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623B1 - 시트용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 Google Patents

시트용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623B1
KR100192623B1 KR1019960060538A KR19960060538A KR100192623B1 KR 100192623 B1 KR100192623 B1 KR 100192623B1 KR 1019960060538 A KR1019960060538 A KR 1019960060538A KR 19960060538 A KR19960060538 A KR 19960060538A KR 100192623 B1 KR100192623 B1 KR 100192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ver
hinge member
hinge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334A (ko
Inventor
사또루 야마구찌
이사오 이께가야
에이지 오까모또
Original Assignee
다까다 이사부
후지 기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 이사부, 후지 기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다 이사부
Publication of KR97002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60N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linear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조정 가능 시트 등받이를 갖는 시트용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는, 제1 및 제2 힌지 부재가 서로 피봇 운동하도록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액슬과, 제2 힌지 부재에 형성된 내치와, 이 내치와 로킹 상호 작용을 위해 위한 치를 갖는 베어링 판과, 이 왕복 운동 방향으로 가이드 벽에 대해 베어링 판을 안내하기 위해 제1 힌지 부재에 형성된 이격된 가이드 벽과, 베어링 판을 내치와 결합시키고 해제시키는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제어 수단은 베어링 판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레버 와 이와 일체 운동하는 캠을 포함한다. 캠은 액슬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캠 축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을 하기 위해 제1 힌지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용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본 발명은 조정 가능 시트 등받이(adjustable seat back)를 갖는 시트를 위한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hinge mount)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현재 사용되는 차량용 시트는 오랫동안 공지되어 왔다. 이러한 시트는 경사가 시트 본체(proper) 또는 시트 프레임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는 시트 등받이를 포함한다. 시트 본체에 대하여 시트 등받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소 복잡한 여러 기구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모든 공지된 기구는 특별한 결점을 갖는데, 그 이유는 어떠한 사용시 힌지의 설계로 인해 그리고 차량에 대한 진동으로 인해, 시트 본체에 대해 시트 등받이를 로킹하도록 마련된 부재들의 맞물림 결합에 있어서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출원과 함께 양도된 1996년 6월 24일자 출원의 미국 특허 출원 제08/668,810호에는 조정 가능 시트 등받이를 갖는 시트용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를 기재되어 있다. 상기 미국 특허 출원은 1996년 6월 24일자 출원의 유럽 특허 출원 제96110177.1호(EP-A 0749865)와, 1996년 6월 24일자 출원의 한국 특허 출원 제96-23201호에 대응한다. 이러한 힌지 장착부는 제1 힌지 부재와, 제2 힌지 부재와, 제1 힌지 부재 및 제2 힌지 부재를 상호 연결하고 액슬 축을 갖는 액슬(axle)을 포함한다. 제2 힌지 부재를 액슬 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피봇 운동하도록 제1 힌지 부재와 제2 힌지 부재 사이에 스프링이 결합된다. 액슬 축 상에 중심을 둔 원형 곡면을 따라 제2 힌지 부재에 내치(internal teeth)가 형성된다. 베어링 판에는 상기 내치와 로킹 결합하는 치가 형성된다. 베어링 판은 제1 힌지 부재의 이격된 가이드 벽들에 의해 안내된다. 액슬 축을 중심으로 한 피봇 운동을 위해 레버가 제1 힌지 부재에 피봇 연결된다. 베어링 판이 제2 힌지 부재의 내치와의 결합 상태 및 분리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액슬 축을 중심으로 한 레버와의 일체 이동을 위해 캠이 제1 힌지 부재에 피봇 연결된다. 종래에 제안된 힌지 장착부의 구성에 따르면, 레버 및 캠은 액슬 축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하도록 액슬에 의해 지지되고, 내치는 액슬 축 상에 중심을 둔 제2 힌지 부재의 원형 곡면을 따라 형성되며, 베어링 판은 캠과 내치 사이에 배치된다.
힌지 장착부의 구성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소형화하려는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는 전술한 구성에 의해서는 만족스러운 정도까지 충족되지 않는다. 특히, 내치와의 베어링 판의 치의 로킹 결합을 적당히 보장하기 위하여, 베어링 판이 액슬 축 상에 중심을 둔 원을 따라 실질적인 치수뿐만 아니라 액슬 축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실질적인 치수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바꿔 말하면, 액슬 축과 내치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반경 방향 치수가 감소된 캠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캠의 반경 방향 치수의 감소는 내치와의 베어링 판의 치의 로킹 결합뿐만 아니라 내치로부터의 베어링 판의 치의 분리를 보장하기 위해 캠 양정(lift)의 적정량을 발생시키도록 캠이 회전되어야 하는 각도가 증가된다. 이는 동일하게 운동하는 캠을 갖는 레버가 체결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증가된 각도로 피봇되므로 레버를 위한 실질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고 레버의 작동성을 손상시키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가 작동하게 되는 각도의 증가 없이 적절한 체결 결합을 보증하면서 모든 구성 부품들이 제1 및 제2 힌지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액슬을 중심으로 작은 반경 방향 연장부 또는 영역 내에 배열되도록 상기 형태의 힌지 장착부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힌지 부재와, 제2 힌지 부재와, 액슬 축을 구비하고 액슬을 중심으로 제2 힌지 부재에 대해 제1 힌지 부재가 피봇 운동하도록 제1 힌지 부재와 제2 힌지 부재를 연결시키는 액슬과, 제2 힌지 부재에 형성된 내치와, 내치와의 로킹 상호 작용을 위해 치를 갖는 베어링 판과, 왕복 운동 방향으로 가이드 벽에 대해 베어링 판을 안내하기 위해 제1 힌지 부재에 형성된 이격된 가이드 벽과, 베어링 판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레버와 이와 일체 운동하는 캠을 구비하고 있고, 캠은 액슬 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캠 축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을 하기 위해 제1 힌지 부재에 장착되며, 베어링 판을 내치와 결합시키고 해제시키는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조정 가능 시트 등받이를 갖는 시트용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가 마련된다.
도1은 자동차용 전방 시트의 좌측 후방 모서리에 장착된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가 체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그 부품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도1의 우측에서 본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1의 선 2-2를 따라 취한 부분 절결 단면도.
도3은 자동차용 후방 시트의 좌측 후방 모서리에 장착된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4는 도3의 우측에서 본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의 개략도.
도5는 도4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편 단면도.
도6은 도4의 선 6-6을 따라 취한 단편 단면도.
도7은 도3에 도시된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의 제1 힌지 부재를 이에 장착된 베어링 판, 캠 및 홀더와 함께 도시한 개략도.
도8은 내치를 갖춘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의 제2 힌지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
도9는 자동차용 후방 시트의 좌측 후방 모서리에 장착된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10은 도9의 우측에서 본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의 개략도.
도11은 도면에 도시된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를 사용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기구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힌지 부재 12 : 제2 힌지 부재
14 : 아암 16 : 액슬
18 : 액슬 축 20 : 스프링
24 : 내치 26, 28 : 가이드 벽
30 : 베어링 판 36 : 레버
도면에서는, 단순화를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을 표시하도록 사용되었다.
도1 및 도2에서,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가 시트 등받이를 갖는 차량 전방 시트와 함께 사용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힌지 장착부는 도1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본체의 측방향 면에 연결 가능한 제1 힌지 부재(10) 및 아암(14)에서 시트 등받이의 측방향 면에 연결 가능한 제2 힌지 부재(12)를 포함한다. 두 개의 힌지 부재(10, 12)는 액슬 축(18)을 갖는 액슬(16)에 의해 지지되며 상호 연결된다.
액슬(16)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힌지 부재(12)를 피봇 운동하도록 힌지 부재(10, 12) 사이에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의 스프링(20)이 연결된다. 액슬(16)의 자유단은 스프링(20)의 내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후킹 슬롯으로 성형된다. 제2 힌지 부재(12)의 후킹 핀(22)은 스프링(20)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스프링(20)은 시트 착석자의 등에 대해 시트 등받이를 영구히 복귀시키는 성향을 갖는다.
액슬(16) 상에 중심을 둔 내치(24)는 제2 힌지 부재(12)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 힌지 부재(10)는 가이드 벽(26, 28)에 대해 왕복하는 방향으로 베어링 판(30)을 활주시키도록 두 개의 이격된 가이드 벽(26, 28)을 갖는다. 베어링 판(30)은 내치(24)와 협력하여 로킹하기 위한 치(32)가 형성된다.
내치(24)와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위한 베어링 판(3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베어링 판(30)과 협력하여 레버(36)와 일체의 운동으로 회전 캠 판의 형태의 캠(34)이 제공된다. 레버(36)는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자유단 부분에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수반한다. 캠(34)은 캠 축(40)에 대해 피봇 운동하는 캠 축(40)을 갖는 캠 핀(38)에 의해 제1 힌지 부재(10)에 장착된다. 캠 축(40)은 액슬 축(18)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특히, 베어링 판(30)은 액슬 축(18)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이격되며 캠 축(40)은 반대 방향으로 액슬 축(18)으로부터 이격된다. 레버(36)는 캠 축(40)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해 캠 핀(38)에 의해 제1 힌지 부재(10)에 장착된다. 레버(36)와 캠(34)의 일체의 피봇 운동을 달성하도록, 캠(34)은 핀의 형태의 돌출부(42)를 가지며 레버(36)에는 돌출부(42)가 결합되는 개구(44)가 형성된다. 도2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 부재(10)는 캠(34) 및 레버(36) 사이에 배치되며, 캠 축(40) 상에 중심을 둔 원형 슬롯의 형태의 윈도우(46)가 형성되어 캠(34)의 돌출부(42)의 통과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판(30) 하부에 치(32)가 형성된다. 베어링 판(30) 상부에는, 제1 힌지 부재(10)와 레버(36) 사이에 결합된 복귀 스프링(52)의 작용에 의해 캠(34)의 상부(50)와 협력하여 유지되는 면 부분(48)이 형성된다. 복귀 스프링(52)은 일 단부가 제1 힌지 부재(10)에 고정된 고정 핀(54)과 결합되며 대향 단부가 레버(36)와 일체의 고정 러그(56)와 결합되는 후크인 나선형 인장 스프링 형태이다. 복귀 스프링(52)은 레버(36)와 캠(34)을 도1에서 보았을 때의 반시계 방향으로 편의시켜서 캠(34)의 상승된 부분(50)이 베어링 판(30)을 제2 힌지 부재(12)가 형성된 내치(24)와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한다. 캠(34)과 레버(36)가 캠 축(4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캠(34)과 레버(36) 각각에는 액슬(16)을 수용하는 개구(58)과 개구(60)가 각각 형성된다. 베어링 판(30)의 치(32)가 기구의 수명 기간에 걸쳐 내치(24)와 적절하게 결합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윈도우(46)가 캠 축(40)에 중심을 둔 원을 따라서 연장되어 캠(34)의 돌출부(42)가 도1에 도시된 위치 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레버(36)를 도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복귀 스프링(52)에 대해 회전시키면 캠(34)이 캠 축(40)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게 되어서 상승된 부분(50)이 표면 부재(48)로부터 풀리게 된다. 레버(36)의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응하여서 베어링 판(30)이 내치(24)로부터 풀리게 하기 위하여, 베어링 판(30)은 해제 핀(62)을 구비하며 레버(36)에는 개구(66)를 한정하는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사부(64)가 형성된다. 해제 핀(62)은 제1 힌지 부재(10)의 긴 슬롯(68)을 통과하며 경사부(64)와의 협동을 위한 개구(66) 내에 배치된 자유 단부 부분을 구비한다. 긴 슬롯(68)은 베어링 판(30)이 가이드 벽(26, 28)에 의하여 안내되는 왕복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하다. 해제 핀(62)의 자유 단부 부분과 경사부(64) 사이의 관계는, 도1에 도시된 위치에서 경사부(64)가 해제 핀(6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지만, 그러나 레버(36)가 복귀 스프링(52)의 작동에 대항하여 회전 운동하는 중에는, 레버(36)가 복귀 스프링(52)의 작동에 대항해서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베어링 판(30)이 내치(24)로부터 해제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레버(36)가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고 해제 핀(62)을 들어올릴 때에 경사부(64)가 해제 핀(62)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레버(36)가 복귀 스프링(52)의 작동에 대항해서 도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회전 운동하는 중에, 캠(34)의 상승된 부분(50)은 경사부(64)가 해제 핀(62) 상에 작용하기 전에 베어링 판(30)으로부터 분리되어서 베어링 판(30)이 내치(24)와의 맞물림부 밖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홀더(7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 핀(54)을 포함하는 다수의 핀에 의해서 제1 힌지 부재(10)에 고정된다. 도2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힌지 부재(12)의 하부 주연부는 홀더(70)의 압인된 상부 곡형 가장자리 부분(72)과 제1 힌지 부재(10)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장치는 제2 힌지 부재(12)를 제1 힌지 부재(10)에 대하여 유지시키게 되어서 내치(24)가 기구의 수명 기간에 걸쳐서 베어링 판(32)의 치(34)와 적절하게 결합되는 것이 보장된다.
도2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힌지 부재(10)와 제2 힌지 부재(12)에는 압인 부분(74, 76)이 형성된다. 제1 힌지 부재(10)의 압인 부분(74)은 주요 내부 부분(78)을 둘러싸고 2개의 이격된 가이드 벽(26, 28)을 통하여 상기 주요 내부 부분(78)을 구비하는 부분에서 연결된다. 제2 힌지 부재(12)의 압인 부분(76)은 주요 외부 부분(80)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제2 힌지 부재(12)의 주요 외부 부분(80)는 액슬(16)을 중심으로 제1 힌지 부재(10)에 대한 제2 힌지 부재(12)의 피봇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제1 힌지 부재(10)의 압인된 외측부(74)와 협동한다. 제1 힌지 부재(10)의 주요 내측 부분(78)와 제2 힌지 부재(12)의 압인된 내측부(76) 사이에는 베어링 판(30) 및 캠(34)이 배치된다.
도2를 보면, 제1 힌지 부재(10)의 주요 내측 부분(78)는 그 주변 압인부(74)로부터 한 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2 힌지 부재(12)의 압인된 내측부(76)는 그 주변 주요 외부 부분(80)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측부(78, 76)들 사이에 베어링 판(30) 및 캠(34)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캠(34)을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36)가 시트 착석자와 같은 작동자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를 지지한다. 후술하는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는, 레버가 손잡이를 직접 지지하지 않지만, 대향 단부가 손잡이에 연결된 운동 전달 부재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3 내지 도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가 기술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는, 제1 및 제2 힌지 부재(10, 12)들을 서로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20)이 제공되어 있지 않고, 캠(34)의 돌출부(42)가 핀 형태가 아니고 캠(34)의 일체식 러그(도6 참조) 형태이고, 복귀 스프링(52)이 나선형 신장 스프링 형태가 아니고 스프링 리테이너(90)에 고정된 내측 단부와 레버(31)의 앵커링 러그(56)에 고정된 외측 단부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 형태이고, 캠 핀(38)이 캠(34)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고 캠(34)이 캠 축(40)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을 제공하도록 제1 힌지 부재(10)(도5 참조)의 요홈부에 수납된 일체식 보스(94)를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것과 사실상 동일하다.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힌지 부재(12)(도3 및 도8 참조)가 시트 본체의 측면에 연결 가능하고, 제1 힌지 부재(10)(도3 및 도8 참조)가 시트 후방의 측면에 연결 가능하다.
도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 부재(10)는 그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보스(96)와, 그 내부면으로부터 요홈이 형성된 원형 요홈부(98)를 형성하도록 엠보싱되어 있다. 스프링 리테이너(90)는 제1 및 제2 힌지 부재(10, 12)를 상호접속하는 액슬(16)에 그 일 단부가 앵커되어 있다. 그 대향 단부에는, 스프링 리테이너(90)가 제1 힌지 부재(10)의 보스(96)에 앵커된다. 그러므로, 스프링 리테이너(90)는 차축 축선(18)을 중심으로 제1 힌지 부재와의 단일 피봇 운동에 보유된다. 제1 힌지 부재(10)의 보스(96)에 의해, 레버(36)가 캠 축(40)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하도록 제1 힌지 부재(10)에 장착된다. 캠(34)은 원형 요홈부(98) 내에 수납된 일체식 보스(94)에 의해 제1 힌지 부재(10)에 장착된다. 도3, 도5 및 도7로부터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캠(34)에는 액슬(16)이 통과하는 개구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캠(34)은 캠 축(40)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다. 나선형 복귀 스프링(52)의 내측 단부를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해, 스프링 리테이너(90)는 일체식 칼라(100)(도3 및 도5 참조)에서 종단된다.
제1 힌지 부재(10)에는 캠 축(40)에 중심이 맞춰진 원형 슬롯 형태의 윈도우(46)가 형성되어, 캠(34)의 돌출부(42)의 통과를 허용한다. 돌출부(42)는 캠(34)과 레버(36)의 일체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제1 힌지 부재(10)가 형성되는 개구(44) 내로 끼워진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6)는 와이어용 고정 개구(104)로서 형성되는 일체형 아암부(102)를 구비한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 부재(12)는 시트 본체(110)의 횡방향 측면에 결합되고, 제1 힌지 부재(10)는 시트 등받이(112)의 횡방향 측면에 결합된다. 레버(36)와 도시되지 않은 캠이 캠 축(40)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해 캠 핀(38)에 의해 제1 힌지 부재(10)에 장착되고, 제2 힌지 부재(12)가 도11의 점선으로 도시된 운동 전달 파이프(116)에 의해 수납되는 비원형 부분을 갖는 제2 액슬(114)을 구비하고, 제2 레버(118)가 제2 액슬(114)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해 제1 힌지 부재(10)에 장착되고 도시되지 않은 캠의 핀 형태의 돌출부(42)를 수납하는 슬롯(120)을 통해 상기 언급한 제1 레버(36)와 상호 작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사실상 동일하다.
제2 레버(118)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대향 단부가 핸들(126)에 연결된 제어 로드(124)의 한 단부를 수납하는 개구(122)로서 자유 단부에 형성된다. 양 단부의 중간 부분에서, 제2 레버(118)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의 돌출부(42)를 수납하는 슬롯(120)으로서 형성된다. 도10에 의하면, 복귀 스프링(52)은 캠 핀(38)에 대해 레버(36)와 상기 캠을 바이어스시키기 위해 레버(36)와 일체인 고정 러그(56)와 결합되는 외부 단부와 액슬(16)과 결합되는 내부 단부를 갖는다.
도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액슬(114)은 우측 및 하향 방향으로 상기 액슬(16)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전방 방향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이므로, 제2 액슬(114)은 상기 액슬로부터 후방 및 하향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2 액슬(114)의 이러한 배치는 시트 착석자의 등 부분과 간섭되지 않고서 운동 전달 파이프(116)의 편심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레버(36)가 핸들(126)을 조작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을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Claims (21)

  1. 조정 가능 시트 등받이를 갖는 시트용의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에 있어서,
    제1 힌지 부재와,
    제2 힌지 부재와,
    액슬 축을 구비하고, 상기 액슬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힌지 부재에 대해 상기 제1 힌지 부재가 피봇 운동하도록 상기 제1 힌지 부재와 상기 제2 힌지 부재를 연결시키는 액슬과,
    상기 제2 힌지 부재 내에 형성된 내치와,
    상기 내치와의 로킹 상호 작용을 위해 치를 갖는 베어링 판과,
    왕복 운동 방향으로 가이드 벽에 대해 상기 베어링 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 힌지 부재 내에 형성된 이격된 가이드 벽과,
    상기 베어링 판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레버와 이와 일체 운동하는 캠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캠은 상기 액슬 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캠 축 주위로 피봇 운동을 하기 위해 상기 제1 힌지 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 판을 상기 내치와 결합시키고 해제시키는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착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판은 상기 액슬 축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캠 축은 상기 일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액슬 축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착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캠 축 주위로의 피봇 운동을 위해 상기 제1 힌지 부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착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베어링 판의 핀과 상기 레버가 그와 함께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핀을 수용하고, 상기 레버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베어링 판을 상기 내치로부터 분리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상기 핀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레버가 그와 함께 형성되는 개구와 로킹 결합하는 돌출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레버와의 상기 캠의 단일 이동을 성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부재는 상기 캠 및 상기 레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윈도우와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부재는 상기 캠 축에 대한 상기 캠의 피봇 운동을 위해 상기 캠을 지지하는 캠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보스를 갖고, 상기 제1 힌지 부재에는 상기 캠 축에 대한 상기 캠의 피봇 운동을 위해 상기 보스를 수용하는 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상기 돌출부는 핀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캠과 일체인 러그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 축 주위에서 서로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 힌지 부재들을 피봇 운동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힌지 부재들 사이에 결합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캠 축 주위에서 상기 제1 힌지 부재들에 대해 상기 레버 및 상기 캠을 피봇 운동하도록 상기 제1 힌지 부재와 상기 레버 사이에 결합된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은 한 단부에는 상기 레버와 결합된 후크를 갖고, 대향 단부에는 상기 제1 힌지 부재와 결합한 후크를 갖는 헬리컬 연장 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부재에는 한 면에 보스가 형성되고, 반대면에는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캠은 상기 제1 힌지 부재의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는 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액슬 및 상기 제1 힌지 부재의 상기 보스를 연결하는 스프링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은 외부 단부에 상기 레버와 결합한 후크를 갖고 내부 잔부에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와 결합한 후크를 갖는 스파이럴 스프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부재의 상기 보스 및 상기 캠의 상기 보스는 상기 캠 축상에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기재 액슬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위치된 상기 제1 힌지 부재상에 제2 액슬과, 상기 제1 기재 레버와 협동하는 상기 제2 액슬 주위의 피봇 운동을 위해 상기 제1 힌지 부재에 장착된 제2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레버와 상기 제1 기재 레버를 작동 연결하는 슬롯 및 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그 한 단부에서 피봇 운동을 위해 상기 제2 액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레버에는 그 대향 자유 단부 부분에 그 대향 단부가 손잡이에 연결되는 제어 로드의 한 단부를 수용하게 되어있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및 핀 수단은 상기 제2 레버의 상기 한 단부 및 상기 대향 단부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제2 레버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21. 제17항에 의한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를 포함하는 시트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그 한 단부에서 상기 제2 액슬과 고정 결합한 운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KR1019960060538A 1995-11-30 1996-11-30 시트용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KR100192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12207 1995-11-30
JP31220795 1995-11-30
JP17193396 1996-07-02
JP96-171933 1996-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334A KR970026334A (ko) 1997-06-24
KR100192623B1 true KR100192623B1 (ko) 1999-06-15

Family

ID=2649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538A KR100192623B1 (ko) 1995-11-30 1996-11-30 시트용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18483A (ko)
EP (1) EP0776782B1 (ko)
KR (1) KR100192623B1 (ko)
DE (1) DE6961434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3290B1 (fr) * 1997-05-15 1999-08-06 Cesa Articulation perfectionnee pour sie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siege muni de cette articulation
FR2766137B1 (fr) * 1997-07-15 1999-10-01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equipe d'un mecanisme d'articulation
JPH11299563A (ja) * 1998-04-21 1999-11-02 Fuji Kiko Co Ltd 自動車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のガタ防止方法及びその構造
EP1131225B1 (en) 1998-11-20 2004-02-11 Magna Seating Systems Inc. Linear recliner assembly
DE10337682A1 (de) * 2003-08-11 2005-03-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raftfahrzeugsitz
US6910738B2 (en) * 2003-01-28 2005-06-28 Fisher Dynamics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recliner mechanism
US6890034B2 (en) 2003-01-28 2005-05-10 Fisher Dynamics Corporation Compact recliner with locking cams
US6767068B1 (en) * 2003-05-16 2004-07-27 Tachi-S Co., Ltd. Dual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US20050168034A1 (en) * 2004-01-21 2005-08-04 Scott Fast Disc recliner with dual cams
US7097253B2 (en) * 2004-03-11 2006-08-29 Fisher Dynamics Corporation Round recliner assembly with rear folding latch
US7025422B2 (en) * 2004-03-11 2006-04-11 Fisher Dynamics Corporation Round recliner assembly with rear folding latch
KR101165379B1 (ko) * 2004-07-15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지상파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그의 신호처리방법
KR100770136B1 (ko) * 2006-04-18 2007-10-2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장치
FR2902715B1 (fr) * 2006-06-26 2008-12-26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de liaison a pivot libre entre un dossier et une assise de siege
WO2009091980A1 (en) * 2008-01-17 2009-07-23 Fisher Dynamics Corporation Round recliner mechanism
DE102010020558A1 (de) * 2010-05-14 2011-1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Verstell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r Rückenlehne eines Fahrzeugssitzes
US9296315B2 (en) 2013-02-26 2016-03-29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mechanism with backdriving feature
US9902297B2 (en) 2014-06-11 2018-02-27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Latch mechanism with locking feature
JP6682300B2 (ja) * 2016-03-04 2020-04-1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86030A (fr) * 1961-01-19 1962-03-02 Système d'articulation pour dossier, inclinable à volonté, d'un siège quelconque
DE2328022C3 (de) * 1973-06-01 1981-08-13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Gelenkbeschlag für Sitze insbesondere Fahrzeugsitze
US4076309A (en) * 1977-01-13 1978-02-28 Lear Siegler, Inc. Seat recliner including adjustment mechanism and latch
US4103970A (en) * 1977-01-13 1978-08-01 Lear Siegler, Inc. Seat recliner
DE2931873A1 (de) * 1979-08-06 1981-02-26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Gelenkbeschlag mit verstellbarer rueckenlehn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sitze
FR2463596A1 (fr) * 1979-08-23 1981-02-27 Peugeot Cycles Dispositif de reglage de l'inclinaison relative de deux organes et notamment des deux parties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S579417A (en) * 1980-06-21 1982-01-18 Ikeda Bussan Co Reclining appartus of seat
US5280999A (en) * 1992-12-31 1994-01-25 Hoover Universal, Inc. Linear seat back recl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76782A3 (en) 1998-08-12
EP0776782A2 (en) 1997-06-04
EP0776782B1 (en) 2001-08-08
DE69614342T2 (de) 2001-11-29
DE69614342D1 (de) 2001-09-13
KR970026334A (ko) 1997-06-24
US5718483A (en) 1998-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2623B1 (ko) 시트용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US4659146A (en) Articulation of the seat back of a seat for various vehicles
JPH0630547Y2 (ja)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US4626028A (en) Seat for vehicles
EP0622267B1 (en) Reclining device with angular position memory mechanism for seat back
US3966253A (en) Vehicle seat with tiltable backrest
JPH0729577B2 (ja) 傾斜折り畳みシートバックを備えるシート
US6234575B1 (en) Longitudinal adjustment device in a vehicle seat, especially for two-door motor vehicles
JP2002262954A (ja) 自動車座席用ヒンジ金具
US20020153755A1 (en) Seat reclining device
US20040135412A1 (en) Motor vehicle seat
US5224759A (en) Double lock recliner for automotive seat
US4252369A (en) Device for arresting a backrest of a vehicle seat
JPH11208325A (ja) ウォークイン機構付き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67217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EP0415781B1 (en) Double lock recliner for automotive seat
KR200177717Y1 (ko) 슬라이드 조절장치가 달린 회전시트
JP4136552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344857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424129A (ja)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24612Y2 (ko)
JP3568174B2 (ja) ウォークイン機構付シートアジャスタ
JP2637641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0041776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368307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の傾斜角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