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850B1 -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850B1
KR100192850B1 KR1019910002209A KR910002209A KR100192850B1 KR 100192850 B1 KR100192850 B1 KR 100192850B1 KR 1019910002209 A KR1019910002209 A KR 1019910002209A KR 910002209 A KR910002209 A KR 910002209A KR 100192850 B1 KR100192850 B1 KR 100192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ladder
storage position
aerial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490A (ko
Inventor
쥰지 이나모도
미치히로 이치하라
Original Assignee
후지신 이치로
모리다 펌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신 이치로, 모리다 펌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신 이치로
Publication of KR91001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사다리차나 전선공사용 차량과 같은 고소작업차량의 고소작업용 바스켓을 바스켓부착체에 부착하는 구조인 것으로, 수납위치에 있어서의 고소작업용 바스켓의 바스켓부착체에서의 앞쪽 돌출 길이를 작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바스켓이 수납위치에서는 바스켓부착체에 대해 전후방향에 관하여 중합하는 부분을 보유하도록 상방에서 덮어씌운 상태로 한 것으로, 고소작업차량의 전장을 전후 중합길이 만큼 종래보다 단축할 수 있고 좁은 노면에도 쉽게 들어갈 수 있으며, 또, 차체운전부의 경사진 상방의 운전시계도 양호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차량의 바스켓 부착구조
제1도 내지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제1도는 수납위치에서의 바스켓의 부착구조의 측면도.
제2도는 사용위치에서의 바스켓의 부착구조의 측면도.
제3도는 사다리의 선단의 측면도.
제4도는 사용위치에서의 바스켓의 부착구조의 정면도.
제5도는 사용위치에서의 바스켓의 부착구조의 배면도.
제6도는 사용위치에서의 바스켓 부착구조의 평면도.
제7도는 제1도의 Ⅶ-Ⅶ선 단면도.
제8도는 사다리차의 측면도.
제9도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수납위치에서의 바스켓의 부착구조의 측면도.
제10도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바스켓의 위치변경 기구의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 사시도.
제12도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바스켓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정면도.
제14도는 종래의 사다리차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다리차(고소작업차량) 2 : 차체
3 : 사다리(바스켓부착차) 4 : 바스켓
본 발명은 소방용 사다리차나 전선 공사용 차량과 같은 고소(high place)작업차량의 고소작업용 바스켓(basket)을 사다리나 비임이라고 한 바스켓 부착체에 부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부착구조로서는 제14도에 포시한 것이 있다.
이것은 사다리차에서 예시되는 고소작업차량(101)이고, 차체(102)와 이 차체(102)에 부착된 사다리로 표시되는 바스켓부착제(103)와 이 바스켓부착제(103)의 선단에 부착되는 고소작업용 바스켓(104)을 구비하고 있다.
그 바스켓부착제(103)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횡축(107) 중심으로 요동하는 것으로서 선단이 상하작동한다.
이 바스켓부착체(103)의 선단은 아래쪽 위치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운전부(105)의 앞상방으로 위치된다.
또한, 고소작업용 바스켓(104)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수납위치와 쇄선으로 표시하는 사용위치로, 도시하지 않은 유압실린더를 통해 위치변경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 사용위치에서는 고소작업용 바스켓(104)의 작업자 승강면이 대략 수평하게 되어서 작업자가 승강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사용위치에서 고소작업용 바스켓(104)이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요동됨으로써, 고소작업용 바스켓(104)은 바스켓부착제(103)의 앞쪽으로 돌출되며, 그 하단은 사용위치의 경우보다도 위쪽의 수납위치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고소작업용 바스켓(104)을 바스켓부착체(103)에서 떼어내지 않고 신속하게 수납위치로 하여, 고소작업용 바스켓(104)이 차량의 앞쪽 운전시계를 차단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종래의 것에서는, 수납위치의 고소작업용 바스켓(104)은 바스켓부착체(103)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 돌출된 길이만큼 고소작업차량(101)의 전장(L′)이 커지고, 좁은 노면 등으로 진입하는 것이 곤란하여, 소방용 사다리차와 같은 긴급용 차량에 있어서는 인명에 관계되는 문제였다.
또, 앞쪽의 운전시계는 차단되지 않지만 경사진 상방의 운전시계가 불량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수납위치에 있어서의 고소작업용 바스켓의 바스켓부착체에서의 앞쪽 돌출길이를 작게 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바스켓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점은, 차체(2)와 이 차체(2)의 선단측이 상하작동하도록 부착되는 바스켓부착체(3)와, 이 바스켓부착체(3)의 선단에 사용위치와 수납위치에 위치변경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고소작업용 바스켓(4)을 구비하고, 하방에 위치한 상기한 바스켓부착체(3)의 선단은 차체운전부의 앞상방에 위치되며, 바스켓(4)의 하단은 수납위치의 경우 쪽이 사용위치의 경우보다도 상방으로 되는 고소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한 바스켓(4)이 수납위치에서는 바스켓부착체(3)에 대하여 전후방향에 관해서 종합하는 부분을 보유하도록 상방에서 덮어씌운 상태로 된 점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수납위치의 바스켓(4)은 바스켓부착체(3)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관해 종합된 부분을 보유하므로 최소한 이 중합부분의 전후길이(ℓ)만큼 고소작업차량의 전장(L)이 종래의 전장(L')보다도 단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납위치의 바스켓(4)은 바스켓부착체(3)에 상방에서 덮어씌운 상태로 된다. 따라서, 수납위치의 바스켓(4)은 바스켓부착체(3)와 상하방향에 관해서 중합하는 부분을 보유하고 바스켓(4)을 수납위치로 하는 것에 의한 고소작업차량의 전체 높이의 증대를 가급적 작게 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고소작업차량의 한 예로서 표시하는 사다리차(1)이고, 차체(2)와 바스켓부착제로서 예시하는 사다리(3)와, 고소작업용 바스켓(4)을 구비하고 있다. 그차체(2)의 앞부분이 운전부(5)로 되어 있다. 또, 차체(2)에는 유압작동식 아우트리거(6)가 부착되며, 작업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2)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 사다리(3)는 차체의 후부에 횡축(7) 중심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며, 도시하지 않은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요동함으로써, 사다리(3)의 선단은 상하작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사다리(3)의 선단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한 운전부(5)의 앞상방에 위치된다.
또, 사다리(3)는 차체(2)에 대해 종축 중심으로 선회 구동하게도 되어 있다.
그리고, 사다리(3)의 선단에 바스켓(4)이 도면중 실선으로 표시하는 사용위치와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수납위치로 위치변경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부착구조를 제1도 내지 제7도에 표시한다.
제1도, 제7도는 수납위치의 바스켓(4)을, 제2,4,5,6도는 사용위치의 바스켓(4)을 표시한다.
우선, 사다리(3)는 5조의 좌우 폭이 다른 단위 사다리를 적층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긴쪽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작동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신축 구동이 자유롭게 한 것이다. 이 최상층의 단위 사다리(3a)의 선단에, 제2,3,4도에 표시하듯이, 좌우 한쌍의 상방개구의 제1수부(8)와, 좌우 한쌍의 전방 경사진 하방개구의 제2수부(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수부(8)와 제2수부에 연결틀(10)이 착탈 자유롭게 걸려져 있다. 이 연결 틀(10)은 제2,4,6,7도에 표시하듯이, 제1수부(8)에 끼워맞춤되는 제1부재(11)와, 제1수부(9)에 끼워맞춤되는 제2부재(12)와 이들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를 연결하는 좌우 한쌍의 보강재(13)를 보유한다. 이 연결틀(10)에 바스켓 선회장치(14)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바스켓 선회장치(14)는 상기한 보강재(13)에 연결되는 유압모터(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압모터(15)는, 제4도에 표시하듯이, 좌우 방향 축심의 한쌍의 구동축(16)을 보유하며, 각 구동축(16)에 각각 회전통(17)이 연결되어 있다. 각 회전통(17)은 각각 상기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각 좌우단에 축받이(18)를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회전통(17)에는 각각 암(19)의 한끝이 고정되고, 이 좌우 한쌍의 암(19)의 다른 끝에 바스켓(4)의 상단이 횡축(20)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도시한 바스켓(4)은 상판(床板)(21)과 이 상판(21)의 주변에 따라 부착된 틀체(22)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틀체(22)의 앞면 중앙부는 작업자 승강이동용의 출입구(25)로 되어 있다. 이 출입구(25)를 개폐하는 틀 형상인 승강용 문짝(23)의 하단이 좌우 방향 축심의 경첩(24)을 통해 상판(21)에 부착되어 있다.
보통, 그 출입구(25)는 승강용 문짝(23)에 의해 닫혀진 상태에서 잠기며 잠금 해제되어서 그 경첩(24) 중심에 승강용 문짝(23)의 상단 측이 앞쪽으로 요동함으로써 출입구 열려진다.
그리고, 그 틀체(22)의 후면 상반부는 제5,6도에 표시하듯이 간섭방지용 개구(28)로 되어 있다. 이 간섭방지용 개구(28)의 개폐용으로 제1,5,6,7도에 표시하듯이 좌우 한쌍의 틀형상인 선회문짝(26)이 구비되어 있다.
각 선회문짝(26)의 좌우 외측단은, 상하방향 축심의 경첩(27)을 통해 틀체(22)의 후단에 부착되어 있다. 이 선회문짝(26)이 그 경첩(27) 중심으로 요동함으로써, 제6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하듯이 간섭방지용 개구(28)는 열리며, 보통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선회문짝(26)은 간섭방지용 개구(28)를 폐쇄하도록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또한, 틀체(22)의 후면 하반부와 선회문짝(26)은 도면에서는 부분적으로만 표시하고 있지만 모든 면이 펀칭메탈(29)에 의해 덮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우측의 암(19)에는 왕복작동 유압실린더(30)의 신축로드(31)가 횡축(32) 중심으로 상대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이 유압실린더(30)의 실린더끝은 바스켓(4)의 상판(21)에 횡축(33) 중심으로 상대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유압실린더(30)의 신축에 의해 바스켓(4)은 상기한 횡축(20) 중심으로 요동되고, 상판(21)을 수평으로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상판(21)이 수평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와, 이 센서에서의 신호에 의해, 상판(21)을 수평하게 유지하도록 유압실린더(30)를 작동시키는 압유공급장치(3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유압모터(15)와 유압실린더(30)로 압유를 공급하는 오일탱크, 전자밸브, 펌프 등을 구비한 압유공급장치(34)는 예컨대 제2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하듯이 바스켓(4)에 적재되고, 유압모터(15)와 유압실린더(30)에 배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유공급장치(34)를 차체(2)가 아니고 바스켓(4)에 부착함으로써, 압력 손실 등을 작게 하여 바스켓(4)의 펌프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유공급장치(34)의 도시하지 않은 조작장치는 차체(2)와 바스켓(4)의 상방으로 구비되며 압유공급장치(34)와 전기적으로 배선 접속되며, 차체(2)나 바스켓에서도 압유공급장치(34)는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실시예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사다리(3)를 횡축(7) 중심으로 요동시켜 그 선단을 제8도의 최하단 위치로 한다. 다음에, 압유공급장치(34)를 조작하여 유압모터(15)와 유압실린더(30)에 압유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유압모터(15)가 회전통(17)을 제2도 중의 화살표(A) 방향으로 180도 회전 구동시키는 동시에 유압실린더(30)가 수축하여 바스켓(4)을 암(19)에 대해 횡축(20) 중심으로 제2도 중 화살표(B) 방향으로 상대회전 시킨다. 또한, 이 압유공급장치(34)의 작동시에, 상기한 상판(21)의 수평제어는 해제된다. 또, 아우트리거(6)의 수축이 개시된다.
그 회전통(17)의 회전에 의해, 암(19)을 통해 바스켓(4)이 제2도 중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되며, 바스켓(4)은 사다리(3)로 씌워지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바스켓(4)이 암(19)에 대해 횡축(20)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통(17)이 180도 회전 완료된 제1도의 상태에 있어서, 바스켓(4)은 상판(21)이 대략 수직인 자세로 된다.
그리고, 바스켓(4)이 사다리(3)로 씌워질 때, 상기한 선회문짝(26)은 최상층의 단위 사다리(3a)에 접촉되는 동시에 단위 사다리(3a)에 눌러져서 경첩(27) 중심으로 요동되고, 간섭방지용 개구(28)가 열리게 된다. 이것에 의해 바스켓(4)이 사다리(3)와 간섭 없이 사다리(3)에 씌워져서 수납위치로 된다.
이때, 아우트리거(6)의 수축도 연동하여 동시에 실시됨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이 수납위치에 있어서는 제1,7도에 표시하듯이, 사다리(3)에 대해 바스켓(4)은 전후방향에 관해 중합하는 부분을 보유하도록 위쪽에 씌워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의 사다리차(1)의 전장(L)은, 제8도와 제13도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최소한 사다리(3)와 바스켓(4)과의 중합부분의 전후길이(ℓ)만큼, 종래의 전장(L')보다 단축된다.
바스켓(4)을 수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하는 데는 상기와 반대작동을 시키면 된다. 이것에 의해, 사다리차(1)는 종래의 것보다 협소한 노면으로 들어가기 쉽고, 긴급용 차량으로서 바람직한 것이다.
또, 경사진 방향의 운전시계도 종래의 것보다 양호하게 된다.
더욱이, 사다리(3)와 바스켓(4)은 상하방향에 관해서도 중합하는 부분을 보유함으로써, 사다리차(1)의 전체 높이의 중대를 가급적 작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바스켓(4)을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할 때, 유압실린더(30)에 유압을 작용시켜서 적극적으로 수축시킴으로써, 바스켓(4)을 신속하게 수납자세로 하였지만, 유압실린더(30)에 유압을 작용시키지 않아도 좋다.
즉, 제2도에 파선으로 표시하듯이 왕복작동 유압실린더(30)의 2개의 유실을 전자개폐밸브(35)를 통해 연결하며, 유압모터(15)를 회전구동 시킬 때는 전자개폐밸브(35)를 여는 동시에 양쪽 유실을 오일탱크와 연통시키는 것으로 플로팅(floating)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바스켓(4)은 전극적으로 제1도의 수납자세로 되지 않지만, 유압모터(15)에 의한 화살표(C)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수납자세로 되고, 이 경우는 수납자세로 될 때까지에는 상기한 실시예보다 시간이 걸리지만, 압유공급장치(34)의 펌프용량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선회문짝(26)을 스프링에 의해 간섭방지용 개구(28)의 폐쇄위치로 되도록 힘을 가하고 있었지만, 전기적인 잠금 장치에 의해 사용위치에서는 선회문짝(26)을 간섭방지용 개구(28)의 폐쇄위치로 잠그고, 수납조작시의 유압모터(15)의 작동시에 그 잠금을 전기적으로 해제하도록 하여, 사용위치에서의 간섭방지용 개구(28)의 폐쇄를 확실한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사다리(3)는 5조의 적층형상인 단위 사다리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제9도와 같이 4조의 적층현상인 단위 사다리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유압모터(15)에 의해 바스켓(4)을 수납위치와 사용위치로 위치변경 시켰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제10도, 제11도에 표시하는 구조를 사용해도 좋다.
이것은, 상기한 유압모터(15)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한 회전통(17)을 사다리(3)에 대하여 고정한 고정통(36)으로 하고, 이 고정통(36)에 암(19)을 고정통(36)의 축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한다. 또한 고정통(36)으로부터는 암(37)을 연출(延出)하고, 이 암(37)에 제1링크(38)의 한끝을 횡축(39)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한다.
이 제1링크(38)의 다른 끝에 유압실린더(40)의 한끝과 제2링크(41)의 한끝을 각각 횡축(42)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한다. 그 유압실린더(40)와 제2링크(42)의 각 다른 끝은 암(19)에 횡축(43),(44)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한다.
이것에 의하여, 유압실린더(40)를 수축시키면, 암(19)은 고정통(36)의 축 중심으로 회전하며, 도면 중의 실선 위치에서 가상선 위치로 되고, 이것에 따라 바스켓(4)도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된다.
또, 유압실린더(40)를 신장시키면 바스켓(4)은 수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바스켓(4)에 선회문짝(26)을 설치하였지만, 이와 같은 선회문짝(26)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예컨데 제12,13도에 표시하듯이 좌우 한쌍의 바스켓(4)의 한쪽끼리를 연결체(45)에 의해 연결하면, 바스켓(4)과 연결체(45)등으로 둘러싸게 되는 공간(46)에 사다리(3)를 속으로 들어가게 하고, 사다리(3)와 바스켓(4)을 전후방향에 관해 중합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사다리차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예컨대 비임현상인 바스켓부착체를 보유하는 전선공사용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위치의 바스켓이 바스켓부착체에 대해 전후방향에 관하여 중합하는 부분을 보유하도록 위쪽에서 덮어씌운 상태로 되므로 고소작업차량의 전장을 그 전후 중합길이 만큼 종래보다도 단축할 수 있고, 좁은 노면에도 쉽게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차체운전부의 경사진 상방의 운전시계도 종래보다 양호하게 된다. 더욱이, 바스켓과 바스켓부착제는 상하방향에 관해서도 중합하는 부분을 보유함으로써, 고소작업차량의 전체 높이의 증대도 가급적으로 작은 것으로 되어 바람직하다.

Claims (1)

  1. 차체(2)와, 이 차체(2)에 선단 측이 상하 작동하도록 부착되는 바스켓부착체(3)와, 이 바스켓부착체(3)의 선단에, 사용위치와 수납위치로 위치변경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고소작업용 바스켓(4)을 구비하고, 이 바스켓(4)의 하단은, 수납위치의 경우 쪽이 사용위치의 경우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고소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한 바스켓부착체(3)에 암(19)이 횡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암(19)에 바스켓(4)이, 바스켓(4)의 상판(21)보다도 상방 위치에서 횡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 암(19)과 바스켓(4)의 회전에 의해 수납위치로된 바스켓(4)은, 바스켓부착체(3)에 대해 전후방향에 관하여 중합하는 부분을 보유하도록 상방으로부터 덮어씌워진 상태로 되며, 이 암(19)에 대한 바스켓(4)의 회전중심은 사용위치에서는 바스켓부착체(3)에 대한 암(19)의 회전중심보다도 전방 및 하방으로 되고, 수납위치에서는 바스켓부착체(3)에 대한 암(19)의 회전중심보다도 후방 및 상방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부착구조.
KR1019910002209A 1990-02-09 1991-02-09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부착구조 KR100192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12423U JPH0524713Y2 (ko) 1990-02-09 1990-02-09
JP2-12423 1990-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490A KR910015490A (ko) 1991-09-30
KR100192850B1 true KR100192850B1 (ko) 1999-06-15

Family

ID=1180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209A KR100192850B1 (ko) 1990-02-09 1991-02-09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부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524713Y2 (ko)
KR (1) KR100192850B1 (ko)
AU (1) AU631045B2 (ko)
MY (1) MY1053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894B1 (ko) * 2019-07-17 2020-03-03 주식회사 나노메딕스 버켓을 구비하는 소방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19009B2 (en) * 1977-05-27 1981-11-05 Ngan Pty. Ltd Erection of poles
DE3715820A1 (de) * 1987-05-12 1988-11-24 Schroeder Eisenwerk Hubfahrzeug zur containerverladung in flugzeuge
DE3903632A1 (de) * 1989-02-08 1990-08-09 Iveco Magirus Rettungs- und/oder arbeitskor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894B1 (ko) * 2019-07-17 2020-03-03 주식회사 나노메딕스 버켓을 구비하는 소방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4713Y2 (ko) 1993-06-23
KR910015490A (ko) 1991-09-30
MY105363A (en) 1994-09-30
AU7090091A (en) 1991-08-15
JPH03105193U (ko) 1991-10-31
AU631045B2 (en) 199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0979B1 (en) Step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nd tree harvester having leveling system
US4579503A (en) Sideloader elevator platform
US4087007A (en) Cargo platform system
JPS5815438B2 (ja) クレ−ン車
KR100192850B1 (ko)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부착구조
US20040040762A1 (en) Auxiliary cab lift spring
CA1126175A (en) Rotating powered step
CN103241690B (zh) 高空作业车及其工作斗
WO2003059685A2 (en) Wheelchair access system for a vehicle
US3826386A (en) Compact lift for van
JP2007237783A (ja) 昇降装置付き車両及び昇降装置
JP2005023781A (ja) 建設機械
EP0022853A1 (en) FIXING OF A UNLOADED BUCKET WITH TWO SPILLAGE SIDES FOR A FRONT LOADING VEHICLE.
US4395187A (en) Automatic cargo elevator for vehicle
CA1139271A (en) Vehicular lift mechanism for transporting large structural members
JP2524316B2 (ja) 高所作業車両の手摺り装置
JP3798618B2 (ja) 作業車の運転操縦装置
JPH0537707Y2 (ko)
US4505359A (en) Vehicle cargo elevator with upright storage
JP2540474Y2 (ja) 建設機械のアンダーミラー装置
JPH0725386Y2 (ja) 高所作業車の梯子積み下し装置
JP2696503B2 (ja) 昇降装置
JP3337914B2 (ja) 荷役車両
JP2832250B2 (ja) 旋回式バケット装置
JPH04311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