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469B1 -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 Google Patents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469B1
KR100193469B1 KR1019950059819A KR19950059819A KR100193469B1 KR 100193469 B1 KR100193469 B1 KR 100193469B1 KR 1019950059819 A KR1019950059819 A KR 1019950059819A KR 19950059819 A KR19950059819 A KR 19950059819A KR 100193469 B1 KR100193469 B1 KR 100193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act switch
panel
elastic
structur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564A (ko
Inventor
조현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59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469B1/ko
Publication of KR97005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469B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택트스위치의 버튼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택트스위치의 버튼은 패널의 버튼삽입공에 삽입되는 버튼몸체와 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몸체와 탄성접촉하는 택트스위치와 버튼몸체의 탄성체 지지부 내측 또는 외측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패널의 버튼삽입공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몸체의 단부측에 결합되는 버튼캡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버튼과 버튼캡 및 탄성체가 각기 분리 형성된 구조로서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외관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본 발명은 택트스위치용 버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버튼 몸체의 일측에 탄성체를 형성하고 버튼캡을 버튼몸체와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버튼몸체와 버튼캡이 패널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버튼의 분해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외관상 미감을 나타내도록 한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제품에서 흔히 사용되는 택트스위치는 전면 패널상에 노출형성된 버튼과 결합되어 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택트스위치 및 이와 결합된 버튼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는 종래 택트스위치 버튼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접촉돌기(1a)가 형성된 택트스위치(1)는 그 단자(1b)가 기판(2)을 관통하여 납땜에 의해서 기판(2)상에 고정되며, 패널(3)상에 형성된 버튼삽입공(3a) 내로 삽입되고 버튼(4)의 그 단부상에 형성된 요홈부(4a) 내로 상기 택트스위치(1)의 접촉돌기(1a)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서 압입되어 버튼(4)이 상기 택트스위치(1)와 상호 결합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택트스위치(1)는 그 동작 스트로크(Stroke)가 일예로 0.5㎜일 경우에 버튼(4)의 두부의 내면과 패널(3) 상면과의 거리(A)와 버튼(4) 단부와 택트스위치(1) 사이의 거리(B)가 0.5㎜ 보다 크면 패널(3)의 외부로 노출된 버튼(4)의 두부를 누름에 따라 택트스위치(1)의 내부접점(도면 미도시)이 작동(온:on)되고, 버튼(4)으로부터 손을 떼면 택트스위치(1)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도면 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서 택트스위치(1)의 접촉돌기(1a)가 상스되어 내부접점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오프: off)된다.
다음, 제2도는 제1도와는 다른 구조의 종래 택트스위치 버튼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제2도(a)는 종단면도이고, 제2도(b)는 버튼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돌기(1a)가 형성된 택트스위치(11)는 그 단자(11b)가 기관(12)을 관통하여 납땜에 의해서 기판(12)상에 고정되며, 패널(13)상에 형성된 버튼삽입공(13a)내로 삽입되는 버튼(14)은 그 외측으로 탄지편(15)이 연장형성되고 그 탄지편(15)의 단부는 다수개의 가이드 바(16)를 갖는 베이스(17)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이때 가이드바(16)는 기판(12)상에 형성된 통공(12a)내에 삽입되되 그 단부상에 형성된 걸림턱(16a)이 기판(12)의 저면에 걸림에 의해서 버튼(14)의 하부에 형성된 요홈부(14a) 내에 삽입되는 상기 접촉돌기(11a)를 통해서 가해지는 탄성력에 관계없이 버튼(14)이 소정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택트스위치에서 스위치 작도은 상기 제1도의 택트스위치에서와 유사하게 패널(13)의 외부로 노출된 버튼(14)의 두부를 누르게 되면 택트스위치(11)의 접촉돌기(11a)가 눌러져서 택트스위치(11) 내부의 접점(도면 미도시)이 작동되고, 눌렀던 손을 떼면 버튼(14)의 탄지편(15)의 복원력과 택트스위치(11)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도면 미도시)의 탄성력으로 인해 접촉돌기(11a)가 원위치되면서 내부접점이 복귀된다.
그런데,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종래 택트스위치 버튼의 경우에는 택트스위치(1)의 결합돌기(1a)가 작아서 버튼(4)의 요홈부(4a)내로 택트스위치(1)의 결합돌기(1a)를 끼워넣을 때 버튼(4)의 두부에 가려서 결합돌기(1a)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삽입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강제삽입을 위해 힘을 가하게 되면 결합돌기(11a)의 얇은 네트부가 부러져 버릴 위험이 있다.
그리고, 수리를 위해 패널(3)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택트스위치(1)의 강제결합된 버튼(4)을 모두 분리해 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음, 제2도에 도시된 다른 종래의 택트스위치 버튼의 경우에는 버튼(14)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버튼(14)의 외주면과 버튼삽입공(13a)의 내부연부 사이의 틈새(C)가 불가피하게 요구되나 바로 이러한 틈새(C)를 통해서 내부가 들여다 보임은 물론 이를 통해서 기판이 설치된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기기의 오동작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택트스위치 버튼구조가 지니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널의 버튼삽입공에 삽입되는 버튼몸체의 일측에 탄성체를 설치하여 버튼몸체가 탄성체의 탄성력과 택트스위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일정한 위치상에 고정되도록 하고, 패널의 외측으로 노출된 버튼몸체의 일단부에 버튼캡이 압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해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택트스위치 버튼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다른 형태의 종래 택트스위치 버튼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종단면도이고, (b)는 버튼에 대한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택트스위치 버튼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택트스위치 버튼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택트스위치 버튼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패널 21 : 버튼몸체
21a : 탄성체지지부 21b : 요홈부
21c : 돌조 21d : 삽입홈
22 : 택트스위치 22a : 접촉돌기
23 : 기판 24a : 스폰지
24b, 24c : 스프링 25 : 버튼캡
25a : 결합돌기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버튼몸체의 단부상에 형성되어 그 내부로 택트스위치의 접촉돌기가 삽입되는 요홈부의 크기를 접촉돌기에 비해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버튼몸체의 동작시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일정폭을 갖는 탄성체 지지부를 연장 형성하여 그 탄성체 지지부의 일측면과 패널의 내면 사이 또는 탄성체 지지부의 타측면과 기판 사이에 탄성체가 형성되도록 하며, 패널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몸체의 단부에 별도부재로서의 버튼캡을 결합시킨 구성을 통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은 버튼몸체와 버튼캡을 분리 형성함과 아울러 버튼몸체와 택트스위치 사이에는 상호 강제압입에 의해서 결합되는 방식이 아닌 단순히 택트스위치의 결합돌기가 버튼몸체의 요홈부의 내면에 탄성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버튼몸체의 파넬에 대한 위치가 상기 버튼몸체의 축방향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된 탄성체와 택트스위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 각각이 버튼몸체에 가하는 탄성력의 조합에 의해 정해지도록 한 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특징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먼저,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택트스위치 버튼구조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0)의 버튼삽입공(20a)내로 버튼몸체(21)가 삽입되고, 버튼몸체(21)와 동일축선상에 접촉돌기(22a)가 구비되며 그 단자(22b)가 기판(23)상에 납땜으로 고정된 택트스위치(22)가 위치한다.
이때, 버튼몸체(21)는 그 축방향 단부측에 축방향과는 수직으로 판상의 탄성체 지지부(21a)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탄성체 지지부(21a)의 외측 수직면상에 택트스위치(22)의 접촉돌기(22a)가 위치하게 되는 요홈부(21b)를 구성하는 원형의 돌조(2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부(21b)의 내경과 접촉돌기(22a)의 두부 외면과의 간격(E)은 이들 두 부재간의 조립시 편심을 감안하여 충분한 거리, 일예로 약 2-3㎜가 유지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체 지지부(21a)와 패널(20)의 사이에는 탄성체로서의 저밀도 발포체로 이루어진 도넛형상의 스폰지(24a)가 끼워진다. 이때, 버튼몸체(21)가 관통되는 스폰지(24a)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24a')의 크기는 패널(20)상에 형성된 버튼삽입공(20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버튼삽입공(20a)을 관통하여 패널(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몸체(21)의 외측 단부에는 버튼캡(25)의 삽입을 위한 버튼캡 삽입홈(21d)이 형성되어 그 내부로 버튼캡(25)의 결합돌기(25a)가 강제압입을 통해서 결합된다. 결합돌기(25a)를 버튼캡삽입홈(21d)에 삽입시킬때 압입되는 힘을 보다 쉽게 관리하기 위한 방편으로 결합돌기(25a)의 외주면이나 버튼캡 삽입홈(21d)의 내주면중 어느 한쪽에 가느다란 돌조(26)를 형성함으로써 두 부재간의 조립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몸체(21)에 삽입홈(21d)을 형성함과 동시에 버튼캡(25)에 결합돌기(25a)를 형성하여 이들 두 부재간에 압입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반대로 버튼몸체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버튼캡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이들 두 부재가 강제압입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캡(25)은 그 두부가 상기 버튼삽입공(20a)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버튼삽입공(20a)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다음, 버튼캡(25)의 내측 평활면과 버튼몸체(21)의 탄성체지지부(21a)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F)는 패널(20)의 두께와 원래상태(비압축상태)의 스폰지(24a) 두께의 합보다 작게 유지되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버튼캡(25)의 내측 평활면과 패널(20)의 외면간의 간격(G)은 택트스위치의 스크로크보다도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택트스위치 버튼의 조립과정은, 먼저 버튼몸체(21)에 스폰지(24a)를 끼운 다음 이를 패널(20)의 내측으로부터 버튼삽입공(20a)에 삽입한 후 버튼캡(25)을 버튼몸체(21)에 강제압입하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패널상에 다수개의 버튼조립이 완료되면 패널을 제품에 고정하게 된다.
상술한 택트스위치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패널(20)상에 버튼캡(25), 버튼몸체(21) 및 스폰지(24a)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버튼캡(25)과 패널(20)간의 간격(G)은 거의 영(zero)에 가깝지만 패널조립품(도면 미도시)을 기기의 본체(도면 미도시)에 부착하게 되면 택트스위치(22)의 탄성력에 비해서 스폰지(24a)의 탄성력이 약하게 작용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택트스위치(22)의 접촉돌기(22a)는 움직임이 없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한 가운데 스폰지(24a)의 수축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버튼몸체(21)는 패널(20)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적정한 간격, 즉 택트스위치(22)의 스트로크 이상의 간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버튼캡(25)을 누르게 되면 택트스위치의 스트로크 만큼이 눌러져서 스위치가 작동(on)되고, 손을 떼게 되면 택트스위치의 탄성복원력이 스폰지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스위치가 복귀(off)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3도의 실시예에 비해 단지 스폰지가 스프링(24b)으로 변경된 구성을 제외한 그외의 모든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조립과정 및 동작원리 등의 모든 사항은 제3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며, 제4도에서의 각 구성에 대한 부호는 스프링을 제외하고는 제3도와 동일하게 부여하였다.
다음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제3도에 비해 버튼몸체에 형성되는 탄성체로서 스폰지가 스프링(24c)으로 변경되고 또한 그 스프링(24c)의 장착위치가 버튼몸체(21)의 탄성체지지부(21a)와 기판(23) 사이라는 점을 제외한 그외의 모든 사항은 제3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캡(25) 및 버튼몸체(21)가 스프링(24c)에 의해 항시 패널(20)의 외측으로 밀려나 있는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버튼캡(25)을 누르게 되면 버튼몸체(21)의 요홈부(21b) 내면이 택트스위치(22)의 접촉돌기(22a) 두부에 접촉할 때까지의 거리는 스위치의 작동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구간으로 된다. 제5도 역시도 제4도와 마찬가지로 제3도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택트스위치 구조는 버튼몸체가 택트스위치의 접촉돌기에 강제로 삽입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 두 부재간의 조립시 택트스위치의 파손 우려가 없으며, 또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패널의 버튼삽입공이 버튼캡에 가려서 외부로 드러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각 구성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패널의 버튼삽입공을 통해서 패널의 내부로 먼지나 기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패널(20)의 버튼삽입공(20a) 내부로 삽입되는 버튼몸체(21)와, 상기 버튼몸체(21)의 축방향 정방에서 버튼몸체(21)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접촉돌기(22a)를 구비한 택트스위치(22)와, 그 두부가 상기 패널(20)의 버튼삽입공(20a)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버튼삽입공(20a)을 통해서 패널(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몸체(21)의 단부측에 결합되는 버튼캡(25)과, 상기 버튼몸체(21)의 내측 단부상에 형성된 탄성체지지부(21a)d의 내측 또는 외측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탄성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패널(20)의 내면과 버튼몸체(21)의 탄성체 지지부(21a)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은 택트스위치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비해서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스폰지(24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스프링(24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몸체(21)와 버튼캡(25)의 결합은 버튼몸체(21)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버튼캡(25)에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결합돌기를 삽입홈에 압입하여 끼워넣음에 의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몸체(21)와 버튼캡(25)의 결합은 버튼몸체(21)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버튼캡(25)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결합돌기를 삽입홈에 압입하여 끼워넣음에 의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8. 제6항 또는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돌기의 외주면이나 삽입홈의 내부면중 어느 한쪽에 가느다란 돌조(2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캡(25)의 내측 평활면과 탄성체 지지부(21a) 사이의 거리(F)는 패널(20)의 두께와 비압축상태의 탄성체 두께의 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지지부(21a)의 외측 수직면에는 택트스위치(22)의 결합돌기(22a)가 위치하는 요홈부(21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21b)의 내경과 결합돌기(22a)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E)은 약 2-3㎜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24c)이고 그 스프링이 탄성체 지지부(21a)와 기판(23)의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KR1019950059819A 1995-12-28 1995-12-28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KR100193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819A KR100193469B1 (ko) 1995-12-28 1995-12-28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819A KR100193469B1 (ko) 1995-12-28 1995-12-28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564A KR970051564A (ko) 1997-07-29
KR100193469B1 true KR100193469B1 (ko) 1999-06-15

Family

ID=6662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819A KR100193469B1 (ko) 1995-12-28 1995-12-28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777B1 (ko) * 2019-04-12 2020-07-22 전영환 터치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564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9256B1 (en) Panel switch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KR100193469B1 (ko) 택트스위치용 버튼구조
KR100539621B1 (ko)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회로 기판 접속 커넥터
US5028752A (en) Push button device
WO2011086595A1 (ja) 押釦装置
US6923593B2 (en) Locking member and device
JP2741373B2 (ja) 押釦スイッチの製造方法及び押釦スイッチ
JP4261293B2 (ja) 固定具
US6208730B1 (en) Key top attachment structure
JP3074671B2 (ja) 押釦スイッチ装置
JP2001318365A (ja) 液晶パネル保持構造
KR0125929Y1 (ko) 버튼장치
JPH05281569A (ja) Lcdの取付具
JPH0115057Y2 (ko)
KR19980010463U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케이스(Fixing Case of PCB)
KR0126453Y1 (ko) 원형노브
JP2004247188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940004192B1 (ko) 두개의 기판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개량된 전기커넥터
KR200295991Y1 (ko) 모니터 스위치
JPS643234Y2 (ko)
KR200219349Y1 (ko) 접점장치의 접점지지대 이탈 방지구조_
JP2000048679A (ja) シーソー釦構造
JPH06150991A (ja) アース部品取り付け構造
JP2007115499A (ja) 押し釦装置
KR19980064072U (ko) 뱃지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