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396B1 -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 Google Patents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396B1
KR100193396B1 KR1019930703292A KR930703292A KR100193396B1 KR 100193396 B1 KR100193396 B1 KR 100193396B1 KR 1019930703292 A KR1019930703292 A KR 1019930703292A KR 930703292 A KR930703292 A KR 930703292A KR 100193396 B1 KR100193396 B1 KR 10019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essing
pin
mold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오 모리기다
Original Assignee
오자와 미토시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자와 미토시,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자와 미토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7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for making orifices in or through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7Exerting after-pressure on the moulding material
    • B29C45/572Exerting after-pressure on the moulding material using movable mould wall or runn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 사이클중에 성형품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가공을 행하기 위한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이며, 사출공정후에 성형품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가공을 행할 수가 있도록 한다. 고정금형(12)과 가동금형(14)을 구비하고 있으며, 양자의 어느쪽인가 한쪽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가압피핀(24)이 연장되며, 산단을 캐비티(16)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면하게 한다. 이 가압핀(24)의 후방에 가압실린더(32)가 배설되며, 유압공급수단이 상기 가압실린더(32)의 펄스상에 유압을 공급하여 가압핀(24)을 진동시킬 수가 있다. 충전후의 수지에 펄스상의 가압력이 가해지고, 성형품에 대하여 소정의 가공이 행해진다. 따라서 정도가 높은 가공면을 얻을 수가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금형내의 수지의 국부를 가압하므로서 성형품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가공을 시행하여, 성형후의 박판(薄板)의 구멍뚫기 가공, 절단면의 마무리 가공등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사출성형기가 제공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a)는 성형상태를, (b)는 편치가압상태(punch 加壓狀態)를, (c)는 진동타발상태(振動打拔狀態)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 제1도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정반(platen)에 취부되는 고정금형, 제2도는 도시하지 않은 가동정반에 취부되는 가동금형, 제3도는 상기 고정금형(1)과 가동금형(2)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cavity) , 제4도는 도시하지 않은 사출노즐로부터 사출되는 수지가 보내지는 스프루(sprue), 제5도는 이 스프루(4)와 캐비티(3)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gate), 제6도는 상기 고정금형(1)측에 설치된 고정측펀치(punch), 제7도는 상기 가동금형(2)측에 설치된 가동측펀치이다.
상기 고정측펀치(6) 및 가동측펀치(7)는 사출성형사이클의 보압공정(保壓工程)이 완료된 후의 냉각공정중에, 가동금형(2)내에 배설(配設)된 도시하지 않은 가압장치에 의해 진동된다. 상기 고정측펀치(6) 및 가동측펀치(7)는 수지의 국부, 즉 구멍 뚫음부나 게이트(5) 등의 가공부에 대응하는 개소(箇所)에 미리 배설되어 있으므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동측펀치(7)가 진동됨으로서 고정측편치(6)와 가동측펀치(7)에 의해 끼워진 가공부의 수지가 여진(勵振)되며, 전단응력(剪斷應力)에 의한 열이 발생하여 연화(軟化)한다.
그리하여, 이대로 수지를 여진시키면서,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들면 상기 가동측 펀치(7)를 일방향으로 돌출하면, 연화된 수지(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된다. 이 경우, 가동측펀치(7)에 따라 절단되는 부분은 가동측 펀치(7)의 진동에 의해 마무리 가공이 됨과 동시에 냉각되어, 광택이 있는 정도(精度)가 높은 가공면을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가동금형(2)내에 가압장치를 배설하며, 이 가압장치에 의해 고정측펀치(6) 및 가동측펀치(7)를 진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코스트(cost)가 높아지게 된다.
또, 보압공정이 완료된후의 냉각공정중에, 고정측펀치(6) 및 가동측펀치(7)를 진동시켜 수지를 절단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사출성형사이클주기(cycle週期)가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압공정중에 성형품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가공을 행할 수가 있으며, 성형후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아니함과 동시에 사출성형사이클주기를 짧게 할 수가 있고, 코스트를 줄일 수 있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고정금형과, 이 고정금형과 접리(接籬:접촉과 분리)가 자유롭게 배설되며, 양자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동금형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캐비티내에 수지를 충전(充塡)하므로서 성형품을 얻을 수가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의 어느쪽인가 한쪽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가압핀(加壓pin)이 연장되며, 이 가압핀의 선단을 성형품의 가공부에 대응시켜 캐비티내에 진퇴가 자유롭도록 면하게(향하게)한다. 이 가압핀의 후방에 가압실린더(cylinder)가 배설되며, 유압공급수단이 상기 가압실린더에 펄스상(pulse狀)의 유압을 공급하여 가압핀을 전진시키도록 한다.
또, 상기 가입핀을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리턴스프링(return spring)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출공정이 완료된 후, 보압공정 또는 냉각공정에 있어 상기 가압실린더에 펄스상의 유압을 공급하여, 가압핀을 진동시켜, 수지에 펄스상의 가압력을 가하므로서, 성형품에 대하여 소정의 가공을 시행할 수가 있다. 또, 유압공급수단을 제어하므로서 가압핀의 진동진폭을 변화시킬 수가 있으므로 가공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금형내에 가압장치를 배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를 간소화 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캐비티내에 수지를 충전한 후에 게이트 절단을 하면, 캐비티내의 수지압을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보압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절단을 행한 후 곧바로 계량(計量) 공정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캐비티는 가압핀이 전진함에 따라 성형품 부분으로부터 격리되는 더미부를 갖는다. 이 때문에, 가압핀은 더미부 내의 수지를 기계적 한계위치까지 누를 수 있으며, 가압부의 수지를 충분히 여진(勵振)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정도(精度)가 높은 가공면을 얻을 수가 있다.
더욱이, 캐비티내에 충전된 후의 용융된 수지가 여진되기 때문에 사출성형사이클의 주기를 짧게 할 수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의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 성형기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 가압식 사출성형기에 탑재(搭載)되는 리턴스프링의 특성도.
제4도는 캐비티내의 수지에의 가압력, 압축량 및 비례감압변의 설정압력 관계도.
제5도는 설정압력과 변위의 관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에 의한 게이트절단·후처리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에 의한 가공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충전·가압 종료시의 상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형렬림(型開)·성형품돌출 종료시의 상태도.
제11도는 가압핀의 가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충전·가압종료시의 상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最良)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 (11)은 고정측 취부판이며, 이 고정측취부판(11)을 개재하여 고정금형(2)이 도시하지 않은 고정정반에 취부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사출장치의 사출노즐은 사출공정에 있어 전진하며, 사출노즐의 선단이 고정금형(12)의 스프루부시(13, sprue bush)에 접촉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가동정반은 도시하지 않은 형조임(型締) 장치에 의해 진퇴(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가동금형(14)을 고정금형(12)에 접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가동금형(14)은 가동측취부판(15) 및 도시하지 않은 스페이서블록(space block)을 개재하여 가동정반에 취부된다.
그리하여, 사출노즐로부터 사출되는 수지는 스프루로부터 런너(runner)를 통하고 게이트(25)를 지나 고정금형(12)과 가동금형(14)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16) 내에 충전된다.
상기 사출공정이 완료되면, 계속하여 보압공정으로 들어가서 캐비티(16) 내의 수지압이 증대됨과 동시에 수지의 냉각이 개시되며, 일정시간 후에 가동금형(14)측에 도시하지 않는 성형품을 남긴 상태로 양 금형(12, 14)이 열리고, 이젝터(ejector) 장치에 의해 성형품이 떨어진다.
이를 위해, 스프루록핀(17, sprue lock pin) 및 이젝터핀(18)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루록핀(17)은 상기 스프루에 마주보게 설치되며, 형열림시에 성형품을 지지하여 가동금형(14)측에 남긴다. 또, 상기 이젝터핀(18)은 캐비티(16)나 런너 등에 선단을 면하게 배설되며, 형열림후에 성형품을 가동금형(14)으로부터 떨어뜨린다.
상기 스프루록핀(17) 및 이젝터핀(18)은 가동금형(14)을 관통하여 후방(형조임장치측)에 연장되며, 후단(後端)에 형성된 헤드부(head部)는 이젝터판(21, 22)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하여, 이 이젝터판(21, 22)에 로드(23)가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로드(23)가 전진하는데에 따라 상기 스프루록핀(17) 및 이젝터핀(18)이 전진된다.
그리고, 상기 보압 공정중에 성형품에 대하여 가공을 시행하기 위해 가압핀(24)이 설치된다. 이 가압핀(24)은 캐비티(16), 게이트(25) 등의 소정개소에 선단을 면하게 하여 필요한 수만큼 배설되 있으며, 상기 가동금형(14) 및 이젝터판(21, 22)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단에 형성된 헤드부는 가압판(27, 28)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이 가압판(27, 28)은 상기 가동측취부판(15)에 대하여 접리가 자유롭게 배설되며, 2개의 가압실린더(32)에 의해 진퇴된다. 이 가압실린더(32)의 가압로드(33)는 크로스헤드(34:cross head) 및 가동측취부판(15)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판(28)에 맞닿아 있으며, 상기 가압실린더(32)를 작동시키므로서 가압핀(24)을 돌출시킬 수가 있다.
상기 가압실린더(32)에 공급되는 유압은 도시하지 않은 비례감압변 또는 서보변(servo弁)에 의해 제어된다. 이 비례감압변 또는 서보변을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서 상기 가압핀(24)을 진동시키면서 서서히 전진시켜 성형품의 가공부 수지에 펄스상의 가압력을 가하여 여진(변위)시키며, 성형품에 대하여 소정의 가공을 행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비례감압변 또는 서보변을 사용하여 가압핀(24)을 전진시켜도 수지를 여진 시킬 수가 없다. 가압력에 의해 수지를 여진시키기 위해서는 반력(反力)이 필요하며, 상기 가압핀(24)을 가공부로부터 강제적으로 후퇴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4개의 리턴핀(29)에 이 리턴핀(29)을 포위하는 응답성이 높은 리턴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리턴스프링(30)을 가압핀(27)과 가동금형(14) 사이에 배설하고 있다. 상기 가압핀(24) 및 리턴핀(29)은 함께 단부에 헤드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헤드부가 가압핀(27, 28)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4개의 리턴 스프링(30)을 균등하게 배열하므로서 가압핀(27, 28)을 경사지지 않고 평행하게 전진시킬 수가 있으며, 부드러운 동작을 얻을 수가 있다.
상기 리턴스프링(30)의 스프링정수를 소정의 값으로 하므로서 비례감압변으로 발생시킨 유압에 의해 수지를 10[Hz]부근까지 여진 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비례감압변에 의해 펄스상의 가압력이 발생하는 것이므로 이에 추종할 수 있는 만큼의 스프링정수를 갖는 리턴스프링(30)이 선정된다. 이 스프링 정수는 구동부(예를 들면 가압판(27, 28), 가압로드(33), 크로스헤드(34)등)의 중량과 펄스입력의 가압주파수에 비례한다. 즉, 가압주파수가 상승한다든지 구동부의 중량이 늘어난다든지 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정수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들면, 구동부의 중량이 약 18.5[Kg]이고, 가압주파수 10[Hz]이면 스프링정수는 80[Kgf/mm]로 된다. 4개의 리턴스프링(30)을 갖는 경우, 각 리턴스프링(30)의 스프링정수는 200[Kgf/cm]로 된다. 그리하여, 상기 리턴스프링(30)의 프리로드(preload)는 최대가압력(880[Kgf])의 약 10[%], 예를들면 80[Kgf]으로 한다. 이 프리로드는 비례감압변의 제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정된다.
다음에, 위와 같은 구성의 리턴스프링(30)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에 탑재된 리턴스프링의 특성도이다.
본 발명의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가압핀(24, 제2도)의 최대 가압력(유압 150[Kgf/cm2])이 880[Kgf]이다. 따라서, 리턴스프링(30)의 최대압축량(변위)은,
(880-80)/80=10[mm]
로 된다. 그리하여, 수지에 유효적으로 가해지는 최대 가압력은 압축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하며, 압축량이 10[mm]의 경우에 0으로 된다.
제4도는 캐비티내의 수지에의 가압력, 압축량 및 비례감압변의 설정압력의 관계도이다.
도면의 우반부(友半部)에 나타낸바와 같이, 사출공정이 완료된 후의 리턴스프링(30, 제2도)과 수지에 의한 총합부하특성(總合負荷特性) C는 스프링특성 A와 가압력·변위특성 B의 합(A+B)으로 주어진다. 그리하여, 상기 스프링특성A는 가압핀(27, 28)에 가해지는 힘과 리턴스프링(30)의 압축량의 관계를 나타내며, 가압력·변위특성 B는 수지에의 가압력과 변위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 도면의 좌반부(左半部)에 나타낸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비례감압변에 의한 설정압력과 실제의 가압력의 관계는 가압력 특성 D로 나타내어진다. 펄스상(pulse狀)의 가압력이 설정압력 a~f로 설정되는 경우, 가공부의 수지는 상기 총합부하특성 C 나타낸 바와 같은 변위로 여진된다. 설정압력이 a, b의 경우는, 리턴 스프링(30)의 프리로드와 수지에 초기 변위를 가하는 힘보다 작으므로 총합부하 특성 C의 선상에는 없으며, 수지의 변위는 0이다.
제5도는 설정압력과 변위의 관계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례감압변에 의한 설정압력을 a~f와 같이 단계적으로 순차(順次)로 크게하면, F로 나타낸 바와 같은 펄스상의 가압력이 수지에 가해지며, 수지는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위한다. 상기 펄스상의 가압력의 설정프로그램은 사출공정을 개시한 후, 보압공정, 냉각공정을 거쳐 형열림(型開)을 행하기 까지의 사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다. 비례감압변은 낮은 설정역(設定域)에 있어서는 직선성(直線性)이 조금 손상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사출공정 또는 보압공정중에, 가압핀(24, 제2도)에 의해 수지에 가압력을 가하므로서 성형품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가공을 시행할 수가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에 의한 게이트 절단·후처리 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에 의한 핀구멍 가공상태도이다. 도면에 있어, (a)는 가공전의 상태를, (b)는 가공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P.L.은 분할선(parting line)이다.
제6도에 있어서는, 디스크게이트(37, disk gate)가 가압핀(24)에 의해 게이트 절단이 된다.
또, 제7도에 있어서는, 사출공정에서 속도제어로부터 보압공정에서 압력제어로 전환되는 직후에 가압핀(24)을 작동시켜 성형품에 핀구멍을 형성한다. 이 경우, 최종적인 타발(打拔)은 후가공에 의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 11은 고정측취부판이며, 이 고정측취부판(11)을 개재하여 고정금형(12)이 도시하지 않은 고정정반에 취부된다. 도시하지 않은 사출장치의 사출노즐은 사출공정에 있어 전진하며, 사출노즐의 선단이 고정금형(12)의 스프루부시(13)에 접촉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가동정반은 도시하지 않은 형조임장치에 의해 진퇴(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며, 가동금형(14)을 고정금형(12)에 접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금형(14)은 가동측 취부판(15) 및 도시하지 않은 스페이서블록을 개재하여 가동정반에 취부된다.
그리하여, 사출노즐로부터 사출되는 수지는 스프루(13a)로부터 린너(13b)를 통하고 게이트(25)를 거쳐 고정금형(12)과 가동금형(14)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38) 내에 충전된다.
상기 사출공정이 완료되면, 계속하여 보압공정으로 들어가 캐비티(38)내의 수지압이 증대됨과 동시에 수지의 냉각이 개시되며, 일정시간 후에 가동금형(14)측에 도시하지 않은 성형품을 남긴 상태로 양 금형(12, 14)이 열리고, 이젝터장치에 의해 성형품이 떨어진다.
이를 위해, 스프루록핀(17) 및 이젝터핀(18)이 설치된다. 이 스프루록핀(17)은 상기 스프루(13a)에 마주보게 설치되며, 형열림시에 성형품을 지지하여 가동금형(14)측에 남긴다. 또 상기 이젝터핀(18)은 캐비티(38)나 린너(13b)등의 선단을 면하여 배설되며, 형열림후에 성형품을 가동금형(14)으로부터 떨어뜨린다.
상기 스프루록핀(17) 및 이젝터핀(18)의 후단에 형성된 헤드부는 이젝터판(21, 22)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이 이젝터판(21, 22)에 로드(23)가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로드(23)가 전진하는데 따라 상기 스프루록핀(17) 및 이젝터핀(18)이 전진된다.
그런데, 상기 보압공정중에 성형품에 대하여 가공을 시행하기 위하여, 가압핀(39)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가압핀(39)을 관통하여 이젝터핀(40)이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입핀(39) 및 이젝터핀(40)의 선단은, 어느 것이라도 성형품의 가공부, 예를들어 구멍뚫음부(39a)에 면하여 배설된다. 그리하여, 가압핀(39)의 후단에 형성된 헤드부는 가압판(27, 28)에 의해, 이젝터핀(40)의 후단에 형성된 헤드부는 상기 이젝터판(21, 22)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또, 상기 가압판(27, 28)은 제8도에 나타낸 위치보다 후방(형조임장치측)에는 이동할 수가 없도록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재에 의해 이동범위가 규제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캐비티(38)에는 성형품의 구멍음부(38a)에 대응하는 위치에 더미부(38b)가 형성된다. 이 더미부(38b)는 고정금형(12)내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핀(39)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이 가압핀(39)보다 0.01~0.1[mm] 정도 직경이 큰 요부〔凹部〕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가입핀(39)이 전진하여 이 가압핀(39)의 선단이 더미부(38b)안으로 들어가면, 이 더미부(38b)는 가압핀(39)을 통하여 성형품부분으로 격리된다.
상기 이젝터핀(40)은 형열림시에 돌출되며, 더미부(38b)안에서 고화(固化)된 수지편을 떨어뜨린다.
상기 가압판(27, 28)은 2개(도면에는 1개만을 나타내고 있음)의 가압실린더(32)에 의해 진퇴된다. 이 가압실린더(32)의 가압로드(33)ms 가동측 취부판(15) 및 이젝터판(21, 22)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판(28)에 연결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실린더(32)를 작동시키므로서 가압핀(39)을 전진행정 S1만큼 돌출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 비례감압변(44) 및 전환변(45)이 설치되며, 펌프(46)로부터 토출되는 기름을 상기 비례감압변(44) 및 전환변(45)으로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서, 펄스상의 유압을 가압실린더(32)의 유실(32a)에 공급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펄스상의 유압은 상기 가압핀(39)을 진동시키면서 서서히 전진시켜 성형품의 가공부수지를 여진시켜 성형품에 대하여 소정의 가공을 행한다. 또, 상기 가압실린더(32)의 유실(32b)은 가압로드(33)를 초기위치로 후퇴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캐비티(38)의 구멍뚫음부(38a)에 가압핀(39)에 대응하는 형상의 더미부(38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핀(39)은 수지를 더미부(38b)내의 기계적 한계위치까지 누를 수가 있다. 이때 성형품에는 가압핀(39)의 윤곽과 같은 형상을 갖는 구멍이 형성된다. 더욱이, 가압핀(39)은 더미부(38b)내의 수지를 기계적 한계위치까지 누르기 때문에 가공부의 수지가 충분히 여진되며, 정도(精度)가 높은 가공면을 얻을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비례감압변(44) 및 전환변(45)은 가압핀(39)의 전진방향으로만 유압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를 여진시키기 위하여 가압핀(39)을 후퇴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4개(도면에는 1개만을 도시하고 있음)의 리턴핀(29)에 응답성이 높은 리턴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리턴스프링(30)을 가압판(27)과 가동금형(14) 사이에 배설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압실린더(32)는 전진방향으로만 가압력을 발생하고, 리턴스프링(30)은 후퇴방향으로만 반력(反力)을 발생하여 가압판(27, 28)을 누르며, 이들 힘의 밸런스(balance)에 의해 수(數) 헤르쯔로부터 10헤르쯔(hertz)의 진동을 가입핀(39)에 발생시킨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충전·가압종료시의 상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형열림·성형품돌출종료시의 상태도, 제11도는 가압핀의 가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9도 및 제10도에 있어, 12는 고정금형, 14는 가동금형, 27, 28은 가압판, 38은 캐비티, 18, 40은 이젝터핀, 39은 가압핀, 62는 수지편, 63은 성형품, 64는 제품런너, S2는 가압행정, S3은 이젝터행정(ejector stroke)이다.
또, 제11도에 있어, 횡축은 시간을, 종축은 비례감압변(44, 제8도)의 입력신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Td는 가압지연시간, Ta는 가압시간, tb는 가압사이클시간, T3은 최종가압시간, P1은 초기 가압력, P2는 말기가압력, P3는 최종가압력, P4는 감압력이다.
상기 캐비티(38)내에의 수지의 충전을 개시할 때, 가입핀(39)은 제8도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다. 가압의 개시는, 수지가 용융상태로부터 열변형온도 이상의 상태에 있는 사이의 임의의 시점에 설정할 수가 있으며, 예를 들면 사출개시점 또는 V-P 전환점(충전을 개시한 후 캐비티(38)내에 수지가 채워지는 타이밍)으로부터 가압지연시간 Td가 경과한 후에 설정한다.
가압은,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력의 설정치를 업 다운(updown)시키면서 가압시간 Ta만큼 계속시킨다. 이 경우, 가압력을 초기가압력 P1로부터 말기 가압력 P2까지 서서히 상승시켜, 최후는 가압핀(39)을 진동시키지 아니하고 최종가압력 P3을 최종 가압시간 T3만큼 유지한다.
이때의 가압판(27, 28) 및 가압핀(39)의 위치는 가압력과 반력의 관계로 결정되며, 가압력을 증감하면 가압핀(39)은 진퇴한다. 그리하여, 제11도에 나타내는 가압프로그램에 의해 가압핀(39)은 캐비티(38)내의 수지에 대하여 왕복이동 하면서 서서히 전진하고, 기계적 한계위치까지 수지를 더미부(38b)안으로 밀어넣는다.
그리하여, 상기 비례감압변(44)에의 지령은, 제11도의 가압 프로그램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으며, 초기 가압력 P1로부터 말기 가압력 P2까지의 지령은 자동적으로 연산(演算)된다.
가압이 종료될 때, 가압핀(39)은 제9도의 위치에 놓이고, 이때 성형품(63)의 가공도 종료된다.
계속하여, 형풀림이 행해지지만, 더미부(38b) 안에서 고화한 수지편(62)이 가동금형(14)측에 남도록 언더컷(under cut)이 붙혀진다. 그리하여, 가압핀(39)은 제10도의 위치에 놓이고, 이젝터핀(18)은 돌출되어 성형품(63) 및 제품런너(64)가 떨어진다. 이때, 이젝터핀(40)도 돌출되어 상기 수지편(62)이 떨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의 충전·가압종료시의 상태도이다.
도면에 있어, 11은 고정측취부판이며, 이 고정측취부판(11)을 개재하여 고정금형(66)이 도시하지 않은 고정정반에 취부된다. 도시하지 않은 사출장치의 사출노즐은 사출공정에 있어 전진하며, 사출노즐이 선단이 고정금형(66)의 스프루부시(13)에 접촉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가동정반은 도시하지 않은 형조임 장치에 의해 진퇴(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가동금형(14)을 고정금형(66)에 접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를위해, 상기 가동금형(14)은 가동측취부판(15) 및 도시하지 않은 스페이서블록을 개재하여 가동정반에 취부된다.
그리하여, 사출노즐로부터 사출되는 수지는 스프루(13a)로부터 린너(13b)를 통하고, 게이트(25)를 거쳐 고정금형(66)과 가동금형(14)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71) 안으로 충전된다.
상기 사출공정이 완료되면, 계속하여 보압공정으로 들어가고 캐비티(71)내의 수지압이 증대됨과 동시에 수지의 냉각이 개시되며, 일정시간후에 가동금형(14)측에 성형품(63, 제10도)을 남긴 상태로 양 금형(14, 66)이 열리고, 이젝터 장치에 의해 성형품(63)이 떨어진다.
이를 위해, 스프루록핀(17) 및 이젝터핀(18)이 설치된다. 이 스프루록핀(17)은 상기 스프루(13a)에 마주보게 설치되며, 형열림시에 성형품을 지지하여 가동금형(14)측에 남긴다. 또, 상기 이젝터핀(18)은 캐비티(71)나 런너(13b)등에 선단을 면하여 배설되며, 형열림후에 성형품을 가동금형(14)측으로부터 떨어뜨린다.
상기 스프루록핀(17) 및 이젝터핀(18)의 후단에 형성된 헤드부는 이젝터판(21, 22)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이 이젝터판(21, 22)에 로드(23)가 맞닿을 수가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로드(23)가 전진하는데 따라 상기 스프루록핀(17) 및 이젝터핀(18)이 전진된다.
그런데, 상기 보압공정중에 성형품에 대하여 가공을 행하기 위하여, 고정금형(66)내에 가압핀(73)이 설치되며, 선단이 성형품의 가공부, 예를들면 구멍뚫음부(71a)에 면하여 배설된다.
그리하여, 상기 캐비티(71)에는, 성형품의 구멍뚫음부(7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더미부(71b)가 형성된다. 이 더미부(71b)는 가동금형(14)내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핀(7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으며, 이 가압핀(73)보다 0.01~0.1[mm] 정도 직경이 큰 요부(凹部)에 의해 구성된다.
또, 선단을 상기 더미부(71b)에 면하게 하여 이젝터핀(74)이 배설되며, 가동금형(14)을 관통하여 후방(형조임장치측)으로 연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이젝터핀(74)의 후단에 형성된 헤드부는 상기 이젝터판(21, 22)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이젝터핀(74)은 형열림시에 돌출되며, 더미부(71b)안에서 고화한 수지편(62)을 떨어뜨린다.
상기 가압핀(73)은 고정금형(66)안에 형성된 2개(도면에는 1개만을 나타내고 있음)의 가압실린더(75)에 의해 진퇴되며, 가압핀(73)이 가압실린더(75)의 가압로드를 구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가압실린더(75)를 작동시키므로서 가압핀(73)을 돌출시킬 수가 있다.
이를 위해, 비례감압변(44) 및 전환변(45)이 설치되며, 펌프(46)로부터 토출되는 기름을 상기 비례감압변(44) 및 전환변(45)으로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서 펄스상의 유압을 가압실린더(75)의 유실(75a)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펄스상의 유압은 상기 가압핀(73)을 진동시키면서 서서히 전진시켜 성형품(63)의 가공부 수지를 여진시켜 성형품(63)에 대하여 소정의 가공을 행한다. 또, 상기 가압실린더(75)의 유실(75b)은 가압핀(73)을 초기위치로 후퇴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이 가압핀(73)은 캐비티(71)의 두께정도 이상 전진할 수 없도록 도시하지 않은지지 부재에 의해 이동범위가 규제된다.
상기 캐비티(71)의 구멍뚫음부(71a)에는 가압핀(73)에 대응하는 형상의 더미부(71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핀(73)은 수지를 더미부(71b)내의 기계적 한계위치까지 누를 수가 있다. 이때, 성형품(63)에는 가압핀(73)의 윤곽과 같은 형상을 갖는 구멍이 형성된다. 더욱이, 가압핀(73)은 더미부(71b)내의 수지를 기계적한계 위치까지 누르기 때문에, 가공부의 수지가 충분히 여진되며, 정도가 높은 가공면을 얻을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비례감압변(44) 및 전환변(45)은 가압변(73)의 전진방향으로만 유압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를 여진시키기 위하여 가압핀(73)을 후퇴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가압핀(73)에 응답성이 높은 리턴스프링(76)이 설치된다.
본실시예에 있어 상기 가압핀(73)은 고정금형(66) 안에 형성된 2개(도면에는 1개만을 나타나고 있음)의 가압실린더(75)에 의해 진퇴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가압실린더(75)를 고정금형(66)의 밖에 배설하며, 고정금형(66)에 가압로드를 관통시키도록 하여도 좋은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재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금형내의 수지의 국부를 가압하므로서 성형품에 대하여 여러 가지 가공을 시행하기 위한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에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8)

  1. (a) 고정금형과, (b)이 고정금형과 접리가 자유롭게 배설되며, 양자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동금형과, (c) 상기 고정금형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선단을 성형품의 가공부에 대응시켜 캐비티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면하도록 한 가압핀과, (d) 이 가압핀의 후방에 배설되며, 유압의 공급에 따라 가압핀을 전진시키는 가압실린더와, (e) 이 가압실린더에 펄스상의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장치와, (f) 상기 가압핀을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2. (a) 고정금형과, (b) 이 고정금형과 접리가 자유롭게 배설되며, 양자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동금형과, (c) 상기 가동금형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선단을 성형품의 가공부에 대응시켜 캐비티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면하도록 한 가압핀과, (d) 이 가압핀의 후방에 배설되며, 유압의 공급에 따라 가압핀을 전진시키는 가압실린더와, (e) 이 가압실린더에 펄스상의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장치와, (f) 상기 가압핀을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3. (a) 고정금형과, (b) 이 고정금형과 접리가 자유롭게 배설되며, 양자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동금형과, (c) 상기 가동금형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선단을 성형품의 가공부에 대응시켜 캐비티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면하도록 한 가압핀과, (d) 이 가압핀의 후방에 배설되며, 유압의 공급에 따라 가압핀을 전진시키는 가압실린더와, (e) 이 가압실린더에 펄스상의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장치와, (f) 상기 가압핀을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가압핀이 전진하므로서 성형품 부분으로부터 격리되는 더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5. (a) 고정금형과, (b) 이 고정금형과 접리가 자유롭게 배설되며, 양자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동금형과, (c) 상기 가동금형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선단을 성형품의 가공부에 대응시켜 캐비티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면하도록 한 가압핀과, (d) 이 가압핀의 후단을 고정하는 가압판과, (e) 이 가압판의 후방에 배설되며, 유압의 공급에 따라 가압핀을 전진시키는 가압실린더와, (f) 이 가압실린더에 펄스상의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장치와, (g) 상기 가압판과 가동금형 사이에 배설되며, 상기 가압핀을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6. (a) 고정금형과, (b) 이 고정금형과 접리가 자유롭게 배설되며, 양자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동금형과, (c) 상기 고정금형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선단을 성형품의 가공부에 대응시켜 캐비티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면하도록 한 가압핀과, (d) 이 가압핀의 후방의 고정금형내에 형성되며, 유압의 공급에 따라 가압핀을 전진시키는 가압실린더와, (e) 이 가압실린더에 펄스상의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장치와, (f) 상기 가압핀을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가압핀이 전진하므로서 성형품 부분으로부터 격리되는 더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가압핀이 전진하므로서 성형품 부분으로부터 격리되는 더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가압식 사출성형기.
KR1019930703292A 1992-06-02 1992-12-18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KR100193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41376A JP2912083B2 (ja) 1992-06-02 1992-06-02 局部加圧式の射出成形機
JP92-141376 1992-06-02
PCT/JP1992/001667 WO1993024298A1 (en) 1992-06-02 1992-12-18 Localized pressurizing type injection mol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3396B1 true KR100193396B1 (ko) 1999-06-15

Family

ID=1529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292A KR100193396B1 (ko) 1992-06-02 1992-12-18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597108B1 (ko)
JP (1) JP2912083B2 (ko)
KR (1) KR100193396B1 (ko)
DE (1) DE69225893T2 (ko)
WO (1) WO1993024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0909B2 (ja) * 1993-08-04 1998-07-30 住友重機械プラスチックマシナリー株式会社 局部加圧式射出成形機
TW283114B (ko) * 1994-09-16 1996-08-11 Nissei Zyushi Kogyo Kk
WO2010121349A1 (en) 2009-04-24 2010-10-2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 cavity insert for a molding system, the cavity insert having a deformable portion
EP2496398B1 (en) 2009-11-03 2016-06-1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3640142A (zh) * 2013-11-29 2014-03-19 灵璧县宏发电子加工有限公司 一种立式注塑机
CN115847730B (zh) * 2022-11-30 2023-08-18 嘉兴乐威欧文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塑料配件的高效注塑装置及其注塑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6845A (ko) * 1971-07-27 1973-04-09
JPS4826844A (ko) * 1971-07-27 1973-04-09
JPS5812741A (ja) * 1981-07-16 1983-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射出圧縮成形用金型装置
DE3135258A1 (de) * 1981-09-05 1982-10-21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uss- oder fliesspressteilen mit durchbruechen"
JPS6183016A (ja) * 1985-07-19 1986-04-26 Nissei Plastics Ind Co 射出圧縮成形機
JPH0763983B2 (ja) * 1986-07-16 1995-07-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面に凹部を有する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及び装置
EP0273769A3 (en) * 1986-12-31 1989-07-26 Kingsley Nominees Pty. Ltd. Moulding method and apparatus
JPS63212057A (ja) * 1987-02-26 1988-09-05 Honda Motor Co Ltd ダイカスト法
JPH0729347B2 (ja) * 1987-05-20 1995-04-05 宇部興産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JPH0729350B2 (ja) * 1988-07-18 1995-04-05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レス加圧を伴う射出成形方法
JPH0712632B2 (ja) * 1990-02-23 1995-02-15 秀俊 横井 金型内振動仕上げ抜き方法
JP2638720B2 (ja) * 1992-10-07 1997-08-06 住友重機械プラスチックマシナリー株式会社 局部加圧式の射出成形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97108B1 (en) 1998-06-10
JPH05329896A (ja) 1993-12-14
EP0597108A1 (en) 1994-05-18
DE69225893D1 (de) 1998-07-16
WO1993024298A1 (en) 1993-12-09
JP2912083B2 (ja) 1999-06-28
EP0597108A4 (en) 1995-03-29
DE69225893T2 (de) 199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8720B2 (ja) 局部加圧式の射出成形機
US5500166A (en) Method for controlling injection volume of material into mold
KR100188562B1 (ko)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KR100193396B1 (ko)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US5405259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ing a pulsating pressing force
JP3222830B2 (ja) ディスク成形装置のゲートカット装置及びゲートカット方法
JP3315718B2 (ja) 射出圧縮成形装置の制御方法
CN101044003B (zh) 热塑性材料的注塑压缩成型方法
JP2693879B2 (ja) 局部加圧式の射出成形機
JP2642993B2 (ja)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成形方法
JP3262215B2 (ja) 直圧式型締装置の型締方法
JPH0924520A (ja) 型締装置
JPH05123847A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の二次加圧方法
JP3027542B2 (ja) 局部加圧式の射出成形機
JP2915760B2 (ja) 局部加圧式の射出成形機
JPH0144138B2 (ko)
KR100509379B1 (ko) 이동판이 중간에 설치되는 유압식 사출성형장치
JPH05228969A (ja) 局部加圧式の射出成形機
JP2884051B2 (ja) 型締装置
JPH05200820A (ja) 横形射出圧縮成形装置
JP3343370B2 (ja) 射出圧縮装置
JPH08141723A (ja) ダイカスト装置
JP2001212857A (ja) 型締装置
JP2000211001A (ja) 射出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射出プレス成形機
JPH03101913A (ja) 射出圧縮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