용이 안되는 숲모양체 41은, 폐기되던가 다른 제품을 위하여 재이용된다. 10회 정도의 재이용은 가능하다. 그렇지만 면상체 11의 체적에 비하여 폐기되는 숲모양체 41의 체적이 압도적으로 크면 코스트업의 요인으로 되지만 이와 같은 버턴 1개마다에 독립한 면상체 11의 성형에 의해 탄성 및 강인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제5도는 본 발명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실시예 2를 가리킨다. 이 실시예 2의 면상체 11와 실시예 1의 면상체 11과의 유일한 상이점은 실시예 1의 면상체 11이 원추형상 부분을 가지는 것에 대하여 실시예 2의 면상체 11을 원추형상부분을 가지지 않는 플렛트인 것에 있다. 실시형태 2에서는, 면상체를 탄성변위부분으로 바꾸어서 말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버턴은 하나의 집합을 형성한다.
단위버턴은, 실시형태 11과 똑같이 하나의 집합면 윗면에 줄지어 있다.
제어패널본체 7은, 버턴집합체를 공통하게 지지하는 지지체이다. 단위버턴은, 집합면의 법선 방향으로 위치 변화하는 위치변화부분과, 지지체에 융합하는 융합부분과 융합부분과 위치변화부분을 접속하여 위치변화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스스로도 탄성적으로 변위하는 탄성변위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변위부분 및 융합부분은 위치변화부분의 둘레에 일주하여 닫혀지며, 탄성변위부분 및 융합부분은 단위버턴마다에 대응한 단위게이트로부터 사출되는 탄성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단위게이트에는 공통의 런너로부터 탄성재료가 공급되며, 탄성변위부분을 성형하는 사출성형시에 융합부분이 형성되는 점은 실시형태 1과 같은 것이다.
고정측 성형틀 25의 하면과 변위 가능부분 6의 상면과의 사이에 탄성변위부분 11, 제1융착부 12, 제2융착부 13에 상당하는 디스크상의 공간 27이 열려지어 고정측 성형틀 25의 하면과 가동측 성형틀 21의 돌기부 22의 상면 사이에 링상의 공간 29가 열려져 있다. 고정측 성형틀 25의 하면과 제어패널 본체 7의 페인곳 28의 페인곳 12면과의 사이에 제1융착부 12에 상당하는 공간 31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 27과 공간 31은 연속하여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공간 27과 공간 29와 공간 31로서 탄성변위부분 11을 포함하는 디스크체에 상당하는 캐비티 32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캐비티 32는, 하나 하나의 탄성변위부분 11에 대응하여 독립되게 설치되어 있다. 캐비티 32의 공간 27의 중앙에 접속하는 게이트 33이 고정측 성형틀 25에 갖추어져 있다.
가동측 성형틀 21과 고정측 성형틀 25와 누름버턴 본체 6과 제어패널본체 7로서 형성되는 캐비티 32 즉 탄성변위부분 11에 상당하는 캐비티 32는 각 캐비티 고유의 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축대칭의 기준인 각 축상에 게이트 33이 위치되어져 있다. 대칭축으로부터 약간 격리된 위치에 게이트를 갖추어도 좋다.
이 실시예 2의 조작부의 조작에서는 크릭감은 적지만 탄력감은 오히려 증대한다. 변위가능부분 6의 변위량은 외소하여도 좋은 전자기기의 제어패널에 적절하다.
조립공정은, 실시예 1의 그것과 거의 동일이다. 제어패널본체 7에는 ABS 수지가, 탄성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가 쓰여지고 있다. 변위가능부분 6과 탄성변위부분 11과의 접합부 및 제어패널본체 7과 탄성변위부분 11과의 접합부는 똑같이 열융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제8도에 표시한 숲모양체 41이 10회 정도 재이용되어 폐기되는 점도 실시예1과 같다.
[실시예 3]
실시예 1, 2와 같이 실시형태 3의 조립방법에 의해 조립되는 제어패널3은 전술한 기기본체에 짜여 붙여지는 제어패널본체 7과, 제어패널본체 7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버턴 집합체로서 이루어지며 누름버턴 집합체는 제어패널본체 7의 패널면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독립하여 위치변화하는 복수의 변위가능부분 6과 제어패널본체 7에 설치되어 면상에 엷게 형성되는 제어패널본체 7에 대하여 변위가능부분의 주변부 또는 전체 둘레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면상체 11을 갖추고 있다.
제6도는, 실시예 3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의 1 공정을 표시하고 있다. 제6도에 의해 실시예 3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ABS 수지제의 제어패널본체 7은, 이미 별도공정에서 형성되어 있다. 가동측 성형률 21에 도상 凹부 51이 설비되어 있다. 가동측 성형틀 21과 같이 조형을 구성하는 고정측 성형틀 25의 하면측에는 도상의 복수의 원추체부 26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측 성형틀 21에는 원통상의 돌기부 22가 도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 22에 제어패널본체 7의 버턴삽입공 23이 삽입되어 있다. 돌기부 22와 도상 凹부 51과 원추체부 26의 하면과에 의해 변위가능부분 6에 상당하는 공간 52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면상체 11의 제2융착부 13에 상당하는 부분은 이 실시예에서는 명확히 존재하고 있지 않다. 누름버턴 본체 6과 제2융착부 13과의 동일체이다.
면상체 11의 제1융착부 13에 상당하는 정상의 결여부 53이 제어패널본체 7에 마련되어있다. 가동측 성형틀 21과 같이 조형을 구성하는 고정측 성형틀 25의 하면과 결여부 53의 테이퍼 54와의 제1융착부 12(실시예 1의 제1융착부 12에 상당)에 상당하는 공간 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은 31은 링상인 점에서 실시예 1의 그것과 틀리지 않지만, 외측은 끝이 예리한 점에서 실시예 1의 그것과 틀리다.
돌기부 22의 테이퍼 55와 원추체부 26의 원추면 56에 의해 면상체 11의 사면부 14에 상당하는 공간 57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 27과 공간 57에서 면상체 11에 상당하는 캐비티 32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 52에 의해 변위가능부분 6에 상당하는 캐비티 62가 형성되어있다. 캐비티 32와 캐비티 62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고 하나의 캐비티 61을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캐비티 61이 버턴의 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캐비티 61의 중앙에 접속하는 게이트 33이 고정측 성형틀 25에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33은, 하나 하나의 캐비티 61에 대응하여 독립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게이트 33이 하나의 게이트 33이 하나의 면상체 11에 대응하여 독립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은 실시예 1, 2와 틀리지 않는다.
가동측 성형틀 21과 고정측 성형틀 25와 제어패널본체 7로서 성형되는 캐비티 32 즉 면상체 11에 상당하는 캐비티 32는 각 캐비티에 고유의 축에 대하여 대칭인 것이다. 축 대칭의 기준인 각 축상에 게이트 33이 기히 위치되어져 있다. 대칭축으로부터 약간 격리된 위치에 게이트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나의 게이트에 접속하는 하나의 서브런너 34가 복수본 고정측 성형틀 25내로 통하여 1군의 서브런너 34의 상단이 하나의 런너 37에 접속되어 이와 같은 런너 37이 복수로 설치되어, 복수의 런너 37이 1개의 스풀 38에 접속되어 있는 점은 실시예 1, 2와 똑같다.
서브런너 34, 런너 37, 스풀 38은 어느 정도 굵은 유동용공이다. 주입공으로부터 주입되는 용융탄성재료는 1개의 스풀 38부터 복수의 런너 33의 출구에서 거의 동일의 온도와 압력을 가지고 동일압력동일온도의 조건하, 동일의 단위시간당 유량으로 각 캐비티 61에 유입한다.
이와 같이 유입하는 용융탄성재료는 거의 동일한 속도로 각 캐비티 62내를 유동한다. 용융탄성재료가 공간 52를 채우면서 등방향적으로 확대 유동하여 공간 57에 등방향적으로 유입하며 똑같이 공간 57을 채우면서 등방향적으로 확대 유동하여 공간 31에 등방향적으로 유입한다.
이와 같은 등방향성에 의해 캐비티 32는 완전히 용융탄성재료에 의하여 충만된다. 용융탄성재료는 이웃하는 공간 31, 31의 외방의 날카로운 단부에 거의 동시에 도착하여 합쳐지는 날카로운 단부에서 약간 혼합되어 면상체 둥지의 일부에 공통부분으로서 흘러들어 성형되지만 교류는 거의 없다. 이와 같은 탄성재료의 주입시 미세한 기포가 캐비티 32에 잠입한다. 사면부 14에 흘러 들어가는 기포는 사면부 14가 상향이므로 사면부 14중을 빠르게 상승하고, 제1융착부 12의 외주연의 날카로운 단부에 몰린다.
열융착층이 공간 31에 유입한 용융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 수지와 제어패널본체 7의 표층을 용융열에서 녹여 표층의 용융 ABS 수지로서 형성된다. 변위가능부분 6과 사면부 14와는 완전히 일체물이다. 그림 8에 표시한 것같은 숲모양체 41의 침상부분이 변위가능부분 6으로부터 간단히 찢어진다. 면상체 11로부터 떨어진 숲모양체 41이 상방부 25와 같이 제외시킨 후에 하방부 25a를 상승피키면은 가동측 성형틀 21에 의해 그림 3에 표시한 제어패널 3을 끌어낼 수가 있다.
면상체 11의 탄성 및 강인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재이용이 행하여지지 않는 숲모양체 41은 폐기되던지 다른 제품을 위하여 재이용된다. 면상체 11의 체적에 비하여 폐기되는 숲모양체 41의 체적이 압도적으로 크면, 코스트업의 요인이 되지만 이와 같이 버턴 1개마다에 독립한 면상체 11의 성형에 의해 탄성 및 강인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품질을 안정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1, 2, 3과 같이 본 발명의 조립방법에 의한 조립되는 제어패널3은 전자기기 본체에 짜여 붙여진 제어패널본체 7과, 제어패널본체 7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버턴 집합체로서 이루어지며, 누름버턴 집합체는 제어패널본체 7의 패널면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독립하여 위치 변화하는 복수의 변위가능부분 6과 제어패널본체 7에 설치되는 면상에 엷게 형성되어 제어패널본체 7에 대하여 변위가능부분의 주변부 또는 전주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면상체 또는 탄성변위부분 11을 갖추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제7도에 의해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ABS 수지제의 제어패널본체 7은, 기히 별공정에서 성형되어 있다. 가동측 형판 21(이하, 가동측 성형틀 21이라고 함)에 격자상 돌기부 22가 설치되어 있다. 격자상돌기부 22에 외측부터 제어패널본체 7의 버턴삽입공 23이 끼워져 있다. 버턴본체인 변위가능부분 6의 일부가 끼워지는 버턴 본체삽입공 24가 도상으로 가동측성형틀 21에 설치되어있다. 실시예 1과 다르며, 이 실시예의 누름버턴 본체 6a는 두부 6a1과 목부 6a2로 이루어진다. (두부6a1과 목부 6a2의 형상은 점선을 끌어내는 선에서 표시한 것같이 그림7의 캐비티의 형으로 이해된다)
제어패널본체 7에는 면상체 11의 제1융착부 12에 상당하는 링상의 페인곳 28이 설치되어 있다.(제3도 참조). 가동측 성형틀 21과 같이 조형을 구성하는 고정측 성형틀 35의 하면측에는 도상으로 복수의 원추체부 26이 설치되어 있다. 각 원추체부 26의 하면과 변위부분 6의 상면과의 사이에 면상체 11의 제2융착부 13에 상당하는 링상의 공간 27a이 열려져 있다. 원추체부 26의 원추면과 가동측 성형틀 21의 원추면부와의 사이에 원추면상 공간 29가 열려있다.
고정측 성형틀 25의 하면과 제어패널본체 7의 페인곳 28(제3도 참조)의 페인면과의 사이에 제1융착부 12에 상당하는 공간 31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목부 6a2에 상당하는 페인곳 71이 고정측 성형틀 25의 하단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공간 27a와 공간 29와 공간 31과 버턴본체 6a에서 면상체 11에 상당하는 캐비티 32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캐비티 32가 하나 하나의 면상체 11에 대응하여 독립하게 설치되어 있다. 버턴본체 631의 하단면(제7도에서 상단면)에서 되는 버턴내 런너 72가 축방향에 통하게 되어 있다. 버턴내 런너 72는 2상단(도면에서는 하단)에서 반경방향에 향하는 3개의 분기런너 73, 73, 73에 분기한다. 분기런너 73, 73, 73의 각 선단은, 공간 27a에 통하여 있다. 서브런너 34의 하단게이트 33이 버턴내 런너 72의 하단에 접속하고 있다.
가동측 성형틀 21과 고정측 성형틀 25와 누름버턴 본체 6과 제어패널본체 7로서 성형되는 캐비티 32 즉 면상체 11에 상당하는 캐비티 32는 각 캐비티에 고유의 축에 대하여 대개 대칭이다. 축대칭의 기준인 각 축상에 게이트 33이 위치되어져 있다. 게이트 33은 하나 하나의 캐비티 32에 대응하여 독립하게 설치되어 있다.
용융탄성재료는 각 게이트 33의 출구에서 거의 동일한 온도와 압력을 가지며 동일압력, 동일온도 조건하 동일의 단위시간당 유량으로 버턴내 런너 72, 3본의 분기런너 73, 73, 73을 게재하여 각 캐비티 32에 유입한다. 이와 같이 유입하는 용융탄성재료는 거의 동일한 속도로 각 캐비티 32내를 유동한다. 용융단성재료가 공간 27을 채우면서 등방향적으로 확대유동하고, 공간 29에 등방향적으로 유입하여 같은 공간 29를 채우면서 등방향적으로 확대유동하여 공간 31에 등방향적으로 유입한다.
이와 같은 등방향성에 의해 캐비티 32는 완전히 용융탄성재료에 의해 충만된다.
이와 같은 탄성재료는 주입시 미세한 기포가 캐비티 32에 잠압한다. 가동측 성형틀 21은 하형이라고도 칭하며 고정측 성형틀 25는 상형이라고도 칭한다. 제2융착부 13부터 사면부 14에 흘러 들어가는 기포는 사면부 14가 상향이므로 사면부 14중을 빠르게 상승하여 제1융착부 12의 외주면 가까이에 몰린다.
공간 27에 유입한 용융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 수지는 변위가능부분 6의 표층을 용융열로 녹여 표층의 용융 ABS수지와 1분자 층정도의 두께의 혼합층이 생겨 냉각시에 양수지가 응집하여 고용체로 되며 열융착층을 형성한다. 동시에 똑같은 열융착층이 공간 31에 유입한 용융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 수지와 제어패널본체 7의 표층을 용융열로 녹여 표층의 용융 ABS수지로서 형성된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용도, 코스트, 재료의 변경, 사이즈의 대소 등 설계변경에 응하여 자재로 개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조립방법은 휴대용 전화기에 한하지 않고 전자기기 일반에 적용시킬 수가 있다. 열가소성 탄성재로서는 연질 경질의 열가열성 에라스토머가 쓰여지고 에라스토머 폴리우레란계 에라스토머, 오레핀계 에라스토머 등의 합성수지가 쓰여지고 있지만 광투과성인 것도 쓸 수가 있다.
누름버턴 본체 7의 재료로서 경질의 것을 좋아하는 소유자를 위한 야외사용의 휴대용 전화기에는 광투명성의 ABS수지, 나일론폴리카포네이트, PBT, 폴리프로필렌 등에서 선택되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선택할 수가 있다.
별도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어패널본체 7은 가동측 성형틀 21을 공통으로 사용하여 인서트 성형할 수가 있다. 타원상의 버턴을 성형할 경우에는 타원상 캐비티의 2촛점 근방에 게이트가 갖추어져 있다. 이 경우 2 게이트가 단위게이트를 형성한다. 손가락 접촉부를 형성하는 경질부분에는 투명재료, 각종 칼라수지가 사용되어 경질부분에는 문자, 기호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형광도료를 투명수지에 혼합할 수도 있다.
[전자현미경 사진의 설명]
제12도는 어느 온도조건하에서 압력으로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머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폴리카포네이트로 형성한 캐비티에 주입하여 인서트 재질성형을 행한 후에 용재로서 폴리카포네이트을 용출시켜 남은 에라스토머의 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충실히 특허도면전문가가 재현한 사시도이다. 좌하부로부터 우상부에 명백한 폭 약 수미크론의 2가지 형상 대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대상, 반경 1cm∼10cm의 원의 일부라고 추정된다. 전면에 1미크론 정도 폭의 미세 대상 돌기가 불규칙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상에는 침상의 돌기가 무수히 나와 있다. 이것들은 대소의 크라스터의 열진동에 의해 상대측의 재료에 들어 섞여져 짜여지기 때문에 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13도는 올레핀계 수지를 폴리카포네이트로 형성한 캐비티에 주입하여 인서트 재질성형을 행한 후에 용재로서 폴리카포네이트을 용출시켜 남은 올레핀계 수지의 면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될 수 있는대로 전문가가 재현한 사시도이다. 이 비교예에서는 사출압력을 낮게 설정하였다. 비교예로서는 큰 대상 돌기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침상돌기는 실질적이지 않다. 기타의 비교실험을 행한 즉, 에라스토머 경질수지 사이에는 압력이 낮은 경우에 해도상의융합은 일어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말하여지는 융착은 번텔월스카의 힘에 의한 표면접합에 지나지 않는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어패널의 조립방법에 의하면 버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엷고 많은 지지체가 동일 품질로 성형된다.
다른 재질사출 열융착성형의 이점이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

Claims (19)

  1. 전자기기본체에 짜맞추어진 제어패널본체(7)와, 전술한 제어패널 본체(7)인 지지체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버턴 집합체로서 이루어지며, 전술한 누름버턴 집합체를 구성하는 단위와, 전술한 제어패널본체(7)의 패널면에 대하여 법선 방향에 독립하여 위치를 변화하는 복수의 위치변화부분(6)과, 전술한 제어패널본체(7)에 접합하여 면상에 엷게 형성되어 전술한 패널본체(7)에 대하여 전술한 위치의 변화부분(6)의 주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면상체(11)로서 형성되어, 전술한 면상체와 전술한 제어패널본체와의 접합하는 접합부분을 실질적으로 일주하여 닫혀지며, 전술한 면상체(11)는 전술한 위치변화부분(6)에 전술한 단위마다에 대응하여 독립한 게이트(33)로부터 사출되는 탄성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전술한 위치변화부분 및 전술한 면상체는 전술한 단위버턴마다에 대응한 단위게이트로부터 사출되는 탄성재료에 의해 성형되며, 전술한 탄성변위부분 및 전술한 면상체를 성형하는 사출성형시에 전술한 면상체(11)와 전술한 제어패널본체(6)와의 접합이 용융열에 의해 행하여지는 제어용 패널의 조립방법.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법선 방향으로 향한 대칭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인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3. 복수의 단위버턴에 집합되어 있는 버턴집합체와, 복수의 전술한 단위버턴이 집합하여 있는 집합면을 형성하여 전술한 버턴집합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지지체에 대하여 전술한 집합면의 법선 방향에 위치변화하는 위치변화부분과, 전술한 지지체에 융합하는 융합부분과, 전술한 융합부분과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을 접속하여 전술의 위치변화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스스로도 탄성적으로 변화하는 탄성변위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탄성변위부분 및 전술한 융합부분은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의 주위에 실질적으로 일주하여 닫혀지며, 전술한 탄성변위부분 및 전술한 융합부분은 전술한 단위버턴마다에 대응한 단위게이트로부터 사출되는 탄성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전술한 단위게이트에는 공통의 런너로부터 전술한 탄성재료가 공급되어, 전술한 탄성변위부분을 성형하는 사출성형시에 전술한 융합부분이 형성되는 제어용 패널의 조립방법.
  4.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법선 방향에 향하는 대칭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인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
  5.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단위게이트는 실질적으로 대칭축상에 위치되어진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6.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단위게이트는 실질적으로 대칭축상에 위치되어진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7.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법선 방향으로 향한 대칭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하며, 전술한 면상체(11)는 부분 추상체인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8.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법선 방향에 향한 대칭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전술한 면상체(11)는 부분원추상이며, 전술한 접합은 융합인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9.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탄성재료는 열가소성 에라스토머(elastomer)이며, 전술한지지체의 재료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며, 전술한 융합은 전술한 탄성재료의 용융열로서 전술한 양 재료가 녹아 합쳐져 해도상으로 섞여 합치는 물리적 상태인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10.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탄성재료는 열가소성 에라스토머(elastomer)이며, 전술한지지체의 재료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며, 전술한 융합은 전술한 탄성재료의 용융열로서 전술한 양 재료가 녹아 합쳐져 해도상으로 섞여 합치는 물리적 상태인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11. 복수의 전술한 단위버턴이 집합하여 있는 집합면을 형성하여 전기버턴집합체를 지지하늘 지지체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지지체에 대하여 전술한 집합면의 법선 방향으로 위치 변화하는 위치 변화부분과, 전술한 지지체에 융합하는 융합부분과, 전술한 융합부분과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을 접속하여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스스로도 탄성적으로 변위하는 탄성변위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탄성변위부분 및 전술한 융합부분은 전술한 위치변화부분의 주위에 실질적으로 일주하여 닫혀지고, 전술한 탄성변위부분 및 전술한 융합부분은 전술한 단위버턴마다에 대응한 단위게이트로부터 사출되는 탄성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전술한 단위게이트에는 공통의 런너로부터 전술한 탄성재료가 공급되어, 전술한 탄성변화부분을 성형하는 사출성형시에 전술한 융합부분이 형성되어, 전술한 단위버턴은 전술한 법선 방향으로 향한 대칭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전술한 융합부분은 원환상인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12. 청구범위 제11항에 있어서, 전술한 융합부분은 타원상이며, 전술한 단위게이트는, 단위버턴 마다에 2 위치에 설치되어, 전술한 2 위치는 전술한 타원의 2촛점 근방에 위치되어져 있는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13.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지지체를 성형하는 공정과 전술한 지지체를 조형(21,25)에 삽입하는 공정과, 전술한 조형(21,25)과 전술한 지지체에 의해 실질적으로 독립한 단위캐비티(32)로 이루어지는 집합캐비티를 형성하는 공정과, 전술한 단위캐비티(32)에 단위마다 탄성재료를 단위게이트로 주입하여 전술한 단위캐비티를 형성하는 전술한 지지체의 캐비티의 벽면까지 압송하는 공정과, 전술한 캐비티(32)내에서 유동하여 퍼지는 전술한 탄성재료로 엷은 막을 형성할 때에 전술한 탄성재료의 용융열로서 전술한 캐비티 벽면을 융해하고 전술한 탄성재료와 벽면재료가 융합하는 실질적으로 일주하여 닫히는 융합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전술한 조형의 형 열림을 행하여 숲모양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단위 캐비티는 1단위마다에 대칭축에 대하여 기히 대칭이며, 점도가 높은 전술한 탄성재료는 전술한 대칭축에 대하여 기히 대칭하여 전기단위 캐비티 내에서 확대 유동하여 전술한 벽면상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전술한 벽면에 도달하여, 전술한 단위게이트의 집합은 공통의 런너에 접속하여 있는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
  14.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전술한 탄성재료는 에라스토머이며, 전술한 벽면재료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며, 전술한 융합층은 전술한 탄성재료의 용융열로 전술한 탄성재료와 전술한 벽면재료가 녹아 합쳐져 해도상으로 섞여 합치는 물리적 상태인 제어패널 조립방법.
  15.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전술한 단위캐비티(32)에 접속하는 게이트(33)는 실질적으로 대칭축상에 위치되어져 있는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16.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단위게이트로부터 동심상으로 확대유동하며 또는 전술한 대칭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
  17.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단위캐비티는 주연부에서 조절한 공통부분을 가지는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18.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전술한 캐비티의 집합은 적어도 2개의 부분집합으로 이루어지며, 1개의 부분집합의 단위게이트는 공통의 서브런너에 접속하며 타의 부분 서브런너에 접속하며, 전술한 2개의 접속하고 있는 제어패널의 조립방법.
  19. 청구범위 제18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게이트의 위치에서 전기탄성재의 압력이 균등화되도록 전술한 서브런너의 길이 및 단면적이 조절되게 하고있는 제어패널의 조립 방법.
KR1019960010559A 1995-06-09 1996-04-09 제어용 패널의 조립방법 KR100194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5-167990 1995-06-09
JP16799095 1995-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495A KR970000495A (ko) 1997-01-21
KR100194138B1 true KR100194138B1 (ko) 1999-06-15

Family

ID=1585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559A KR100194138B1 (ko) 1995-06-09 1996-04-09 제어용 패널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95525A (ko)
EP (1) EP0747195B1 (ko)
KR (1) KR100194138B1 (ko)
CN (1) CN1063381C (ko)
DE (1) DE69603787T2 (ko)
TW (1) TW3289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8828B1 (fr) * 1996-05-17 1998-07-10 Smh Management Services Ag Ensemble comprenant une boite de montre en plastique dur et au moins un poussoi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ensemble
WO2000027605A1 (en) * 1998-11-06 2000-05-18 Critical Device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reseal element for a needleless injection site
TW498710B (en) * 1999-01-22 2002-08-11 Taisei Plas Co Ltd Control panel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GB2346739B (en) * 1999-02-12 2002-12-18 Nokia Mobile Phones Ltd Keypad structure
EP1054420A1 (de) * 1999-05-18 2000-11-22 Molex Incorporated Tastenfeld für ein elektrisches oder elektronisches Gerät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0359519B1 (ko) * 2000-03-16 2002-10-31 주식회사 동남 실리콘 키패드 일체형 통신기기용 전면 커버
US6482346B1 (en) * 2000-11-21 2002-11-19 Ross Alcazar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mold display
US20030078658A1 (en) 2001-01-25 2003-04-24 Gholam-Reza Zadno-Azizi Single-piece accomodating intraocular lens system
US6821467B2 (en) * 2001-08-31 2004-11-23 Multi-National Resources Method of making a thin film keypad
JP2003178639A (ja) * 2001-12-12 2003-06-27 Sunarrow Ltd ハードベース・キーユニット
JP2005079036A (ja) * 2003-09-03 2005-03-24 Sunarrow Ltd キー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376262B (zh) * 2007-08-30 2011-05-0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成型件及制成该成型件的双色成型方法
KR100925736B1 (ko) * 2007-09-03 2009-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 패널 윈도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TWI531460B (zh) * 2010-12-30 2016-05-01 先鋒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模具構件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5025A (en) * 1979-10-22 1983-05-24 Barry Wright Corporation Method of coinjection molding of thermoplastic and thermoplastic elastomer
SE433675B (sv) * 1981-04-09 1984-06-04 Ericsson Telefon Ab L M Forfarande for tillverkning av en tryckknappsats
EP0162037B1 (de) * 1984-03-21 1989-04-26 Franz Sterner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pritzgussteilen und Spritzgussfor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4636593A (en) * 1985-03-13 1987-01-13 Motorola Inc. Light conducting, elastomeric membrane keypad
US4775574A (en) * 1986-04-14 1988-10-04 Shin Etsu Polymer Co., Ltd. Covering member of keyboard and a base plate therefor
JPH0611507B2 (ja) * 1986-10-08 1994-02-16 末広産業株式会社 複数個の可動突出部を備えた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US4818829A (en) * 1987-07-09 1989-04-04 Duralith Corporation Integrally molded composites of silicone rubber
JPH0794137B2 (ja) * 1991-02-08 1995-10-11 大成プラス株式会社 押ボタンとその製造方法
JPH0779191B2 (ja) * 1991-04-08 1995-08-23 株式会社東芝 立体配線板の製造方法
DE4307909A1 (de) * 1993-03-12 1994-09-15 Marquardt Gmbh Gehäuseteil mit Drucktastenscha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381C (zh) 2001-03-21
DE69603787T2 (de) 1999-12-09
CN1148536A (zh) 1997-04-30
EP0747195A1 (en) 1996-12-11
DE69603787D1 (de) 1999-09-23
KR970000495A (ko) 1997-01-21
EP0747195B1 (en) 1999-08-18
US5795525A (en) 1998-08-18
TW328924B (en) 199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4138B1 (ko) 제어용 패널의 조립방법
US6571457B2 (en) Control panel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105260B2 (ja) 光学素子の製造方法及び光学素子
JP4579781B2 (ja) 圧縮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8258589A (ja) 電子装置用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234712A1 (en) Method of molding hollow component with high strength and sealability and the hollow component
JPH09259697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ングシート構造
US5679304A (en) Method of making a push button which is unbonded to a panel cover
US7981345B2 (en) Fabrication method of products with closed micro-channels by injection molding
CN101456235B (zh) 双色模制方法
JP2009149070A (ja) 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9149071A (ja) 成形品の製造方法
JP3554628B2 (ja) 制御用パネルの組立方法
JP2681064B2 (ja) 押ボタンを含む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CN112549439B (zh) 一种多色注塑件及其注塑工艺
JPH09259696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ングシート構造
JP2010111045A (ja) 射出成形体の製造方法
JPH09174599A (ja) パネルの2色成形方法
CN100406228C (zh) 内沟型凸轮筒的制造方法
JP2009143222A (ja) レザークロス付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39218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用金型
JP2009149062A (ja) 成形品の製造方法
JP4407810B2 (ja) 型内被覆成形用金型
JP2649025B2 (ja) 押ボタンを含む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H069878B2 (ja) 操作ボタン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