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485B1 -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485B1
KR100193485B1 KR1019940028671A KR19940028671A KR100193485B1 KR 100193485 B1 KR100193485 B1 KR 100193485B1 KR 1019940028671 A KR1019940028671 A KR 1019940028671A KR 19940028671 A KR19940028671 A KR 19940028671A KR 100193485 B1 KR100193485 B1 KR 100193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rotation speed
curve
roa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285A (ko
Inventor
정우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4002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485B1/ko
Publication of KR96001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485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차량 변속기의 동력 출력측에 장착되어, 변속기 출력측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1펄스 제너레이터와 ; 차량 차륜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차륜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2펄스 제너레이터와 ; 상기 제1,2펄스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제1, 2 회전수를 감지한 다음, 감지되는 제2회전수와 제1회전수에 커브길 주행시 차륜 회전수 증가율 경계치인 제1, 2 설정값을 각각 곱한 값의 대소 비교를 통하여, 제2펄스 제너레이터가 장착된 차륜 회전수의 증감에 따른 주행 도로의 커브 상태를 판단하여, 커브길 주행에 해당하는 변속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하여 그에 해당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수단과 ; 변속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변속신호에 따라 변속기구로 인가되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여 설정된 변속단으로의 변속동작을 수행하는 변속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는, 저가의 펄스 제너레이터를 각각 변속단기의 출력부와 차륜에 장착하여 감지되는 회전수의 차이에 따라 주행도로의 커브상태를 판단하여, 커브주행에 따른 별도의 시프트 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함으로써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를 방지하여 사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의 구성 블럭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길 주행시의 차량 상태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의 변속단 설정 그래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발명은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저가의 펄스 제너레이터를 각각 변속기의 출력부와 차륜에 장착하여 감지되는 회전수의 차이에 따라 주행도로의 커브상태를 판단하여, 커브주행에 따른 별도의 시프트 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함으로써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를 방지하여 사고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 차량에 있어서 변속은 차량에 설정되어 있는 시프트 패턴에 따라 제어된다. 차량의 속도와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시프트 내턴에 의하여 주행상태에 따라 적절한 변속단으로 변속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한 자동변속 차량의 시프트 패턴은 차량이 평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 한해서 작동되어 설정된 것이므로, 골곡상태가 심한 커브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의지에 상관없이 변속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차속을 감속시키지 않고 급커브를 도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속을 감속시키기 위하여 가속페달을 떼어도 시트프 패턴이 업시프트되어 차속이 더욱 가속되어 바깥쪽으로 차량이 밀리게 되어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커브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변속단을 설정하여 적절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 이와 같은 커브길 주행시의 변속단 설정을 위하여 현재의 주행도로의 상태를 감지하여야 한다.
종래의 주행도로의 굴곡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횡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과, 안티 락 브레이트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 ABS)이 장착된 차량에서 각 차륜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판단하는 방법과, 핸들에 센서를 부착하여 핸들의 기울임으로 굴곡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현재의 주행도로의 상태의 굴곡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센서나, 고가의 ABS 장치 등을 장착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가의 펄스 제너레이터를 각각 변속기의 출력부와 차륜에 장착하여 감지되는 회전수의 차이에 따라 주행도로의 커브상태를 판단하여, 커브주행에 따른 별도의 시프트 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함으로써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를 방지하여 사고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이 발명의 구성은, 차량 변속기의 동력출력측에 장착되어, 변속기 출력측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펄스 제너레이터와 ; 차량 차륜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차륜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펄스 제너레이터와 ; 상기 제1, 2 펄스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제1, 2 회전수를 감지한 다음, 감지되는 제2 회전수와 제1 회전수에 커브길 주행시 차륜 회전수 증가율 경계치인 제1, 2 설정값을 각각 곱한 값과 대소 비교를 통하여, 제2 펄스 제너레이터가 장착된 차륜 회전수의 증감에 따른 주행도로의 커브 상태를 판단하여, 커브길 주행에 해당하는 변속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하여 그에 해당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수단과 ; 상기 변속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변속신호에 따라 변속기구로 인가되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여 설정된 변속단으로의 변속동작을 수행하는 변속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차량에 시동이 걸려 전원이 인가되면 모든 사용변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 변속기의 출력회전수인 제1 회전수와 차륜 회전수인 제2 회전수를 감지하는 단계와 ; 상기 감지되는 제2 회전수와 제1 회전수에 커브길 주행시 차륜 회전수 증가율 경계치인 제1, 2 설정값을 각각 곱한 값과의 대소 비교를 통하여, 제2 펄스 제너레이터가 장착된 차륜 회전수의 증감에 따른 주행도로의 커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 상기에서 주행도로가 커브길인 것으로 판단되면 감지되는 제1 회전수와 제2 회전수의 관계에 따라 설정된 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하는 단계와 ; 상기에서 주행도로가 커브길이 아닌 경우에는 통상의 시프트 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의 구성 블럭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길 주행시의 차량 상태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의 변속단 설정 그래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방법의 동작순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의 구성은, 변속단의 입력부에 장착되어 도시하지 않은 토크 컨버터로부터 출력되어 변속단으로 입력되는 동력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제1 펄스 제너레이터(10)와, 차륜의 입력단에 장착되어 상기 변속단에서 출력되어 각 차륜으로 전달되는 동력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제2 펄스 제너레이터(20)와, 가속페달에 연동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스로틀 밸브 감지부(30)와, 상기 제1, 2 펄스 제너레이터(10, 20)와 스로틀 밸브 감지부(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주행도로의 굴곡상태를 판단하여 주행도로의 상태에 따른 변속단을 설정하여 그에 해당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부(30)와, 상기 변속 제어부(4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변속신호에 따라 변속동작을 수행하는 변속 솔레노이드 밸브(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에 시동이 걸려 전원이 인가되면 각 작동장치는 초기화되고 변속 제어부(40)는 모든 사용변수를 초기화한 다음(S110), 현재의 주행도로의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변속 제어부(40)는 현재 주행도로의 굴곡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1 펄스 제너레이터(10)와 제2 펄스 제너레이터(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펄스 제너레이터(10)는 변속기에서 출력되는 동력이 각 차륜으로 전달되는 출력측에 장착되어, 엔진에서 출력된 동력이 설정된 변속단에 따라 변속되어 각 차륜에 전달되는 변속기의 출력측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변속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상기의 제2 펄스 제너레이터(20)는 자동차의 앞좌측 차륜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차륜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변속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변속기의 출력측과 각 차륜 즉, 구동륜에 연결된 차동장치(differential gear)에 의하여, 예를 들어 우측으로 자동차가 선회하는 경우에 우측의 구동륜의 저항이 증가하여 회전수가 감소하게 되면, 우측의 구동륜의 회전수가 감소하는 만큼 좌측의 구동륜의 회전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원리에 의하여 직선도로에서는 변속기에서 출력된 동력이 각 차륜에 동일하게 전달되므로 변속기의 출력측에서 감지되는 회전수와 차륜에서 감지되는 회전수가 동일하게 측정이 되나, 굴곡이 있는 커브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변속기의 출력측에서 감지되는 회전수와 차륜에서 감지되는 회전수가 다르게 측정이 된다.
상기의 원리에 따라 변속 제어부(40)는 제1 펄스 제너레이터(10)와 제2 펄스 제너레이터(20)에서 출력되는 회전수를 감지한 다음 감지되는 회전수의 관계를 비교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펄스 제너레이터(10)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를 제1 회전수(A)라 하고, 제2 펄스 제너레이터(20)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를 제2 회전수(B)라 설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차량이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 선회하는 커브길을 주행하는 경우에, 차량의 좌우 차륜의 회전수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브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우측 차륜의 저항이 증가하여 회전수가 감소하게 되므로 좌측 차륜의 회전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펄스 제너레이터(20)가 좌측 차륜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감지되는 제1 회전수(A)보다 제2 회전수(B)가 더 증가하게 된다.
상기에서 변속 제어부(40)는 제2 펄스 제너레이터(20)로부터 출력되는 제2 회전수(B)와 제1 펄스 제너레이터(10)에서 출력되는 제2 회전수(B)에 제1 설정값을곱한 값과의 관계를 판단하여(S140), 상기 제2 회전수(B)가 제1 회전수 × 제1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주행도로가 우측으로 선회하는 커브길로 판단한다.
다시 말하자면, 우측으로 선회하는 커브길인 경우에는 우측 차륜의 저항이 증가하여 회전수가 감소하므로, 좌측 차륜에 장착된 제2 펄스 제너레이터(20)로부터 감지되는 제2 회전수가 변속기로부터 출력되는 제1 회전수(A)보다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제1 설정값은 커브길 주행에 따라 증가하는 차륜의 회전수의 증가율 경계치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값은 1.2이다.
상기에서 현재 주행도로가 커브길로 감지가 되면, 상기 변속 제어부(20)는 첨부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감지되는 제1 회전수(A)와 제2 회전수(B)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하여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를 방지한다.
상기에서 제2 회전수(B)가 제1 회전수(A) × 제1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2 회전수(B)와 제1 회전수(A)에 제2 설정값을 곱한 값과의 관계를 판단한다(S150). 상기에서 제2 회전수(B)가 제1 회전수(A) × 제2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주행도로가 좌측으로 선회하는 커브길로 판단한다.
다시 말하자면, 좌측으로 선회하는 커브길인 경우에는 좌측 차륜의 저항이 증가하여 좌측 차륜의 회전수가 감소하므로, 좌측 차륜에 장착된 제2 펄스 제너레이터(20)로부터 감지되는 제2 회전수가 변속기로부터 출력되는 제1 회전수(A)보다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제2 설정값은 커브길 주행에 따라 감소하는 차륜의 회전수 감소율 경계치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설정값은 0.8이다.
상기에서 현재 주행도로가 좌측으로 선회하는 커브길로 감지가 되면, 변속 제어부(40)는 첨부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감지되는 제1 회전수(A)와 제2 회전수(B)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하여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를 방지한다.
상기에서 변속 제어부(40)는 감지되는 제2 회전수(B)가 제1 회전수(A) × 제1 설정값보다 작고 제1 회전수(A) × 제2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주행도로가 커브길이 아닌 직선도로인 것으로 판단하여 감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른 일반적인 시프트패턴에 의하여 변속단을 설정한다.
상기 변속 제어부(40)가 주행도로의 상태와 현재의 차속에 따라 설정된 변속단에 해당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면, 변속 솔레노이드 밸브(50)는 상기 변속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변속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변속기구로 인가되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여 변속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가의 펄스 제너레이터를 각각 변속단기의 출력부와 차륜에 장착하여 감지되는 회전수의 차이에 따라 주행도로의 커브상태를 판단하여, 커브주행에 따른 별도의 시프트 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함으로써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를 방지하여 사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차량 변속기의 동력 출력측에 장착되어, 변속기 출력측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 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펄스 제너레이터와 ; 차량 차륜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차륜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펄스 제너레이터와 ; 상기 제1, 2 펄스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제1, 2 회전수를 감지한 다음, 감지되는 제2 회전수와 제1 회전수에 커브길 주행시 차륜 회전수 증가율 경계치인 제1, 2 설정값을 각각 곱한 값과의 대소 비교를 통하여, 제2 펄스 제너레이터가 장착된 차륜 회전수의 증감에 따른 주행도로의 커브 상태를 판단하여, 커브길 주행에 해당하는 변속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하여 그에 해당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수단과 ; 상기 변속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변속신호에 따라 변속기구로 인가되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여 설정된 변속단으로의 변속동작을 수행하는 변속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변속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되는 제2 회전수가 상기 제1 회전수에 커브길 주행시 차륜의 회전수 증가율 경계치인 제1 설정값을 곱한 값보다 큰 경우와, 상기 제1 회전수에 커브길 주행시 차륜의 회전수 감소율 경계치인 제2 설정값을 곱한 값보다 작은 경우에 현재 주행도로가 커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속페달에 연동하는 스로틀 밸브와 개도량을 측정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밸브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변속 제어수단은, 감지되는 제2 회전수가 제2 설정값과 제1 회전수를 곱한 값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주행도로가 커브길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감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라 통상의 시프트 패턴에 의하여 변속단을 설졍하여 그에 해당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5. 차량에 시동이 걸려 전원이 인가되면 모든 사용변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 변속기의 출력회전수인 제1 회전수와 차륜 회전수인 제2 회전수를 감지하는 단계와 ; 상기 감지되는 제2 회전수와 제1 회전수에 커브길주행시 차륜 회전수 증가율 경계치인 제1, 2 설정값을 각각 곱한 값과의 대소 비교를 통하여, 제2 펄스 제너레이터가 장착된 차륜 회전수의 증감에 따른 주행도로의 커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 상기에서 주행도로가 커브길인 것으로 판단되면 감지되는 제1 회전수와 제2 회전수의 관계에 따라 설정된 변속 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하는 단계와 ; 상기에서 주행도로가 커브길이 아닌 경우에는 통상의 시트프 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제1, 2 회전수에 따라 주행도로의 커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제2 회전수와 커브길 주행에 따른 차륜 회전수 증가율 경계치인 제1 설정값에 제1 회전수를 곱한 값과의 관계를 판단하는 단계와 ; 상기 제2 회전수가 제1 설정값에 제1 회전수를 곱한 값보다 작은 경우에, 감지되는 제2 회전수와 커브길 주행에 따른 차륜의 회전수 감소율 경계치인 제2 설정값에 제1 회전수를 곱한 값과의 관계를 판단하는 단계와 ; 상기에서 감지되는 제2 회전수가 제1 설정값에 제1 회전수를 곱한 값보다 크거나, 제2 설정값에 제1 회전수를 곱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커브길 주행에 따라 차륜의 회전수가 증가 및 감소하는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방법.
KR1019940028671A 1994-11-02 1994-11-02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방법 KR100193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671A KR100193485B1 (ko) 1994-11-02 1994-11-02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671A KR100193485B1 (ko) 1994-11-02 1994-11-02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285A KR960017285A (ko) 1996-06-17
KR100193485B1 true KR100193485B1 (ko) 1999-06-15

Family

ID=6668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671A KR100193485B1 (ko) 1994-11-02 1994-11-02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634B1 (ko) * 1996-12-11 2003-04-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t차량의곡선주행판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285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2195B1 (en) Shift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816401B2 (ja) 自動車用変速機制御装置
JPH08258588A (ja) 車両における路面状態検出装置
US60980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change of a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WO2011027441A1 (ja) 車両制動力制御装置
JP4903828B2 (ja) 自動変速を有した乗り物に実現するために意図された、滑りやすい地面を検出する方法
KR970007726B1 (ko) 급제동시의 제동거리 단축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6740004B2 (en) Control apparatu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shift operatio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00193485B1 (ko)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방법
JPH08105538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0302727B1 (ko) 자동 변속기의 차속 감지부 고장시 변속 제어방법
JP2687610B2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速度比制御装置
JP3985450B2 (ja) 駆動力制御装置
KR100194647B1 (ko) 내리막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580788B2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速度比制御装置
JP4047002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561151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112317A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付車両の自動変速機制御装置
KR0158150B1 (ko) 자동변속 차량의 감속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188006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535697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926029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0285465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JP3456314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593648B2 (ja) 変速機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